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59Y1 - 배수관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59Y1
KR200475459Y1 KR2020120000613U KR20120000613U KR200475459Y1 KR 200475459 Y1 KR200475459 Y1 KR 200475459Y1 KR 2020120000613 U KR2020120000613 U KR 2020120000613U KR 20120000613 U KR20120000613 U KR 20120000613U KR 200475459 Y1 KR200475459 Y1 KR 200475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andle
rotary
coil spring
rotary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712U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김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구 filed Critical 김진구
Priority to KR2020120000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5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제2스프링(8)과 봉(10)과 분쇄수집 부(11)와 회전용 손잡이(2)와 회전 부(3)는 조립 및 봉입 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제1스프링(7)와 손잡이(1)는 조립 및 봉입 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제3스프링(9)은 손잡이(1) 내부의 슬라이드 공(12)에 설치된다.
제1스프링(7)와 손잡이(1)와 제3스프링(9)의 내부에는 제2스프링(8)과 봉(10)과 분쇄수집 부(11)와 회전용 손잡이(2)의 일부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회전 부(3)를 손바닥으로 누르면 회전용 홈(6)과 돌출부(5)가 맞물리면서 제2스프링(8)과 봉(10)과 분쇄수집 부(11)와 회전용 손잡이(2)가 전진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수집 또는 분쇄하여 청소한다.

