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37Y1 -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37Y1
KR200473237Y1 KR2020110009801U KR20110009801U KR200473237Y1 KR 200473237 Y1 KR200473237 Y1 KR 200473237Y1 KR 2020110009801 U KR2020110009801 U KR 2020110009801U KR 20110009801 U KR20110009801 U KR 20110009801U KR 200473237 Y1 KR200473237 Y1 KR 200473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s
support
rope
support body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284U (ko
Inventor
중모 장
Original Assignee
포에버 그룹 프리시즌 인더스트리얼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에버 그룹 프리시즌 인더스트리얼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에버 그룹 프리시즌 인더스트리얼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000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13Horizont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vertic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플랫 패널을 동일 평면에 안정적으로 재치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플랫 패널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지지구를 제공한다.
지지구(4)는 그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상면(41a)에 플랫 패널(8)과 조금만 당접하는 접촉면부(411b)를 가지고, 상기 상면(41a)과 등을 맞대는 하측에 로프(3)를 통과시키는 통과 공간(410)을 형성하는 지지 본체(41)와, 로프(3)을 통과한 통과 공간(410)이 좁아져 지지 본체(41)와 로프(3)가 상대 이동하는 일이 없고, 정위치되도록 지지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부재(49)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Support means and Case for panel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유리판, LCD 기판 등의 플랫 패널을 집합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에 이용되는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유리판, LCD 기판 등의 플랫 패널을 집합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9)가 있다.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91, 91, …)와, 다수의 제 1 지주(91, 91, …)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92, 92, …)와, 각 제 1 지주(91)끼리 및 각 제 2 지주(92)끼리가 평행하여 일정의 간격을 유지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횡기둥(橫棧, 94)과, 다수의 제 1 지주(91, 91, …) 및 다수의 제 2 지주(92, 92, …)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93, 93, …)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9)내에 있어서,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제 1 지주(91)와 제 2 지주(92)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다수의 로프(95, 95,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등록 실용신안 제3140777호
그러나, 플랫 패널을 강고하게 재치하는 수단으로서, 금속 선재(951)로 이루어지는 로프(95)가 이용되고, 상기 금속 선재(951)의 외측은 고무재(952)로 피복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플랫 패널의 슬라이딩 이동시에 플랫 패널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플랫 패널을 출입할 때에, 플랫 패널이 로프(95)와 선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마찰력이 크고, 플랫 패널을 원활하게 출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플랫 패널의 동일 평면에의 재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플랫 패널의 출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지구, 상기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관점에 의하면,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하기 위한 횡기둥으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내에 있어서,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의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가설되는 다수의 재치 수단의 각각에 구비된 로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구이며, 상기 플랫 패널과 접촉하고, 이것을 재치하는 지지 본체이며, 그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상면에 상기 플랫 패널과 조금만 당접하는 접촉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면과 등을 맞대는 하측에 상기 로프를 통과시키는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본체와, 상기 로프를 통과한 상기 통과 공간이 좁아져, 상기 지지 본체와 상기 로프가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상기 지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그 종단면이 L자형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부재의 장측부를 그 단측부 측으로 구부려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측부의 자유 단부를 상기 단측부의 자유 단부에 겹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의 2개의 자유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 도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한 장의 시트부재로부터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시트 부재의 양단부를 겹치도록 구부려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의 양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부려진 상기 지지 본체의 겹쳐진 양단부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여도 좋고, 혹은, 상기 좌우 방향과 수직이라도 좋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두 장의 시트 부재로부터 그것들 사이에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한쪽의 시트 부재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다른 쪽의 시트 부재를 직선 형상으로 하고, 각각의 양단부를 각각 대응시켜 겹쳐져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두 장의 시트 부재로부터 그것들의 사이에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시트 부재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리고, 각각의 단부가 각각 상하로 대응하여 겹쳐져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단부끼리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의 통과 공간측의 적어도 상기 로프와 접촉하는 둘레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지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횡기둥으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내에 