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64Y1 - 배수구 퍼징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퍼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64Y1
KR200475564Y1 KR2020130000874U KR20130000874U KR200475564Y1 KR 200475564 Y1 KR200475564 Y1 KR 200475564Y1 KR 2020130000874 U KR2020130000874 U KR 2020130000874U KR 20130000874 U KR20130000874 U KR 20130000874U KR 200475564 Y1 KR200475564 Y1 KR 200475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casing
storage unit
gas storage
percuss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665U (ko
Inventor
박일도
Original Assignee
(주)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리 filed Critical (주)미리
Priority to KR2020130000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6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07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explo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소요 부품이 간소화되고 작동 매커니즘이 단순화된 배수구 퍼징 장치가 소개된다.
본 고안의 배수구 퍼징 장치는, 외주면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격발 케이싱;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에 내장되는 가스 저장유닛; 일단이 상기 가스 저장유닛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격발핀; 일단이 상기 격발 케이싱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 케이싱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타측은 상기 격발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구; 및 상기 격발 케이싱 내측 타단부와 상기 격발핀의 타단을 매개하는 제1복원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구 퍼징 장치 {APPARATUS FOR CLEARING A DRAIN PIPE}
본 고안은 배수구 퍼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세면대, 싱크대, 욕조 등의 각종 배수관에 끼인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간단한 동작만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수구 퍼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공공 장소에 설치된 세면대, 싱크대, 욕조의 배수관에는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서 배수관이 막히게 된다.
배수관이 막히게 되면, 염산 등 화학 세제를 배수관이 투입하여 막힌 배수관을 뚫거나, 배수관을 분리하고 배수관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다시 배수관을 장착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화학 세제를 이용하여 막힌 배수관을 뚫는 경우, 화학 세제의 독한 냄새가 실내에 장시간 존재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화학 세제만으로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배수관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배수관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3190호(2006.10.31.)에는, "세면대 오물 제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세면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세면대에서, 'ㄱ'자 형상으로 주먹을 가볍게 쥘 수 있는 타원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의 'ㄱ'자로 꺽이는 부분에 검지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손가락 걸이홈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 및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길이가 긴 원통 형상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된 오물제거부재를 포함한, 세면대 오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750호(2010.07.02.)에는, "세면대 오물 제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구멍을 갖는 손잡이부와, 가요성을 갖고 손잡이부로부터 하부 방향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단부 형상이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물제거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배수관에 끼인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화학적인 방법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은 존재하지만, 그것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확하게 오물제거부재를 배수관에 인입하여야 하고, 반복적으로 인입, 인출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오물제거부재가 파손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오물제거부재가 이물질이 끼인 부위에 닿지 않는 경우에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배수관이 완전히 막힌 경우, 오물제거부재의 인입이 불가능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배수관을 분리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수동적인 작동 방식에 의해 도출되는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상기한 선행기술들이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데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2011.11.03. "변기 퍼징장치"를 출원하여 2012.9.21.에 등록(한국등록특허 제10-1187586호)받은 바 있다.
이는 소정의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변기 퍼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이와 유사한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를 2012.7.6.에 출원(10-2012-0074198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는 작동시, 격발핀의 걸림바가 "ㄴ"자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2가이드 슬롯을 움직이면서 가스를 분사하고, 횡방향 복원스프링 및 종방향 복원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바, 그 작동 매커니즘에 복잡한 것은 물론, 다양하고 복잡하게 제조된 부품이 다량 소모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고장 발생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사용되던 작동 매커니즘을 과감하게 포기하고, 이를 개량하여 단순한 부품만으로 간단하게 작동하면서도 상술한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에 상응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선행기술 1) 한국등록특허 제10-0643190호(2006.10.31.) (선행기술 2)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750호(2010.07.02.) (선행기술 3) 한국등록특허 제10-1187586호(2012.9.21.)