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408B1 - 연필깎이 - Google Patents

연필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408B1
KR101764408B1 KR1020140169278A KR20140169278A KR101764408B1 KR 101764408 B1 KR101764408 B1 KR 101764408B1 KR 1020140169278 A KR1020140169278 A KR 1020140169278A KR 20140169278 A KR20140169278 A KR 20140169278A KR 101764408 B1 KR101764408 B1 KR 10176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blade
engaging member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426A (ko
Inventor
박성범
Original Assignee
박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범 filed Critical 박성범
Priority to KR102014016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408B1/ko
Priority to US15/531,366 priority patent/US20170326905A1/en
Priority to PCT/KR2015/012849 priority patent/WO2016085291A1/ko
Publication of KR2016006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 B43L23/085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one of the blades being used for shaping the writing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6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asp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otating cutt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2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gearing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연필깎이가 개시된다. 상기 연필깎이는,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의 적어도 일영역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필깎이{PENCIL SHARPENER}
본 발명은 연필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필을 잡고 눌러주는 직선운동을 연필 절삭부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보다 손쉽게 연필을 절삭할 수 있는 연필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을 깎는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칼, 휴대용(프리즘) 연필깎이, 회전식 수동(플레인터리) 연필깎이 및 전동 연필깎이가 그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연필깎이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하고 손쉽고 빠르게 연필을 깎을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필깎이들은 사용시 칼날에 대한 반발력에 대항하여 가해주는 직선방향의 힘과 연필을 깎기 위해 가해주는 축에 대한 회전모멘트라는 2가지 힘이 필요한데, 몇몇 제품은 직선방향의 힘을 스프링으로 구현하기도 하고 회전모멘트를 모터로 대신하기도 하지만, 어찌 되었든 2가지 방향의 힘이 따로 분리되어 가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994-0002439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필을 잡고 눌러주는 직선운동을 연필 절삭부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보다 손쉽게 연필을 절삭할 수 있는 연필깎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는,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의 적어도 일영역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로 형성되거나, 내측홈과 상기 내측홈에 삽입되는 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부 회전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회전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상부 회전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회전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하부 회전부, 및 상기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 회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는,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를 포함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 및 상기 연필 삽입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삽입구로 삽입되는 연필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필의 삽입 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와 상기 뚜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칼날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칼날부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칼날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부를 구비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래칫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하부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하부 회전부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는, 일면에 상단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개방부의 반대편에 하단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 개방부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칼날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는, 일면에 연필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는 회전축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삽입공간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회전축 삽입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칼날부의 측면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에서 상기 연필이 절삭됨에 따라 형성되는 연필 찌꺼기를 수집하는 찌꺼기 수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필깎이는, 종래의 휴대용 연필깎이 및 회전식 수동 연필깎이와 비교했을 때, 손을 꺾거나 돌려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제거하고 직선운동이라는 단순한 동작으로 구현하여 동작에 있어서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필깎이는, 반발력에 대항하기 위해 연필을 누르는 동작과 연필을 깎기 위해 칼날을 돌리는 동작의 2가지 행위를 함께 필요로 하는 종래의 방법 대신, 연필을 축방향으로 누르는 단순 직선운동만으로 연필 절삭부를 회전시켜 연필을 깎을 수 있기 때문에, 입력해야 하는 힘의 개수를 2개에서 하나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는, 하우징부(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연필 절삭부(도 1b의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필깎이(100)는, 하우징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방부(도 1b의 115)에 결합되는 뚜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3)은 결합 부분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홈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부(110)는 플라스틱, 금속 재질,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110)의 구성 및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는, 하우징부(110) 및 연필 절삭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뚜껑부(150), 스프링부(170) 및 완충부(1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110)의 일면,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개방부(115)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3)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결합부재(117)는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필 절삭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외측면에 제1 결합부재(117)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132, 133)가 형성될 수 있다. 