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90A - 세척용 솔 - Google Patents

세척용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90A
KR20190001190A KR1020170080786A KR20170080786A KR20190001190A KR 20190001190 A KR20190001190 A KR 20190001190A KR 1020170080786 A KR1020170080786 A KR 1020170080786A KR 20170080786 A KR20170080786 A KR 20170080786A KR 20190001190 A KR20190001190 A KR 2019000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member
fastening
pul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181B1 (ko
Inventor
장보원
Original Assignee
장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보원 filed Critical 장보원
Priority to KR102017008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1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용 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도로 세척솔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세척솔이 회전하는 세척용 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세척용 솔은 막대 타입으로 형성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인입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인입부재가 인입되며,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되며, 타측 종단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을 관통한 상기 돌출부가 이동하는 나사선 형태의 나사선 레일이 형성되며, 외부에 세척솔이 고정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척용 솔{A washing brush}
본 발명은 세척용 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도로 세척솔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세척솔이 회전하는 세척용 솔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사용하는 물병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수시로 세척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주전자, 물병, 젖병 및 기타 다양한 식품용기와 같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세척함에 있어 식품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자는 세척용 솔을 이용할 수 있다. 수동으로 세척용 솔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서 원심력에 의해 용기 내부를 문질러 솔이 닿는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세척용 솔은 수동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세척용 솔의 손잡이를 회전시켜야 세척용 솔의 회전하면서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세척해야 하는 식품용기의 개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는 용기의 세척에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010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850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솔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세척용 솔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용기를 세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세척용 솔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세척용 솔은 막대 타입으로 형성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인입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인입부재가 인입되며,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되며, 타측 종단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을 관통한 상기 돌출부가 이동하는 나사선 형태의 나사선 레일이 형성되며, 외부에 세척솔이 고정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 솔은 인입부재의 종단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고정부재의 외측에 고정된 세척솔이 회전하면서 용기를 세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용 솔을 회전시킬 필요없이 세척용 솔을 용기에 넣었다가 빼는 동작만으로 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용 솔은 용기를 세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이동하는 레일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길이가 상이한 용기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부재의 종단에 홈부를 형성하며, 형성된 홈부를 손잡이부에 고정시켜 세척용 솔이 회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세척용 솔을 회전시켜 용기를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세척용 솔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척용 솔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 제한부에 의해 인입이 제한되는 인입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에 형성된 고정 체결부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척용 솔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척용 솔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세척용 솔(100)은 인입부재(110), 고정부재(120), 회전부재(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용 솔(1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30)에 고정 체결되는 세척솔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세척용 솔(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인입부재(110)는 일정 길이와 일정 직경을 갖는 막대 타입으로 형성된다. 도 1에 의하면, 인입부재(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 기둥 이외에 사각이나 다른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재(110)의 일측 종단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판이 형성되거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재(110)의 일측 종단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외부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인입부재(110)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돌출부(112)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돌출부(112)는 인입부재(110)의 원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인입부재(110)는 돌출부(112)에서 타측 종단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홈부(114)가 형성된다. 홈부(114) 역시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내부가 빈 원 기둥 형상을 갖는다. 내부가 빈 고정부재(120) 내부로 인입부재(110)가 인입된다. 일 예로 인입부재(110)는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에서 타측 종단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인입부재(11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고정부재(120)의 내부 역시 사각형이 된다. 다만, 고정부재(120)의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인입부재(110)의 길이는 고정부재(1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으로 인입된 인입부재(110)는 고정부재(120)의 타측 종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고정부재(120)는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가 고정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레일(122)을 형성한다. 고정부재(120)는 하나의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레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레일, 제2 레일 및 연결 레일을 포함한다. 제1 레일의 길이는 제2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2는 연결 레일 이외에 2개의 레일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결 레일 이외에 길이가 서로 상이한 적어도 3개의 레일을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일은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에서 타측 종단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부터 시작하여 타측 종단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레일은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에서 타측 종단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결된 지점부터 시작하여 타측 종단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제1 레일의 타측와 제2 레일의 타측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인입부재(110)의 돌출부(112)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을 이동할 수 있다. 