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051B1 -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051B1
KR102133051B1 KR1020190015372A KR20190015372A KR102133051B1 KR 102133051 B1 KR102133051 B1 KR 102133051B1 KR 1020190015372 A KR1020190015372 A KR 1020190015372A KR 20190015372 A KR20190015372 A KR 20190015372A KR 102133051 B1 KR102133051 B1 KR 10213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installation
block body
block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양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양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양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작업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사이에 작업설치홈이 형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측에 위치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재료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블럭, 상기 해당 고정블럭에 거치된 재료의 상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 상기 각 고정편을 해당 고정블럭에 고정시켜 상기 재료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각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고정블럭을 작업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거치시킬 수 있어 용이한 가공은 물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processing flexible materials}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고정블럭을 작업대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유연성을 갖는 재료를 지지하며, 복수의 고정편에 의해 거치된 재료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고정시켜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작업시간을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회로기판의 제조는 기저층에 요구되는 패턴의 형성, 기저층의 보강을 위한 보강층의 형성, 연성회로기판의 사용시 고정을 위한 접착제와 이형지 등의 부가를 위한 공정 등 다수의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공정을 거치기 전 일정 형태나 사이즈로 절단되는 가공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한 장 또는 여러 장 적층된 상태로 고정된 후, 사전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의 가공에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444129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지그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복잡한 구성과 높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복수의 지지포스트와 이 지지포스트의 상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각 고정편 사이에 연성회로기판의 해당 일부를 고정시키고 있다.
이 지지포스트를 이용하는 방식은 안정적인 방식보다 불량 발생율이 현저하게 높지만, 이 불량발생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은 지지포스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 지지포스트를 이용하는 방식은 위치설정 등이 어려워 고정작업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성회로기판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되,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간단한 구성에 의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복수의 작업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사이에 작업설치홈이 형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측에 위치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재료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블럭, 상기 해당 고정블럭에 거치된 재료의 상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 상기 각 고정편을 해당 고정블럭에 고정시켜 상기 재료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각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재료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고정블럭을 작업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거치시킬 수 있어 용이한 가공은 물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작업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사이에 작업설치홈이 형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측에 위치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재료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블럭, 상기 해당 고정블럭에 거치된 재료의 상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 상기 각 고정편을 해당 고정블럭에 고정시켜 상기 재료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각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블럭은, 평평한 상면을 갖도록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블럭몸체, 상기 작업대와 접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면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블럭지지부, 및 상기 재료가 거치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상면보다 낮은 거치홈으로, 블럭몸체의 상단부의 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럭몸체는, 상기 각 블럭지지부를 지나는 연장선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면체이고, 상기 거치홈은,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1거치홈, 및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2거치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내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편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해 상기 제1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편을 블럭몸체에 고정시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판상의 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블럭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자성체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각 작업설치홈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작업프레임 측면 하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 설치이동홈,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1설치고정공을 갖고, 상기 설치이동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이동편, 상기 설치이동편의 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설치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2설치고정공과 제1설치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블럭몸체를 설치이동편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작업대에 블럭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작업설치홈에 상기 설치이동편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2설치고정공은 상기 각 블럭지지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설치볼트는 상기 각 제2설치고정공을 통해 해당 제1설치고정공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수단은, 자성을 갖고,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1설치수단, 및 설치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설치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수단은, 상기 블럭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자성체이다.
그리고 상기 제2설치수단은, 상기 각 작업설치홈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작업프레임 측면 하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 설치이동홈,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1설치고정공을 갖고, 상기 설치이동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이동편, 상기 설치이동편의 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설치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2설치고정공과 제1설치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블럭몸체를 설치이동편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작업대에 블럭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볼트,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에 의하면, 재료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고정블럭을 작업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거치시킬 수 있어 용이한 가공은 물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의 거치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의 거치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10)는 작업대(100)와 고정블럭(200), 고정편(300), 고정수단(400) 및 설치수단(500)을 포함한다.
작업대(100)는 복수의 작업프레임(110)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사이에 작업설치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블럭(200)은 작업대(100) 상측에 위치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재료(2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된다.
