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19Y1 - 차량용 햇빛 가리개 - Google Patents

차량용 햇빛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19Y1
KR200476019Y1 KR2020130009404U KR20130009404U KR200476019Y1 KR 200476019 Y1 KR200476019 Y1 KR 200476019Y1 KR 2020130009404 U KR2020130009404 U KR 2020130009404U KR 20130009404 U KR20130009404 U KR 20130009404U KR 200476019 Y1 KR200476019 Y1 KR 200476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sor
front windshield
sunlight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현
Original Assignee
김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현 filed Critical 김갑현
Priority to KR2020130009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82Speci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전면 유리창에 햇빛을 차단하는 가리개를 구비하여 주차중 또는 주행중 햇빛의 강한 열에 의하여 차량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컨 가동 효율을 높이며, 운전중 운전자의 시야를 햇빛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햇빛 가리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1 가리개와,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2 가리개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에 제 1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흡착부재가 제 1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에 제 2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가 상기 제 2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가리개에는 제 2 가리개의 상부를 차량의 내부 전면유리창 하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를 따라 제 2 가리개를 접는 경우 제 2 가리개의 상부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는 제 2 가리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 2 가리개는 주차중에는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이 맞닿아 있으며,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가리개의 상단은 제 1 가리개의 하단에서 떨어져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 거리까지 떨어져 형성되며, 제 2 가리개는 절곡부를 따라 접어져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대쉬보드 등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중에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이 맞닿아 유지되기 위해서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 각각에 벨크로(velcro)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리개와 제 2 가리개는 세트(s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볕을 용이하게 차단하며,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낮추어 주고, 주차중 또는 주행중 전면 유리창으로 유입되는 높은 열로 인하여 승차자에 줄 수 있는 불쾌감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에어콘을 가동할 때에도 에너지 소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줌으로 눈의 피로를 해소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햇빛 가리개 {Sun shade for vehicle}
본 고안은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면 유리창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가리개를 구비하여 주차중 또는 주행중 햇빛의 강한 열에 의하여 차량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중 운전자의 시야를 햇빛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햇빛이 비치는 무더운 날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하여 그늘을 찾아다니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햇빛에 의해 차내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햇빛이 비치는 날에 야외로 캠핑을 하는 경우에 해변가나 강가와 같은 데에는 그늘을 쉽게 찾지 못하고 그늘이 있다 하여도 차량을 세워 둘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을 햇빛이 노출되는 곳에 주차하게 된다.
특히, 여름철 일사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차량 내부의 기온이 차량 외부의 기온보다도 2, 3배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휴대전화 또는 전자기기 폭발이나,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오작동, 스프레이 종류 폭발, 음료수병 또는 캔음료 터짐현상, 라이터 폭발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사량이 많이 쬐는 시간대에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차내에 들어가면 차내의 기온도 높은 상태이고 대쉬보드나 운전대(핸들) 등이 상당히 뜨거워져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내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도록 차내에 구비되어 있는 에어콘을 작동하거나 차량의 문을 열어 차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식으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은 행동을 취한다.
상기와 같이 차내의 에어콘을 작동하기 위해서 차량의 시동을 걸고 어느 정도 엔진을 공회전을 시킨 다음 에어콘을 작동시켜야 하는데 시동을 걸고 바로 작동시켜 엔진에 무리가 가게 되며, 차내의 공기를 빨리 순환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문을 열어 놓게 되는데 이는 다른 차량의 통행을 방해할 뿐 아니라 추돌사고의 위험 또한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와 더불어 차량이 주행중일 때는 운전자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앞유리를 통하여 햇빛이 조사되고, 이로 인하여 햇빛에 의한 눈부심 등과 해볕(태양열)으로 인한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과 같은 불편한 요소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한 요소들은 안전 운전에 많은 방해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741호, 고안의 명칭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제안된 바 있으나 차량 외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운전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햇빛을 가리기 때문에 차량 내부 온도 상승을 막는 역할은 크게 하지 못한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앞유리의 햇빛가리개가 적용되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707호, 고안의 명칭 '차량용 앞유리의 햇빛가리개'를 제안되었으나 주차중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안하는 햇빛가리개는 특정재질(금박지, 은박지, 수은 코팅지, 알루미늄 코팅지, 아연 코팅지 중의 하나)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741호, 고안의 명칭 '차량용 햇빛 가리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707호, 고안의 명칭 '차량용 앞유리의 햇빛 가리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전면 유리창에 햇빛을 차단하는 가리개를 구비하여 주차중 또는 주행중 햇빛의 강한 열에 의하여 차량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컨 가동 효율을 높이며, 운전중 운전자의 시야를 햇빛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안전 