연필 절삭부(130)는 회전부(131) 및 회전부(131) 내부의 칼날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1)는,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132, 133)가 형성되고, 뚜껑부(150)를 통해 연필 절삭부(1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Z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132, 133)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회전부(131)의 외측면에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홈(132) 및 상기 내측홈(132)에 삽입되는 볼(133)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결합부재(132, 133)의 기울기는 제1 결합부재(117)의 기울기와 동일할 수 있고, 제2 결합부재(132, 133)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칼날부(137)는, 회전부(131)의 내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일반적인 연필깎이에 사용되는 고정형 칼날일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연필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뚜껑부(150)는, 연필 절삭부(1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115)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부(150)의 일 영역, 예를 들면 중앙 부분에는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연필 삽입구(153)는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연필을 삽입하기 위해 뚜껑부(15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경우 열리게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프링부(170)는 연필 절삭부(1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연필 절삭부(130)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연필 절삭부(130)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연필깎이(100)는, 연필 절삭부(130)와 스프링부(170)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173)에 대해서는 도 1e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필깎이(100)는 하우징부(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완충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90)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우레탄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연필깎이(100)를 책상이나 바닥 등에 놓고 연필을 깎을 때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뚜껑부(150)의 연필 삽입구(153)을 통해 삽입된 연필이 연필 절삭부(130)에 삽입되고, 사용자가 연필을 아래로 밀어 넣으면 연필 절삭부(130)가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117) 및 연필 절삭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133)에 의해 연필 절삭부(130)의 적어도 일영역이 회전됨으로써, 연필 절삭부(130) 내부의 칼날부(137)에 의해 연필이 절삭될 수 있다. 즉,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117)가 나선형 형태로 파인 홈일 수 있고 연필 절삭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133)는 나선형 라인에 정렬된 복수 개의 볼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연필 절삭부(130)에 연필을 삽입하여 아래로 밀어 넣으면 나선형 홈에 의해 연필 절삭부(130)가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연필을 밀어 넣은 힘을 제거하면 연필 절삭부(130)의 하단에 결합된 스프링부(170)의 탄성에 의해 연필 절삭부(130)가 다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c에는 제2 결합부재(133)가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결합부재(133)에 포함되는 볼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는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117)가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고, 연필 절삭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132, 133)가 내측홈(132) 및 볼(133)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가 내측홈(132) 및 볼(133)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고, 연필 절삭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가 스크류 홈(117)과 같은 나선형 형태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는 연필 절삭부(1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 절삭부(130)는 회전부(131) 및 칼날부(1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칼날부(137)의 고정 블레이드는 삽입되는 연필의 위치에 맞게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70)의 하단은 하우징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175)에 결합될 수 있고, 스프링부(170)의 상단은 연필 절삭부(130)에 결합되는 베어링부(17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에 포함되는 베어링부를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연필 절삭부(130)의 하단에는 베어링부(173)가 결합될 수 있고, 베어링부(173)의 외측면에는 스프링부(17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부(173)와 연필 절삭부(130)의 마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이 배치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필을 깎기 위해 연필 절삭부(130)를 회전시키더라도 베어링부(173)의 작용으로 스프링부(17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부(173)의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e에는 스프링부(170)의 상단에 베어링부(173)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부(173)는 스프링부(170)의 하단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스프링부(170)가 베어링부(173)를 감싸는 형태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는, 베어링부(17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 절삭부(130)의 하단에 스프링부(170)가 밀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부(110)의 하단에도 스프링 결합부(175)가 형성되지 않고 스프링부(170)의 하단도 하우징부(110)와 결합되지 않고 밀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g 및 도 1h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g를 참조하면, 연필 절삭부(130)의 회전부(131) 외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134)일 수 있다. 즉, 회전부(131)의 외측면에는 도 1b에 도시된 내측홈(132) 및 볼(133) 대신에 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34)는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홈(117)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고, 스크류 홈(117)의 각도에 따라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h는 연필 절삭부(130)의 회전부(131) 외측면에 돌기(134)가 구비된 연필깎이(100)의 단면도이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는, 스프링부(17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부(170) 대신에 텐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연필 절삭부(130)와 뚜껑부(150) 사이에 배치되고, 연필 절삭부(130)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연필 절삭부(130)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양쪽에서 당길 때 장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2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연필깎이(200)는, 하우징부(210), 연필 절삭부(230), 뚜껑부(250) 및 스프링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연필깎이(200)는 도 1c에 도시된 연필깎이(100)와 유사한 형태이나, 하우징부(210) 및 연필 절삭부(23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하우징부(210)는, 도 1a에 도시된 연필깎이(100)에 구비되는 하우징부(110)와 유사하게 나선형 홈 형태의 제1 결합부재(217)를 내측면에 구비할 수 있고, 추가로 내측면에 