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97Y1 -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97Y1
KR200470197Y1 KR2020120010009U KR20120010009U KR200470197Y1 KR 200470197 Y1 KR200470197 Y1 KR 200470197Y1 KR 2020120010009 U KR2020120010009 U KR 2020120010009U KR 20120010009 U KR20120010009 U KR 20120010009U KR 200470197 Y1 KR200470197 Y1 KR 200470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vehicle
support plate
height adjustment
consta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대
Original Assignee
이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대 filed Critical 이승대
Priority to KR2020120010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60K2026/043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with mechanical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페달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속페달의 앞부분 둘레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과, 가속페달의 앞부분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와, 가속페달의 앞부분 상부에서 가속페달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DEVICE FOR TRAVELLING AT CONSTANT VELOCITY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속페달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도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 또는 감속하기 위하여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을 빈번히 밟아야 하지만, 고속도로에서는 가속 또는 감속을 자주할 필요 없이 장시간 정속에 가깝게 차량을 운행하게 된다.
차량을 정속으로 운전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가속페달을 일정한 압력으로 계속 밟고 있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운전자의 발과 다리는 긴장상태가 계속되어 피로가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가속페달은 도 1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 뒤끝에 구비된 힌지부에 의하여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가속페달의 조작 시 운전자는 발뒤꿈치를 운전석 전방 바닥면 위에 올려놓고 발 앞부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속페달을 조작하게 된다.
승용차와 같은 소형 차량에서는, 운전석 전방 바닥면이 운전자 쪽으로 어느 정도 경사져 있고, 가속페달을 최대로 밟더라도 그 밟는 압력이 작기 때문에 발과 다리가 받는 피로감을 느끼는 정도가 크지 않다.
그러나 버스나 트럭 등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가속페달이 설치되는 바닥면이 대부분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속페달을 누르는 압력이 소형 차량보다 훨씬 커야 한다.
또한, 가속페달은 운전자가 버스나 트럭 등 대형 차량을 장시간 운행할 경우, 도 1(b)에서와 같이 발목을 펴셔 발의 앞부분으로 가속페달을 장시간 눌러야 함에 따라 발과 다리에 피로가 쌓이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 중 일정한 속도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c)에 도시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로는,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자화되는 자력발생수단으로 가속페달과 엔진룸의 일측에 스프링으로 연결된 와이어를 밀착 고정함으로써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자동차를 일정한 속도로 주행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전기를 이용하는 스위치 및 자력발생수단과 가속페달을 고정하는 와이어 등의 부품을 차체에 더 설치하게 된다.
도 1(d)에 도시한 자동차의 주행속도 유지장치는, 유압이나 공압에 따른 길이조절부재의 길이변화에 따라 걸림바가 상하 이동하여 엑셀 페달의 링크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 장치들은 전장부품 등의 설치로 전기를 더 사용하게 됨으로써, 전장부품의 증가에 따라 발전량을 늘려야 하는 등 발전기의 부하를 가중시켜 다른 전장부품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와 자력발생수단은 와이어가 자력발생수단으로 고정되는 구조임에 따라 장시간 사용 시 도로의 노면 충격을 계속 받게 되면 와이어를 고정하는 능력이 약화되어 작동 불능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장부품과 와이어를 고정하는 부품의 추가로 가속페달과 연계된 주변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관리 및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287026호 “피로 저감을 위한 가속페달용 패드” (2002.8.27. 공고)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1999-002875호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 (1999.1.25. 공개)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0510305호 “자동차의 주행속도 유지장치” (2002.8.27.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되는 가속페달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로 장거리를 운행할 때 발과 다리의 피로현상을 줄이면서 자동차의 정속 주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운행 시 정속 주행 유지로 과속 우려가 없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정속 주행을 통해 연비가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의 앞부분 둘레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앞부분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가속페달(4)의 앞부분 상부에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하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상기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받침판(12)의 앞쪽(F)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과, 받침판(12)의 뒤쪽(R)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과,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우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좌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좌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좌측의 것을 각각 서로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지탱하도록 하며 받침판(12)에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연결판(20)과, 상기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이 받침판(12)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보강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은, 받침판(12)의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받침판(12)에 설치되는 하측 나사관(P1)과, 상기 하측 나사관(P1)에 왼나사(S1)로 결합되고 조절몸체(B)의 양측에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가 형성되는 조절봉(24)과, 조절봉(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조절봉(24)의 오른나사(S2)에 결합되는 상측 나사관(P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또한 상기 누름판(30)은,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2 높이조절봉(18)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30)은,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1 높이조절봉(16)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의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의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속페달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정속 주행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속 페달을 누르는 상태를 장시간 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자동차로 장거리를 운행할 때 발과 다리의 피로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의 운행 시 정속 주행 유지로 과속 우려가 없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으며, 정속 주행을 통해 연비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잡하지 않은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나 조립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속페달과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설치된 높이조절봉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실시예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가속페달을 누르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실시예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가속페달(4)의 앞부분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는, 가속페달(4)의 앞부분 둘레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앞부분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가속페달(4)의 앞부분 상부에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12)은 가속페달(4)의 앞부분 둘레에 위치할 수 있도록‘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판(12)은 높이조절부(14)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차량 진동과 누름판(30)을 누를 때 움직이지 않도록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받침판(12)은 중량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하면 바닥면에 고정시키지 않고도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2)의 앞쪽(F)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과, 받침판(12)의 뒤쪽(R)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과,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우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중 좌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좌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좌측의 것을 각각 서로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지탱하도록 하며 받침판(12)에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연결판(20)과, 상기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이 받침판(12)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보강판(22)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은 가속페달(4)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받침판(12)에 설치되며, 누름판(30)을 누르면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에 맞닿게 되므로 누름판(30)은 가속페달(4)을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에 닿을 때까지만 누르게 된다.