고정편(300)은 해당 고정블럭(200)에 거치된 재료의 상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고정수단(400)은 각 고정편(300)을 해당 고정블럭(200)에 고정시켜 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설치수단(500)은 각 고정블럭(200)을 작업대(100)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재료의 사이즈에 따라, 설치수단(500)을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블럭(200)을 작업대(100)에 설치한다.
이후, 재료를 거치시킨 다음,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각 고정편(300)을 해당 고정블럭(200)에 고정시킴에 따라 재료를 견고하게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재료에 대한 가공이 용이함은 물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고정블럭(2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몸체(210)와 블럭지지부(220) 및 거치부(230)를 포함한다.
블럭몸체(210)은 평평한 상면을 갖도록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블럭지지부(220)는 작업대(100)와 접하도록 블럭몸체(210)의 양측면 하단부에 돌출형성된다.
거치부(230)는 재료가 거치되도록 블럭몸체(21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거치부(230)는 블럭몸체(210)의 상면보다 낮은 거치홈(232)으로, 블럭몸체(210)의 상단부의 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몸체(210)는 각 블럭지지부(220)를 지나는 연장선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면체이다.
그리고 거치홈(232)은 제1거치홈(2322)과 제2거치홈(2324)을 포함한다.
제1거치홈(2322)은 블럭몸체(210)의 상단부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거치홈(2324)은 블럭몸체(210)의 상단부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수단(4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공(410)과 제2고정공(420) 및 고정볼트(430)를 포함한다.
제1고정공(410)은 내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블럭몸체(21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2고정공(420)은 장공으로, 제1고정공(410)에 대응되도록 고정편(300)에 형성된다.
고정볼트(430)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2고정공(420)을 통해 제1고정공(410)에 체결되어 고정편(300)을 블럭몸체(210)에 고정시켜 거치부(230)에 거치된 판상의 재료(2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설치수단(500)은 자성체(510)로, 블럭몸체(21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 자성체(510)는 블럭몸체(210)의 하단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재질의 작업프레임(110)에 견고하게 탈부착되어 재료를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500')은 설치이동홈(510')과 설치이동편(520'), 제2설치고정공(530') 및 설치볼트(540')를 포함한다.
설치이동홈(510')은 각 작업설치홈(120)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작업프레임(110) 측면 하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이동편(520')은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1설치고정공(522')을 갖고, 설치이동홈(5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설치고정공(530')은 장공으로, 설치이동편(520')의 제1설치고정공(522')에 대응되도록 블럭몸체(210)에 형성된다.
또한 설치볼트(540')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2설치고정공(530')과 제1설치고정공(522')에 체결되어 블럭몸체(210)를 설치이동편(520')에 고정시킴에 따라, 작업대(100)에 블럭몸체(210)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각 작업설치홈(120)에 설치이동편(520')이 복수 개 구비되고, 제2설치고정공(530')은 각 블럭지지부(220)에 각각 형성되며, 설치볼트(540')는 각 제2설치고정공(530')을 통해 해당 제1설치고정공(522')에 체결된다.
이에, 고정블럭(200)을 작업대(100)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재료를 용이하게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어 재료의 가공 정밀도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설치수단(500")은 제1설치수단(510")과 제2설치수단(520")을 포함한다.
이에 앞서, 작업대(1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1설치수단(510")은 자성을 갖고, 고정블럭(200)을 작업대(10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1설치수단(510")은 블럭몸체(2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자성체(512")이다.
또한 제2설치수단(520")은 설치볼트(540')를 이용하여 고정블럭(200)을 작업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설치수단(520")은 설치이동홈(522")과 설치이동편(524"), 제2설치고정공(526") 및 설치볼트(528")를 포함한다.
설치이동홈(522")은 각 작업설치홈(120)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작업프레임(110) 측면 하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이동편(524")은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1설치고정공(525")을 갖고, 설치이동홈(5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설치고정공(526")은 장공으로, 설치이동편(524")의 제1설치고정공(525")에 대응되도록 블럭몸체(210)에 형성된다.