형성되고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재(219)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파인 홈일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연필 절삭부(2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231), 하부 고정부(235) 및 칼날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부(231)는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233)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필 절삭부(2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235)는 상부 회전부(23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3 결합부재(219)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4 결합부재(236)는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제3 결합부재(219)에 삽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4 결합부재(236)가 직선 형태의 제3 결합부재(219)에 삽입된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연필을 삽입하여 밀어 넣는 경우 하부 고정부(235)는 회전 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회전부(231)와 하부 고정부(235)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회전하는 상부 회전부(231)와 회전하지 않는 하부 고정부(235) 사이의 마찰력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칼날부(237)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231)의 내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200)의 하우징부(21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200)에서 연필 절삭부(230)와 하우징부(210)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하우징부(210)의 내측면에는 나선형 형태의 제1 결합부재(217) 및 직선 형태의 제3 결합부재(21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재(217)에 삽입되는 제2 결합부재(233)가 제3 결합부재(219) 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3 결합부재(219)의 가로 폭은 제2 결합부재(23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재(219)에 삽입되는 제4 결합부재(236)가 제1 결합부재(217) 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4 결합부재(236)의 길이가 제1 결합부재(217)의 폭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제1 결합부재(217)와 제3 결합부재(219)가 서로 혼선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1 결합부재(217)의 파인 깊이와 제3 결합부재(219)의 파인 깊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재(233) 및 제4 결합부재(236)도 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결합부재(217)와 제3 결합부재(219) 및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233) 및 제4 결합부재(236)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3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연필깎이(300)는, 하우징부(310), 연필 절삭부(330), 뚜껑부(350) 및 스프링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연필깎이(300)는 도 2a에 도시된 연필깎이(200)와 유사한 형태이나, 연필 절삭부(33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하우징부(310)는, 도 2a에 도시된 연필깎이(200)에 구비되는 하우징부(210)와 유사하게 나선형 홈 형태의 제1 결합부재(317) 및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319)를 내측면에 포함할 수 있다.
연필 절삭부(3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부(331), 하부 고정부(335) 및 칼날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부(331)는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333)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필 절삭부(3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335)는 상부 회전부(33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3 결합부재(319)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3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336)가 직선 형태의 제3 결합부재(319)에 삽입된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연필을 삽입하여 밀어 넣는 경우 하부 고정부(335)는 회전 운동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4 결합부재(336)는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제3 결합부재(319)에 삽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칼날부(337)는, 도 2a에 도시된 연필깎이(200)와는 달리,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337)의 구체적인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3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300)는, 하우징부(310) 및 연필 절삭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뚜껑부(350), 스프링부(370) 및 완충부(3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310)는, 상부 하우징(311) 및 하부 하우징(3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310)의 일면,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311)의 상부에 개방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회전부(331)의 외측면에는 제2 결합부재(332, 33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재(332, 333)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회전부(331)의 외측면에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홈(332) 및 상기 내측홈(332)에 삽입되는 볼(333)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350)는 연필 삽입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필 절삭부(330) 이외의 구성은 도 1b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300)에 구비되는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필 절삭부(330)에 연필을 삽입한 후 밀어 넣으면 상부 회전부(331)는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하부 고정부(335)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부(33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338)에 형성되는 톱니바퀴와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337)의 중심을 관통하는 블레이드축(339)에 형성되는 톱니바퀴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하부 고정부(335)는 회전하지 않고 상부 회전부(331)가 회전하게 되면 상부 회전부(331)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337)는 중심축(338)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 동시에 블레이드축(339)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하부 고정부(33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338)과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337)의 중심을 관통하는 블레이드축(339)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337)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필 절삭부(330)에 삽입된 연필의 끝이 절삭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4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연필깎이(400)는, 하우징부(410), 연필 절삭부(430), 뚜껑부(450) 및 스프링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연필깎이(400)는 도 3a에 도시된 연필깎이(300)와 유사한 형태이나, 연필 절삭부(43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하우징부(410)는, 도 3a에 도시된 연필깎이(300)에 구비되는 하우징부(310)와 유사하게 나선형 홈 형태의 제1 결합부재(417) 및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419)를 내측면에 포함할 수 있다.
