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83Y1 - 도너츠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너츠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83Y1
KR200471083Y1 KR2020120002251U KR20120002251U KR200471083Y1 KR 200471083 Y1 KR200471083 Y1 KR 200471083Y1 KR 2020120002251 U KR2020120002251 U KR 2020120002251U KR 20120002251 U KR20120002251 U KR 20120002251U KR 200471083 Y1 KR200471083 Y1 KR 200471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ugh
donut
shaf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89U (ko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이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기 filed Critical 이정기
Priority to KR2020120002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21B5/085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for applying oil to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2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the shape being toroid-like, e.g. bagels,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1Making continuous filled tubular products, e.g. with subsequent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너츠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너츠 반죽을 성형틀과 튀김기를 통하여 제조하는 도너츠에 있어서, 기존의 도너츠 성형틀을 주축과 가이드축으로 작동하여 성형하고, 주축과 가이드축을 링크암 방식과 베벨기어를 통해 작동시키며, 각각 순차적으로 도너츠가 이송되도록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너츠 반죽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도너츠 제조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제조기(10)는 케이스(21) 일측 끝에 이송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모터(140)에 체인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체인기어(131)에 측면에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는 이송체인(130)이 결합되는 이송부(100); 상기 케이스(21) 일측면에 고정부재(16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63) 에 회전축(164)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반죽통(210)이 구비되는 성형부(200);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구동케이스(3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케이스(320) 일측면에 구동부 고정판(321)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케이스(320) 타측면에 반죽량 조절기(340)가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이송모터(140)와 성형부(200)의 동시 작동과 반죽량 조절기(34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 일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어부(400); 상기 케이스(2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틀(2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기름 온도를 높여주기 위해 제어부(400)에서 케이스(21) 내부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히터(3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도너츠를 이송하는 서보모터에 링크되어 반죽통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재시 제어부의 입력된 지정 수량 만큼만 작업이 되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공하며, 베벨기어와 링크방식을 이용하여 주축과 가이드 축을 작동함으로 반죽통에서 반죽이 쉽게 배출되고, 주축과 가이드축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반죽 배출구에 반죽이 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도너츠가 각각 이송되어 이동시 서로 붙지않으며, 이동시 밀리지 않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도너츠의 튀김이 완료된 후 자동으로 기름이 빠져 외부로 배출되어 작업장의 기름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도너츠 제조장치{THE DOUGHNUT MACHINE}
본 고안은 도너츠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너츠 반죽을 성형틀과 튀김기를 통하여 제조하는 도너츠에 있어서, 기존의 도너츠 성형틀을 주축과 가이드축으로 작동하여 성형하고, 주축과 가이드축을 링크암 방식과 베벨기어를 통해 작동시키며, 각각 순차적으로 도너츠가 이송되도록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너츠 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빵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대량의 도너츠를 반죽기에 넣고 반죽분할기를 통해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사출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도너츠를 동시에 분할하게 함과 동시에 기름탱크에 투입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을 대신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반죽분할기가 고가이며, 규모가 커서 소규모의 제과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도너츠를 반죽하여 기름에 튀기게 된다.