마련되고, 다수의 플랫 패널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 수단이며, 다수의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상기 제 1 지주 및 상기 제 2 지주 사이에 가설되는 다수의 로프와, 다수의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의 어느 것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치 수단도 제공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횡기둥과,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내에, 다수의 플랫 패널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치 수단은 다수의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 상기 제 1 지주 및 상기 제 2 지주의 사이에 가설되는 다수의 로프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로프에 부착되는 다수의 지지구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는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의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로프에 다수의 착탈식 지지구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부착하는 것으로, 플랫 패널을 출입할 때에 플랫 패널이 로프에 대하여 지지구와 아주 조금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패널의 동일 평면에의 재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플랫 패널의 출입을 보다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외측 커버를 제거한, 본 고안에 관련된 수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수납 케이스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수납 케이스의 제 1 종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재치 수단의 제 1 종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련된 수납 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외측 커버를 제거한, 본 고안에 관련된 수납 케이스(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수납 케이스(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납 케이스(1)는,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11, 11, …)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11, 11, …)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12, 12, …)와, 다수의 제 1 지주(11, 11, …)와 다수의 제 2 지주(12, 12, …)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13, 13, …)와, 각 제 1 지주(11)끼리 및 각 제 2 지주(12)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시키기 위한 횡기둥(14)으로부터 상자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수납 케이스(1)내에, 플랫 패널(예를 들면, 도 3~도 11 참조)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다수의 제 1 지주(11, 11, …)와 다수의 제 2 지주(12, 12, …)의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재치 수단(2, 2)이 가설된다. 재치 수단(2, 2, …)의 각각은 하나의 로프(3)와 다수의 지지구(4, 4, …)를 구비하고 있다.
로프(3, 3, …)는 각각의 양단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구(112, 122)에 의하여 대응하는 지주(11, 12)에 마련된 슬롯(111, 121)내에 매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프(3)로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지 강도가 좋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스텐레스강 등의 금속 선재를 이용하여, 금속 선재에 고무 등의 완충재를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각 로프(3)에는 플랫 패널을 동일 평면에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치하는 플랫 패널과 조금만 접촉하도록 다수의 지지구(4, 4, …)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려된 지지구에 대하여는 몇 개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 관련된 지지구(4)는 로프(3)를 관통하는 지지 본체(41)와, 지지 본체(41)와 로프가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49)로 이루어진다.
지지 본체(41)는 종단면이 L자형을 이룬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장측부(411)를 그 단측부(412)측으로 구부려 로프(3)의 통과 공간(410)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측부(411)의 자유 단부(411a)가 상기 단측부(412)의 자유 단부(412a)에 겹쳐져 형성된다. 지지 본체(41)는 그 장측부(411)의 플랫 패널(8)을 재치하는 측의 상면(41a)이 윗쪽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되고, 플랫 패널(8)과 조금만 당접하는 접촉면부(411b)를 가지고, 상기 일면(41a)과 등 맞댐 측에 로프(3)를 통과시키는 통과 공간(4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49)는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2개 이용하여 통과 공간(410)측의 면(41b)이 로프(3)와 긴밀하게 접촉하고, 로프(3)를 통과한 통과 공간(410)이 좁아져 지지 본체(41)와 로프(3)가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 됨과 동시에, 단부(411a, 412a)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지지 본체(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로프(3)에 다수의 착탈식 지지구(4)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부착하는 것으로, 플랫 패널(8)을 출입할 때에, 플랫 패널(8)이 로프(3)에 대하여, 각 지지 본체(41)의 접촉 면부(411b)에서, 지지구(4)의 각각과 아주 조금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랫 패널(8)을 동일 평면에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랫 패널(8)의 출입을 보다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A)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A)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지지 본체(42)는 한 장의 시트 부재로 통과 공간(420)을 형성하면서 시트 부재의 양단부(42a, 42a)를 그대로 겹치도록 구부려서 이루어지고, 고정부재(49)는 지지 본체(42)의 양단부(42a, 42a)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됨과 동시에, 로프(3)를 통과한 통과 공간(420)이 좁아지고, 또한 지지 본체(42)와 로프(3)가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구부려진 지지 본체(42)의 겹쳐진 양단부(42a, 42a)가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플랫 패널(8)을 출입할 때에, 플랫 패널(8)이 로프(3)에 대하여, 각 지지 본체(42)의 접촉 면부(421)에서, 지지구(4A)의 각각과 아주 조금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랫 패널(8)을 동일 평면에 안정적으로 재치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랫 패널(8)의 출입을 보다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B)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 관련된 구성은 제 2의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A)와 유사하지만, 지지 본체(2A)의 겹쳐진 양단부(42a, 42a)가 좌우 방향과 수직이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C)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지지 본체(44)는 두 장의 시트 부재(441, 442)로 이루어지고, 그것들의 사이에 통과 공간(440)을 형성하도록 그 한쪽의 시트 부재(441)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다른 쪽의 시트 부재(442)를 직선 형상으로 하고, 각각의 양단부(441a, 441a, 442a, 442a)를 각각 상하로 겹쳐져 형성된다. 