또한 설치볼트(528")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2설치고정공(526")과 제1설치고정공(525")에 체결되어 블럭몸체(210)를 설치이동편(524")에 고정시킴에 따라, 작업대(100)에 블럭몸체(2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재료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복수의 지지블럭(200)을 작업대(10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안정된 고정력에 의해 가공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10 : 고정장치 100 : 작업대
200 : 고정블럭 300 : 고정편
400 : 고정수단 500, 500', 500" : 설치수단

Claims (8)

  1. 복수의 작업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사이에 작업설치홈이 형성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측에 위치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재료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블럭;
    상기 해당 고정블럭에 거치된 재료의 상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
    상기 각 고정편을 해당 고정블럭에 고정시켜 상기 재료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각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은,
    평평한 상면을 갖도록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블럭몸체;
    상기 작업대와 접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양측면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블럭지지부; 및
    상기 재료가 거치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블럭몸체의 상면보다 낮은 거치홈으로, 블럭몸체의 상단부의 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내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편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해 상기 제1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편을 블럭몸체에 고정시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판상의 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는,
    상기 각 블럭지지부를 지나는 연장선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면체이고,
    상기 거치홈은,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1거치홈; 및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제2거치홈;을 포함하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블럭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각 작업설치홈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작업프레임 측면 하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 설치이동홈;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1설치고정공을 갖고, 상기 설치이동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이동편;
    상기 설치이동편의 제1설치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제2설치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2설치고정공과 제1설치고정공에 체결되어 상기 블럭몸체를 설치이동편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작업대에 블럭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볼트;를 포함하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수단은,
    자성을 갖고,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1설치수단; 및
    설치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설치수단;을 포함하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KR1020190015372A 2019-02-11 2019-02-11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KR10213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72A KR102133051B1 (ko) 2019-02-11 2019-02-11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72A KR102133051B1 (ko) 2019-02-11 2019-02-11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051B1 true KR102133051B1 (ko) 2020-07-10

Family

ID=7160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72A KR102133051B1 (ko) 2019-02-11 2019-02-11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0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995A (ja) * 1998-01-09 1999-07-30 Fuji Mach Mfg Co Ltd プリント基板支持方法および電気部品装着方法
KR2006008816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메디코아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유니버설 픽스쳐
JP2013117097A (ja) * 2011-12-01 2013-06-13 Fuji Pureamu 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カーポート
JP2014045057A (ja) * 2012-08-27 2014-03-13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KR101775402B1 (ko) * 2015-08-25 2017-09-19 (주)가우디 광패널 설치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995A (ja) * 1998-01-09 1999-07-30 Fuji Mach Mfg Co Ltd プリント基板支持方法および電気部品装着方法
KR2006008816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메디코아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유니버설 픽스쳐
JP2013117097A (ja) * 2011-12-01 2013-06-13 Fuji Pureamu 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カーポート
JP2014045057A (ja) * 2012-08-27 2014-03-13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
KR101775402B1 (ko) * 2015-08-25 2017-09-19 (주)가우디 광패널 설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15734A1 (en) Clamping device and washing device using same
JP2004165656A (ja) 基板用カセット
KR102251479B1 (ko)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KR102128618B1 (ko)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밀착형 고정장치
TWI431713B (zh) Stage device
KR102133051B1 (ko) 유연성을 갖는 재료의 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KR101470201B1 (ko) 전자부품 도포장치용 리드프레임 지지장치
KR20120009116A (ko)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방법
JP2007331877A (ja) エレベーターのたて枠構造
CN210210087U (zh) 一种通用型治具
CN210711725U (zh) 一种定位治具以及通用型镀膜定位工装
CN205571798U (zh) 楼承板框架焊接工作台
KR101578876B1 (ko) 기판이송용 로봇핸드
KR102394018B1 (ko) 스프링 캐리어
US8832956B2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with distance detecting mechanism
KR101327189B1 (ko) Pcb소자 분리용 컷팅지그
KR20110086202A (ko)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US11924973B2 (en) Clamp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apparatus
KR100497730B1 (ko) 지그를 이용한 다극자석배열 조립구조
KR101408222B1 (ko) 코일 적재 장치
KR101120439B1 (ko) 액정 노광 장치
KR101774524B1 (ko)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JP6331701B2 (ja) ツールホルダ及び溝加工装置
KR20100018270A (ko) 자석 부착용 플레이트 구조와 상기 플레이트 구조의 자석부착 방법
CN216991495U (zh) 一种电极加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