Description

배수관 청소장치{AN APPARATUS FOR CLEANING A DRAIN PIPE}
본 고안은 배수구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상세하게는 배수관 내부의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배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당이나 공업용배수관은 화학약품과 각종세정제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발생하는 고형화된 이물질과 식당의 음식물 찌꺼기.세면대의 머리카락 등으로 인하여 배수트랩의 굴곡 부위 등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배수관 내의 배수트랩의 굴곡 부위 등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을 분리하여 배수트랩의 굴곡 부위 등에 이물질을 제거하고,조립했으나 배수관 분리 및 조립작업은 다양한 공구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기술 없이도 배수관을 청소할 수 있는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배수관 청소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000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128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배수관을 분리하지 않고 배수관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수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수관 청소장치는 양단으로 관통형성된 슬라이드공을 가지며,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공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공 내외로 출몰 가능한 회전용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연결되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연장되고, 타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의 수집부가 연결되는 제1스프링;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공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의 타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내부에서 상기 수집부까지 연장되는 봉과; 일단은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일단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봉의 외주에 감긴 형태로 상기 봉의 타단까지 연장되고,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제2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링보다는 크고 상기 수집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쇄수집부; 상기 손잡이의 상기 슬라이드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용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일단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3스프링;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 내측으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회전용 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의 외주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에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에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외주측으로 확장되어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타단에서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부분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나머지부분은 인장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은 상기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배수관 청소장치에 따르면 배수관 청소시 회전용 손잡이를 전진 시키는 동시에 회전을 하기 때문에 분쇄 수집부에서 배수관 내의 이물질을 분쇄 및 수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프링(8), 봉(10), 회전용 손잡이(2) 및 분쇄 수집부(11)가 손잡이(2) 및 제1스프링(7) 내부에서 왕복 이동 및 회전운동이 가이드 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분쇄수집부(11)의 왕복이동 및 회전운동이 자연스럽게 가이드 되어 배수관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관 청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회전부를 밀어서 회전용 손잡이를 손잡이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관 청소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관 청소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13)는 손잡이(1)와, 회전용 손잡이(2)와, 회전부(3)와, 제1스프링(7)과, 제2스프링(8)과, 제3스프링(9)과, 봉(10)과, 분쇄 수집부(11)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으로 관통형성된 슬라이드공(12)을 가지며,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1)의 일단에는 외주측으로 확장되어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고리(1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용 손잡이(2)는 손잡이(1)의 일단으로부터 슬라이드공(12)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슬라이드공(12) 내외로 출몰되면서 왕복 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공(12)의 입구부분의 내측으로 돌출부(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용 손잡이(2)에는 돌출부(5)와 맞물리도록 회전용 홈(6)이 형성된다. 회전용 홈(6)과 회전용 손잡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용 홈(6)에 돌출부(5)가 삽입되도록 서로 맞물려진 상태에서, 회전용 손잡이(2)가 손잡이(1)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돌출부(5)와 회전용 홈(6)의 상대적인 가이드작용에 의해 회전용 손잡이(2)가 회전되면서 손잡이(1) 내부의 슬라이드공(12)으로 진입하게 되고, 제3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용 손잡이(2)가 손잡이(1) 외측으로 밀려나올 때도 회전용 손잡이(2)는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회전용 손잡이(2)의 일단에는 제2스프링(8)과 봉(10)이 연결되어, 슬라이드공(12) 내외로 함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용 손잡이(2)의 타단에는 회전부(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회전용 손잡이(2)의 타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축소되어 회전부(3)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외경이 축소된 부분(2a)에는 나사산(16;볼트 형상)이 형성된다. 외경이 축소된 부분(2a)에 회전부(3)를 끼워넣고, 나사산(16)에 너트(4)를 나사 조립하면, 회전부(3)를 회전용 손잡이(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의 외측면에 너트(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부분(3a)을 형성하면, 너트(4)가 회전부(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은 손잡이(1)를 잡고, 다른 손으로 회전부(3)의 외측면을 손(손바닥)으로 밀게 되면, 회전부(3)에 대해 회전용 손잡이(2)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손잡이(1) 내부로 자연스럽게 진입하게 된다. 즉, 회전부(3)는 외측면이 오목한 부분(3a)이 있어서, 그 오목한 부분(3a)에 너트(4)를 조립하게 되어 있어 손바닥으로 회전부(3)를 밀어 청소시 손바닥에 무리를 덜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1)의 슬라이드공(12) 내부에는 제3스프링(9)이 설치되어, 슬라이드공(12) 내부로 강제로 밀려서 들어온 회전용 손잡이(2)를 손잡이(1)의 외부로 다시 돌출되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1)의 일단으로는 회전용 손잡이(2)가 출몰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스프링(7)이 조립 또는 봉입되어 연결된다. 제1스프링(7)은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을 가진다. 제1스프링(7)은 손잡이(1)의 일단에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타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의 수집부(15)가 연결된다. 수집부(15)는 제1스프링(7)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일부가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 부분은 간격을 가지도록 인장(팽창)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집부(15)는 끝단의 나머지 부분이 인장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서 간격이 있기 때문에 배수관 내부에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봉(10)은 일단이 슬라이드공(12)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용 손잡이(2)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손잡이(1)의 타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스프링(7) 내부에서 수집부(17) 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봉(10)의 외주에 감기는 형태로 제2스프링(8)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스프링(8)은 일단은 회전용 손잡이(2)의 일단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봉(10)의 외주에 감긴 형태로 봉(10)의 타단까지 연장되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제2스프링(8)과 봉(10)은 회전용 손잡이(2)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용 손잡이(2)의 왕복 이동시 슬라이드공(12)과 제1스프링(7)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2스프링(8)의 외경은 제1스프링(7)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스프링(7) 내부에서 가이드 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8)은 내부에 봉(10)이 설치되고 타단에 분쇄 수집 부(11)가 설치된다. 분쇄 수집부(11)는 제1스프링(7)과의 스프링규격의 차이로 인하여 제1스프링(7) 타단에 걸린다. 즉, 분쇄 수집부(11)는 제2스프링(8)보다는 크고 제1스프링(7)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쇄 수집부(11)는 회전용 손잡이(2)의 왕복 이동시 도 2 및 도 3과 같이, 수집부(15)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원위치 복귀되면서 배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쇄 수집부(11)는 배수관 내에서 고형화된 이물질과 음식물 등을 분쇄하거나 수집하여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를 한 손으로 잡고 회전부(3)를 도 3과 같이 밀어 넣고, 제3스프링(9)에 의해 나온 회전부(3)를 다시 밀어 넣은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분쇄 수집부(11)는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원통형 스프링 구조)이므로 이물질에 충격을 주고 마찰을 주면서 분쇄시킬 수 있게 되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8)과 봉(10)은 연결되어 있거나 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스프링(8)과 봉(10)의 타단은 분쇄수집 부(11)와 조립 또는 봉입 되어 결합되고 일단은 회전용 손잡이(2)에 봉입 또는 조립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2스프링(8)과 봉(10)은 제1스프링(7)의 직진성과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제1스프링(7)이 하수관 내로 삽입시 하수관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제1스프링(7)이 변형(휘어지게 변형)되어 삽입되는데, 제1스프링(7)의 내부에 위치한 제2스프링(8)과 봉(10)도 동일한 형태로 변형된다. 제2스프링(8)은 봉(10)의 외주에 압축된 코일스프링형태로 감겨서 설치된 구성이므로, 변형(휘어지는 형태로 변형)될 경우 직선형으로 복원되는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제2스프링(8)과 봉(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외측에 위치한 제1스프링(7)은 직선형(직진형)으로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관 청소장치(13)를 오랜 시간 동안 배수관 청소시 스프링의 탄성이 약해지거나 변형이 생겼을 경우 봉(10)과 제2스프링(8)이 스프링 탄성을 복원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손잡이(1)는 한 손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을 손잡이 고리(14)에 걸고 손바닥으로 회전부(3)를 누르면서 청소하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제2스프링(8)은 손잡이(1)와 제1스프링(7)이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안정되게 왕복이동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설명하기 쉬운 역할로서의 예로는 회전용 손잡이(2)는 축(샤프트)으로 설명되고 회전 부(3)는 베어링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손잡이 2..회전용 손잡이
3..회전부 4..너트
6..회전용 홈 7..제1스프링
8..제2스프링 9..제3스프링
10..봉 11..분쇄수집부
12..슬라이드공 13..배수관 청소장치
14..손잡이고리 15..수집부
16..나사산(볼트)