상기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2)의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받침판(12)에 설치되는 하측 나사관(P1)과, 상기 하측 나사관(P1)에 왼나사(S1)로 결합되고 조절몸체(B)의 양측에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가 형성되는 조절봉(24)과, 조절봉(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조절봉(24)의 오른나사(S2)에 결합되는 상측 나사관(P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 조절몸체(B)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조절봉(2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에 결합된 하측 나사관(P1)과 상측 나사관(P2)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조절몸체(B)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조절봉(24)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에 결합된 하측 나사관(P1)과 상측 나사관(P2)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 누름판(30)은 바닥면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2 높이조절봉(18)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30) 하부에는 가속페달(4)을 누를 때 접촉이 용이하도록 누름돌기(3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전에 차량에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를 설치한다.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를 차량에 설치할 때, 받침판(12)에 F가 표시된 앞쪽은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을 향하도록 하고 R이 표시된 뒤쪽은 운전석 쪽을 향하도록 하여 가속페달(4)의 앞부분 하부에 받침판(12)을 설치하고, 누름판(30)이 가속페달(4) 앞부분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가 설치되면, 차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조절몸체(B)를 돌려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조절한다.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 조절몸체(B)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조절봉(2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에 결합된 하측 나사관(P1)과 상측 나사관(P2)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조절몸체(B)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조절봉(24)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에 결합된 하측 나사관(P1)과 상측 나사관(P2)의 간격을 넓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몸체(B)를 돌려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조정한 다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나사관(P2)에 닿도록 발로 누름판(30)을 누른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100km로 정속 주행하고자 하면, 차량의 운행 중 100km로 정속 주행할 때 계기판에 표시되는 엔진회전수를 메모하여 두었다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설치할 때 계기판에 표시되는 엔진회전수가 원하는 엔진회전수와 동일할 때까지 가속페달(4)을 눌러 보면서 높이조절부(14)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한 높이조절부(14)의 높이 조절과정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엔진회전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넘어서게 되면 원하는 엔진회전수가 계기판에 표시될 때까지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한 제1,2 높이조절봉(16)(18)의 높이 조절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엔진회전수가 계기판에 표시되면 높이 조절을 멈추고 차량을 운행하면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르기 위하여 누름판(30)을 발로 누르면, 누름판(30)은 상측 나사관(P2)에 닿은 상태로 가속페달(4)을 누르게 되며, 가속페달(4)이 눌려짐에 따라 자동차는 운전자가 원하는 엔진회전수에 도달한 상태로 운행하게 된다. 즉, 누름판(4)이 더 이상 눌리지 않을 때까지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차는 일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는 누름판(30)이 더 눌리지 않을 때까지 누르고만 있으면 자동차의 정속 주행이 유지되기 때문에 압력을 더 가할 필요가 없어서 발과 다리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으며, 정속 주행을 통해 과속 우려가 없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고 정속 주행을 통해 연비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을 정속 주행하다가 교통상황이 바뀌어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직접 조작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을 약간 몸쪽으로 당겨 상기 누름판(30)에서 발을 떼면 누름판(30)은 탄성지지대(32)의 탄성력에 의하여 누르기 전 상태로 복원되며, 그 때 가속페달(4)만 통상의 방법으로 누르면 된다.
<제2 실시예>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이 일정 깊이 이상 눌리지 않도록 가속페달(4)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10)는 가속페달(4)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하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상기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30)은,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1 높이조절봉(16)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의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의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30)은 가속페달(4)이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받침판(12)의 앞쪽(F) 상부에서 볼 때
Figure 112012089965712-utm00001
과 같은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4)을 누르기 위하여 누름판(30)을 발로 누르면, 누름판(30)은 상측 나사관(P2)에 닿은 상태로 가속페달(4)을 누르게 되며, 가속페달(4)이 눌림에 따라 차량은 운전자가 원하는 엔진회전수에 도달한 상태로 운행하게 된다. 즉, 누름판(30)이 더 이상 눌리지 않을 때까지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차는 일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을 하게 된다.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차량을 정속 주행하다가 교통상황이 바뀌어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직접 조작해야 하는 경우에는, 발을 약간 몸쪽으로 당겨 상기 누름판(30)에서 발을 떼면 누름판(30)은 탄성지지대(32)의 탄성력에 의하여 누르기 전 상태로 복원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4)이 드러나게 되며, 그 때 가속페달(4)만 통상의 방법으로 누르면 된다.
