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63Y1 -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63Y1
KR200470963Y1 KR2020110009595U KR20110009595U KR200470963Y1 KR 200470963 Y1 KR200470963 Y1 KR 200470963Y1 KR 2020110009595 U KR2020110009595 U KR 2020110009595U KR 20110009595 U KR20110009595 U KR 20110009595U KR 200470963 Y1 KR200470963 Y1 KR 200470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llet
base frame
side fram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745U (ko
Inventor
박혜경
Original Assignee
박혜경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경,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filed Critical 박혜경
Priority to KR2020110009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6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mechanical connection, e.g. snap-fi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1)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팔레트(1)는 하부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 상측의 전후 및 좌우로 힌지(4)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포개지는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과,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네 모서리 상단에 각각 결합 구성된 홀딩브래킷(7)과, 전후측면프레임(5) 또는 좌우측면프레임(6)의 상부 가운데에 양단이 결합 구성된 고정바(8)와, 팔레트(1)의 적층을 위해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서리에 상향 돌출되게 고정되는 상부적층브래킷(9) 및 하향 돌출되게 고정되는 하부적층브래킷(10)과, 상기 하부적층브래킷(10)에 조립수단(12)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을 포함하며, 본 고안에 의하면 팔레트(1)의 이송 시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이송 효율의 향상과 물류비 절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홀딩브래킷(7)과 고정바(8)에 의해서 팔레트(1)의 내구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에 의해서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으로 지게차의 포크(A)가 여유롭게 삽입되어 팔레트(1)의 리프팅 및 이송이 용이하며, 받침브래킷(11)의 분리 시 여러 개의 팔레트(1)를 적층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Folding pallet of the automobile parts lift}
본 고안은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차를 반제품이나 부품별로 분해하여 수출입할 시 자동차의 부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팔레트를 접이식으로 구성하되, 베이스프레임 하부에 받침브래킷을 조립 구성하여 팔레트의 적재 및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출입할 시 자동차 완제품을 선박 등에 바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수출입하거나, 자동차를 차체, 엔진, 구동장치, 기타 부품 등으로 분해하여 반제품 및 부품별로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선박이나 화차 등에 적재하는 방식으로 수출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자동차를 반제품이나 부품별로 분해하여 수출입을 행할 시 자동차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수개 적재토록 구성된 팔레트는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좌우의 사방 상측으로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전후·좌우측판을 고정 설치하였으나, 사방의 측판을 고정 설치하게 되면 팔레트의 수거 및 이송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이송이 불편하므로 이송 효율이 떨어지며, 이송에 드는 물류비용이 앙등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상기 기존의 부품 적재용 팔레트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고안자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와 같이 전후·좌우측판을 베이스프레임에 접어지도록 고정브래킷과 이에 관통되는 핀으로 구성된 힌지를 수개 설치하여 힌지를 기점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되게 구성한 접이식 팔레트를 개발하여 근자에 특허 및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였으며, 상기 접이식 팔레트는 사방의 측판이 베이스프레임에 접하게 내향으로 회동되어 부피가 납작하게 줄어들어서 이송 시 여러 개의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으므로 이송 효율을 높이고 이로 인한 물류비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팔레트에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전후 또는 좌우측판의 상부로 측판 고정용 바를 결합 설치하여 측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전후 및 좌우측판의 기둥 상단에 보조브라켓을 삽입되게 결합 구성하여 전후 및 좌우측판의 기둥이 접하는 팔레트의 각 모서리를 잡아주도록 하여 팔레트의 내구성이 배가되도록 한 기술을 선 출원하였던 것이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하여 팔레트의 사방 측판 중 일방향의 측판을 상하 이단으로 구성하고, 이단 측판의 상하부 프레임을 경첩으로 연결 설치하여 중앙에서 접어지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부품을 적재 및 하역하고자 할 시 사방의 측판을 모두 개방할 필요 없이 이단으로 이루어진 측판의 상부 프레임을 경첩을 기점으로 접는 간단한 노력만으로 소량의 부품을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인 기술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측판 고정식 팔레트나 선행기술문헌에 게재된 측판 접이식 팔레트의 선행기술들은 팔레트에 이송 효율의 극대화와 물류비의 절감과 내구성 및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팔레트를 컨테이너 등에 수납하거나 팔레트를 이송할 시 팔레트의 베이스프레임 하측으로 지게차의 포크(fork)를 내입하여 리프팅 후 이송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의 하부로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 또는 좌우로 길게 보강빔이나 지게차 발 삽입용 관 등이 용접 고정되어 있으나,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보강빔이나 지게차 발 삽입용 관을 용접 고정시키게 되면 팔레트의 측판을 접어서 여러 개를 적층할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이송 효율이 다소 저하되거나 물류비의 절감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보완코자 보강빔이나 지게차 발 삽입용 관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지게차가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며, 지게차의 포크가 항상 보강빔이나 지게차 발 삽입용 관의 길이 방향으로만 삽입되어야 하므로 주위 환경에 따라 팔레트의 다른 측면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어야 할 시 팔레트를 리프팅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2004-0077619 A 2004.09.04. KR 10-2003-0088387 A 2003.11.19. KR 20-0333232 Y1 2003.11.04. KR 10-2004-0097687 A 2004.11.18.