연필 절삭부(4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431), 하부 회전부(435) 및 칼날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431)는 하부 회전부(435)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3 결합부재(419)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4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436)가 직선 형태의 제3 결합부재(419)에 삽입된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연필을 삽입하여 밀어 넣는 경우 상부 고정부(431)는 회전 운동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회전부(435)는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434)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필 절삭부(4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칼날부(437)는, 도 3a에 도시된 연필깎이(300)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437)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400)에 구비되는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필 절삭부(430)에 연필을 삽입한 후 밀어 넣으면 상부 고정부(431)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고 하부 회전부(435)는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부(43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438)에 결합된 원판(440)의 내측에 형성되는 톱니바퀴가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437)의 중심을 관통하는 블레이드축(439)에 형성되는 톱니바퀴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부 고정부(431)는 회전하지 않고 하부 회전부(435)가 회전하게 되면 상부 고정부(431)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437)는 블레이드축(439)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하부 회전부(43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438)과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437)의 중심을 관통하는 블레이드축(439)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437)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필 절삭부(430)에 삽입된 연필의 끝이 절삭될 수 있다.
한편, 도 4c에는 제2 결합부재(434)가 돌기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내측홈(332)와 볼(333)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5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500)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연필깎이(500)는, 도 1c를 참조하여 상술한 연필깎이(100)와 그 구성이 유사하지만, 하우징부(510)의 길이가 짧고 연필 절삭부(530)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인 점에 차이가 있다.
연필 절삭부(530)는, 하부 회전부(531) 및 칼날부(53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회전부(531)는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534)가 형성되어 연필 절삭부(5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5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칼날부(537)는, 하부 회전부(531)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개방될 수 있고 하우징부(5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500)는, 연필 절삭 과정에서 칼날부(537)에서 배출되는 연필 찌꺼기가 칼날부(537)의 개방된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a에는 칼날부(537)의 측면 전체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500)는 칼날부(537)의 측면 일부만 개방될 수 있고 나머지 측면 부분은 별도의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a에는 제2 결합부재(534)가 돌기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내측홈(332)와 볼(333)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600)의 투영된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연필깎이(600)는, 하우징부(610), 연필 절삭부(630), 뚜껑부(650) 및 스프링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6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하우징부(610)는 위쪽에 상단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단 개방부에 뚜껑부(6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단 개방부의 반대편에 하단 개방부(616)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 개방부(616)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6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재(617)는 돌기 또는 내측홈과 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다.
연필 절삭부(630)는, 하우징부(6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회전축부(631) 및 칼날부(63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631)는 칼날부(637)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부(637)로부터 하단 개방부(6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631)는, 외측면에 제1 결합부재(617)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6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재(632)는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칼날부(637)는, 회전축부(63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뚜껑부(650)를 통해 삽입된 연필이 연필 절삭부(630)에 삽입되고, 사용자가 연필을 아래로 밀어 넣으면 연필 절삭부(630)가 하우징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 개방부(61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617) 및 회전축부(6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632)에 의해 연필 절삭부(630)가 회전됨으로써 연필 절삭부(630) 내부의 칼날부(637)에 의해 연필이 절삭될 수 있다.
스프링부(670)의 하단은 하단 개방부(616)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스프링부(670)의 상단은 연필 절삭부(630)에 결합되는 베어링부(673)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부(670)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600)에 구비되는 연필 절삭부(63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 절삭부(630)에 포함되는 회전축부(6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에는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6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는 하단 개방부(61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617)가 돌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회전축부(6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632)가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하단 개방부(61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617)가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으로 구현될 수 있고 회전축부(6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632)가 돌기나 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부(6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632)는 연필 절삭부(6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양한 위치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600)는, 칼날부(637)의 형태가 고정 블레이드 대신 스파이럴 블레이드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필 절삭부(630)는 회전축부(631)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칼날부(637)는 상부 고정부(미도시)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6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400)와 유사한 형태이되, 하우징부(410)에 하단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 회전부(435)에 회전축부(631)가 추가로 형성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연필 절삭부(630)에 연필을 삽입한 후 밀어 넣으면 상부 고정부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고 회전축부(631)는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축부(631)가 회전하게 되면 상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가 블레이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연필 절삭부(6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제1 결합부재(617) 및 제2 결합부재(632)에 의해 회전축부(631)가 회전됨으로써 연필 절삭부(630)에 삽입된 연필의 끝이 칼날부(637)에 의해 절삭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7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7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연필깎이(700)는, 하우징부(710) 및 연필 절삭부(730)를 구비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부(770) 및 찌꺼기 수집부(7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7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에 연필이 삽입되는 개방부(7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는 회전축부(731)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삽입공간(71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b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 삽입공간(716)의 내측면에는 돌기나 볼 형태와 같은 제1 결합부재(717)가 형성될 수 있다.
