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319A -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319A
KR20080051319A KR1020060122174A KR20060122174A KR20080051319A KR 20080051319 A KR20080051319 A KR 20080051319A KR 1020060122174 A KR1020060122174 A KR 1020060122174A KR 20060122174 A KR20060122174 A KR 20060122174A KR 20080051319 A KR20080051319 A KR 2008005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accelerator pedal
driv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319A/ko
Publication of KR2008005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1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a device to audibly, visibly, or otherwise signal the existence of unusual or unintended spe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2031/0091Speed limiters or speed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의 운행속도가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 악셀레이터 페달이 작동이 제어되거나, 악셀레이터 페달에 걸림감을 주어 설정 속도에 도달한 상태임만을 알려 주면서 계속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선택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속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속도설정스위치(13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걸림감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1모드스위치(11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작동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모드스위치(120),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을 운전자가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상스위치(140)가 각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조작패널(100)과;
상기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유무를 전달받는 ECU(200)와;
상기 ECU(200)에 입력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신호에 따라 ECU(200)로부터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운전자조작패널, 제1모드스위치, 제2모드스위치, 속도설정스위치, ECU, 제어장치, 솔레노이드, 스텝모터, 작동로드

Description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Fixed Speed Running Aparatus of Vehicles}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블록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운전자 조작패널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와 악셀레이터 페달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1모드스위치 작동되었 경우에 제어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1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1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2모드스위치 작동 되었을 경우에 제어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2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2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운전자조작패널 110 : 제1모드스위치
120 : 제2모드스위치 130 : 속도설정스위치
140 : 정상스위치 200 : ECU
300 : 제어장치 310 : 솔레노이드
320 : 스텝모터 321 : 맞춤홈부
330 : 작동로드 331 : 능동로드
331a: 능동로드고무돌기 331b: 능동로드방지돌기
332 : 정상로드 332a: 맞춤돌기
360 : 몸체 400 : 악셀레이터 페달
410 : 연결부 420 : 스토퍼
430 : 능동플레이트 431 : 고무돌기
500 : 힌지 600 : 스프링
700 : 센서수감부 800 : 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의 운행속도가 설정된 속도에 도달한 경우 악셀레이터 페달이 작동이 제어되거나, 악셀레이터 페달에 걸림감을 주어 설정 속도에 도달한 상태임만을 알려 주면서 계속해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선택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연료의 연소작용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된 자동차에는 브레이크 페달과 클리치 페달 및 악셀레이터 페달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의 페달 중, 악셀레이터 페달은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시켜 동력을 많이 발생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악셀레이터 페달은 그 밟는 정도에 따라서 그에 비례하여 연료가 엔진에 최대한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악셀레이터 페달을 강하게 누르면 연료의 연소가 가속화되어 자동차의 속력이 빨라지고 악셀레이터 페달을 적게 밟으면 연료의 연소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자동차의 속력이 줄어지게 되어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운전중 도로 상황에 따라서, 악셀레이터 페달을 임의 조작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함에 있어서는, 어느 일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하면 기름의 소모가 적게들고 자동차 부속품의 제수명에도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로의 사정이나 운전자의 성격 또는 기타의 여러 운전조건에 따라 이와 같은 정속 주행 상태를 유지하기란 결코 쉽지 않고, 또한, 숙련된 운전자가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정속 주행을 하기란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위치(100')를 조작하여 운행하고자 하는 속도를 셋팅시키면 상기 스위치(100')에 셋팅된 속도가 ECU(200')로 전달되고, 상기 ECU(200')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와 운전자가 설정한 설정 속도를 비교판단 한 후 상기 차량의 운행속도가 운전자가 운행하고자 하는 설정 속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악셀레이터 페달(300')과 로드(500')로 연결된 액츄에이터(400')를 작동시켜,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300')이 더 이상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위치(100')를 조작하여 설정 속도를 셋팅한 후 차량을 운행 시 차량의 운행 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악셀레이터 페달(300')이 작동되어지지 않게 되는 관계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설정 속도를 속도스위치를 이용하여 셋팅함과 동시에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 유무를 제1모드스위치와 