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기존 고정식 팔레트와 종래 본 고안자 등이 선 출원한 접이식 팔레트인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좌우의 측판(본 고안에서는 이하 '측면프레임'이라 칭함.)을 내향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자동차 부품이 적재되도록 한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팔레트의 베이스프레임 하측 네 모서리에 고정된 하부적층브래킷에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을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하여 결합 시 지게차의 포크가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으로 여유 있게 삽입되도록 하고, 분리 시 전후 및 좌우측면프레임을 접은 후 팔레트의 적층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팔레트의 적재 및 이송이 용이하여 이송 효율을 월등하게 배가시켜 물류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를 제공함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를 구성하되, 상기 본 고안의 접이식 팔레트는 하부 베이스프레임의 가장자리 상측의 전후 및 좌우로 고정 설치된 상향되는 길이가 상이한 수개의 고정브래킷과 각 고정브래킷에 각각 관통되는 핀을 갖는 힌지에 결합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과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측면프레임과 좌우측면프레임의 상향 회동 시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네 모서리에 상호 이웃하는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의 서포터 상단으로 삽입되는 고정편이 하부에 하향 돌출 형성되어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의 네 모서리 서포터 상단에 결합 구성된 홀딩브래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의 내구성이 배가되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 또는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의 상부 가운데를 가로질러 양단이 결합 구성된 고정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 중 하나는 상하 이단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분할 구성하여 상부프레임이 수개의 경첩에 의해서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으로 접어서 팔레트를 적층할 시 상하 이웃하는 팔레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의 네 모서리 외곽에 상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상부적층브래킷과 베이스프레임의 네 모서리 하부 내측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하부적층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하부의 하부적층브래킷에 볼트,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을 더 구비하되, 상기 받침브래킷은 하부적층브래킷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하부적층브래킷에 조립수단으로 결합 시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으로 팔레트의 이송 또는 리프팅을 위한 지게차 포크의 삽입이 여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으로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접어지도록 구성하여 팔레트의 이송 시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이송 효율의 향상과 물류비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홀딩브래킷과 고정바에 의해서 팔레트의 내구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도록 있으면서, 베이스프레임의 하측 네 모서리에 고정된 하부적층브래킷에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을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적층브래킷에 받침브래킷의 결합 시 지게차의 포크가 여유롭게 삽입되어 팔레트의 리프팅 및 이송이 용이하며, 하부적층브래킷에서 받침브래킷의 분리 시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을 접어서 여러 개의 팔레트를 적층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종래기술에서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보강빔이나 지게차 발 삽입용 관이 고정되던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받침브래킷을 베이스프레임에서 분리시켜서 받침브래킷에 의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여서 팔레트 적층 부피를 보다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팔레트의 적재 및 이송 시 이송 효율과 적재 효율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팔레트의 이송에 드는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호응도를 한층 배가시켜서 본 고안의 접이식 팔레트를 보다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팔레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반제품 및 부품의 수출입을 확대시켜서 경제적으로도 월등한 효능을 얻을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를 제공하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팔레트의 일 예시도로서,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팔레트의 일 예시도로서, 전후·좌우측면프레임을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일부 힌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팔레트를 