연필 절삭부(730)는 하우징부(7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회전축부(731) 및 칼날부(737)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부(731)는, 칼날부(737)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외측면에 제2 결합부재(7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732)는 제1 결합부재(717)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고, 일례로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 형태의 스크류 홈일 수 있다. 칼날부(737)는 회전축부(731)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는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이 개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연필깎이(700)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연필 절삭부(730)에 삽입된 연필이 회전축 삽입공간(716)의 길이 방향(Z)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제1 결합부재(717) 및 제2 결합부재(732)에 의해 회전축부(731)가 회전됨으로써 연필 절삭부(730)에 삽입된 연필의 끝이 칼날부(737)에 의해 절삭될 수 있다.
찌꺼기 수집부(780)는, 칼날부(737)의 일측면 방향에 형성될 수 있고, 칼날부(737)에서 연필이 절삭됨에 따라 형성되는 연필 찌꺼기를 수집할 수 있다. 찌꺼기 수집부(78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부(785)를 구비할 수 있고 내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710) 및 찌꺼기 수집부(780)의 재질 및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재(717) 및 제2 결합부재(7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루 구성이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들(100, 200, 300, 400, 500, 600)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700)와 유사하게 칼날부의 측면 방향이 개방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찌꺼기 수집부(7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80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스프링부(870)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상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800)는 도 1d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스프링부(870)의 결합 형태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870)의 하단은 별도의 구성과 결합되지 않고 하우징부(810)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870)의 상단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상부 결합부(873)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상부 결합부(873)는 상측의 연필 절삭부(83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870)의 상부 결합부(873)의 상면은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연필 절삭부(830)가 회전함에 따라 미끄러지듯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상기 스프링부(870)가 연필 절삭부(830)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부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90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스프링부(97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c)는 스프링부(97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900)는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4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스프링부(97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필깎이(900)의 스프링부(970)는 일반적인 스프링 대신 태엽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9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으로 구현된 스프링부(970)는 하부 회전부(935)와 상부 고정부(93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필 절삭부(930)에 연필을 삽입한 후 밀어 넣으면 연필 절삭부(930)가 하강하면서 하부 회전부(935)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태엽스프링으로 구현된 스프링부(970)의 탄성에 따라 하부 회전부(935)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연필을 누르는 힘을 빼게 되면 하부 회전부(935)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다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연필깎이들에 포함되는 스프링부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스프링부(870, 970)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0)의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0)의 뚜껑부(10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0)는 도 1d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뚜껑부(105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뚜껑부(1050)는, 하우징부(1010)의 개방부에 결합될 수 있고,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1053)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10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1055)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 삽입구(1053) 주변에 배치될 수 있고, 연필 삽입구(1053)로 삽입되는 연필의 표면에 밀착되어 연필의 삽입 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1055)는, 중앙부분이 곡면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연필의 삽입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축이 양측의 기둥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050)는 연필 절삭부(103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아야 하므로, 뚜껑부(1050)는 연필 절삭부(1030)와 분리되고 하우징부(10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100)에 구비되는 래칫부(1140)를 나타내는 상세도면이고, 도 11b는 상기 래칫부(114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연필깎이(1100)는 도 1d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연필 절삭부(113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연필 절삭부(1130)는, 회전부(1131), 칼날부(1137) 및 래칫부(114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1131)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1133)가 형성되어 연필 절삭부(1130)에 삽입된 연필이 하우징부(미도시)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칼날부(1137)는, 래칫부(1140)와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칫부(1140)는, 회전부(1131)와 칼날부(1137)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부(113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칼날부(1137)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부(1131)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칼날부(1137)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부(1140)는 래칫 휠(1141) 및 멈춤쇠(1143)를 구비할 수 있다. 