고정 부재(49, 49, …)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대응하는 단부(441a, 442a)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 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D)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 관련된 지지구(4D)에 있어서, 지지 본체(45)는 두 장의 시트 부재(451, 45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시트 부재(451, 452)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려, 그것들의 사이에 통과 공간(450)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단부(451a, 451a, 452a, 452a)를 각각 상하로 겹쳐 형성되고, 고정 부재(49)는 단부끼리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E)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지지 본체(41A)의 통과 공간(410)측의 면(410c)에 있어서 적어도 로프(3)와 접촉하는 내주면(410d)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본체(41A)의 겹쳐진 양단부(411a, 412a)에 고정 부재(49)가 고정되면, 지지 본체(41A)와 로프(3)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7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F)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지지 본체(42B)의 통과 공간(420)측의 면(420c)에 있어서 적어도 로프(3)와 접촉하는 내주면(420d)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8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G)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두 장의 시트 부재(441, 442)의 통과 공간(440)측의 면(441c, 442c)에 있어서 적어도 로프(3)와 접촉하는 내주면(441d, 442d)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9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관련된 지지구(4H)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 5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두 장의 시트 부재(451, 452)의 통과 공간(450)측의 면(451c, 452c)에 있어서 적어도 로프(3)와 접촉하는 내주면(451d, 452d)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 재치 수단은 상기 구성에 의한 어느 것의 지지구를 이용하면, 플랫 패널을 출입할 때에 플랫 패널이 로프(3)에 대하여 지지구의 각각과 아주 조금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랫 패널을 동일 평면에 안정적으로 재치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랫 패널의 출입을 보다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구로서는 착탈식 지지구를 이용하므로,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지지구는 플랫 패널을 재치하는 재치 수단, 플랫 패널을 집합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에 유용하다.
1 : 수납 케이스 11 : 제 1 지주
111, 121 : 슬롯 112, 122 : 고정구
12 : 제 2 지주 13 : 테두리 부재
2 : 재치 수단 3 : 로프
4, 4A~4H : 지지구 41, 41A, 42, 42A, 42B, 44, 45 : 지지 본체
41a : 상면 410, 420, 440, 450 : 통과 공간
41b, 410c, 420c, 441c, 442c, 451c, 452c : 통과 공간측의 면
410d, 420d, 441d, 442d, 451d, 452d : 내주면
411 : 장측부
411a, 412a, 42a, 441a, 442a, 451a, 452a : 단부
411b, 421A : 접촉 면부 412 : 단측부
441, 442, 451, 452 : 시트 부재
49 : 고정 부재 8 : 플랫 패널

Claims (10)

  1.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횡기둥과,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 내에 있어서,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가설되는 다수의 재치 수단의 각각에 구비된 로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구이며,
    상기 플랫 패널과 접촉하여, 이것을 재치하는 지지 본체이며, 그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상면에 상기 플랫 패널과 당접하는 접촉 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면과 등 맞댐의 하측에 상기 로프를 통과하는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 본체와,
    상기 로프를 통과한 상기 통과 공간이 좁아지고, 상기 지지 본체와 상기 로프가 상대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상기 지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그 종단면이 L자형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부재의 장측부를 그 단측부 측으로 구부려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장측부의 자유 단부를 상기 단측부의 자유 단부에 겹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의 2개의 자유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한 장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시트 부재의 양단부를 겹치도록 구부려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의 양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부려진 상기 지지 본체의 겹쳐진 양단부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5. 제 3 항에 있어서,
    구부려진 상기 지지 본체의 겹쳐진 양단부가 상기 좌우 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두 장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것들의 사이에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한 쪽의 시트 부재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다른 쪽의 시트 부재를 직선 형상으로 하여 각각의 양단부를 각각 상하로 대응시켜 겹쳐져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두 장의 시트 부재로부터 그것들의 사이에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시트 부재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려 각각의 단부를 각각 상하로 대응하여 겹쳐져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단부끼리가 겹쳐진 상태로 유지 지지되도록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의 통과 공간측의 적어도 상기 로프와 접촉하는 둘레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구.