적층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일측 받침브래킷의 결합 및 분리한 상태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팔레트의 베이스프레임 하부에 지게차 포크를 내입한 상태의 예시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각종 부품을 적재토록 한 접이식 팔레트(1)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레트(1)의 하부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 상측의 전후 및 좌우로 상향되는 길이가 상이한 수개의 고정브래킷(3)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브래킷(3) 상단에는 각 고정브래킷(3)에 가로로 관통 설치되는 핀(4a)을 갖는 수개의 힌지(4)를 설치하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3) 상단의 힌지(4)에는 베이스프레임(2)의 전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과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을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 수평과 수직으로 회동되도록 결합 설치하며, 이때 상기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과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이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4개의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도 2에서와 같이 포개지도록 구성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서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과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을 수직으로 상향 회동 시 팔레트(1)의 네 모서리에서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서포터(5a)(6a)가 상호 접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하는 서포터(5a)(6a)의 상단에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홀딩브래킷(7)을 결합 구성하며, 상기 홀딩브래킷(7)의 하부에는 상호 접하는 2개의 서포터(5a)(6a) 상단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5b)(6b)에 삽입되는 수개의 고정편(7a)을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 또는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의 가운데에는 양단이 결합되는 고정바(8)에 의해서 팔레트(1)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구성하여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내구성이 배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팔레트(1)는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을 도 2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접어서 도 4와 같이 팔레트(1)를 여러 개 적층할 시 상하로 이웃하는 팔레트(1)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서리 외곽에 상향 돌출되는 상부적층브래킷(9)을 고정 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 네 모서리 내측에 하향 돌출되는 하부적층브래킷(10)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팔레트(1)의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하는 팔레트(1)의 상부적층브래킷(9) 내측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팔레트(1)의 하부적층브래킷(10)이 내접되게 결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팔레트(1)의 상부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팔레트(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 중 어느 하나의 측면프레임을 상하 이단의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으로 분할 구성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의 접하는 경계 부분에 수개의 경첩(70)을 상·하부프레임(60)에 각각 고정 설치하여 하부프레임(60)의 상부 경첩(70)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50)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하부에서 하부프레임(60)에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특히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적층브래킷(10)이 상부적층브래킷(9)에 내접되면서 팔레트(1)의 적층 시 높이를 최소화시켜 부피를 최대로 줄이기 위해서 상부적층브래킷(9)과 하부적층브래킷(1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게 되며, 이때 하부적층브래킷(10)의 높이를 너무 낮추면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로 팔레트(1)를 리프팅하기 위한 지게차 포크(A)의 삽입이 어려워지며, 그렇다고 억지로 포크(A)를 삽입하게 되면 팔레트(1)나 팔레트(1)에 적재된 자동차의 부품 등이 파손되며, 이를 방지코자 하부적층브래킷(10)의 높이를 높이게 되면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을 접어서 팔레트(1)를 적층할 시 부피의 차지를 많이 하게 되어 팔레트(1)의 적층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적층브래킷(10)은 팔레트(1)의 적층을 위해 높이를 최소화시키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적층브래킷(10)에 별도로 제작된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을 볼트,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수단(12)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하며,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저면으로부터 받침브래킷(11)의 높이(h1)는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의 저면으로부터 하부적층브래킷(10)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하여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에서 하부적층브래킷(10)에 받침브래킷(11)을 조립수단(12)으로 결합 시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으로 지면과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팔레트(1)의 이송 또는 리프팅을 위한 베이스프레임(2) 하측으로의 지게차 포크(A) 삽입이 여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적층브래킷(9)과 하부적층브래킷(10)의 형상은 평면이나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태로 철판을 절곡 형성하여 모서리가 외향되게 하므로 