이때, 기름에 튀김에 따라 작업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소량의 도너츠를 생산함으로 작업시간에 비해 생산량이 부족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에이포트코리아 주식회사에서 공개특허공보 10-2003-0095856 도너츠 후라이기의 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상기의 기술은 연속적으로 링형의 도너츠를 분할성형하며, 성형된 도너츠의 상, 하면을 후라잉 기름상에서 차례로 뒤집어서 작업을 기계적으로 작업함으로 완료된 도너츠를 보관함으로 이동시켜 작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의 도너츠 후라이기는 성형기에서 낙하되는 링형의 반죽이 회전날개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기름을 밀어내어 반죽이 기름의 방향으로 흘러 이동되게되며, 중간과 끝에 뒤집개가 구비되어 일부 뒤집어 주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반죽이 이동될 때에 회전날개를 통한 기름이 작업자에게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동시 배출되는 배출구가 뒤집개로 뒤집어 넘김으로 작업 주변에 기름이 떨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이동시 안전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성형시 반죽이 용이하게 성형됨과 동시에 이동시 각각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작업의 완료시 기름이 자동으로 빠져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너츠를 이송하는 이송모터에 링크되어 반죽통이 좌우로 움직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베벨기어와 링크방식을 이용하여 주축과 가이드 축을 작동함으로 반죽이 반죽통에서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죽통에서 배출되어 기름에 튀겨질 때, 도너츠가 각각 이송되어 도너츠가 서로 붙지않고, 순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도너츠의 튀김이 완료된 후 자동으로 기름이 빠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너츠 반죽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도너츠 제조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제조기(10)는 케이스(21) 일측 끝에 이송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모터(140)에 체인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체인기어(131)에 측면에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는 이송체인(130)이 결합되는 이송부(100); 상기 케이스(21) 일측면에 고정부재(16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63) 에 회전축(164)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반죽통(210)이 구비되는 성형부(200);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구동케이스(3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케이스(320) 일측면에 구동부 고정판(321)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케이스(320) 타측면에 반죽량 조절기(340)가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이송모터(140)와 성형부(200)의 동시 작동과 반죽량 조절기(34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 일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어부(400); 상기 케이스(2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틀(2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기름 온도를 높여주기 위해 제어부(400)에서 케이스(21) 내부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히터(3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21) 내부가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대(1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대(110)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이송체인(130)이 구비되어 이송되며, 이송되는 도너츠를 뒤집기 위한 뒤집개(17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1) 일측 상단과 하단에 기름을 배출하기 위해 제2이송바(1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반죽통(210)을 좌우로 회전하기 위해 케이스(21) 일측면에 롤러(12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20)는 이송모터(140) 축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120)에 회전판(16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160) 일측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구비되며, 회전축(164)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힌지(162)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반죽통 (210) 하단 배출구는 성형틀(220)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틀(220) 내부에 가이드틀(2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틀(240) 내부에 주축틀(230)이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210)과 성형틀(220)이 고정핀(221)으로 결합되며, 주축(370)과 가이드축(371)이 흔들리지 않도록 반죽통 상측 중앙에 반죽통 고정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케이스(320) 내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작동바(380)와 제2작동바(3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바(380) 일측에 가이드축 고정부재(3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바(381) 일측에 주축 고정부재(36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축 고정부재(360)에 가이드 축(371)이 고정되며,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주축(370)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축(371)이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 감속모터(310)가 구비되며, 상기 감속모터(310) 타측에 거리센서(311)가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서 하측면으로 관통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하측 내에 구동축(330)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330) 일측에 거리센서(311)가 센싱하도록 상기 거리센서(311)의 대응방향에 센서부재(331)가 구비되고, 감속모터(310)의 회전을 구동축(330)에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3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도너츠를 이송하는 이송모터에 링크되어 반죽통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재시 제어부의 입력된 지정 수량 만큼만 작업이 되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베벨기어와 링크방식을 이용하여 주축과 가이드 축을 작동함으로 반죽통에서 반죽이 쉽게 배출되고, 주축과 가이드축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반죽 배출구에 반죽이 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너츠가 각각 이송되어 이동시 서로 붙지않으며, 이동시 밀리지 않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도너츠의 튀김이 완료된 후 자동으로 기름이 빠져 외부로 배출되어 작업장의 기름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 도너츠 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도너츠 제조장치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도너츠 제조장치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너츠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으로는 전체를 구성하는 제조기(10)와 상기 제조기(10)를 크게 이송부(100), 성형부(200), 구동부(300), 제어부(400)로 나뉘며, 부수적으로 케이스 고정틀(20), 케이스(21), 히터(3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너츠 반죽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도너츠 제조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제조기(10)는 케이스(21) 일측 끝에 이송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모터(140)에 체인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체인기어(131)에 측면에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는 이송체인(130)이 결합되는 이송부(100); 상기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으로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부재(16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63) 에 회전축(164)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반죽통(210)이 구비되는 성형부(200);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구동케이스(3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케이스(320) 일측면에 구동부 고정판(321)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케이스(320) 타측면에 반죽량 조절기(340)가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이송모터(140)와 성형부(200)의 동시 작동과 반죽량 조절기(34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 일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어부(400); 상기 케이스(2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틀(2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기름 온도를 높여주기 위해 제어부(400)에서 케이스(21) 내부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히터(3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21) 내부가 뜨거운 기름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측벽 간의 고정대(11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1) 진행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110)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이송체인(13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체인(1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인기어(1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기어(131)는 케이스(21) 일측 상단에 구비되는 이송모터(140)에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이송체인(130)은 양측으로 구비되며, 이송체인(130) 간의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는 이송체인(130)의 끝나는 부분에 사선방향으로 이송체인(130)이 체인기어(131)에 결합된다.
