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74Y1 - 자체 발열 용기 - Google Patents

자체 발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74Y1
KR200472174Y1 KR2020130002068U KR20130002068U KR200472174Y1 KR 200472174 Y1 KR200472174 Y1 KR 200472174Y1 KR 2020130002068 U KR2020130002068 U KR 2020130002068U KR 20130002068 U KR20130002068 U KR 20130002068U KR 200472174 Y1 KR200472174 Y1 KR 200472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coupled
inner contai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훈
Original Assignee
남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훈 filed Critical 남종훈
Priority to KR2020130002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 일측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을 개폐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를 가지며, 상단에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외부 플랜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외부 용기 하면과 이격되고, 상단에 "ㄱ"자 형태로, 측면과 직교하는 수평부 및 측면과 평행한 수직부를 가진 내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 플랜지의 수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플랜지를 "ㄷ"자 형태로 감싸는 경우 외부 용기 상에 고정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플랜지 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용기 상에 상기 내부 용기의 결합 시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에는 각각 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가 일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하면, 음식물을 데우기 위하여 전원의 인가나 불을 피울 필요가 없으므로, 화재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어 등산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밀폐링에 의해 밀폐한 후 고정링을 이용하여 외부 용기에 대해 내부 용기를 고정함으로써 발열 온도를 높이고 고압에 이르게 할 수 있어 빠른 음식물의 조리 및 보온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력 조절구에 의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의 내부 공간에 대해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 발열 용기{EXOTHERMIC CONTAINER ITSELF}
본 고안은 발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내의 음식물을 전원의 인가나 불의 사용 없이도 조리할 수 있는 자체 발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온도가 낮은 동절기 또는 혹한기에 등산이라든지 낚시, 운동 등의 레저활동 또는 경비 등과 같은 건물이나 특정한 시설물의 관리, 또는 훈련 등과 같은 특정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커피 등의 음료수가 필요하거나, 라면 등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온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는 경우에도 대기 온도에 따라 분유를 타기 위해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가 필요하거나 우유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적정한 온도의 음료를 얻거나, 분유 또는 우유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휴대형 버너 등의 가열 수단이 필요하지만, 예컨대 레저활동이나 특정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그러한 가열수단을 별도로 휴대하기는 상당한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레저활동의 장소에 따라서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염려하여 가열수단의 휴대를 금지하고 있다.
더구나, 유아를 동분하여 외출하는 경우에는 실제 가열수단을 휴대하기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 때문에,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는 경우라든지 레저활동 또는 특수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소위 '보온병'에 적정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 또는 우유를 저장하여 휴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보온병에 저장된 온수 또는 우유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온도의 변화가 발생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저장 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등의 변질 가능성을 배제하게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로부터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간편하게 음료의 가열이 가능하거나 인스턴트 식품의 조리라든지 음용을 위한 온수를 얻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등록특허 제10-0961458호 공개특허 제10-2008-0109153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염려없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자체 발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측면 일측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을 개폐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를 가지며, 상단에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외부 플랜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외부 용기 하면과 이격되고, 상단에 "ㄱ"자 형태로, 측면과 직교하는 수평부 및 측면과 평행한 수직부를 가진 내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 플랜지의 수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플랜지를 "ㄷ"자 형태로 감싸는 경우 외부 용기 상에 고정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플랜지 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용기 상에 상기 내부 용기의 결합 시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에는 각각 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가 일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외부 플랜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플랜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면의 연장선 및 측면에 대응되는 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자체 발열 용기에 의하면, 음식물을 데우기 위하여 전원의 인가나 불을 피울 필요가 없으므로, 화재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어 등산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밀폐링에 의해 밀폐한 후 고정링을 이용하여 외부 용기에 대해 내부 용기를 고정함으로써 발열 온도를 높이고 고압에 이르게 할 수 있어 빠른 음식물의 조리 및 보온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력 조절구에 의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의 내부 공간에 대해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발열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체 발열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자체 발열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발열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체 발열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Ⅰ-Ⅰ′선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체 발열 용기는 외부 용기(110)와, 밀폐링(150)과, 내부 용기(120)와, 압력 조절구(140) 및 뚜껑(13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측면 일측에 공기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단에 복수개의 외부 플랜지(11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 플랜지(112)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부 플랜지(112)는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으며, "ㄱ"자 형태로 하면의 연장선 및 측면에 대응되는 면을 가질 수도 있다.
외부 용기(110)의 측면 타측 상부에는 손잡이(111)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11)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며, "ㄴ"자가 180도 회전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ㄴ"자 중 수직한 부분이 외부 용기(110)에 힌지 결합되고, 수평한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111)는 회전에 의해 외부 용기(110)의 측면에 평행하게 접혀 그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외부 용기(110) 내에 배치되되, 하면이 외부 용기(110)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부 용기(120) 상단에 형성된 내부 플랜지(121)가 외부 용기(110) 상단의 외부 플랜지(112) 상에 안착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내부 플랜지(121)는 내부 용기(120)의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측면과 직교하는 수평부 및 측면과 평행한 수직부를 가진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플랜지(121)의 수직부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플랜지(112)를 "ㄷ"자 형태로 감싸는 경우 외부 용기(110) 상에 고정된다.
즉, 내부 용기(120)가 외부 용기(110) 상에 안착 시 외부 용기(110)의 외부 플랜지(112) 사이에 내부 플랜지(121)의 걸림턱(122) 부분을 배치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턱(122)과 외부 플랜지(112)가 중첩되면서 걸림턱(122)이 외부 플랜지(112)에 걸쳐져 내부 용기(120)가 외부 용기(1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밀폐링(150)은 내부 용기(120)의 내부 플랜지(121) 내부에 결합되어 내부 용기(120)와 외부 용기(110)가 결합 시 내부 용기(120)와 외부 용기(110) 사이를 밀폐하여 외부와 차단한다.
한편, 내부 플랜지(121)의 수직부에는 "ㄴ"자 형태의 손잡이(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시 "ㄴ"자 중 수평 부분이 내부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에 중첩 배치되어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구(140)는 탄성 재질로, 외부 용기(110)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내부 압력에 의해 공기 배출홀을 개폐한다.
여기서, 압력 조절구(1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뚜껑(130)은 내부 용기(120) 상에 안착되어 내부 용기(120)를 폐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자체 발열 용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먼저 외부 용기(110) 내에 물 및 종래 기술로 물과 접촉한 경우 발열하는 발열팩(미도시)을 넣는다.
다음으로, 외부 용기(110) 상에 내부 용기(120)를 안착시킨 후 내부 용기(120)를 외부 용기(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 플랜지(112)가 내부 플랜지(121) 사이에 삽입되게 하여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 사이의 압력 상승 시에도 내부 용기(120)가 외부 용기(1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발열팩에 의한 발열 시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 사이의 공간에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공기 배출홀에 삽입된 탄성 재질의 압력 조절구(140)가 외측으로 밀려 공기 배출홀의 배출 경로가 개방됨으로써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 사이의 공간에 내부 압력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은 밀폐링(150)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내부 압력의 배출 경로를 공기 배출홀로 단일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자체 발열 용기에 의하면, 음식물을 데우기 위하여 전원의 인가나 불을 피울 필요가 없으므로, 화재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어 등산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 사이를 밀폐링(150)에 의해 밀폐한 후 걸림턱(122)과 외부 플랜지(112)의 결합에 의해 외부 용기(110)에 대해 내부 용기(120)를 고정함으로써 발열 온도를 높이고 고압에 이르게 할 수 있어 빠른 음식물의 조리 및 보온 유지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력 조절구(140)에 의하여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기(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대해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10... 외부 용기
111... 손잡이
112... 외부 플랜지
120... 내부 용기
121... 내부 플랜지
122... 걸림턱
123... 손잡이
130... 뚜껑
140... 압력 조절구
150... 밀폐링