래칫 휠(1141)은 내측면에 톱니바퀴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부(11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멈춤쇠(1143)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휠(11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래칫 휠(1141)에 걸리고 래칫 휠(11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래칫 휠(1141)에 걸리지 않고 톱니바퀴 형태의 홈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칼날부(1137)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필을 연필 절삭부(1130)에 삽입하고 아래로 밀어 넣는 경우 제1 결합부재(1133)의 나선형 형태에 의해 회전부(1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멈춤쇠(1143)가 래칫 휠(1141)의 톱니바퀴 형태에 걸리게 되므로 칼날부(1137)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연필 절삭부(1130)가 다시 상승하게 되는 경우 회전부(1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멈춤쇠(1143)가 래칫 휠(1141)에 걸리지 않고 톱니바퀴 형태의 홈 사이를 이동하게 되므로 칼날부(113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필깎이(1100)는 사용자가 연필을 아래로 밀어 넣는 경우에는 칼날부(1137)가 회전하면서 연필이 절삭되고, 연필 절삭부(1130)가 다시 위쪽으로 올라올 때에는 칼날부(113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래칫부(1140)는 앞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칫부(114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래칫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연필깎이(1200)는 도 1d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하우징부(1210) 및 연필 절삭부(123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먼저,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210)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재(1217)는 관통형 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연필 절삭부(12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1234)는, 관통형 홀로 구현된 제1 결합부재(1217)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필깎이(1200)는, 사용자가 연필을 절삭할 때 연필 절삭부(1230)의 회전운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필깎이들은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910, 1010, 1210: 하우징부
111, 311: 상부 하우징 113, 313: 하부 하우징
115, 315, 715: 개방부
117, 217, 317, 417, 517, 617, 717, 917, 1217: 제1 결합부재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930, 1130, 1230: 연필 절삭부
131, 1031, 1131, 1231: 회전부 132, 332: 내측홈
133, 233, 333, 833, 1133: 볼 134: 돌기
137, 237, 337, 437, 537, 637, 737, 937, 1037, 1137, 1237: 칼날부
150, 250, 350, 450, 550, 650, 1050, 1250: 뚜껑부
153, 353, 553, 1053: 연필 삽입구
170, 270, 370, 470, 570, 670, 770, 870, 970, 1170, 1270: 스프링부
173, 673, 1173, 1273: 베어링부 175, 1275: 스프링 결합부
190, 390, 590, 1290: 완충부 219, 319, 419, 919: 제3 결합부재
231, 331: 상부 회전부 235, 335: 하부 고정부
236, 336, 436: 제4 결합부재 338, 438: 중심축
339, 439: 블레이드축 431, 931: 상부 고정부
434, 534, 632, 732, 1234: 제2 결합부재
435, 531, 935: 하부 회전부 440: 원판
616: 하단 개방부 631, 731: 회전축부
716: 회전축 삽입공간 780: 찌꺼기 수집부
785: 손잡이부 873: 스프링 상부 결합부
1055: 롤러부 1140: 래칫부
1141: 래칫 휠 1143: 멈춤쇠

Claims (20)

  1.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의 적어도 일영역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는,
    외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회전하고 내부에 상기 칼날부를 포함하는 상부 회전부; 및
    상기 상부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때 회전 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로 형성되거나, 내측홈과 상기 내측홈에 삽입되는 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회전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회전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7.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직선 형태인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4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8. 삭제
  9. 삭제
  10.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1.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를 포함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2.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연필이 삽입되는 연필 삽입구; 및
    상기 연필 삽입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삽입구로 삽입되는 연필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필의 삽입 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3.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깎이는,
    상기 연필 절삭부와 상기 뚜껑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에 의해 상기 연필 절삭부가 하강함에 비례하여 상부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상부 회전부와 상기 칼날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회전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칼날부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부 회전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칼날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래칫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5. 삭제
  16. 일면에 상단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개방부의 반대편에 하단 개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칼날부를 포함하는 연필 절삭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 개방부의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칼날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칼날부로부터 상기 하단 개방부까지 연장되며 외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연필 절삭부에 삽입된 연필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칼날부에 의해 상기 연필이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현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 홈으로 구현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 절삭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과 블레이드축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필깎이.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69278A 2014-11-29 2014-11-29 연필깎이 KR10176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278A KR101764408B1 (ko) 2014-11-29 2014-11-29 연필깎이
US15/531,366 US20170326905A1 (en) 2014-11-29 2015-11-27 Pencil sharpener
PCT/KR2015/012849 WO2016085291A1 (ko) 2014-11-29 2015-11-27 연필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278A KR101764408B1 (ko) 2014-11-29 2014-11-29 연필깎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67A Division KR20170091076A (ko) 2017-07-27 2017-07-27 연필깎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26A KR20160065426A (ko) 2016-06-09
KR101764408B1 true KR101764408B1 (ko) 2017-08-02

Family

ID=5607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278A KR101764408B1 (ko) 2014-11-29 2014-11-29 연필깎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26905A1 (ko)
KR (1) KR101764408B1 (ko)
WO (1) WO2016085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95A (ko) * 2016-08-25 2018-03-07 김예준 연필에 미는 힘을 가해 깎는 연필깎이
CN108357264A (zh) * 2018-03-15 2018-08-03 许佳雯 一种削笔器
KR20230082509A (ko) 2021-12-01 2023-06-08 김문건 연필깎기 겸용 풀
KR102462971B1 (ko) * 2021-12-21 2022-11-04 주식회사 가온아이앤씨 호일커터 일체형 전동식 와인오프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344B2 (ja) * 1996-11-12 2000-02-21 征 山田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15A (en) * 1908-06-16 George P Suma Pencil-sharpener.
