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524B1 -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524B1
KR101774524B1 KR1020150146807A KR20150146807A KR101774524B1 KR 101774524 B1 KR101774524 B1 KR 101774524B1 KR 1020150146807 A KR1020150146807 A KR 1020150146807A KR 20150146807 A KR20150146807 A KR 20150146807A KR 101774524 B1 KR101774524 B1 KR 10177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support
groove
coupling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444A (ko
Inventor
박은미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5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2Static balancing; 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G01M1/122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동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WEIGHING SUPPORTS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는 선박 등을 제조할 때 선박을 구성하거나 선박에 탑재되는 중구조물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무게중심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하 "무게 측정 작업"이라고 한다.)이 수행된다. 만약 실제 제작된 중구조물의 무게 또는 무게중심이 처음 설계된 것과 상이하게 되면, 중구조물의 선적(load-out)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선적 작업 자체를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박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작업은 매우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선박 등의 제조 공정의 각 단계별로, 예를 들어 전체 공정의 70% 완공 시점, 90% 완공 시점 및 선적 직전에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작업에는 무게 측정용 잭(jack),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을 구비하는 잭과 함께 무게 측정용 서포트(weighing support)가 사용될 수 있다.
서포트는 잭을 통해 가해지는 중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한다. 이러한 서포트는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지점(weighing point)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서포트 제작에는 많은 자재와 제작 및 설치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무게 측정 작업 후에는 서포트 적치를 위한 별도의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보관 비용도 많이 소요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공사에 사용된 서포트는 다른 공사에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낮아 일정 기간 적치 후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369호(2015.04.08, 웨이팅 서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지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동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결합구조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이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이 상기 제1 결합구조에 상응하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상호간에 분리 및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중구조물의 무게 측정 지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고, 사용 후 적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른 공사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지지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사용한 무게 측정 작업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사용한 무게 측정 작업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는 중구조물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무게중심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구조물(heavy structure)이란 선박을 구성하거나 선박에 탑재되는 선체 블록 등의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지지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00) 및 제2 플레이트부재(20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00)는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00)의 상면에는 제1 결합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110)은 지지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300)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00)의 하부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가 복수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제1 결합 홈(110)도 하나의 직선 홈이 복수의 직선 홈과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플레이트부재(100)의 하면에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00)의 상면에는 제1 결합 홈(110)을 에워싸는 제1 돌기(120)가 돌출될 수도 있다. 제1 돌기(120)는 제1 결합 홈(110)에 결합되는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수직편(3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20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부재(100)와 제2 플레이트부재(200)에 동시에 결합되는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200)의 상면에는 중구조물(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용 잭(30)이 탑재될 수 있다. 무게 측정용 잭(30)은 로드셀(C)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200)의 하면에는 제2 결합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홈(210)은 지지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300)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00)의 상부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가 복수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결합 홈(210)도 하나의 직선 홈이 복수의 직선 홈과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 홈(210)은 제1 결합 홈(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플레이트부재(200)의 상면에는 무게 측정용 잭(30)이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도록 결합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200)의 하면에는 제2 결합 홈(210)을 에워싸는 제2 돌기(220)가 돌출될 수도 있다. 제2 돌기(220)는 제2 결합 홈(210)에 결합되는 지지부(300), 구체적으로 수직편(3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제1 결합 홈(110) 및 제2 결합 홈(210)에 동시에 결합되어 제2 플레이트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300)는 제1 결합 홈(110) 및 제2 결합 홈(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 장치(10)의 사용 후 적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수직편(31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지부(3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수직편(31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300)가 하나의 수직편(310)만을 포함하는 경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지지부(300)는 지지 장치(10)에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수직편(310)만을 포함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3 플레이트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직편(310)은 제1 결합 홈(110) 및 제2 결합 홈(210)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편(310)은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가 복수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편(310)은 제1 플레이트부재(100)와 제2 플레이트부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300)가 제3 플레이트부재(320)를 포함하는 경우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상하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320)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32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와 제2 플레이트부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상면에는 제1 결합 홈(110)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하면에는 제2 결합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110) 및 제2 결합 홈(210)의 주위에는 수직편(310)을 지지하는 제1 돌기(120) 및 제2 돌기(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기(120) 및 제2 돌기(220)는 제3 플레이트부재(3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하면은 제2 플레이트부재(200)의 하면(도 3 참조)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3 플레이트부재(32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및 제2 플레이트부재(20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사용한 무게 측정 작업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 장치(10)가 중구조물(20)의 무게를 분산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지지 장치(10)가 중구조물(20)의 무게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지지 장치(10)가 중구조물(20)의 무게를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복수의 지지 장치(10)를 사용하여 중구조물(20)의 무게를 복수의 지지 장치(10)에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지지 장치(10)는 제1 결합구조(130) 및 제2 결합구조(140)를 통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구조(13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일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구조(13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일단에서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상면이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구조(130)는 제1 함몰부(131) 및 제2 함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31)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일단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고, 제2 함몰부(133)는 제1 함몰부(131)보다 큰 함몰 깊이를 가지면서 제1 함몰부(13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구조(13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일단에서 멀어질수록 함몰 깊이가 불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구조(14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타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구조(14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타단에서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하면이 제1 결합구조(130)에 상응하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구조(140)는 제3 함몰부(141) 및 제4 함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함몰부(141)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타단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고, 제4 함몰부(143)는 제3 함몰부(141)보다 큰 함몰 깊이를 가지면서 제3 함몰부(1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구조(140)는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의 타단에서 멀어질수록 함몰 깊이가 불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함몰부(131)의 함몰 깊이와 제4 함몰부(143)의 함몰 깊이의 합은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 각각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함몰부(133)의 함몰 깊이와 제3 함몰부(141)의 함몰 깊이의 합은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 각각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를 사용한 무게 측정 작업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에 배치된 지지 장치(10)는 무게 측정 작업 중 중구조물(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지지 장치(10)는 무게 측정 작업 전 중구조물(2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무게 측정용 잭(3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중앙에 배치된 지지 장치(10)는 하나의 수직편(310)만을 포함하는 반면에,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지지 장치(10)는 2개 이상의 수직편(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지지 장치(10)를 구성하는 제3 플레이트부재(320)에 형성된 제1 결합구조(130) 및 제2 결합구조(140)는 중앙에 배치된 지지 장치(10)를 구성하는 제2 플레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제2 결합구조(140) 및 제1 결합구조(1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부재(100), 제2 플레이트부재(200) 및 제3 플레이트부재(320)에는 동일한 형상의 제1 결합구조(130) 및 제2 결합구조(140)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지지 장치(10)에서의 제3 플레이트부재(320)는 인접하는 지지 장치(10)에서의 제3 플레이트부재(320)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제2 플레이트부재(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지지 장치 20: 중구조물
30: 무게 측정용 잭 100: 제1 플레이트부재
110: 제1 결합 홈 120: 제1 돌기
130: 제1 결합구조 131: 제1 함몰부
133: 제2 함몰부 140: 제2 결합구조
141: 제3 함몰부 143: 제4 함몰부
200: 제2 플레이트부재 210: 제2 결합 홈
220: 제2 돌기 300: 지지부
310: 수직편 320: 제3 플레이트부재

