KR100793465B1 - 철근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철근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65B1
KR100793465B1 KR1020060115731A KR20060115731A KR100793465B1 KR 100793465 B1 KR100793465 B1 KR 100793465B1 KR 1020060115731 A KR1020060115731 A KR 1020060115731A KR 20060115731 A KR20060115731 A KR 20060115731A KR 100793465 B1 KR100793465 B1 KR 10079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reinforcing bar
tie
reinforcing bars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진
하승환
Original Assignee
강대진
하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진, 하승환 filed Critical 강대진
Priority to KR102006011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65B1/ko
Priority to PCT/KR2007/005877 priority patent/WO20080630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0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deforming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trip or band
    • B65B13/305Hand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철근을 결속시키는 결속타이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1쌍이 각각 힌지축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쪽 철근이 접촉하는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구동부의 반대측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아래쪽 철근을 위쪽 철근쪽으로 밀어 올리는 집게부; 및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투입되는 결속타이를 상기 집게부 쪽으로 밀어 내는 푸쉬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복수개의 철근을 서로 용이하게 인접시킨 후 결속타이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한 동작으로 결속타이를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철근, 결속, 타이, 시소운동, 집게

Description

철근결속장치{CONNECTOR FOR STEEL 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게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게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푸쉬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결속타이의 일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타이수용부
12 : 손잡이 20 : 집게부
21 : 구동부 22 : 피동부
22a : 수용홈 23 : 가이드부
25 : 힌지축 30 : 푸쉬수단
31 : 손잡이 32 : 탄성스프링
40 : 지지부재 45 : 탄성스프링
50 : 피딩수단
본 발명은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속타이를 낱개로 자동투입하여 철근을 결속시키는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철근을 매입하여 시설하고 있다. 즉, 콘크리트용의 몰드 내에 다수의 철근을 서로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수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체워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철근의 고정방법으로는 가는 결속선을 이용하여 결속부에 맞도록 결속선을 절단하여, 상기 절단된 결속선을 원하는 부위에 감고 꼬아서 결속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결속의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해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작업능률의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다양한 형상의 결속용 클립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이는 클립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철근결속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철근을 서로 용이하게 인접시켜 결속시 킬 수 있는 철근결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철근결속장치는, 복수개의 철근을 결속시키는 결속타이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1쌍이 각각 힌지축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쪽 철근이 접촉하는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구동부의 반대측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아래쪽 철근을 위쪽 철근쪽으로 밀어 올리는 피동부가 형성된 집게부; 및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투입되는 결속타이를 상기 집게부 쪽으로 밀어 내는 푸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집게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철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게부와 지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타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1쌍의 집게부의 선단 일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1쌍의 집게부의 각 선단에는 반대편 집게부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속타이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타이가 하나씩 푸쉬수단의 직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결속타이를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피딩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결속타이의 일예는, 복수개의 철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성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복수개의 체결홈이 연속하여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폐곡선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속타이는, 복수개의 철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성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톱니형상의 제1체결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제1체결부와 치합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톱니형상의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결속장치는, 복수개의 철근을 결속시키는 결속타이를 수용하는 몸체부(10)와, 아래쪽 철근(Sd)을 위쪽 철근(Su)쪽으로 밀어 올리는 집게부(20), 상기 몸체부(10)에 투입되는 결속타이를 상기 집게부(20) 쪽으로 밀어 내는 푸쉬수단(30) 및, 상기 집게부(20)에 위치한 철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복수개의 결속타이를 수용되는 타이수용부(11)를 구비하고, 일측에 집게부(20)가 결합되며, 일측에 손잡이(12)가 구비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2)를 잡고 몸체부(10)를 철근 쪽으로 밀어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이수용부(11)의 일측에는 결속타이가 하나씩 푸쉬수단(30)의 직하방으로 결속타이를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피딩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쉬수단(30)은 상기 몸체부(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이수용부(11)에 위치한 복수개의 결속타이(T) 중 하나를 집게부(20) 쪽으로 밀어 결속타이(T)가 2개의 철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푸쉬수단(30)의 일측에는 손잡이(3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푸쉬수단(30)을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쉬수단(30)의 일측에는 탄성스프링(32)이 구비되어 푸쉬수단(30)이 몸체부(10)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상기 푸쉬수단(30)이 몸체부(10)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푸쉬수단(30)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집게부(20)는 상기 몸체부(10)에 1쌍이 각각 힌지축(25)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게부(20)는 상기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쪽 철근(Su)이 접촉하는 구동부(21)와, 상기 힌지축(25)을 중심으로 구동부(21)의 반대측에 상기 구동부(21)에 의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피동부(2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1)와 피동부(22)는 하나의 몸체로 집게부(20)를 형성하며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일체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축(25)은 집게부(20)에서 피동부(22) 보다 구동부(21) 쪽에 더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구동부(21)의 회전반경 보다 피동부(22)의 회전반경이 더 크게 된다.