제2모드스위치를 이용해 선택하면, 차량을 주행시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설정속도에 주행속도가 도달하면 제1모드스위치를 조작시에는 악셀레이터 페달이 걸림감이 발생하면서 계속 작동되어지고 제2모드스위치를 조작시에는 운전자가 설정 해 놓은 설정속도에 주행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게 정속 주행장치를 셋팅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속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속도설정스위치(13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걸림감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1모드스위치(11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작동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모드스위치(120),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을 운전자가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상스위치(140)가 각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조작패널(100)과;
상기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유무를 전달받는 ECU(200)와;
상기 ECU(200)에 입력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신호에 따라 ECU(200)로부터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블록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발 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의 운전자 조작패널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와 악셀레이터 페달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1모드스위치 작동 되었을 경우에 제어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1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1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2모드스위치 작동되었 경우에 제어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2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설정 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용 제어장치의 능동로드가 제2모드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설정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는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속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속도설정스위치(13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걸림감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1모드스위치(11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작동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모드스위치(120)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을 운전자가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상스위치(1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조작패널(100)과, 상기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유무를 전달받는 ECU(200)와, 상기 ECU(200)에 입력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신호에 따라 ECU(200)로부터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300)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600)에 의해 탄지되며 힌지(500)를 중심으로 작동 가능하게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몸체(360)와, 상기 몸체(360)의 내외부로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상태에 따라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중앙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스토퍼(420)와, 상기 스토퍼(420)가 설치된 연결부(41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능동플레이트(430)와, 상기 능동플레이트(430)의 인입량과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110)(120)(130) (140)의 조작상태를 비교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ECU(200)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310) 및 스텝모터(320)와, 상기 솔레노이드(310)에 의해 작동되면서 스텝모터(320)의 맞춤홈부(321)에 맞춤돌기(332a)가 결합 및 분리되는 작동로드(330)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330)는 상하부에 능동로드고무돌기(331a)와 능동로드방지돌기(331b)가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능동로드(331)와 선단부에 맞춤돌기(332a)가 돌출되어 형성된 정상로드(332)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능동로드방지돌기(331b)는 능동로드고무돌기(331a)보다 무거운 중량체로 형성되어 있어, 솔레노이드(310)가 작동 시 능동로드(331) 맞춤돌기(332a)와 스텝모터(320)에 형성된 맞춤홈부(321)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능동플레이트(430)의 일측면에는 능동로드고무돌기(331a)에 접촉되는 수개의 고무돌기(43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에 차속이 도달하게되면 악세레이타 페달의 조작 시 걸림감을 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능동플레이트(430)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410)의 하단부에 센서수감부(700)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수감부(700)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센서(800)를 몸체(360)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답력을 가한 양 만큼 연결부(410)가 몸체(36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수감부(700)도 몸체(360)의 하부로 이동되고, 센서수감부(700)의 위치는 센서(800)가 감지하여 ECU(20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차속이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정상스위치(140)를 조작한 상태에서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답력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은 스프링(600)을 압축시키면서 힌지(50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600)이 압축된 양만큼 연결부(410)는 몸체(36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게되며, 상기 연결부(410)가 인입된 양만큼 센서수감부(700)도 몸체(360)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센서수감부(700)의 이동량은 센서(800)를 통해 감지된 후 ECU(200)로 전달되어 차량을 가속시키게 된다.
