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644Y1 -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 Google Patents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644Y1
KR200276644Y1 KR2020020007098U KR20020007098U KR200276644Y1 KR 200276644 Y1 KR200276644 Y1 KR 200276644Y1 KR 2020020007098 U KR2020020007098 U KR 2020020007098U KR 20020007098 U KR20020007098 U KR 20020007098U KR 200276644 Y1 KR200276644 Y1 KR 200276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rain pipe
pipe
rotating shaf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욱
Original Assignee
송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욱 filed Critical 송태욱
Priority to KR2020020007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644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씽크대,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의 막힌 배수관의 굴곡부를 막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 머리카락, 때, 기름기 등을 제거하는 배수관 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31)가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3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배수관의 굴곡 부위를 자유로이 진행하도록 탄성을 보유한 관통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 관통 드릴에 있어서, 상기 관통스프링(40) 내부로 회전 결합되도록 관통스프링(40) 내부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사부(32)가 회전축(30)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0)을 지지하기 위한 파지스프링(50)과, 상기 관통스프링(40)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결합스프링(60)이 회전축(30) 하단으로 차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스프링(60) 하단 일부가 관통스프링(40) 상단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부(32)가 관통스프링(40) 상단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스프링(40)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관통스프링(40)의 진행을 유도하는 중공의 원통형 유도관(7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HOUSEHOLD DRILL USING IN PENETRATING CONDUIT PIPE}
본 고안은 씽크대, 욕조, 변기, 세면대 등의 막힌 배수관의 굴곡부를 막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 머리카락, 때, 기름기 등을 제거하는 배수관 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관 굴곡부 입구에 위치하는 중공의 원통형 유도파이프 내부로 스프링으로 된 관통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부재가 원활하게 회전 및 전후진되게 하는 가정용 배수관 관통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배수관은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굴곡부에 음식물 찌꺼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이물질에 의하여 막힌 배수관을 관통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을 굴곡부를 따라 전진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 선단이 이물질을 관통시키는 장치로서, 아래의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왔다.
종래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3-23619호의 하수구 관통용 핸드드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하는 회전핸들(11)과, 이 회전핸들(11)에 교환 장착이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거나 상기 회전핸들(11)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핸들(11)과 함께 회전을 행하며, 하수도관의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굴곡되는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통부재(12)와, 상기한 회전핸들(11) 및 관통부재(12)가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통부재(12)만을 사용하더라도 하수도관의 길이가 짧거나, 굴곡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핸들(11)을 회전시키면서 관통부재(12)를 전진시킴으로써 무리 없이 하수도관을 통하여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1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전축(14)의 나사부(15) 하단에 형성된 각재(16)가 관통부재(12) 상단에 형성된 각홈(17)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18)가 나사부(15)에 고정 결합되어진다.
그러나, 굴곡부가 거의 180°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굴곡부가 다수 개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관통부재(120)가 굴곡부 내부를 진행하도록 회전핸들(11)에 가해지는 힘이 스프링으로 된 관통부재의 여러 부분에서 분산되므로 결국 관통부재가 하수도관의 굴곡부를 진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막힌 하수도관을 관통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13)은 습기가 많은 작업환경에서의 계속적인 사용하게 되면 나사부(15)의 부식 등에 의하여 분해와 조립이 불가능하게 되고, 부품 개수의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부담이 있었고, 회전핸들(11)의 역회전시 결합부위가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장치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8353의 배수관 청소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손잡이(22)와 인출관(23)이 일체로 된 청소구본체(21)의 내부에 탄성이 있는 스프링(24)을 수납 권회하고 인출관(23)의 선단에는 고정볼트(29)가 결합된 고정캡(28)을 나사식 고정하며, 청소구본체(21)의 원주면에는 복수개의 띠홈을 형성하여서 된 배수관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본체(21)의 인출관(23)에 축수용관(26)과, 파지봉(27)의 일체로 된 'T'자형 축수용손잡이(25)를 회동가능한 