운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햇빛 가리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1 가리개와,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2 가리개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에 제 1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흡착부재가 제 1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에 제 2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가 상기 제 2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가리개에는 제 2 가리개의 상부를 차량의 내부 전면유리창 하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를 따라 제 2 가리개를 접는 경우 제 2 가리개의 상부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는 제 2 가리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 2 가리개는 주차중에는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이 맞닿아 있으며,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가리개의 상단은 제 1 가리개의 하단에서 떨어져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 거리까지 떨어져 형성되며, 제 2 가리개는 절곡부를 따라 접어져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대쉬보드 등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중에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이 맞닿아 유지되기 위해서 제 1 가리개의 하단과 제 2 가리개의 상단 각각에 벨크로(velcro)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리개와 제 2 가리개는 세트(s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햇빛 가리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볕을 용이하게 차단하며, 이에 따라 차량 내부의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낮추어 주고, 주차중 또는 주행중 전면 유리창으로 유입되는 높은 열로 인하여 승차자에 줄 수 있는 불쾌감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에어콘을 가동할 때에도 에너지 소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햇빛을 차단하여 줌으로 눈의 피로를 해소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앞유리의 햇빛가리개가 적용되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 가리개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햇빛 가리개(100)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1 가리개(110)와,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2 가리개(120)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에 제 1 가리개(110)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흡착부재(105)가 제 1 가리개(1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에 제 2 가리개(120)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105)가 제 2 가리개(12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리개(120)에는 제 2 가리개(120)의 상부를 차량의 내부 전면유리창 하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125)를 따라 제 2 가리개(120)를 접는 경우 제 2 가리개(120)의 상부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을 커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105)는 제 2 가리개(1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 2 가리개(120)는 주차중에는 제 1 가리개(110)의 하단과 제 2 가리개(120)의 상단이 맞닿아 있으며,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가리개(120)의 상단은 제 1 가리개(110)의 하단에서 떨어져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 거리까지 떨어져 형성되며, 제 2 가리개(120)는 절곡부(125)를 따라 접어져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대쉬보드 등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중에 제 1 가리개(110)의 하단과 제 2 가리개(120)의 상단이 맞닿아 유지되기 위해서 제 1 가리개(110)의 하단과 제 2 가리개(120)의 상단 각각에 벨크로(velcro)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리개(110)와 제 2 가리개(120)는 세트(s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햇빛 가리개(100)는 주차중에는 햇빛의 강한 열이 차량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햇빛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햇빛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적용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햇빛가리개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제 2 가리개(120)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2가지 상태를 가지는데,
첫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중에는 제 1 가리개(110)의 하단과 제 2 가리개(120)의 상단이 맞닿아 있으며,
둘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 2 가리개(120)의 상단은 제 1 가리개(110)의 하단에서 떨어져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 거리까지 떨어져 대쉬보드 및 운전대 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제 1 가리개(110)와 제 2 가리개(120)로 구성되는 차량용 햇빛 가리개(100)는 주차중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서 전면 유리창 전체를 가리며, 주행중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될 수 있도록 제 1 가리개(110)와 제 2 가리개(120) 사이로 이격이 형성되어 지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중에는 차량 전면 유리창을 통하여 햇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제 1 가리개(110)와 제 2 가리개(120)가 맞닿아 있으며 이와 같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가리개(110)의 하단과 제 2 가리개(120)의 상단 각각에 벨크로(velcro)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할 수 있으며, 주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리개(110)와 제 2 가리개(120)가 분리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되도록 이격을 형성되게 된다.
즉, 제 2 가리개(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접어지는 절곡부(125)를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되며, 절곡부(125)를 따라 접혀지는 부분은 대쉬보드 및 운전대(핸들) 등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도록 감싸지게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햇빛 가리개(100)는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적합한 소재로 천이나 단열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UV(자외선) 차단재나 코팅된 재질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흡착부재(105)는 차량 앞유리에 잘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무 재질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례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례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햇빛 가리개
105 : 제 1, 2 흡착부재
110 : 제 1 가리개
120 : 제 2 가리개
125 : 절곡부