팔레트(1)의 적층 시 하부적층브래킷(10)이 상부적층브래킷(9)에 내접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하부적층브래킷(10)이 고정 설치된 상부의 팔레트(1)가 상부적층브래킷(9)이 모서리 외곽에 고정 설치된 하부의 팔레트(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부적층브래킷(10)에 조립수단(12)으로 결합되는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의 형상도 평면이나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태로 철판을 절곡 형성하며, 받침브래킷(11)의 하단에는 도 5의 일부 단면도에서와 같이 팔레트(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받침편(11a)이 절곡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1)는 자동차의 각종 부품을 적재하고자 할 시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하부의 하부적층브래킷(10)에 조립수단(12)으로 받침브래킷(11)을 결합 고정시키고, 베이스프레임(2)의 상측 전후, 좌우의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을 기립되게 각 고정브래킷(3)의 힌지(4)를 기점으로 상향 회동시킨 후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서포터(5a)(6a)가 접하는 팔레트(1)의 네 모서리 부분에서 서포터(5a)(6a) 상단에 각 서포터(5a)(6a)의 결합공(5b)(6b)에 고정편(7a)이 끼워지도록 홀딩브래킷(7)을 결합하여 이웃하는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시킨 다음,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내측 베이스프레임(2) 상부로 자동차의 각종 부품을 적재 및 고정시킨 후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이나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고정바(8)의 양단을 해당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며, 이후 지게차의 포크(A)를 상기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이 결합된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로 삽입하여 리프팅 후 컨테이너 등으로 이송, 수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A)로 팔레트(1)를 리프팅하기 위해 포크(A)를 팔레트(1)의 하부인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으로 삽입 시 받침브래킷(11)의 높이에 의해서 포크(A)가 여유롭게 삽입되므로 이후 리프팅이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받침브래킷(11)이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서리 하부 내측에 개별적으로 고정 형성된 하부적층브래킷(10)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지게차의 포크(A)는 팔레트(1)의 전후 및 좌우 어느 위치로든 삽입되므로 팔레트(1)의 리프팅 및 이송 시 작업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에 적재된 자동차의 각종 부품을 들어내어 팔레트(1)를 수거 및 이송하고자 할 시에는 고정바(8)를 양단이 결합된 전후측면프레임(5)이나 좌우측면프레임(6)의 상부에서 분리시킨 후 자동차의 각종 부품을 하역한 다음, 팔레트(1)의 네 모서리 부분인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서포터(5a)(6a) 상부에서 홀딩브래킷(7)을 분리시킨 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에서 상향되는 길이가 가장 짧은 고정브래킷(3)에 힌지(4)로 결합 설치된 측면프레임부터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회동시켜 가장 긴 고정브래킷(3)에 힌지(4)로 결합 설치된 측면프레임을 최종적으로 회동시켜서 베이스프레임(2) 상부에서 접하도록 순차적으로 접어서 팔레트(1)를 납작하게 한다,
이후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적층브래킷(10)에서 조립수단(12)을 풀어서 받침브래킷(11)을 분리시킨 후 팔레트(1)의 상부적층브래킷(9)이 상향되게 놓고, 그 위에 상기와 같이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접히고 받침브래킷(11)이 분리된 다른 팔레트(1)를 하부의 팔레트(1) 상부적층브래킷(9)에 적층되는 팔레트(1)의 하부적층브래킷(10)이 결합되도록 적층하며, 이를 반복하여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접힌 수개의 팔레트(1)를 도 4에서와 같이 여러 층으로 적층시켜서 한꺼번에 이송하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송 효율을 보다 높이면서 안정성 있게 적층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팔레트(1)의 이송에 드는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바, 본 고안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경이 가능하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전술한 명세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와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도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팔레트 2:베이스프레임
3:고정브래킷 4:힌지
4a:핀 5:전후측면프레임
6:좌우측면프레임 5a,6a:서포터
5b,6b:결합공 7:홀딩브래킷
7a:고정편 8:고정바
9:상부적층브래킷 10:하부적층브래킷
11:받침브래킷 11a:받침편
12:조립수단 50:상부프레임
60:하부프레임 70:경첩
A:포크

Claims (4)

  1. 하부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 상측의 전후 및 좌우로 각각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어서 순차적으로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포개지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 및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이 구비되며, 상기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이 상향 회동 시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네 모서리에서 상호 접하는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의 서포터(5a)(6a) 상단에 삽입되는 고정편(7a)이 하부에 하향 돌출 형성되어 결합 구성되는 홀딩브래킷(7)이 구비된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2)의 가장자리 상측의 전후 및 좌우에 상향되는 길이가 상이하게 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한 쌍의 전후측면프레임(5) 및 한 쌍의 좌우측면프레임(6)을 베이스프레임(2)에서 회동되도록 상단에 힌지(4)가 각각 설치된 고정브래킷(3)과,
    전후좌우측면프레임(5)(6)을 베이스프레임(2)의 내측으로 접어서 팔레트(1)를 적층할 시 상하 이웃하는 팔레트(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서리 외곽에 상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상부적층브래킷(9), 및 상부적층브래킷(9)과 결합되도록 베이스프레임(2)의 네 모서리 하부 내측에 하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하부적층브래킷(10)과,