한편, 악셀레이터 페달(400)에서 감속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답력을 제거하게되면 스프링(600)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힌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은 연결부(410)에 설치된 스토퍼(420)의 상부면에 몸체(360)의 내측 상부면에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이동되는 것에 의해 원상복귀 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되면 연결부(410)도 동시에 몸체(360)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센서수감부(700)도 상승하게되고, 상기 센서수감부(700)의 이동량을 센서(800)가 감지하여 ECU(200)로 전달하며 차량을 감속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제1모드스위치(110)를 조작하여 정숙 운행을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모드스위치(110)의 조작상태가 ECU(200)를 통해 1차적으로 솔레노이드(310)에 신호가 전달되어 작동로드(330)를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330)에 형성되어 있는 정상로드(332)의 맞춤돌기(332a)는 스텝모터(320)에 형성된 맞춤돌기(332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현재 속도가 70 인데 100에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에서 걸림감을 받고 싶어한다면 차량속도의 설정이 100이 되 도록 속도스위치(130)를 조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텝모터(320)는 맞춤홈부(321)가 100에 도달할 때까지의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ECU(2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어 지게되고, 상기 맞춤홈부(321)가 회전되는 량만큼 맞춤홈부(321)에 맞물려 있는 맞춤돌기도 회전하게되고, 상기 맞춤돌기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정상로드(332)와 능동로드(331)가 구획되어 있는 작동로드(330)도 회전되어지게 되며, 상기 능동로드(331)에 형성되어 있는 능동로드고무돌기(331a)도 도 6과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시에 회전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능동로드고무돌기(331a)가 회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속도를 높여 100에 도달하게 되면 능동플레이트(430) 고무돌기(431)가 하향되다 능동로드고무돌기(331a)에 접촉되어지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큰 걸림감을 받게되고 이로써 운전자가 운행중인 자신의 차량 운행 속도가 100km에 도달했음을 인지하게되고, 이에 따라 속도를 줄이거나 괜찮다고 생각되면 속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능동로드고무돌기(331a)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속으로 설정 시에는 몸체(36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고속으로 설정 시에는 몸체(360)의 하부에 위치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ECU(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텝모터(320)가 작동되어지게 된다.
이는, 몸체(360)의 내부로 인입되는 연결부(410)의 량에 많으면 많을수록 차속이 빨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제2모드스위치(120)를 조작하여 정숙 운행을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2모드스위치(120)의 조작상태가 ECU(200)를 통해 1차적으로 솔레노이드(310)에 신호가 전달되어 작동로드(330)를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330)에 형성되어 있는 정상로드(332)의 맞춤돌기(332a)는 스텝모터(320)에 형성된 맞춤돌기(332a)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현재 속도가 70 인데 100에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더 이상 답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차량속도의 설정이 100이 되도록 속도스위치(130)를 조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텝모터(320)는 맞춤홈부(321)가 100에 도달할 때까지의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ECU(2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어 지게되고, 상기 맞춤홈부(321)가 회전되는 량만큼 맞춤홈부(321)에 맞물려 있는 맞춤돌기(332a)도 회전하게되고, 상기 맞춤돌기(332a)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정상로드(332)와 능동로드(331)가 구획되어 있는 작동로드(330)도 회전되어지게 되며, 상기 능동로드(331)에 형성되어 있는 능동로드방지돌기(331b)도 동시에 도 회전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능동로드방지돌기(331b)가 회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속도를 높여 100에 도달하게 되면 능동플레이트(430)가 하향되다 능동로드방지돌기(331b)에 저면이 접촉되어지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답력을 더 제공하여도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더 이상 작동되지 않아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운행중인 자신의 차량 운행 속도가 100km에 도달했음을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속도제한 구역 등에서 최소주행속도를 넘지 않도록 안전운행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능동로드방지돌기(331b)는 도 9와 도 1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속으로 설정 시에는 몸체(36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고속으로 설정 시에는 몸체(360)의 하부에 위치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ECU(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텝모터(320)가 작동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설정 속도를 속도스위치를 이용하여 셋팅함과 동시에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 유무를 제1모드스위치와 제2모드스위치를 이용해 선택하면, 차량을 주행시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설정속도에 주행속도가 도달하면 제1모드스위치를 조작 시에는 악셀레이터 페달이 걸림감이 발생하면서 계속 작동되어지고 제2모드스위치를 조작 시에는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설정속도에 주행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신의 성향에 맞게 정속 주행장치를 셋팅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속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속도설정스위치(13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에 걸림감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1모드스위치(110), 상기 속도설정스위치(130)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도달하면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작동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모드스위치(120), 상기 악셀레이터 페달(400)을 운전자가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상스위치(140)가 각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조작패널(100)과;