형태로 삽입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수관 청소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청소구본체(21)에 스프링(24)이 수납 권회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그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 단가가 높아져 일반 가정에서구입하여 사용 및 구입하기 힘들어, 배수관 작업을 하는 전문가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는 배수관이 막힌 경우 염산으로 제조된 화학물질을 배수관에 유입시켜 막힌 배수관을 관통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화학물질은 하수를 오염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둘째, 배수관의 관통 작업 과정에서 스프링(24)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에 의하여 스프링(24)이 변형된 경우, 청소구본체(21)에 수납된 스프링(24)이 인출관(23)으로부터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셋째, 회동손잡이(22)를 회전시킴으로써 권취되어 있던 스프링(24)이 인출되면서 인출관(23)으로부터 전후진되기 때문에, 회동손잡이에 전달되는 회전력 일부가 청소구본체(21)의 내벽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스프링(24)의 전후진에 소요되는 힘이 그 만큼 감소하게 되어 굴곡부가 심하게 형성된 배수관에 대한 관통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수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의 하단과 배수관을 관통시키는 관통스프링의 상단을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부위를 결합스프링으로 보강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을 견고히 하며, 관통스프링이 배수관을 통하여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관통스프링을 유도하는 중공의 원통형 유도관을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막힌 배수관을 원활하게 관통시키는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관통용 핸드드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수관 청소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관통 드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관통 드릴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회전축 31 : 손잡이부
32 : 나사부 40 : 관통스프링
50 : 파지스프링 60 : 결합스프링
70 : 유도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은, 손잡이부가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배수관의 굴곡 부위를 자유로이 진행하도록 탄성을 보유한 관통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 관통 드릴에 있어서,
상기 관통스프링 내부로 회전 결합되도록 관통스프링 내부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사부가 회전축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파지스프링이 회전축 하단으로 삽입된 후, 관통스프링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결합스프링이 회전축 하단으로 삽입되어 나사부가 결합된 관통스프링 상단 외주면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관통스프링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관통스프링의 진행을 유도하는 중공의 원통형 유도관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관통 드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 관통 드릴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30)과, 이 회전축(30)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배수관을 따라 진행하는 관통스프링(40)과, 상기 회전축(30)의 회전시 회전축을 지지하는 파지스프링(50)과, 상기 회전축(30)의 하단과 관통스프링(40)의 상단을 연결하는 결합스프링(60)과, 상기 관통스프링(40)이 배수관 내부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유도관(70)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회전축(30)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부(31)가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90°로 두 번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30) 하단의 일부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관통스프링(40) 내부의 피치에 상응하는 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스프링(40)은 형상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밀어서 배출시키거나 이물질을 감아서 인출시키도록 관통스프링(40) 하부의 일부를 인장시켜 피치를 확장시키고, 관통스프링(40) 하단부는 배수관 내부로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스프링(40) 하부를 인장시켜 피치를 확장시키는 대신, 배수관 내부를 진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직경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파지스프링(50)은 손잡이부(31)를 한 손으로 회전시킬 때 다른 한 손으로 회전축(30)을 지지하도록 회전축(30)에 결합되지 않은 채로 회전축(30) 하단으로 삽입된다.
상기 결합스프링(60)은 관통스프링(4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관통스프링(40)과 동일한 피치를 갖고, 나사부(32)가 삽입 결합된 관통스프링(40) 상단 외주면에 다시 결합되어, 회전축(30) 하단이 관통스프링(40)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도관(70)은 관통스프링(40)의 외주면으로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지며, 배수관 관통 작업시 유도관(70) 하단을 배수관 입구에 위치시켜 관통스프링(40)이 배수관 내부의 굴곡부를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왜냐하면, 유도관(70)의 하단을 배수관 입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스프링(40)을 밀어 넣게 되면, 유도관(70)의 하단까지 관통스프링(40)에 수직하게 힘이 작용하게 되어 관통스프링(40)을 배수관 입구에서부터 진행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관 관통 드릴의 조립순서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회전축(30) 하단으로 파지스프링(50)과 결합스프링(60)을 차례로 삽입한 후, 회전축(30) 하부의 나사부(32)를 관통스프링(40) 상단 내부로 회전시키면서 삽입한 다음, 결합스프링(60)을 나사부(32)가 결합된 관통스프링(40) 외주면으로 회전시켜 결합한다.