    하부적층브래킷(10)에 평면이나 저면에서 볼 때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조립수단(12)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설치되며, 하부적층브래킷(10)보다 높게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2)의 하측으로 지게차 포크(A)가 여유롭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간격유지용 받침브래킷(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브래킷(11)의 하단에 팔레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토록 받침편(11a)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2020110009595U 2011-10-28 2011-10-28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200470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95U KR200470963Y1 (ko) 2011-10-28 2011-10-28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95U KR200470963Y1 (ko) 2011-10-28 2011-10-28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45U KR20130002745U (ko) 2013-05-08
KR200470963Y1 true KR200470963Y1 (ko) 2014-01-22

Family

ID=5141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595U KR200470963Y1 (ko) 2011-10-28 2011-10-28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63B1 (ko) *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086964B1 (ko) *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60B1 (ko) * 2013-07-15 2015-02-06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엔진 적재용 팔레트
KR101709211B1 (ko) 2015-03-04 2017-02-22 김재봉 부품 운반 대차용 대차 커버 및 이를 가진 부품 운반 대차
KR20170025635A (ko) 2015-08-31 2017-03-08 김재봉 자석 방식의 개폐 도어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76273B1 (ko) * 2016-06-08 2016-11-15 최강학 사면 폴딩형 포장용기
KR101929825B1 (ko) * 2016-06-17 2018-12-17 박세진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KR101705260B1 (ko) * 2016-11-17 2017-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41222B1 (ko) * 2019-05-02 2021-04-15 김해일 조립식 파렛트
CN110044171B (zh) * 2019-05-06 2023-12-12 福建南安天中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石材烘干支架
GB2591276A (en) * 2020-01-24 2021-07-28 Daimler Ag Battery crate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KR20200043346A (ko) 2020-04-16 2020-04-27 김재봉 자석 방식의 개폐 도어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6141B1 (ko) 2020-04-16 2021-08-30 김재봉 자석 방식의 개폐 도어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CA3193135A1 (en) 2020-09-18 2022-03-24 Ufp Industries, Inc. Knock-down crate for durable goods
KR102328833B1 (ko) * 2021-06-22 2021-11-18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CN114701554B (zh) * 2022-04-02 2022-12-27 芜湖毅昌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运输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03Y1 (ko) * 2004-07-07 2004-10-02 (주)가야산업 접철식 포장 박스
KR20070120238A (ko) * 2006-06-19 2007-12-24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렛트
KR100831317B1 (ko) * 2007-04-13 2008-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03Y1 (ko) * 2004-07-07 2004-10-02 (주)가야산업 접철식 포장 박스
KR20070120238A (ko) * 2006-06-19 2007-12-24 주식회사 기성 접철식 파렛트
KR100831317B1 (ko) * 2007-04-13 2008-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63B1 (ko) *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KR102086964B1 (ko) * 2019-08-28 2020-05-29 길효근 조립식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45U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963Y1 (ko) 자동차 부품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US6598756B1 (en) Knock down stillage box
RU2639617C2 (ru) Контейнер
KR101289034B1 (ko) 자동차 엔진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101267044B1 (ko) 자동차 차체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101302256B1 (ko) 글라스 컨테이너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CN102092522B (zh) 一种运输框架
CA2573846A1 (en) Storage structure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JP2011079555A (ja) ポストパレット
JP5243591B2 (ja) 組立式コンテナ及び組立式コンテナの輸送方法
WO2015149438A1 (zh) 一种台架式集装箱
CN201678106U (zh) 可拆叠式储运货架
KR101267042B1 (ko) 자동차 차체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101247749B1 (ko) 조립식 포장박스를 갖는 팔레트
CN100488853C (zh) 一种摩托车包装箱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CN206318244U (zh) 船用车厢运输支撑机构及堆叠运输装置
CN201559876U (zh) 一种运输框架
CN106429058B (zh) 船用车厢运输支撑机构、堆叠运输装置及运输方法
KR200435124Y1 (ko) 범퍼 운반용 컨테이너
KR200472409Y1 (ko) 접이식 파렛트 랙
CN110002079A (zh) 一种两轮车周转固定架
JP2002114075A (ja) 荷受台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