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919A -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919A
KR20180063919A KR1020160163321A KR20160163321A KR20180063919A KR 20180063919 A KR20180063919 A KR 20180063919A KR 1020160163321 A KR1020160163321 A KR 1020160163321A KR 20160163321 A KR20160163321 A KR 20160163321A KR 20180063919 A KR20180063919 A KR 2018006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wire
present
cleaning too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6016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919A/ko
Publication of KR2018006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하수구 또는 배수구 등에 막힘의 원인인 이물질을 간편하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통 형상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일단에서 입구(h)를 이루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연성의 헤드(112)와, 바디(111)의 중공에 형성된 센터(113)로 구성된 본체(110); 일단이 센터(113) 또는 바디(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입구(h)를 따라 인입출하며 센터(113)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와이어(120); 입구(h)가 좁아져서 와이어(120)를 쥐도록, 헤드(112)를 덮어 가압하는 관 형상의 캡(1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CLEANING THINGS FOR DRAINAGE PIPE}
본 기술은 하수구 또는 배수구 등에 막힘의 원인인 이물질을 간편하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와 욕조 등에는 배수를 위한 하수구가 구성된다.
그런데, 하수구로는 머리카락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들이 유입되면서 막힘을 일으킨다. 이러한 하수구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구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름망이 설치되나, 하수구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하수구 및 하수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해서 이물질을 제거했으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청소도구들이 제안되었다.
종래 청소도구(이하 '종래기술')는 '다기능 배수구 및 하수구 등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청소 기구(공개공보번호 10-2013-0109270)'와 '하수관 청소용구(10-1023409)'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모두 연질이지만 길이가 긴 곧은 막대 형상을 이루므로, 사용은 물론 휴대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세면대의 하수구 청소에서는 하수관의 굴곡이 상대적으로 심하므로, 종래기술의 경우 하수관 안으로 삽입되는 깊이에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서 청소효율 또한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굴곡을 이루는 배관에서도 깊은 곳까지 삽입되어 깔끔한 청소가 가능하고, 휴대와 보관 또한 용이해서 사용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 형상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일단에서 입구(h)를 이루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연성의 헤드(112)와, 바디(111)의 중공에 형성된 센터(113)로 구성된 본체(110);
일단이 센터(113) 또는 바디(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입구(h)를 따라 인입출하며 센터(113)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와이어(120); 및
입구(h)가 좁아져서 와이어(120)를 쥐도록, 헤드(112)를 덮어 가압하는 관 형상의 캡(130);
을 포함하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일반 펜 크기를 이루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필요시에는 캡을 풀어서 와이어를 충분한 길이로 뽑은 후에 캡을 조여 고정할 수 있으며, 뽑힌 와이어로 하수관 안으로 넣어서 막힌 하수관을 손쉽게 뚫을 수 있고, 와이어 단부에 행거 또는 자석 등을 달면 하수관 안에 있는 이물질을 꺼내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이후에 헤드를 풀고 와이어를 바디 안으로 다시 넣으면 와이어의 특성에 의해 센터를 중심으로 감기므로, 사용자는 펜 크기의 바디 안에 와이어를 보관하며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일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동작모습을 순차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이용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청소도구의 입체모습을 이미지화해 보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일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동작모습을 순차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는, 통 형상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일단에서 입구(h)를 이루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연성의 헤드(112)와, 바디(111)의 중공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센터(113)로 구성된 본체(110); 일단이 센터(113) 또는 바디(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입구(h)를 따라 인입출하며 센터(113)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와이어(120); 입구(h)가 좁아져서 와이어(120)를 쥐도록, 헤드(112)를 덮어 가압하는 관 형상의 캡(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120)의 말단에는 코일 형상의 행거(121)가 구성되어서, 하수구 또는 배수구(이하 '하수구') 내 이물질을 손쉽게 긁어 빼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캡(130)과 본체(110)는 나사산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서 바디(111)는 캡(130)이 접하는 면에 수나사(111a)가 형성되고, 캡(130)의 내면에는 수나사(111a)와 결합하는 암나사(131)가 형성된다. 결국, 수나사(111a)와 암나사(131)의 결합을 통해, 캡(130)은 본체(110)와 착탈하고, 더불어서 캡(130)의 내면과 헤드(112) 간의 거리가 조정된다.
한편,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는 사용자의 원활한 휴대를 위해서 본체(11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쥘 수 있는 손잡이(Hd)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를 이루는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는 도 2의 (a)도면에서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와이어(120)가 센터(113)를 따라 감겨서 바디(111)의 중공에 보관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120)의 말단은 헤드(112)에 위치한 입구(h)까지 인입되어 보관된다.
또한, 행거(121)의 외부 노출을 막기 위해서 커버(140)로 캡(130)과 행거(121)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캡(130)은 캡(130)의 둘레면에 압입해 끼우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커버(140)를 벗기고, 도 2의 (b)도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120)를 강제로 당겨 인출시킨다. 충분한 길이로 와이어(120)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캡(130)은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110)에 조여진다. 이때, 캡(130)은 자체 회전 방향을 따라 본체(110)의 헤드(112)로부터 멀어질수도 있고 근접할 수도 있는데, 근접할 경우에 캡(130)의 내면은 헤드(112)의 외면에 밀착한다. 물론 헤드(112)에 밀착한 캡(130)은 헤드(112)를 가압해서 캡(130) 입구(h)의 직경을 좁힌다. 결국, 입구(h)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20)는 좁아진 입구(h)의 악력에 의해 현 위치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와이어(120)의 인출된 길이만큼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이용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에 구성된 와이어(120)를 적정의 길이로 인출하고, 도 3의 (a)도면 및 (b)도면에서 보인 대로 하수구(Mh)에 삽입한다. 일반적으로 하수구(Mh)는 하수관이 굴곡 형태의 배관을 이루므로, 하수구(Mh)에 삽입되는 와이어(120)는 하수구(Mh)의 배관 형태를 따라 휘어져 삽입된다.
한편, 하수구(Mh)에는 각종 이물질(W)이 퇴적되며, 도 3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계속해 삽입되는 와이어(120)는 이물질(W)과 뒤엉킨다. 특히 본 실시의 와이어(120)는 말단에 행거(121)가 구성되므로, 이물질(W)은 행거(121)와 원활히 결착한다.
이후, 도 3의 (c)도면에서 보인 대로, 사용자는 하수구(Mh)로부터 와이어(120)를 당겨 빼내고, 와이어(120)의 행거(121)는 하수구(Mh)에 퇴적된 각종 이물질(W)을 끌어 걸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청소도구의 입체모습을 이미지화해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의 청소도구(100')는 바디(111)가 상호 연통하는 제1바디(111-1)와 제2바디(111-2)로 구성되고, 센터(113')는 제2바디(111-2)에 형성된 코어(11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어(120)를 당겨 인출시킬 때에는 와이어(120)가 풀리면서 센터(113')가 반시계 방향(본 실시 예 기준)으로 회전하고, 다시 사용자가 센터(1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센터(113')의 회전과 함께 와이어(120)에 센터(113')에 권취된다.
이를 위해서, 제2바디(111-2)는 제1바디(111-1)에 고정되는 코어(114)를 더 구성하고, 센터(113')는 코어(1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바디(111-2)를 덮어 폐구하면서도 사용자가 센터(113')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113b)을 구성하기 위한 플레이트(113a)를 보강 구성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청소도구 110, 110'; 본체 111, 111'; 바디
111a; 수나사 111-1; 제1바디 111-2; 제2바디
112; 헤드 113, 113'; 센터 113a; 플레이트
113b; 핸들 114; 코어 120; 와이어
121; 행거 130; 캡 131; 암나사
140; 커버