Claims (5)

  1. 상면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중구조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용 잭이 탑재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동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은 하나의 직선 홈이 복수의 직선 홈과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가 복수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편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결합 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결합구조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이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구조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이 상기 제1 결합구조에 상응하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KR1020150146807A 2015-10-21 2015-10-21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KR10177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07A KR101774524B1 (ko) 2015-10-21 2015-10-21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07A KR101774524B1 (ko) 2015-10-21 2015-10-21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44A KR20170046444A (ko) 2017-05-02
KR101774524B1 true KR101774524B1 (ko) 2017-09-05

Family

ID=5874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07A KR101774524B1 (ko) 2015-10-21 2015-10-21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837A (zh) * 2018-04-25 2019-11-01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吊架及其单轨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30Y1 (ko) 2002-10-01 2002-12-31 제일산업 주식회사 어초블록
KR100965930B1 (ko) 2008-01-17 2010-06-2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체 매립 박스용 결합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공동 현관기
KR101018337B1 (ko) 2010-06-21 2011-03-04 엄원선 팔레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30Y1 (ko) 2002-10-01 2002-12-31 제일산업 주식회사 어초블록
KR100965930B1 (ko) 2008-01-17 2010-06-2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체 매립 박스용 결합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공동 현관기
KR101018337B1 (ko) 2010-06-21 2011-03-04 엄원선 팔레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44A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3346B1 (en) Size adjustable assemblable pallet
KR101774524B1 (ko)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US20050100253A1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assembly with a frame unit for supporting a machine body thereon
US20140035216A1 (en) Positioning structure and machining device using the same
JP5718416B2 (ja) テーブル装置
US9101073B2 (en) Server cabinet
JP6052854B2 (ja) 貯湯式給湯ユニット
JP6633007B2 (ja) 荷台装置
KR200493252Y1 (ko) 인덱스 가공기용 지그
CN218983661U (zh) 一种预埋钢板焊接辅助工装
CN105108722A (zh) 一种机械零部件摆放装置
JP6765317B2 (ja) 支持装置及び支持ユニット
KR101408222B1 (ko) 코일 적재 장치
CN105290818A (zh) 可调的斜楔固定基座
KR200485405Y1 (ko) 선박의 월 블록용 핀지그
CN108001867B (zh) 包装泡沫结构
SE1850225A1 (en) A corner element for a cage-like structure and a cage-like structure provided with such corner elements
US9452766B2 (en) Goods fixing structure for a trolley
KR20140056892A (ko) 선체 반목 지지장치
CN101742827B (zh) 电路板承载装置
US20140208988A1 (en) Pallet
CN109760919B (zh) 高承重铝制托盘
US20170182636A1 (en) Precision protection jig with fat u-shaped base
KR102133051B1 (ko)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CN103341836A (zh) 钢构件拼接预紧器及使用该预紧器连接分构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