상기 사선으로 형성되는 이송체인(130) 양측 사이에 제2이송바(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바(151)는 도너츠 제조의 마지막 공정으로 이송될 때에 기름이 빠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반죽통(210)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케이스(21) 일측면에 롤러(12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120)는 이송모터(140)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롤러(120)의 회전으로 롤러(120)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판(160)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판(160) 일측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힌지(162) 결합되어 반죽통(210)에 결합된 회전축(164)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모터(140)의 회전으로 회전축 작동바(161)가 움직이게 되며, 회전축 작동바(161)의 작동으로 회전축(164)이 움직이게 되어 상기 회전축(164)과 연결된 반죽통(210)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부(200)는 반죽통(210)과 성형틀(220), 가이드틀(240), 주축틀(230), 고정핀(221), 반죽통 고정부재(250) 이루어지며, 도 3에서 반죽통(210) 하단 배출구에 성형틀(220)이 구비되며, 상기 반죽통(210)과 성형틀(220)은 고정핀(221)으로 결합된다.
또한, 반죽통(210)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틀(240)은 상면에 가이드 축(371)과 결합되며, 주축틀(230)은 주축(370)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반죽통(210) 상측 중앙에 주축(370)과 가이드축(371)의 작동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반죽통 고정부재(250)가 구비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케이스(320) 내부에서 일측으로 제1작동바(380)와 제2작동바(381)가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바(380) 일측에 가이드축 고정부재(3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바(381) 일측에 주축 고정부재(36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축 고정부재(360)에 가이드 축(371)이 고정되며,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주축(370)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371)이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축(371)이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작동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 감속모터(310)가 구비되며, 상기 감속모터(310) 타측에 거리센서(311)가 구비된다.
상기 거리센서(311)는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서 하측면으로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하측 내에 구동축(33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330)의 일측에 거리센서(311)에서 센싱이 가능하도록 거리센서(311)의 대응되는 방향에 센서부재(331)가 구비된다.
따라서, 거리센서(311)와 센서부재(331)에 의해 구동축(330)이 한바퀴만 돌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속모터(310)의 회전을 구동축(330)에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332)가 구비되며, 구동케이스(320) 내부에 링크방식으로 이루어져 제1작동바(380)와 제2작동바(381)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100), 성형부(200), 구동부(300), 제어부(400)에 대해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도면을 참고하여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모터(140)의 회전력이 이송체인(130)을 작동시키며, 이송모터(140) 축에 연결되는 롤러(120)가 회전하고, 상기 롤러(120) 일측에 회전판(16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60)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 작동바(161)는 회전축(164)과 힌지(162) 결합되며, 회전판(160)의 회전시 회전축(164)과 결합 된 반죽통(210)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구동케이스(320) 일측으로 구비되는 감속모터(310)의 작동으로 베벨기어(332)와 구동케이스(320) 내부의 링크방식으로 구동축(330)이 회전하고, 제1,2작동바(380,381)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반죽통(210) 내의 반죽을 성형틀(220)과 가이드틀(240), 주축틀(230)로 인해 도너츠 반죽이 케이스(21) 내부로 낙하되며, 기름에 의해 튀겨질 때에 제1이송바(150)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바(150)에 의해 튀겨져 이동될 때에 뒤집개(170)에 의해 자동 뒤집어지며, 제2이송바(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이송바(151)에서 기름이 자동으로 빠지게 된다.