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부품으로 조립되어 간단한 작동 매커니즘을 갖으면서도 탁월한 이물질 제거 효율을 갖는 이물질 퍼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퍼징 장치는, 외주면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격발 케이싱;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에 내장되는 가스 저장유닛; 일단이 상기 가스 저장유닛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격발핀; 일단이 상기 격발 케이싱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 케이싱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타측은 상기 격발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구; 및 상기 격발 케이싱 내측 타단부와 상기 격발핀의 타단을 매개하는 제1복원스프일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저장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 저장유닛의 일단부가 내장되되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 조임캡과, 상기 격발 케이싱 타단부에 결합된 호스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발 케이싱 일측과 대응될 수 있도록 외주면 일측이 개방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조임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그 타단부에는 상기 호스 유닛과 연통되는 밀착구가 결합되되, 상기 호스 유닛 및 상기 격발 케이싱의 타단부를 내장하는 커버와, 상기 격발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으로 그 평면이 노출되는 누름편과, 이 누름편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동구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누름바와, 상기 누름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누름편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격발 케이싱에 고정된 제2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발핀은, 상기 가스 저장유닛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선단부와, 상기 제1복원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 및 후단부를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바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회동축으로 연결되되 이 회동축에는 상기 회동구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에는 제3복원 스프링이 권취되되 그 일단은 상기 회동구의 저면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후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및 후단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간단한 작동 매커니즘을 가지면서도 탁월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부품 개수를 줄이면서도, 부품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부품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배수관에 막힌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별도의 화학 세제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로 인한 환경 오염, 악취 발생 등의 문제점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가스의 분사 전에 격발 준비 상태를 유지한 후, 스위치 동작을 통해 가스 분사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가스 분사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한 후, 가스를 정확한 지점에 분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수구 퍼징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고압 가스 분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퍼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구 퍼징 장치는 조임캡(60)을 회전시켜 고압 가스 격발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90)를 푸쉬하면 고압 가스가 밀착구(S)를 통해 분사되어 배수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구 퍼징 장치는 격발 케이싱(10), 가스 저장유닛(20), 격발핀(30), 회동구(40) 및 제1복원 스프링(50)을 포함한다.
격발 케이싱(10)은 그 외주면 일측이 개방된다.
이러한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누름부(90)가 장착되며, 격발 케이싱(10)의 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스 저장유닛(20)으로부터 분사된 고압 가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격발 케이싱(10)의 일단부에는 가스 저장유닛(20)이 내장된다.
가스 저장유닛(20)에는 고압 가스가 충진되며, 가스 저장유닛(20)의 단부는 격발핀(3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된다.
즉, 격발 준비 완료 상태에서 격발핀(30)의 일단이 가스 저장유닛(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고압 가스가 가스 저장유닛(20)으로부터 분사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회동구(40)는 그 일단이 격발 케이싱(10)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타측은 격발핀(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구(40) 일단은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일측으로 돌출되어 격발 케이싱(1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며, 후술하는 누름부(90)에 의해 그 일단이 푸쉬되면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회동구(40)의 일단이 격발 케이싱(10)에 더 용이하게 걸림/걸림 해제 가능하도록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편(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될 수 있도록 회동구(40) 일단은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외주면 일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동구(40)의 일단이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위치로 돌출되어 격발 케이싱(10) 또는 걸림편(14)과 접촉, 걸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격발핀(30)의 이동을 저지하여 가스 저장유닛(20)으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사되지 않는 상태(격발 준비 완료 상태)을 유지할 수 있는바, 누름부(90)를 푸쉬하여 회동구(4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회동구(40)의 일단이 그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격발 케이싱(10) 또는 걸림편(14)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가스 저장유닛(20)을 밀폐하고 있던 격발핀(30)이 이동함으로써 가스 저장유닛(20)으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사되는 것이다.
제1복원 스프링(50)은 격발 케이싱(10)의 내측 타단부와 격발핀(30)의 타단을 매개한다.
따라서, 고압의 가스 분사시 이동하는 격발핀(30)에 의해서 압축된 제1복원 스프링(50)은 가스 분사 완료시 그 복원력을 격발핀(30)에 제공하게 되고, 격발핀(30)이 이러한 복원력을 제공받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스 저장유닛(20)의 일단부를 격발 케이싱(10)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전하고, 이러한 격발 케이싱(10)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캡(60)을 회전하여 가스 저장유닛(20)을 소정 거리 이동시켜 격발핀(30) 일단이 가스 저장유닛(20)에 삽입, 가스 저장유닛(2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격발 준비 상태를 완료한다.