4: 가속페달 10: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12: 받침판 14: 높이조절부
16: 제1 높이조절봉 18: 제2 높이조절봉
20: 연결판 22: 보강판
24: 조절봉 30: 누름판
32: 탄성지지대 34: 누름돌기
40: 대시패널 B: 조절몸체
P1: 하측 나사관 P2: 상측 나사관
S1:왼나사 S2: 오른나사

Claims (6)

  1.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의 앞부분 둘레에 위치하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앞부분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가속페달(4)의 앞부분 상부에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2. 자동차의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되는 가속페달(4)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판(12)과, 가속페달(4)의 하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받침판(12) 상에 배치되는 높이조절부(14)와, 상기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4)의 일측 상부에 부착 설치되는 누름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4)는,
    받침판(12)의 앞쪽(F)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과, 받침판(12)의 뒤쪽(R)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과,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우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좌측의 것과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 중 좌측의 것, 상기 한 쌍의 제1 높이조절봉(16) 중 우측의 것과 좌측의 것을 각각 서로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지탱하도록 하며 받침판(12)에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연결판(20)과, 상기 한 쌍의 제2 높이조절봉(18)이 받침판(12)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보강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조절봉(16) 및 제2 높이조절봉(18)은,
    받침판(12)의 뒤쪽(R)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받침판(12)에 설치되는 하측 나사관(P1)과, 상기 하측 나사관(P1)에 왼나사(S1)로 결합되고 조절몸체(B)의 양측에 왼나사(S1)와 오른나사(S2)가 형성되는 조절봉(24)과, 조절봉(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조절봉(24)의 오른나사(S2)에 결합되는 상측 나사관(P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0)은,
    운전석 전방 바닥면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2 높이조절봉(18)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0)은,
    운전석의 엔진룸 측 패널 하부에 설치된 가속페달(4)을 누를 수 있도록 제1 높이조절봉(16)의 상측 나사관(P2)에 부착되고 받침판(12)의 앞쪽(F)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탄성지지대(32)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받침판(12)의 뒤쪽(R)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20120010009U 2012-11-02 2012-11-02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0470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09U KR200470197Y1 (ko) 2012-11-02 2012-11-02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09U KR200470197Y1 (ko) 2012-11-02 2012-11-02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97Y1 true KR200470197Y1 (ko) 2013-12-02

Family

ID=5074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09U KR200470197Y1 (ko) 2012-11-02 2012-11-02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210A (zh) * 2019-09-03 2019-12-03 安徽贝朗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油门踏板的辅助控制装置及其辅助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872U (ko) * 1997-12-09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가속페달 조절장치
JP2000265862A (ja) 1999-02-26 2000-09-26 Thomson Csf 自動車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用の操作装置
KR100372407B1 (ko) 1999-12-31 2003-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중간 도어 열림 시 가속 페달 작동 방지 장치
KR20080051319A (ko) *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872U (ko) * 1997-12-09 1999-07-05 정몽규 차량의 가속페달 조절장치
JP2000265862A (ja) 1999-02-26 2000-09-26 Thomson Csf 自動車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用の操作装置
KR100372407B1 (ko) 1999-12-31 2003-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중간 도어 열림 시 가속 페달 작동 방지 장치
KR20080051319A (ko) *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210A (zh) * 2019-09-03 2019-12-03 安徽贝朗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油门踏板的辅助控制装置及其辅助控制方法
CN110525210B (zh) * 2019-09-03 2020-09-25 安徽贝朗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油门踏板的辅助控制装置及其辅助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90572A1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hydraulic unit of a brake system on a vehicle body, and hydraulic unit arrangement for a vehicle brake system
EP2907698A1 (en) Brake lamp control device
KR200470197Y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CN204340645U (zh) 一种重卡发动机前悬置胶垫
CN207859924U (zh) 电动车辆
CN101439712B (zh) 制动踏板机构
KR101417421B1 (ko)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CN1676755A (zh) 压缩式路面机动车限速装置
KR102297072B1 (ko) 전기 자동차의 패들 스위치를 이용한 긴급 제동장치 및 방법
KR100391681B1 (ko) 공기저항을 이용한 자동차의 제동장치
CN101992760B (zh) 汽车误踩安全装置
CN200995626Y (zh) 汽车加速制动一体化安全踏板
KR20110096792A (ko) 차량의 고연비 유지시스템
KR101936989B1 (ko) 차량용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제어방법
CN217705778U (zh) 一种制动踏板安装结构及车辆
CN213168034U (zh) 一种智能汽车自动制动装置
CN202518253U (zh) 单踏板刹车装置
CN2302169Y (zh) 汽车多功能踏板
CN212046878U (zh) 一种汽车离合踏板磁力歇脚装置
KR102538634B1 (ko) 차량용 페달 구동장치
CN214164806U (zh) 一种固定在车辆脚垫和地板上的辅助踏板
CN217977301U (zh) 一种变速箱的安装固定结构
CN204020577U (zh) 机动车横向操作式加速板装置
CN203307742U (zh) 车辆道路阻尼限速装置
CN101633315A (zh) 一种汽车离合踏板行程调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