Claims (6)

  1. 양단으로 관통형성된 슬라이드공을 가지며,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공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공 내외로 출몰 가능한 회전용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연결되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연장되고, 타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의 수집부가 연결되는 제1스프링;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공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의 타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내부에서 상기 수집부까지 연장되는 봉과;
    일단은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일단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봉의 외주에 감긴 형태로 상기 봉의 타단까지 연장되고,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의 제2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봉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프링보다는 크고 상기 수집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쇄수집부;
    상기 손잡이의 상기 슬라이드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용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일단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제3스프링;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 내측으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회전용 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의 외주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 손잡이의 타단에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에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외주측으로 확장되어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타단에서 압축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부분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나머지부분은 인장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은 상기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20000613U 2012-01-27 2012-01-27 배수관 청소장치 KR200475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13U KR200475459Y1 (ko) 2012-01-27 2012-01-27 배수관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13U KR200475459Y1 (ko) 2012-01-27 2012-01-27 배수관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12U KR20130004712U (ko) 2013-08-06
KR200475459Y1 true KR200475459Y1 (ko) 2014-12-05

Family

ID=5371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613U KR200475459Y1 (ko) 2012-01-27 2012-01-27 배수관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89B1 (ko) * 2018-02-07 2021-03-26 김성영 배수관 청소장치
KR102450787B1 (ko) * 2021-03-04 2022-10-04 박상현 배수구용 청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78U (ja) * 1992-10-08 1994-05-06 株式会社新亀製作所 排水管の清掃用具
KR200176887Y1 (ko) * 1999-10-25 2000-04-15 박희철 손잡이 수평 왕복운동에 따라 헤드부의 상하 회전이가능토록 된 칫솔대
KR200276644Y1 (ko) * 2002-03-11 2002-05-25 송태욱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KR20100007339U (ko) * 2009-01-09 2010-07-1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78U (ja) * 1992-10-08 1994-05-06 株式会社新亀製作所 排水管の清掃用具
KR200176887Y1 (ko) * 1999-10-25 2000-04-15 박희철 손잡이 수평 왕복운동에 따라 헤드부의 상하 회전이가능토록 된 칫솔대
KR200276644Y1 (ko) * 2002-03-11 2002-05-25 송태욱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KR20100007339U (ko) * 2009-01-09 2010-07-1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12U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7551A (zh) 地刷组件及清洁装置
JP6328935B2 (ja) 掃除機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200475459Y1 (ko) 배수관 청소장치
CN211559926U (zh) 地刷组件及清洁装置
US9021648B1 (en) Strength-saving spiral mop pole
US20070039108A1 (en) Electrostatic dust-sticky cleaning device
KR20100004548A (ko) 브러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세척기구
KR101764408B1 (ko) 연필깎이
CN104563752A (zh) 一种新型除尘窗框
KR200465540Y1 (ko) 배수관 청소장치
KR20130000712U (ko) 스프링 청소기
CN211212932U (zh) 旋转手柄延长式拉伸推杆组件及吸尘器
CN216060384U (zh) 一种清洁器可拆的清洁头
US7730576B1 (en) Computer mouse cleaning apparatus
KR200475564Y1 (ko) 배수구 퍼징 장치
EP2944434B1 (en) Strength-saving spiral mop pole
KR200471541Y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 처리장치
KR20190001190A (ko) 세척용 솔
KR101904796B1 (ko) 배관용 간이청소도구
CN107468187B (zh) 拖把
KR1009756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WO2015152448A1 (ko) 배수구 퍼징 장치
KR101367809B1 (ko) 배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물질 분쇄장치
JP2015083103A (ja) ゴミ取り具
CN215055599U (zh) 一种房屋修缮缝隙预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