이를 위하여 격발 케이싱(10)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고, 조임캡(60)의 내주면에는 나사골(62)이 형성되며, 조임캡(60) 내부는 격발 케이싱(10)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가스 저장유닛(20)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조임캡(60)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를 격발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고, 가스 저장유닛(20)을 장전한 후에, 다시 조임캡(60)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격발 케이싱(10)에 조립하면, 가스 저장유닛(20)은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며, 격발핀(30)의 일단이 가스 저장유닛(20)에 삽입되어 가스 저장유닛(20)을 밀폐함으로써 격발 준비가 완료될 수 있는 바, 단순한 조임캡(60)의 회전 동작만으로 격발 준비 상태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저장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고압의 가스는 격발 케이싱(10)의 내주면과 격발핀(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유동하여 격발 케이싱(10) 타단부로 분출되는바, 격발 케이싱(10)의 타단에 호스 유닛(70)을 결합함으로써 고압의 가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호스 유닛(70), 격발 케이싱(10) 등은 커버(80)에 내장된다.
커버(80)는 분할형, 일체형 등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80)의 외주면 일측은 개방되는데, 개방된 일측의 위치는 상술한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일측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이다.
또한, 커버(80)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그 일단부는 조임캡(6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접하고, 그 타단부에는 밀착구(S)가 결합된다.
밀착구(S)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면대, 싱크대, 욕조 등 이물질 제거 대상에 압착 고정 가능한 구조라면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커버(80)의 개방된 일측 및 격발 케이싱(10)의 개방된 일측에는 누름부(90)가 장착된다.
누름부(90)는 누름편(92)과, 누름바(94), 제2복원 스프링(9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편(92)은 개방된 커버(80)의 외주면 일측 및 개방된 격발 케이싱(10) 외주면 일측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누름편(92)의 저면에는 누름바(94)가 돌출 형성되며, 누름바(94)의 하단은 회동구(40)의 일단 상에 위치한다. 또한, 누름바(94)의 외주면에는 제2복원 스프링(96)에 권취되고, 이 제2복원 스프링(96)의 양단은 각각 누름편(92)의 저면 및 격발 케이싱(10)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바, 사용자가 누름편(92)을 푸쉬할 때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고, 이 복원력을 다시 누름편(92)에 제공함으로써 누름편(92)을 원상 회복 시킨다.
격발핀(30)은 선단부(32), 후단부(34) 및 연결부(3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32)는 가스 저장유닛(20)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재질로 격발 준비 완료 상태에서 가스 저장유닛(20)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다.
가스 저장유닛(20)의 단부는 연질의 재질로 밀폐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질의 재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격발핀(30)의 선단부(32)는 그 끝단을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발핀(30)의 후단부(34) 끝단에는 제1복원 스프링(50)을 안정되게 고정하고, 안정된 압축, 인장 경로 확보를 위하여 "⊃"자 형 고정홈(3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36)에는 회동구(40)의 타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36a)을 형성하고, 수용홈(36a)이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회동축(42)을 결합, 이 회동축(42)에 상술한 회동구(4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구(40)가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 복원 가능하도록 제3복원 스프링(99)을 회동축(42)에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복원 스프링(99)의 양 단은 각각 회동구(40)의 저면 및 격발핀(30)의 후단부(34)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누름부(90)가 푸쉬되면, 회동구(40) 회전시 회동구(40) 저면 및 후단부(34)에 접하는 제3복원 스프링(99)이 압축되며, 고압 가스 분사가 완료되면 압축되었던 제3복원 스프링(99)이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회동구(40) 역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선단부(32)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연결부(36) 및 후단부(34)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격발핀(30)의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고안의 배수구 퍼징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저장유닛(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조임캡(60)을 조이면 격발핀(30)의 선단부(32)가 가스 저장유닛(20)에 삽입되며, 회동구(40)의 일단은 격발 케이싱(10)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바, 가스 저장유닛(20)에 저장된 고압 가스는 분사되지 않고, 격발 준비 완료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편(92)을 푸쉬하면, 제2복원 스프링(96)이 압축되면서 누름바(94)가 회동구(40)의 일단을 푸쉬하게 되고, 회동구(40)는 회동축(42)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회전하는바, 제3복원 스프링(99) 역시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구(40)의 일단과 격발 케이싱(10) 사이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격발핀(30)이 이동, 가스 저장유닛(20)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어 고압의 가스가 분사된다.