Claims (4)

  1.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1 가리개와,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 2 가리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상부면에 상기 제 1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흡착부재가 상기 제 1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측 중하부면에 상기 제 2 가리개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가 상기 제 2 가리개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 2 가리개에는 상기 제 2 가리개의 상부를 상기 차량의 내부 전면유리창 하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를 따라 상기 제 2 가리개를 접는 경우 상기 제 2 가리개의 상부는 상기 차량의 대시보드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운행시 상기 제 2 가리개는 상기 제 1 가리개와 분리되어 상기 차량의 대시보드에 부착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햇빛 가리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흡착부재는 상기 제 2 가리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햇빛 가리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리개(110)와 상기 제 2 가리개(120)는 세트(se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2020130009404U 2013-11-15 2013-11-15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200476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04U KR200476019Y1 (ko) 2013-11-15 2013-11-15 차량용 햇빛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04U KR200476019Y1 (ko) 2013-11-15 2013-11-15 차량용 햇빛 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19Y1 true KR200476019Y1 (ko) 2015-01-20

Family

ID=5259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04U KR200476019Y1 (ko) 2013-11-15 2013-11-15 차량용 햇빛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1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910U (ko) * 1988-05-24 1989-12-07
US7011355B1 (en) * 2005-05-24 2006-03-14 Lao-Ching Su Dual-purpose car sunshade capable of isolating heat and eliminating refl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910U (ko) * 1988-05-24 1989-12-07
US7011355B1 (en) * 2005-05-24 2006-03-14 Lao-Ching Su Dual-purpose car sunshade capable of isolating heat and eliminating refl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8575A1 (en) Vehicle automatic window sunscreens
US9676262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6131987A (en) Glare shielding assembly for use with an automobile
WO2005108139A2 (en) Vehicle window sun cover
US20140375083A1 (en) The Dual (day/night) Power Window system for automobiles, the DPW system
US20100244495A1 (en) Phase change material usage in window treatments
KR200476019Y1 (ko) 차량용 햇빛 가리개
US6170553B1 (en) Vehicle windshield shading apparatus
KR200485645Y1 (ko) 자동차 전면유리 보호덮개
CN202593233U (zh) 一种带观察孔的汽车遮阳板
KR200389972Y1 (ko) 다용도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0140700Y1 (ko) 윈드실드로의 햇빛 차단장치
CN102756630A (zh) 汽车遮阳板
KR20100112057A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100107643A (ko) 차량용 커버장치
JP3155278U (ja) オートバイ用シールド
KR20160003743U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KR200423339Y1 (ko) 자동차용 차양막
CN209904493U (zh) 汽车及其侧窗通风遮阳装置
KR20130068619A (ko) 자동차용 외장 단열 커버
KR100777262B1 (ko) 자동차 윈도우 투시 및 투광차단장치
JP3104200U (ja) 車両用日除けシート
CN209022739U (zh) 一种车辆的遮阳装置
RU77896U1 (ru) Свет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20020469A (ko) 차량용 태양광 차단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