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89B1 - 배수관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89B1
KR102232589B1 KR1020180014923A KR20180014923A KR102232589B1 KR 102232589 B1 KR102232589 B1 KR 102232589B1 KR 1020180014923 A KR1020180014923 A KR 1020180014923A KR 20180014923 A KR20180014923 A KR 20180014923A KR 102232589 B1 KR102232589 B1 KR 10223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ick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660A (ko
Inventor
김성영
Original Assignee
김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영 filed Critical 김성영
Priority to KR102018001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내부에 진입하여 머리카락 등의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미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수관 내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심지부; 상기 심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지지부; 및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심지부 및 지지부의 타측 단부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심지부 및 지지부가 회전하면서 배수관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관 청소장치{Cleaning device for drain}
본 발명은 배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수관 내부에 진입하여 머리카락 등의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욕조의 배수관은 그 구조상 욕실 바닥의 배수구와 다르게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어 누적될 경우, 배수관이 막혀버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을 분리하여 그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결합하면 되는 것이나, 배수관의 분리와 결합을 위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문가가 아니면 배수관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작업을 시도하기조차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배수관의 분리와 결합이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누구나 배수관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배수관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배수관 청소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3141호(2009.12.30.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946호(2011.04.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배수관 내부에 누적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는, 이미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수관 내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심지부; 상기 심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지지부; 및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심지부 및 지지부의 타측 단부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심지부 및 지지부가 회전하면서 배수관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심지부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첨예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단 보다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미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지부는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지부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오목홈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드는 마름모와 유사한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부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개별간격이 길이방향 타측의 상기 지지부의 나머지 부위보다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심지부 및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와 연결 고정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가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결합을 이루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둘레를 따라 환 형의 가이드홈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파지부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과 끼움돌기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와 파지부의 결합 및 상기 몸체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와이어 또는 지지부를 통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심지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지지부를 이루는 진입부에 의해 배수관 내부로의 진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관 청소장치의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 회전체를 회전시킴에 따른 몸체의 회전으로 심지부와 지지부가 회전하면서 배수관 내부를 파고들어가게 한 후 잡아당겨 빼내는 간편한 동작의 수행으로, 배수관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배수관 내부에 누적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도, 상술한 심지부와 지지부의 배수관 내부로의 진입과 배수관 내부에서의 이탈과정에서, 지지부가 심지부에 나선형으로 감기며 이루는 개별간격들과 심지부의 오목홈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리게 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여 배수관의 악취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관 내부에 진입하여 머리카락 등의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심지부(10), 지지부(20) 및 회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심지부(10)는, 이미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수관(D) 내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심지부(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첨예한 형상을 이루며, 후술하는 지지부(20)의 일측단 보다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미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심지부(1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첨예한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고형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리거나 또는 유입되었을 경우, 회전부(30)의 회전에 따른 배수관(D) 내부로 진입하면서 이물질을 와해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심지부(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이 후술하는 지지부(20)의 일측단 보다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 또는 이탈과정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리거나 또는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부(10)는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와이어(1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회전부(30)의 회전에 따른 심지부(10)의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시, 그 길이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심지부(10)는, 도 3과 같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오목홈(12)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오목홈(12)들은 후술할 지지부(10)가 심지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개별간격들과 함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려 배수관 청소장치(1)의 이탈과 동시에 배수관(D) 외부로 제거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부(20)는, 상술한 심지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을 감기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심지부(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통상의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 후술할 회전부(30)의 회전에 따른 심지부(10)의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시, 그 길이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20)는, 그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드는 마름모와 유사한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진입부(21)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술한 심지부(10)와 함께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부(20)는 심지부(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감기되, 나선형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개별간격을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 또는 배수관(D) 내부로부터의 이탈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지지부(20)를 이루는 간격에 끼이거나 걸려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술한 진입부(21)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개별간격이 길이방향 타측의 지지부(20)의 나머지 부위보다 길이방향으로 늘어난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진입부(21)가 배수관 청소장치(1)의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 또는 배수관(D)으로부터의 이탈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리는 것이 집중될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심지부(10)와 지지부(20)의 배수관(D) 내부로의 진입과 배수관(D) 내부에서의 이탈과정에서, 지지부(20)가 심지부(10)에 나선형으로 감기며 이루는 개별간격들과 심지부(10)의 오목홈(12)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걸리게 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여 배수관(D)의 악취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부(30)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술한 심지부(10) 및 지지부(20)의 타측 단부와 일체를 이루어 심지부(10) 및 지지부(20)가 회전하면서 배수관(D)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30)는, 상술한 심지부(10) 및 지지부(20)와 일체를 이루는 몸체(31), 이 몸체(31)와 연결 고정되는 회전체(32) 및 이 회전체(32)에 연결되어 회전체(32)를 회전시켜 몸체(31)가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손잡이(33)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몸체(31)는 사출성형에 의해 심지부(10) 및 지지부(20)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고, 성형시 심지부(10) 및 지지부(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고무 재질의 연결블록을 끼워 몸체(31)와 일체로 연결되는 결합을 이루게 하여 기재의 이탈이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청소장치(1)는, 상술한 몸체(31)의 외측면을 감싸는 결합을 이루는 파지부(40)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몸체(31)는 둘레를 따라 환 형의 가이드홈(31a)을 하나 이상 형성하며, 파지부(40)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31a)에 대응하는 끼움돌기(41)를 형성하여 가이드홈(31a)과 끼움돌기(41)의 결합에 의해 몸체(31)와 파지부(40)의 결합 및 몸체(31)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배수관 청소장치(1)의 파지부(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33)를 잡아 회전체(32)를 회전시킴에 따른 몸체(31)의 회전으로 심지부(10)와 지지부(20)가 회전하면서 배수관(D) 내부를 파고들어가게 한 후, 잡아당겨 빼내는 간편한 동작의 수행으로, 배수관(D)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배수관(D) 내부에 누적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배수관 청소장치
10 : 심지부 11 : 지지와이어
12 : 오목홈 20 : 지지부
21 : 진입부 30 : 회전부
31 : 몸체 31a : 가이드홈
32 : 회전체 33 : 손잡이
40 : 파지부 41 : 끼움돌기
D : 배수관