또한, 이송모터(140)와 감속모터(310)의 제어는 제어부(400) 작업자가 입력하게 되며, 이송모터(140)의 작업이 완료된 후 감속모터(310)가 작동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10 : 제조기 20 : 케이스 고정틀
21 : 케이스 30 : 히터
100 : 이송부 110 : 고정대
120 : 롤러 130 : 이송체인
131 : 체인기어 140 : 이송모터
150 : 제1이송바 151 : 제2이송바
160 : 회전판 161 : 회전축 작동바
162 : 힌지 163 : 고정부재
164 : 회전축 170 : 뒤집개
200 : 성형부 210 : 반죽통
220 : 성형틀 221 : 고정핀
230 : 주축틀 240 : 가이드틀
250 : 반죽통 고정부재
300 : 구동부 310 : 감속모터
311 : 거리센서 320 : 구동케이스
321 : 구동부 고정판 330 : 구동축
331 : 센서부재 332 : 베벨기어
340 : 반죽량 조절기 360 : 가이드축 고정부재
361 : 주축 고정부재 370 : 주축
371 : 가이드축 380 : 제1작동바
381 : 제2작동바 400 : 제어부

Claims (7)

  1. 도너츠 반죽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도너츠 제조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제조기(10)는 케이스(21) 일측 끝에 이송모터(14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모터(140)에 체인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체인기어(131)에 측면에 제1이송바(150)가 구비되는 이송체인(130)이 결합되는 이송부(100);
    상기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부재(16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63) 에 회전축(164)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반죽통(210)이 구비되는 성형부(200);
    상기 회전축(164) 끝단에 구동케이스(3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케이스(320) 일측면에 구동부 고정판(321)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케이스(320) 타측면에 반죽량 조절기(340)가 구비되는 구동부(300);
    상기 이송모터(140)와 성형부(200)의 동시 작동과 반죽량 조절기(34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21) 일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어부(400);
    상기 케이스(2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틀(2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기름 온도를 높여주기 위해 제어부(400)에서 케이스(21) 내부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히터(3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 내부가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대(1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대(110)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이송체인(130)이 구비되어 이송되며, 이송되는 도너츠를 뒤집기 위한 뒤집개(17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1) 일측 상단과 하단에 기름을 배출하기 위해 제2이송바(1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210)을 좌우로 회전하기 위해 케이스(21) 일측면에 롤러(120)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120)는 이송모터(140) 축에 연결되며, 상기 롤러(120)에 회전판(16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160) 일측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구비되며, 회전축(164)에 회전축 작동바(161)가 힌지(162)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 (210) 하단 배출구는 성형틀(220)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틀(220) 내부에 가이드틀(2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틀(240) 내부에 주축틀(230)이 구비되고, 상기 반죽통(210)과 성형틀(220)이 고정핀(221)으로 결합되며, 주축(370)과 가이드축(371)이 흔들리지 않도록 반죽통 상측 중앙에 반죽통 고정부재(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케이스(320) 내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작동바(380)와 제2작동바(3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작동바(380) 일측에 가이드축 고정부재(3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작동바(381) 일측에 주축 고정부재(36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축 고정부재(360)에 가이드 축(371)이 고정되며,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주축(370)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축(371)이 상기 주축 고정부재(361)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 감속모터(310)가 구비되며, 상기 감속모터(310) 타측에 거리센서(311)가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상측면에서 하측면으로 관통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고정판(321) 하측 내에 구동축(330)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330) 일측에 거리센서(311)가 센싱하도록 상기 거리센서(311)의 대응방향에 센서부재(331)가 구비되고, 감속모터(310)의 회전을 구동축(330)에 전달하기 위해 베벨기어(3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츠 제조장치.
