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747Y1 - 컵라면 용기 - Google Patents

컵라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47Y1
KR200455747Y1 KR2020110005685U KR20110005685U KR200455747Y1 KR 200455747 Y1 KR200455747 Y1 KR 200455747Y1 KR 2020110005685 U KR2020110005685 U KR 2020110005685U KR 20110005685 U KR20110005685 U KR 20110005685U KR 200455747 Y1 KR200455747 Y1 KR 200455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hopsticks
ho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지
Original Assignee
이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지 filed Critical 이수지
Priority to KR2020110005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41Pull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본체 내에 채워지는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젓가락을 용이하게 임시보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면과 분말스프를 내장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며 테두리면의 일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젓가락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는 용기본체의 외주면에는 젓가락을 지지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수증기와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은 쉽게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뚜껑을 잡고 있거나, 편평한 물체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컵라면 용기{BAWL FOR INSTANT NOODLE}
본 고안은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본체 내에 채워지는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젓가락을 용이하게 임시보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용기는 용기본체 내부에 면과 분말 수프가 내장되며 상부에는 용기뚜껑으로 밀봉된 상태로써, 사용시 용기뚜껑을 개방하여 뜨거운 물을 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리가 완료된다. 즉 뜨거운 물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러한 컵라면 용기는 간편한 한끼 식사로 충족시킬 수 있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가 용이하므로 야외활동시 많이 이용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스티로폼 또는 종이 재질로 성형된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용기뚜껑(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2)에는 상기 용기본체(1)로부터 용기뚜껑(2)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뜨거운 물을 붓고난 후 다시 용기본체(1)를 덮을 수 있도록 돌출된 구조의 손잡이부(2a)가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용기뚜껑(2)을 일부 개봉한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붓고 다시 용기뚜껑(2)의 손잡이부(2a)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용기본체(1) 내부의 뜨거운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2)이 쉽게 개방된다. 따라서, 소바자들은 용기뚜껑(2)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을 이용하여 용기뚜껑(2)과 용기본체(1)를 동시에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일정 시간동안 용기뚜껑(2)을 누르고 있는 것을 대신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의 개구부 직경보다 넓은 평편한 물체를 용기뚜껑(2)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야외에서는 이러한 평편한 물체를 찾는 것이 쉽지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본체 내에 채워지는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젓가락을 용이하게 임시보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면과 분말스프를 내장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며 테두리면의 일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젓가락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는 용기본체의 외주면에는 젓가락을 지지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홀더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의 결합공은 내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합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이격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젓가락이 세워지는 상태로 임시 보관하는 보조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끼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 대하여 일단이 직각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젓가락이 끼워지는 끼움공을 형성한 끼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편은 용기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에는 젓가락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는 용기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젓가락을 지지하는 고정홀더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수증기와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은 쉽게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뚜껑을 잡고 있거나, 편평한 물체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젓가락을 세우는 상태로 임시 보관하는 보조 끼움부를 형성함으로써, 소비자가 라면을 먹는 것을 잠깐 멈추고 다른 일을 볼때, 사용중이던 젓가락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면과 분말스프를 내장하는 공간부(101)를 형성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공간부(101)를 밀폐시키며 테두리면의 일부에는 손잡이부(210)를 형성한 용기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210)에는 젓가락(A)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1)과 대향하는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젓가락(A)을 지지하는 고정홀더(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젓가락(A)이 관통홀(211)과 고정홀더(1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수증기와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200)이 쉽게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뚜껑(200)이 개방되지 않도록 손을 이용하여 잡고 있거나, 편평한 물체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홀더(110)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결합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111)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참조).
이는, 상기 고정홀더(110)의 결합공(111)에 끼워진 젓가락(A)이 완전히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110)의 결합공(111)은 내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합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이격시켜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컵라면을 먹기전 포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홀더(11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어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면에는 상기 젓가락(A)이 세워지는 상태로 임시 보관하는 보조 끼움부(120)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끼움부(120)는 소비자가 라면을 먹는 것을 잠깐 멈추고 다른 일을 볼때, 사용중이던 젓가락(A)을 유동 없이 세워지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야외에서 라면을 먹던 소비자가 잠깐 자리를 비울 경우, 사용중이던 젓가락(A)을 대부분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눕혀놓은 상태로 두거나, 젓가락(A)을 그대로 용기본체(100)에 꽂아 둔채 자리를 비우게 된다. 이때, 바람이 불게 되면 상기 용기본체(100)에 눕혀놓은 젓가락(A)은 지면으로 쉽게 떨어지게 되고, 용기본체(100)에 꽂아 둔 젓가락은 경사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파지할 부분에 라면의 국물이 묻게 된다.
즉, 상기 보조 끼움부(12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끼움부(12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면에 대하여 일단이 직각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젓가락(A)이 끼워지는 끼움공(121a)을 형성한 끼움편(1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편(121)은 용기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122)에 수용된다.
물론, 상기 보조 끼움부(120)를 사용하지 않고 앞서 전술한 고정홀더(110)에 젓가락(A)을 끼우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소정 깊이의 공간부(101)를 형성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공간부(101)를 밀폐시키는 상태로 마감하는 용기뚜껑(200)은 공통적인 구성요소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210)에는 젓가락(A)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2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1)과 대향하는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젓가락(A)을 지지하는 고정홀더(110)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수증기와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200)은 쉽게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뚜껑(200)을 잡고 있거나, 편평한 물체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면에는 상기 젓가락(A)을 세우는 상태로 임시 보관하는 보조 끼움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소비자가 라면을 먹는 것을 잠깐 멈추고 다른 일을 볼때, 사용중이던 젓가락(A)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용기본체
101 : 공간부
110 : 고정홀더
111 : 결합공
120 : 보조 끼움부
200 : 용기뚜껑
210 : 손잡이부
211 : 관통홀
A : 젓가락