Claims (4)

  1. 측면 일측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배출홀을 개폐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를 가지며, 상단에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되,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외부 플랜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 내에 배치되되, 하면이 상기 외부 용기 하면과 이격되고, 상단에 "ㄱ"자 형태로, 측면과 직교하는 수평부 및 측면과 평행한 수직부를 가진 내부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 플랜지의 수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플랜지를 "ㄷ"자 형태로 감싸는 경우 외부 용기 상에 고정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플랜지 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용기 상에 상기 내부 용기의 결합 시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에는 각각 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는 "ㄴ"자가 일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부 플랜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랜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면의 연장선 및 측면에 대응되는 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발열 용기.
KR2020130002068U 2013-03-20 2013-03-20 자체 발열 용기 KR200472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68U KR200472174Y1 (ko) 2013-03-20 2013-03-20 자체 발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68U KR200472174Y1 (ko) 2013-03-20 2013-03-20 자체 발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174Y1 true KR200472174Y1 (ko) 2014-04-11

Family

ID=5148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68U KR200472174Y1 (ko) 2013-03-20 2013-03-20 자체 발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07A1 (ko) * 2017-09-15 2019-03-21 박현옥 휴대용 조리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KR200453713Y1 (ko) * 2010-11-24 2011-05-23 전상민 자체 발열 용기
KR20110137500A (ko) * 2010-06-17 2011-12-23 우승군 화학발열체용 이중 압력 용기
KR20120006935U (ko) * 2011-03-30 2012-10-10 황택연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 조리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KR20110137500A (ko) * 2010-06-17 2011-12-23 우승군 화학발열체용 이중 압력 용기
KR200453713Y1 (ko) * 2010-11-24 2011-05-23 전상민 자체 발열 용기
KR20120006935U (ko) * 2011-03-30 2012-10-10 황택연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 조리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07A1 (ko) * 2017-09-15 2019-03-21 박현옥 휴대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17755A (zh) 微波用鎖濕蓋
US9435567B2 (en) Heating container
KR200467604Y1 (ko)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 조리 용기
KR200472174Y1 (ko) 자체 발열 용기
KR200453713Y1 (ko) 자체 발열 용기
JP4286289B2 (ja) 液体加熱容器
KR20140064086A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CN106473600B (zh) 一种电热全真空保温水壶
KR20130006020U (ko) 이중용기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101374133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101480165B1 (ko) 온도 설정이 가능한 자체 발열 용기
KR20120057475A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이중뚜껑 조리용기
WO2015139214A1 (zh) 户外加热保温杯
CN206453666U (zh) 压力锅的热锅合盖结构
US20160287012A1 (en) Portable heating container
CA2784239A1 (en) Portable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CN206007144U (zh) 一种可靠背的马桶盖
KR101560974B1 (ko)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KR200448979Y1 (ko) 조리용기용 열기 저장 뚜껑
KR200455747Y1 (ko) 컵라면 용기
JP3132029U (ja) 携帯用簡易加熱器
US416711A (en) Culinary utensil
KR101712398B1 (ko) 필터가 장착된 발열 용기
KR200475238Y1 (ko) 중탕용기 안착용 받침대를 갖는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