상기 구동부(21)는 2개의 철근 중 위쪽 철근(Su)과 접촉하고, 상기 피동부(22)는 아래쪽 철근(Sd)을 지지하게 된다.
작업자가 위쪽 철근(Su)에 상기 구동부(21)가 접촉하도록 집게부(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0)의 손잡이(12)를 잡고 철근 쪽으로 밀게 되면 반작용에 의해 위쪽 철근(Su)이 피동부(22)를 밀어 올리면서 집게부(20)를 선회시키게 되고, 이때 피동부(22)가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피동부(22)에 대하여 시소운동하면서 아래쪽 철근(Sd)을 위쪽 철근(Su) 쪽으로 밀어 올려 2개의 철근을 인접시키게 된다.
여기서, 피동부(22)의 회전반경 보다 구동부(21)의 회전반경이 더 작으므로 위쪽 철근(Su)이 이동하는 거리에 비해 아래쪽 철근(Sd)이 이동하는 거리가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위쪽 철근(Su)이 구동부(21)를 조금만 이동시키더라도 피동부(22)가 아래쪽 철근(Sd)을 크게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집게부(20)의 각 선단에는 다른 집게부(20)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홈(22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1쌍의 집게부(20)의 선단 일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1쌍의 집게부(20)의 선단이 서로 겹쳐짐으로써 겹쳐지지 않을 때 보다 집게부(20)의 피동부(22)가 아래쪽의 철근을 위쪽 철근(Su) 쪽으로 더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몸체부(10)의 내측에 탄성스프링(45)에 의해 탄성적으 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결속타이를 철근 쪽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0)는 철근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철근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결속타이가 철근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게부(20)와 지지부재(40)의 일측에 상기 결속타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3)(41)가 형성되어 푸쉬수단(30)에 의해 결속타이가 2개의 철근 외측을 감싸도록 함과 동시에 결속타이의 양쪽 선단이 서로 체결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결속타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타이(T10)는, 2개의 철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성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복수개의 체결홈(T11)이 연속하여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체결홈(T11)에 끼워져 폐곡선을 형성하는 체결부(T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T11)의 내측벽과 체결부(T12)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T12)가 체결홈(T11)에 끼워진 상태로 걸려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T21)과 체결부(T22)의 변형예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타이(T20)는 상기 철근결속장치의 푸쉬수단(30)에 의해 집게부(20)로 투입되어 철근을 감싸게 되면, 체결부(T22)가 체결홈(T21)으로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푸쉬수단(30)으로 결속타이(T20)를 집게부(20) 쪽으로 밀게 되면 결속타이(T20)가 집게부(20)와 지지부재(40)의 가이드부(23)(41)를 따라 안내되면서 철근을 감싸는 동시에 결속타이(T20)의 선단이 서로 교차되면서 체결부(T22)가 체결홈(T2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도 8을 보면, 결속타이(T20)의 체결홈(T21) 선단이 트인 개방부(T2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개방부(T23)는 상기 체결부(T22)가 체결홈(T21)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의 역할을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타이(T30)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면, 2개의 철근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성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톱니형상의 제1체결부(T31)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제1체결부(T31)와 치합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톱니형상의 제2체결부(T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부(T31)와 제2체결부(T32)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포개어 지게 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걸려 철근을 감싸도록 체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철근을 서로 용이하게 인접시킨 후 결속타이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한 동작으로 결속타이를 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복수개의 철근을 결속시키는 결속타이를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1쌍이 각각 힌지축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쪽 철근이 접촉하는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구동부의 반대측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아래쪽 철근을 위쪽 철근쪽으로 밀어 올리는 피동부가 형성된 집게부; 및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에 투입되는 결속타이를 상기 집게부 쪽으로 밀어 내는 푸쉬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철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와 