Claims (5)

  1. 면과 분말스프를 내장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부를 밀폐시키며 테두리면의 일부에는 손잡이부를 형성한 용기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젓가락이 관통하는 상태로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는 용기본체의 외주면에는 젓가락을 지지하는 고정홀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의 결합공은 내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합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이격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젓가락이 세워지는 상태로 임시 보관하는 보조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끼움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 대하여 일단이 직각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젓가락이 끼워지는 끼움공을 형성한 끼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편은 용기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
KR2020110005685U 2011-06-22 2011-06-22 컵라면 용기 KR200455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85U KR200455747Y1 (ko) 2011-06-22 2011-06-22 컵라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85U KR200455747Y1 (ko) 2011-06-22 2011-06-22 컵라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747Y1 true KR200455747Y1 (ko) 2011-09-27

Family

ID=4508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85U KR200455747Y1 (ko) 2011-06-22 2011-06-22 컵라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54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농심 즉석 식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765U (ja) 1984-02-25 1985-09-14 丹羽 孝雄 即席メンの容器とその紙ブタ
KR200418975Y1 (ko) 2006-04-06 2006-06-14 이윤영 컵라면
KR100847645B1 (ko) 2007-02-16 2008-07-21 이창렬 즉석라면용기
KR20090004804U (ko) * 2007-11-16 2009-05-20 홍은진 컵라면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765U (ja) 1984-02-25 1985-09-14 丹羽 孝雄 即席メンの容器とその紙ブタ
KR200418975Y1 (ko) 2006-04-06 2006-06-14 이윤영 컵라면
KR100847645B1 (ko) 2007-02-16 2008-07-21 이창렬 즉석라면용기
KR20090004804U (ko) * 2007-11-16 2009-05-20 홍은진 컵라면 용기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54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농심 즉석 식품 용기
KR101691732B1 (ko) * 2015-05-20 2016-12-30 주식회사농심 즉석 식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8723S1 (en) Beverage vessel with lid
DK2361206T3 (da) Kapsel til indeholdelse af drikkevareingredienser
CN204071527U (zh) 杯子
KR20120002910U (ko) 분유용 용기
KR200455747Y1 (ko) 컵라면 용기
RU2492624C2 (ru) Автономный непроливающийся держатель для букета цветов
CN206414105U (zh) 即配即饮式便携伸缩杯
CN204038211U (zh) 定量取茶茶叶罐
CN204467652U (zh) 便携式套装组合茶具
CN205963685U (zh) 一种多功能的玻璃茶杯
US20150047255A1 (en) Cut Tree Watering Stand Device
CN209499374U (zh) 一种双杯盖的茶杯
CN206761270U (zh) 一种方便泡茶的杯子
JP3197073U (ja) ドリップ具
CN216270828U (zh) 一种新型茶叶罐盖子
CN202776014U (zh) 一种调味罐
CN208048554U (zh) 一种便携式保温杯
CN216534803U (zh) 一种便于携带的防漏水杯
TWM572179U (zh)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CN203059158U (zh) 多功能茶壶
CN209106850U (zh) 一种便携式茶具
CN203873562U (zh) 一种新型煮蛋器
CN208709614U (zh) 一种可拆卸的双层保温壶
CN206576686U (zh) 一种杯盖可拆洗的保温杯
CN203318967U (zh) 一次性杯底封盖带搅拌棒便利包装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