이때 유도관(70)은 관통스프링(40) 하단의 변형 형태가 큰 경우 회전축(30)을 관통스프링(40)에 결합시키기 전에 관통스프링(40) 상단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관통스프링(40) 하단의 변형 형태가 작은 경우 회전축(30)을 관통스프링(40)에 결합시킨 후 관통스프링(40) 하단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관 관통 드릴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 유도관(70)을 배수관 입구에 위치시킨 다음, 관통스프링(40)을 배수관 내부로 진행시킨다.
관통스프링(40)의 하단이 배수관의 막힌 부분에 이르러 관통스프링(40)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되면 파지스프링(50)을 한 손에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서 밀게 되면 배수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이 배수관 내부로 배출되거나, 관통스프링(40) 하단의 스프링에 감겨진 이물질을 인출시켜 제거함으로써 배수관의 관통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을 사용하며, 배수관 관통 작업을 완료한 후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지 않고 관통스프링만을 굴곡시키더라도 그 부피가 작으므로 보관에 용이하며, 일반 가정에서도 배수관 관통을 위한 화학물질 사용을 자제할 수 있으므로 수질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관을 배수관 입구에 위치시킨 후 유도관에 삽입된 관통스프링을 밀게 되므로, 관통스프링이 진행 방향으로 받는 힘이 커져 배수관 내부를 원활하게 진행되어 굴곡이 심한 배수관의 경우에도 배수관을 분해하는 등 별도의 작업 없이 관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손잡이부(31)가 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3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며 배수관의 굴곡 부위를 자유로이 진행하도록 탄성을 보유한 관통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 관통 드릴에 있어서,
    상기 관통스프링(40) 내부로 회전 결합되도록 관통스프링(40) 내부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사부(32)가 회전축(30)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0)을 지지하기 위한 파지스프링(50)과, 상기 관통스프링(40)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결합스프링(60)이 회전축(30) 하단으로 차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스프링(60) 하단 일부가 관통스프링(40) 상단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부(32)가 관통스프링(40) 상단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스프링(40)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관통스프링(40)의 진행을 유도하는 중공의 원통형 유도관(70)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KR2020020007098U 2002-03-11 2002-03-11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KR200276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98U KR200276644Y1 (ko) 2002-03-11 2002-03-11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98U KR200276644Y1 (ko) 2002-03-11 2002-03-11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644Y1 true KR200276644Y1 (ko) 2002-05-25

Family

ID=7311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098U KR200276644Y1 (ko) 2002-03-11 2002-03-11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6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4Y1 (ko) 2009-01-09 2011-03-0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KR200475459Y1 (ko) * 2012-01-27 2014-12-05 김진구 배수관 청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54Y1 (ko) 2009-01-09 2011-03-09 한아툴스 (주) 배수관 청소도구
KR200475459Y1 (ko) * 2012-01-27 2014-12-05 김진구 배수관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637B1 (en) Powered drain unclogging attachment device
CA2726792C (en) Drum auger
US20070089254A1 (en) Drain cleaner guide
US9670656B2 (en) Quick release mechanisms for plumbing tools
US10443225B2 (en) Telescoping drum auger extension tool
US3283353A (en) Plumber&#39;s snake unit
JPH0338286A (ja) 排水管清掃装置
KR200452554Y1 (ko) 배수관 청소도구
US6421871B1 (en) Pipe clearing apparatus
JP4510731B2 (ja) 配管用清掃治具
KR20190000403U (ko) 배수관 청소구
KR200276644Y1 (ko) 가정용 배수관 관통 드릴
US2037103A (en) Semiautomatic self-feed and selfcoiling snake tool
US5173984A (en) Self-drying powered drain auger
GB2552428A (en) Pipeline hair cleaner
KR20220017772A (ko) 배수구용 청소장치
US20230278079A1 (en) Pipe Cleaning Device
JP2006511351A (ja) 管端処理工具
CA2962975A1 (en) Compact drain snake
KR20130000712U (ko) 스프링 청소기
CN212001553U (zh) 一种防堵塞的市政污水处理装置
US20060219297A1 (en) Drainage-aid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60051B1 (ko) 수월하게 자동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대걸레 몹 구조물
US4837887A (en) Power cleaning apparatus
US6986184B1 (en) Brus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