US432789A (en) * 1890-07-22 Clarence l
US819123A (en) * 1904-07-18 1906-05-01 John A Clough Pencil-sharpener.
US1201458A (en) * 1913-11-24 1916-10-17 William M Haley Pencil-sharpener.
US1262363A (en) * 1917-11-27 1918-04-09 Pete Lopez Pencil-sharpener.
US1735638A (en) * 1921-10-11 1929-11-12 Cohen Harry Pencil sharpener
US2216681A (en) * 1940-07-12 1940-10-01 Oliver D Wallett Pencil sharpener
US2307119A (en) * 1942-01-03 1943-01-05 Andres J Duany Pencil sharpener
US2435661A (en) * 1946-06-25 1948-02-10 Carl C Weathers Pencil sharpener
US2626593A (en) * 1951-06-01 1953-01-27 Jr Robert C Gwin Pencil sharpener
US2769428A (en) * 1955-07-12 1956-11-06 Richard A Onanian Pencil sharpeners
US3134364A (en) * 1956-11-26 1964-05-26 Chelazzi Casimiro Adjustable core-pointer for coredropping pencils
US5005293A (en) * 1989-10-30 1991-04-09 Amico Paul A Di Twisting pasta fork
KR930005409Y1 (ko) * 1991-05-03 1993-08-16 씨스코상사 연필깎기의구동장치
KR940002439Y1 (ko) * 1991-10-30 1994-04-15 박희철 연필깎기
KR950007602B1 (ko) 1992-07-21 1995-07-12 임현권 온천수의 개발장치 및 방법
JP3010344U (ja) * 1994-10-19 1995-05-02 元重 増田 自動鉛筆削り
KR200446537Y1 (ko) * 2007-10-04 2009-11-06 임준희 연필심 깎기
KR20110001657U (ko) * 2009-08-11 2011-02-17 황수라 연필깎이
US8726527B2 (en) * 2012-01-11 2014-05-20 Acme United Corporation Dual drive pencil sharpe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344B2 (ja) * 1996-11-12 2000-02-21 征 山田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291A1 (ko) 2016-06-02
KR20160065426A (ko) 2016-06-09
US20170326905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408B1 (ko) 연필깎이
JP5651793B2 (ja) 押圧エネルギー蓄積式鉛筆削り機
EP2614929B1 (en) Foldable chisel
JP4642782B2 (ja) 前進/引込機構
US20170273868A1 (en) Device for cutting medicine tablet
JP5816982B2 (ja) 往復式鉛筆削り器
JP6044053B2 (ja) 蓋部自動開閉装置
EP1747858A2 (en) Nose hair cutter
US7360566B2 (en) Structure of automatic pencil sharpener
EP2823938A1 (en) Oscillating power tool
US8096201B2 (en) Dustproof device for ball screw apparatus
KR20170091076A (ko) 연필깎이
CN107669166B (zh) 一种研磨器
US4309823A (en) Rotary kitchen utensil
US6948251B2 (en) Pivoting sharpening device for pencil with non-circular cross section
GB2035910A (en) Pencil sharpener
KR20140137138A (ko) 연필심 길이조정이 가능한 연필깎이 및 연필깎이의 작동방법
US7121009B2 (en) Can opener
JP2008023753A (ja) 鉛筆削り器
JP2002192892A (ja) 鉛筆削り器
CN212887706U (zh) 切割工具手柄以及切割工具
JP6849522B2 (ja) 鉛筆削り
CN220241597U (zh) 料理机用直线往复机构及料理机
JP3005714U (ja) 鉛筆削り
JP2021041655A (ja) 鉛筆削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