제1 레일과 제2 레일이 서로 연결된 부분(지점)으로부터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일은 고정부재의 타측 종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이 연결된 지점부터 타측 종단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을 연장 레일이라고 한다. 따라서 돌출부(112)는 연장 레일을 경유하여 제1 레일에서 제2 레일로, 제2 레일에서 제1 레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부재의 일측 종단은 고정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124)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이 일정 길이 절개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부재(120)의 종단 직경은 커진다. 고정부재(120)의 직경이 커진 상태에서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22)를 제1 레일에 인입한다. 이후 고정부재(120)에 가해진 힘을 중단하면, 고정부재(120)의 일측 종단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고정부재(120)의 타측은 나사선이나 기타 다양한 제1 체결부(126)가 형성된다.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는 고정부재(120)의 레일(122)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회전부재(130)는 내부가 빈 원 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측에는 세척솔이 고정 체결(결합)된다. 고정부재(120)는 회전부재(130)의 내부에 인입된다. 회전부재의 내측면에는 나사선 형태의 나사선 레일(미도시)이 형성되며,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의 종단은 고정부재(120)의 레일(122)을 경유하여 회전부재에 형성된 나사선 레일 상에 위치하며, 나사선 레일 상에서 이동한다.
또한, 인입부재(110)가 고정부재(120)에 형성된 레일(122)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재(130)는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선 레일로 인해 회전부재(130)는 회전한다. 회전부재(13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부재(130)와 고정 체결된 세척솔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부재(110)가 고정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함에 따라 세척솔(150이 회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사용자가 세척용 솔을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용기 바닥 방향으로 가압하면, 인입부재가 고정부재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로 인해 세척솔은 회전하게 된다.
손잡이부(140)는 원기둥이나 기타 다른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140)의 일측의 내측은 고정부재(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1 체결부(126)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20)의 타측에 나사선 형태의 제1 체결부(126)가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부의 일측의 내측 역시 나사선 형태의 제2 체결부가 형성된다. 체결 구조에 의해 고정부재(120)는 손잡이부(140)에 고정 체결된다.
손잡이부(140)는 내부가 일정 부분이 빈 통공 형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인입부재(110)는 일부가 손잡이부(140) 내부에 인입된다.
손잡이부(140)의 내부는 내부로 인입된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홈부(114)에 고정 체결되는 고정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140)에 형성된 체결 버턴을 조작하며, 체결 버턴과 직간접으로 연결된 고정 체결부가 홈부에 인입되며, 이로 인해 인입부재(110)는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인입부재(110)의 이동이 제한되며, 세척솔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140)의 내부는 인인부재(110)의 인입 거리를 제한하는 인입 제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인입 제한부는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입 제한부가 인입부재(11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는 제1 레일, 제2 레일 및 연장 레일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2)가 연장 레일의 타측 종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 버턴을 조작하여 인입부재(110)를 손잡이부(140)에 고정 체결한다.
손잡이부(140)에 형성된 제한 버턴을 조작하면, 손잡이부(140)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인입 제한부가 이동하며, 이동한 인입 제한부에 의해 인입부재(110)에 형성된 돌출부(112)의 이동 거리가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내로 제한된다. 인입 제한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입 제한부는 손잡이부(140)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손잡이부(140) 내부의 타측 종단에서 일측 종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인입 제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척용 솔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척용 솔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3a는 인입부재를 고정부재 내부로 인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회전부재 내부로 고정부재를 인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c는 고정부재의 제1 체결부를 손잡이부의 제2 체결부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 제한부에 의해 인입이 제한되는 인입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 제한부에 의해 인입이 제한되는 인입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b에 의하면, 인입 제한부(144)가 손잡이부(140)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도 4c에 의하면, 인입 제한부(144)가 손잡이부(140) 내부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입 제한부(144)가 손잡이부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손잡이부 내부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입 제한지점에 위치한다.
제한 버턴(142)을 조작하여 인입 제한부(144)가 인입 제한지점에 위치하면, 인입부재의 종단은 인입 제한지점까지만 이동하게 되며, 인입부재의 종단이 인입 제한지점에 위치하면, 돌출부는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의 종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인입 제한부를 이용하여 인입부재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에 형성된 고정 체결부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손잡이부에 형성된 고정 체결부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연결레일의 타측 종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 버턴(146)을 조작하면, 고정 체결부(148)가 인입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다. 이와 같이 고정 체결부(148)가 홈부에 인입되면, 인입부재는 손잡이부에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입부재와 고정부재의 체결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입부재(110)는 고정부재(120) 내에서 고정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인입부재(110)가 고정부재(1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인입부재(110)의 가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세척용 솔이 용기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척용 솔을 누르면, 인입부재(110)가 고정부재(120) 내부로 인입된다.
이후 세척용 솔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인입부재(110)가 원래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인입부재(110)와 고정부재(120) 사이에 탄성부재를 배치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인입부재(110)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홈부를 형성하며, 고정부재(12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홈부를 형성한다. 인입부재(110)와 고정부재(120)에 형성된 탄성 홈부에 탄성부재(150)를 배치한다. 탄성부재(150)의 일측 종단은 인입부재(110)의 탄성 홈부의 일측 종단에 밀착되며, 탄성부재(150)의 타측 종단은 고정부재(120)의 탄성 부재의 타측 종단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입부재(110)가 고정부재(120) 내부로 인입되면, 탄성부재(150)는 압축된다. 이후 인입부재(11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부재(150)는 신장되며, 이로 인해 인입부재(110)는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120) 내부에 인입되는 인입부재(11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부재의 외측에 고정 체결된 세척솔이 회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세척용 솔 110: 인입부재
120: 고정부재 130: 회전부재
140: 손잡이부 150: 탄성부재