    상기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유무를 전달받는 ECU(200)와;
    상기 ECU(200)에 입력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신호에 따라 ECU(200)로부터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스프링(600)에 의해 탄지되며 힌지(500)를 중심으로 작동 가능하게 악셀레이터 페달(400)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몸체(360)와, 상기 몸체(360)의 내외부로 악셀레이터 페달(4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중앙부에 고정되게 설 치되는 스토퍼(420)와, 상기 스토퍼(420)가 설치된 연결부(41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능동플레이트(430)와, 상기 능동플레이트(430)의 인입량과 운전자조작패널(1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상태를 비교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ECU(200)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310) 및 스텝모터(320)와, 상기 솔레노이드(310)에 의해 작동되면서 스텝모터(320)의 맞춤홈부(321)에 맞춤돌기(332a)가 결합 및 분리되는 작동로드(3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330)는 상하부에 능동로드고무돌기(331a)와 능동로드방지돌기(331b)가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능동로드(331)와 선단부에 맞춤돌기(332a)가 돌출되어 형성된 정상로드(332)로 구획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로드방지돌기(331b)는 능동로드고무돌기(331a)보다 무거운 중량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플레이트(430)의 일측면에는 능동로드고무돌 기(331a)에 접촉되는 수개의 고무돌기(43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1020060122174A 2006-12-05 2006-12-05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080051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4A KR20080051319A (ko) 2006-12-05 2006-12-05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4A KR20080051319A (ko) 2006-12-05 2006-12-05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19A true KR20080051319A (ko) 2008-06-11

Family

ID=3980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174A KR20080051319A (ko) 2006-12-05 2006-12-05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3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76B1 (ko) * 2008-12-04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킥 다운 스위치장치
KR200470197Y1 (ko) * 2012-11-02 2013-12-02 이승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210041375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지능형 가속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76B1 (ko) * 2008-12-04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킥 다운 스위치장치
KR200470197Y1 (ko) * 2012-11-02 2013-12-02 이승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210041375A (ko) * 2019-10-07 2021-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지능형 가속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104B1 (ko) 엑셀러레이터 반작용 제어 장치
JP4685491B2 (ja) ペダル装置
US5139121A (en) Braking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propelling electric motor and an electromagnetic brake
EP3475115B1 (en) Virtual footrest apparatus
MX2012008587A (es) Dispositivo para controlar la fuerza requerida para presionar el pedal del acelerador.
US20140005869A1 (en) Industrial vehicle
JP4787417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US20020020247A1 (en) Pedal device for a vehicl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KR20080051319A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JP6274705B2 (ja) 車両の推進操作装置
JP3717004B2 (ja) 自動車の車速制御装置
KR20180034876A (ko) 속도 조정이 편리한 크루즈 컨트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10387523A1 (en) Reaction force control system for pedal
JP2006281796A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
US11835129B2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nual shift mode
JP2000318622A (ja) レーンキープ装置
JP6376545B1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
JP2000006682A (ja) 定速走行装置
KR100331425B1 (ko) 자동차용 가속 장치
KR10228889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지능형 가속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제어방법
KR0139453B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100507083B1 (ko) 덤프 차량의 동력 인출 장치 제어 시스템
KR200407700Y1 (ko) 차량 정속 주행 장치
KR0153333B1 (ko) 자동차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
KR10049478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모드 판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