Claims (7)

  1. 이미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수관(D) 내부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심지부(10); 상기 심지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지지부(20); 및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심지부(10) 및 지지부(20)의 타측 단부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심지부(10) 및 지지부(20)가 회전하면서 배수관(D)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는 회전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심지부(10)는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와이어(11)가 구비되고;
    상기 심지부(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첨예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20)의 일측단 보다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미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심지부(10)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오목홈(12)이 간격을 이루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드는 마름모와 유사한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진입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부(21)는 나선형으로 감기는 개별간격이 길이방향 타측의 상기 지지부(20)의 나머지 부위보다 길이방향으로 늘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심지부(10) 및 지지부(20)와 일체를 이루는 몸체(31);
    상기 몸체(31)와 연결 고정되는 회전체(32); 및
    상기 회전체(3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32)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31)가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손잡이(33);를 포함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외측면을 감싸는 결합을 이루는 파지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31)는 둘레를 따라 환 형의 가이드홈(31a)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파지부(40)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31a)에 대응하는 끼움돌기(41)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31a)과 끼움돌기(41)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31)와 파지부(40)의 결합 및 상기 몸체(31)의 회전을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청소장치.
KR1020180014923A 2018-02-07 2018-02-07 배수관 청소장치 KR10223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3A KR102232589B1 (ko) 2018-02-07 2018-02-07 배수관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3A KR102232589B1 (ko) 2018-02-07 2018-02-07 배수관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60A KR20190095660A (ko) 2019-08-16
KR102232589B1 true KR102232589B1 (ko) 2021-03-26

Family

ID=6780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23A KR102232589B1 (ko) 2018-02-07 2018-02-07 배수관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7577B2 (en) * 2019-05-07 2020-12-08 Stephen S. Turner Drain cleaning device
KR102450787B1 (ko) * 2021-03-04 2022-10-04 박상현 배수구용 청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77B2 (ja) 1998-12-10 2001-05-08 株式会社双晶テック 多点導電シート
CN101845843A (zh) 2010-06-05 2010-09-29 张光裕 冲击型管道疏通机
JP2015231605A (ja) 2014-06-10 2015-12-24 ▲蔦▼井株式会社 排水管の清掃方法及び排水管の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88Y2 (ja) * 1992-10-08 1995-04-19 株式会社新亀製作所 排水管の清掃用具
JP2721663B2 (ja) * 1996-11-29 1998-03-04 株式会社クボタ 建築物の排水管清掃方法
KR200221714Y1 (ko) * 1998-07-22 2001-05-02 배환수 하수구 천공기
KR20090013141U (ko) 2008-06-19 2009-12-30 피셔멘 주식회사 배수관 청소장치
KR20110003946U (ko) 2009-10-15 2011-04-21 노희승 배수구 청소도구
JP3162677U (ja) * 2010-07-01 2010-09-09 尋 関哉 排水管清掃装置
KR200465540Y1 (ko) * 2010-08-06 2013-02-25 김진구 배수관 청소장치
KR101315520B1 (ko) * 2012-01-05 2013-10-07 임재호 배수관 청소기
KR200475459Y1 (ko) * 2012-01-27 2014-12-05 김진구 배수관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77B2 (ja) 1998-12-10 2001-05-08 株式会社双晶テック 多点導電シート
CN101845843A (zh) 2010-06-05 2010-09-29 张光裕 冲击型管道疏通机
JP2015231605A (ja) 2014-06-10 2015-12-24 ▲蔦▼井株式会社 排水管の清掃方法及び排水管の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60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7132B2 (en) Fryer drain cleaner
US10570594B2 (en) Hair straining device
KR102232589B1 (ko) 배수관 청소장치
KR101315520B1 (ko) 배수관 청소기
US10857577B2 (en) Drain cleaning device
JP5267783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US2473452A (en) Force cup for cleaning drainpipes and the like
US4539718A (en) Drainpipe strainer
JP2009052353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US11927002B2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20120009652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1153185B1 (ko) 배수구용 보조 거름망 조립체
KR20180063919A (ko)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KR200467741Y1 (ko) 헤어 브러쉬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637058A (en) Sewer cleanout implement
KR101742296B1 (ko) 머리카락 거름용 배수구 필터
KR810000871Y1 (ko) 파이프 청소기
JP4649798B2 (ja) 濁質除去装置の運転方法
US20210087802A1 (en) Drain Cleaning Device
CN103243786B (zh) 下水道过滤器
KR200305428Y1 (ko) 세면대 배수구 청소용 브러쉬.
KR20110003946U (ko) 배수구 청소도구
KR102450787B1 (ko) 배수구용 청소장치
JP7028425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2010037920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