  9.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제 2 지주를 연결한 복수의 테두리 부재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횡기둥으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 내에 마련되고, 다수의 플랫 패널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수단이며,
    다수의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여 상기 제 1 지주 및 상기 제 2 지주 사이에 가설되는 다수의 로프와,
    다수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지지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치수단.
  10.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의 각각과 좌우 평행하게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세로로 연속적으로 늘어선 다수의 제 2 지주와,
    각 상기 제 1 지주끼리 및 각 상기 제 2 지주끼리가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 지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횡기둥과,
    다수의 상기 제 1 지주와 다수의 상기 제 2 지주를 연결한 다수의 테두리 부재로부터 상자체로 한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다수의 플랫 패널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치 수단은,
    다수의 플랫 패널을 출입 가능한 틈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 상기 제 1 지주 및 상기 제 2 지주 사이에 가설되는 다수의 로프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로프에 부착되는 복수의 지지구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지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케이스.
KR2020110009801U 2011-05-20 2011-11-07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 KR2004732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09121 2011-05-20
TW100209121U TWM413959U (en) 2011-05-20 2011-05-20 Fast Assembling protection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84U KR20130000284U (ko) 2013-01-11
KR200473237Y1 true KR200473237Y1 (ko) 2014-07-02

Family

ID=4536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01U KR200473237Y1 (ko) 2011-05-20 2011-11-07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3237Y1 (ko)
CN (1) CN202089326U (ko)
TW (1) TWM413959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578A (ja) 2002-10-24 2004-05-20 Yodogawa Hu-Tech Kk カセット用基板支持部材および基板用カセット
KR200386422Y1 (ko) 2005-03-08 2005-06-13 케이 이엔지(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KR2006001977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2006315850A (ja) 2005-05-16 2006-11-24 Hirata Corp 基板移載システム及びエア噴出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578A (ja) 2002-10-24 2004-05-20 Yodogawa Hu-Tech Kk カセット用基板支持部材および基板用カセット
KR2006001977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0386422Y1 (ko) 2005-03-08 2005-06-13 케이 이엔지(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JP2006315850A (ja) 2005-05-16 2006-11-24 Hirata Corp 基板移載システム及びエア噴出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84U (ko) 2013-01-11
CN202089326U (zh) 2011-12-28
TWM413959U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789B2 (ja) 天井ブレース取付金具
JP2009259777A5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
US8857133B2 (en) Purlin construction for roof structures
KR200473237Y1 (ko) 지지구, 그 지지구를 이용한 재치 수단 및 수납 케이스
JP68520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具
RU2012143738A (ru)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JP2019028780A (ja) ラック固定装置及びサーバラック
KR20130130471A (ko) 교량 받침 장치
JP6334941B2 (ja) 面状物品の屋根上支持固定構造及び方法
JP5480654B2 (ja) 太陽電池用架台装置
JP3172030U (ja) 支え具、該支え具を用いた載置手段及び収納ケース
JP2011213476A (ja) 設置機構
JPWO2017154306A1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1309611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TWI478852B (zh) 懸吊系統設備的抗震架構
KR101415070B1 (ko) 글라스 판넬 적재용 글라스 카세트
KR101774524B1 (ko)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JP7279927B2 (ja) 天井構造および支持部材
JP6555660B2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18116981A (ja) ガラス基板収容治具
JP7249628B2 (ja) 支持装置
JP5852462B2 (ja) 基礎下免震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946816B2 (ja) 支持部材及び構造体
JP5059233B1 (ja) ロボット走行装置用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38502A (ko) 칼라 강판용 구조물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