KR2020120002251U 2012-03-21 2012-03-21 도너츠 제조장치 KR200471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51U KR200471083Y1 (ko) 2012-03-21 2012-03-21 도너츠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51U KR200471083Y1 (ko) 2012-03-21 2012-03-21 도너츠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89U KR20130005689U (ko) 2013-10-01
KR200471083Y1 true KR200471083Y1 (ko) 2014-02-07

Family

ID=5141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51U KR200471083Y1 (ko) 2012-03-21 2012-03-21 도너츠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48B1 (ko) 2016-02-26 2017-08-03 이석원 쿠키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78Y1 (ko) * 2016-06-20 2018-05-28 에스피엘 주식회사 플런저 및 이를 갖는 반죽 성형 장치
CN108184944B (zh) * 2018-01-25 2020-07-28 浙江奥昆食品有限公司 一种甜甜圈自动化连续式生产装置
CN109330403B (zh) * 2018-11-16 2021-09-24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烧烤架加碳装置
CN110024819B (zh) * 2019-03-27 2020-12-22 罗芳芳 一种自动化甜甜圈生产设备
CN110115281B (zh) * 2019-06-17 2024-03-08 邯郸学院 一种馒头快速成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90Y1 (ko) 1999-10-07 2000-03-15 주식회사녹그린 도너츠 제조 장치
KR200256893Y1 (ko) 2001-09-24 2001-12-29 장봉철 도너츠 제조장치
KR20030095856A (ko) * 2002-06-15 2003-12-24 에이포트코리아 주식회사 도너츠 후라이기
KR20120003804U (ko) * 2010-11-23 2012-06-01 김성지 도넛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90Y1 (ko) 1999-10-07 2000-03-15 주식회사녹그린 도너츠 제조 장치
KR200256893Y1 (ko) 2001-09-24 2001-12-29 장봉철 도너츠 제조장치
KR20030095856A (ko) * 2002-06-15 2003-12-24 에이포트코리아 주식회사 도너츠 후라이기
KR20120003804U (ko) * 2010-11-23 2012-06-01 김성지 도넛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48B1 (ko) 2016-02-26 2017-08-03 이석원 쿠키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89U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83Y1 (ko) 도너츠 제조장치
JP2010521141A (ja) 自動ピザ調理販売装置
KR101495728B1 (ko) 디지털 도너츠 제조장치
KR20090043061A (ko) 호떡 성형장치
EP0061545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waffles
CN106106601A (zh) 一种起酥面包连续生产线装置
US11122810B2 (en) Material processing system
KR20030095856A (ko) 도너츠 후라이기
JPH08275756A (ja) お好み焼きの自動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71788Y1 (ko) 자동 반죽물 성형장치
KR200441016Y1 (ko) 제빵기의 소성판 이동장치
KR101367526B1 (ko) 탁상용 자동 호떡 제조장치
JPH0731548A (ja) お好み焼の自動焼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071202A (zh) 一种包装箱不间断自动印刷设备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JP5366049B2 (ja) 型焼き菓子の自動製造装置
KR200483255Y1 (ko) 자동 제과장치
KR101785786B1 (ko) 봉형상 튀밥과자 성형장치
CN112385672B (zh) 一种煎饼机
TWM576148U (zh) Automatic sugar unloading system
KR101576725B1 (ko) 풀빵 자동제조 장치
JPH0714313B2 (ja) 食品焼成機
KR102128000B1 (ko)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 및 상기 봉형상 튀밥과자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CN113786109B (zh) 油条冷胚自动加工装置
JP4698655B2 (ja) 麺塊均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