Claims (2)

  1. 통 형상의 바디(111)와, 바디(111)의 일단에서 입구(h)를 이루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연성의 헤드(112)와, 바디(111)의 중공에 형성된 센터(113)로 구성된 본체(110);
    일단이 센터(113) 또는 바디(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입구(h)를 따라 인입출하며 센터(113)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와이어(120); 및
    입구(h)가 좁아져서 와이어(120)를 쥐도록, 헤드(112)를 덮어 가압하는 관 형상의 캡(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1)는 상호 연통하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구성되되;
    상기 제2바디는 코어(140)를 구성하고;
    상기 센터(113)는, 코어(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자체 회전을 따라 와이어(120)가 인입출하도록 하며, 상기 제2바디를 덮어 폐구하는 플레이트(113a)와, 상기 플레이트(113a)에 고정되어서 사용자가 센터(113)의 회전을 제어하게 하는 핸들(130b)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KR1020160163321A 2016-12-02 2016-12-02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KR20180063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21A KR20180063919A (ko) 2016-12-02 2016-12-02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21A KR20180063919A (ko) 2016-12-02 2016-12-02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19A true KR20180063919A (ko) 2018-06-14

Family

ID=6262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21A KR20180063919A (ko) 2016-12-02 2016-12-02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8A1 (ko) * 2020-07-06 2022-01-13 김윤식 색소폰 청소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8A1 (ko) * 2020-07-06 2022-01-13 김윤식 색소폰 청소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637B1 (en) Powered drain unclogging attachment device
US8434186B2 (en) Drum auger
US10443225B2 (en) Telescoping drum auger extension tool
US1261444A (en) Tool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plumbing-passageways.
JP6359493B2 (ja) 管路疎通装置
CN114072245A (zh) 排水管清洁装置
US5765251A (en) Self adjusting device for removal of obstructions from drain pipes
KR20180063919A (ko) 휴대 가능한 하수관 청소도구
CA2962975C (en) Compact drain snake
US5173984A (en) Self-drying powered drain auger
KR20180012168A (ko) 관로 세척기
KR20220017772A (ko) 배수구용 청소장치
US20050028307A1 (en) Snake
US9719237B2 (en) Tool for removing hair from a drain
JP2005040730A (ja) 排水管の清掃洗浄器具
KR20190095660A (ko) 배수관 청소장치
JPH0356308Y2 (ko)
US2637058A (en) Sewer cleanout implement
US20160298325A1 (en) Drain Cleaner
JPH05329453A (ja) 曲管の内面掃除具
US10900211B1 (en) Apparatus to scrape and extract drain clog debris
GB2459252A (en) Drain cleaning probe
US20050251938A1 (en) Snake plunger
US20180087250A1 (en) Plunger with inside Snake or Auger in Handle
KR200276644Y1 (ko)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