분사된 고압 가스는 격발 케이싱(10)과 격발핀(30) 사이에 형성된 간격 사이로 이동하여 격발 케이싱(10) 타단과 호스 유닛(70), 밀착구(S)를 거쳐 분사됨으로써, 세면대, 싱크대, 욕조 등을 막고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격발 케이싱 12 : 나사산
14 : 걸림편 20 : 가스 저장유닛
30 : 격발핀 32 : 선단부
34 : 후단부 36 : 연결부
40 : 회동구 42 : 회동축
50 : 제1복원 스프링 60 : 조임캡
62 : 나사골 70 : 호스 유닛
80 : 커버 90 : 누름부
92 : 누름편 94 : 누름바
96 : 제2복원 스프링
99 : 제3복원 스프링 S : 밀착구

Claims (5)

  1. 외주면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격발 케이싱;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에 내장되는 가스 저장유닛;
    일단이 상기 가스 저장유닛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격발핀;
    일단이 상기 격발 케이싱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 케이싱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타측은 상기 격발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구;
    상기 격발 케이싱 내측 타단부와 상기 격발핀의 타단을 매개하는 제1복원 스프링;
    상기 가스 저장유닛의 일단부가 내장되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 조임캡;
    상기 격발 케이싱 타단부에 결합된 호스 유닛;
    상기 격발 케이싱 일측과 대응될 수 있도록 외주면 일측이 개방되고, 그 일단부는 상기 조임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그 타단부에는 상기 호스 유닛과 연통되는 밀착구가 결합되되, 상기 호스 유닛 및 상기 격발 케이싱의 타단부를 내장하는 커버 및
    상기 격발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으로 그 평면이 노출되는 누름편과, 이 누름편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동구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누름바와, 상기 누름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누름편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격발 케이싱에 고정된 제2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저장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격발 케이싱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퍼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발핀은, 상기 가스 저장유닛을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선단부와, 상기 제1복원 스프링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 및 후단부를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바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회동축으로 연결되되 이 회동축에는 상기 회동구의 타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동축에는 제3복원 스프링이 권취되되 그 일단은 상기 회동구의 저면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후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퍼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및 후단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퍼징 장치.
KR2020130000874U 2013-02-04 2013-02-04 배수구 퍼징 장치 KR200475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74U KR200475564Y1 (ko) 2013-02-04 2013-02-04 배수구 퍼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74U KR200475564Y1 (ko) 2013-02-04 2013-02-04 배수구 퍼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65U KR20140004665U (ko) 2014-08-13
KR200475564Y1 true KR200475564Y1 (ko) 2014-12-10

Family

ID=5244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74U KR200475564Y1 (ko) 2013-02-04 2013-02-04 배수구 퍼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62A1 (ko) * 2017-08-01 2019-02-07 비젼테크 주식회사 와류 형성 유로가 구비된 관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448A1 (ko) * 2014-04-04 2015-10-08 (주)미리 배수구 퍼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101133217B1 (ko) * 2011-04-05 2012-04-05 이재호 버튼식 관통기
KR101187586B1 (ko) * 2011-11-03 2012-10-02 박일도 변기 퍼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101133217B1 (ko) * 2011-04-05 2012-04-05 이재호 버튼식 관통기
KR101187586B1 (ko) * 2011-11-03 2012-10-02 박일도 변기 퍼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062A1 (ko) * 2017-08-01 2019-02-07 비젼테크 주식회사 와류 형성 유로가 구비된 관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65U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564Y1 (ko) 배수구 퍼징 장치
US5423621A (en) Garbage disposal cleaning device
KR20080111816A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101403050B1 (ko) 배수관 이물질 제거장치
WO2015152448A1 (ko) 배수구 퍼징 장치
TWI228578B (en) On/off valve stem
KR20210015980A (ko) 일회용 위생 비데
KR101399816B1 (ko) 휴대용 비데
KR20090059865A (ko) 전동식 배수구 청소장치
KR101808983B1 (ko) 신발 세척기구
CN215668607U (zh) 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KR20090013300A (ko) 휴대용 비데
CN113512861A (zh) 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CN211299753U (zh) 一种带喷液与清洗于一体的马桶刷
KR200475459Y1 (ko) 배수관 청소장치
CN202311925U (zh) 一种携带清洁剂的清洁刷
CN206102002U (zh) 清洁刷刷柄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KR100597478B1 (ko) 휴대용 비데
KR100902565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KR100614836B1 (ko) 샤워기
KR200376762Y1 (ko) 차량 유리 세척용 세척제의 역류 방지 장치
KR20120122448A (ko) 휴대용 비데
CN206483594U (zh) 节能自清洁花洒
KR200324660Y1 (ko)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