지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결속타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집게부의 선단 일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1쌍의 집게부의 각 선단에는 반대편 집게부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속타이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타이가 하나씩 푸쉬수단의 직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결속타이를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피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115731A 2006-11-22 2006-11-22 철근결속장치 KR10079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31A KR100793465B1 (ko) 2006-11-22 2006-11-22 철근결속장치
PCT/KR2007/005877 WO2008063007A1 (en) 2006-11-22 2007-11-21 Connector for steel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31A KR100793465B1 (ko) 2006-11-22 2006-11-22 철근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465B1 true KR100793465B1 (ko) 2008-01-14

Family

ID=3921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731A KR100793465B1 (ko) 2006-11-22 2006-11-22 철근결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465B1 (ko)
WO (1) WO200806300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4B1 (ko) 2009-10-27 2012-04-30 김붕회 철근 결속기
KR101154812B1 (ko) * 2010-05-28 2012-06-18 정진우 철근결속장치
KR101180291B1 (ko) * 2010-01-08 2012-09-11 정진우 철근결속 클립
KR101196778B1 (ko) * 2009-11-26 2012-11-06 정진우 철근 자동 결속장치
KR101212839B1 (ko) * 2010-11-05 2013-01-09 정진우 철근 결속용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7056B (zh) * 2010-12-07 2013-10-30 刘伟 一种钢筋绑扎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9549A1 (en) 1993-06-11 1994-12-22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Gadon B.V. A device for securing superimposed reinforcing rods
KR200352561Y1 (ko)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350B2 (ja) * 1994-09-05 1997-07-16 杉本建設株式会社 鉄筋結束装置
KR20050052969A (ko) * 2003-12-01 2005-06-07 김진호 철근결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9549A1 (en) 1993-06-11 1994-12-22 Technische Handelsonderneming Gadon B.V. A device for securing superimposed reinforcing rods
KR200352561Y1 (ko) 2004-03-24 2004-06-05 천광일 철근 반자동결속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4B1 (ko) 2009-10-27 2012-04-30 김붕회 철근 결속기
KR101196778B1 (ko) * 2009-11-26 2012-11-06 정진우 철근 자동 결속장치
KR101180291B1 (ko) * 2010-01-08 2012-09-11 정진우 철근결속 클립
KR101154812B1 (ko) * 2010-05-28 2012-06-18 정진우 철근결속장치
KR101212839B1 (ko) * 2010-11-05 2013-01-09 정진우 철근 결속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3007A1 (en)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465B1 (ko) 철근결속장치
RU24274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й
RU2689108C1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JP3393684B2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EP0751269B1 (en) Wire guide mechanism for 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EP2058452B1 (en)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US6640399B2 (en) Fastener clip, pliers and method of use
JP5189468B2 (ja) 鉄筋の結束装置
JP4961265B2 (ja) 鉄筋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JP4623411B2 (ja) 結束バンド容器
JP2009270413A (ja) 鉄筋結束線材とその電動結束機
JP2010053622A (ja) 鉄筋の結束装置
KR20000059029A (ko) 철근 결속장치
CN215254697U (zh) 一种桥梁施工用钢筋捆扎装置
JP2019007319A (ja) 交差する鉄筋の固定装置
RU2781589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KR20040028859A (ko) 철근결속용 집게스테이플
KR101459344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20210012152A (ko) 건축 및 토목용 전동 철근 결속기
JP4945517B2 (ja) バインド巻付け及び巻外し用コマ並びに該コマの駆動工具
JPH0742366A (ja) クリップ方式鉄筋結束治具
JPH074048A (ja) ワイヤの自動結束装置
JPH0834406A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KR101927621B1 (ko) 철근결속용 슬리브 압착 장비
KR100519100B1 (ko) 자동 철근결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