Claims (7)

  1. 막대 타입으로 형성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인입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인입부재가 인입되며,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되며, 타측 종단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비어 있는 내부로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가 인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레일을 관통한 상기 돌출부가 이동하는 나사선 형태의 나사선 레일이 형성되며, 외부에 세척솔이 고정 체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길이를 갖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1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의 타측과 제2 레일의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레일의 타측 또는 제2 레일의 타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며,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타측 종단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상기 인입부재의 종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인입 제한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부재의 이동을 차단하는 인입 차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 제한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 제한부가 상기 인입 제한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는 제한 버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연결 레일의 타측 종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고정 체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체결부가 상기 홈부에 인입되도록 조작하도록 체결 버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솔.
KR1020170080786A 2017-06-26 2017-06-26 세척용 솔 KR1020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786A KR102062181B1 (ko) 2017-06-26 2017-06-26 세척용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786A KR102062181B1 (ko) 2017-06-26 2017-06-26 세척용 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90A true KR20190001190A (ko) 2019-01-04
KR102062181B1 KR102062181B1 (ko) 2020-02-20

Family

ID=6501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786A KR102062181B1 (ko) 2017-06-26 2017-06-26 세척용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7877A1 (en) * 2020-10-02 2022-04-06 JT International SA Manual cleaning tool for cleaning heating chamb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43Y1 (ko) * 2002-01-26 2002-05-06 장도훈 젖병솔
JP3139321U (ja) * 2007-09-14 2008-02-14 泰雅 弘中 運動方向変換ブラシ
KR101155383B1 (ko) * 2011-04-25 2012-06-1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수세미
US8209810B2 (en) * 2006-01-26 2012-07-03 City Hospitals Sunderland Nhs Trust Cleaning apparatus
KR20130126850A (ko) 2012-05-13 2013-11-21 윤정연 물병 세척용 솔
CN203737624U (zh) * 2014-04-04 2014-07-30 国家电网公司 电缆清洁刷
KR20150120106A (ko) 2014-04-17 2015-10-27 손강훈 세척 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243Y1 (ko) * 2002-01-26 2002-05-06 장도훈 젖병솔
US8209810B2 (en) * 2006-01-26 2012-07-03 City Hospitals Sunderland Nhs Trust Cleaning apparatus
JP3139321U (ja) * 2007-09-14 2008-02-14 泰雅 弘中 運動方向変換ブラシ
KR101155383B1 (ko) * 2011-04-25 2012-06-1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수세미
KR20130126850A (ko) 2012-05-13 2013-11-21 윤정연 물병 세척용 솔
CN203737624U (zh) * 2014-04-04 2014-07-30 国家电网公司 电缆清洁刷
KR20150120106A (ko) 2014-04-17 2015-10-27 손강훈 세척 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7877A1 (en) * 2020-10-02 2022-04-06 JT International SA Manual cleaning tool for cleaning heating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181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0073B (zh) 三脚架按钮机构及三脚架
US8214963B2 (en) Mop with spinning device
KR101626539B1 (ko) 무빙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US20190116961A1 (en) Cosmetic container
JP4338046B2 (ja) 化粧用ブラシ
KR200335614Y1 (ko) 솔대 인출구조를 갖는 마스카라 용기
KR102624319B1 (ko) 회전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스툴 테이블
CN103391739A (zh) 用于干燥食物和其他物品的装置的改进制动机构
KR20190001190A (ko) 세척용 솔
US9085078B1 (en) Rotatable and extendable mop
KR100961885B1 (ko) 브러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세척기구
US3750214A (en) Bottlecleaner
KR200475459Y1 (ko) 배수관 청소장치
KR101918617B1 (ko) 치솔형 마스카라 솔대의 2중 와이핑 구조
CN211212932U (zh) 旋转手柄延长式拉伸推杆组件及吸尘器
JP6756528B2 (ja) 電気掃除機
CN100389716C (zh) 可自挤干的拖把及其反转锁止装置
CN213769721U (zh) 按压式液体泵
US1020321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collapsible tubes.
US2190145A (en) Wellhole cleaning device
CN106939483B (zh) 波轮组件和洗衣机
CN107468187B (zh) 拖把
AU2014101072A4 (en) A combined file
KR200367724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US2671235A (en) Reciprocable glass washer of the central brush element and outer brush carrier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