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677Y1 -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677Y1
KR200469677Y1 KR2020110011526U KR20110011526U KR200469677Y1 KR 200469677 Y1 KR200469677 Y1 KR 200469677Y1 KR 2020110011526 U KR2020110011526 U KR 2020110011526U KR 20110011526 U KR20110011526 U KR 20110011526U KR 200469677 Y1 KR200469677 Y1 KR 200469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nt
coupling
hole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039U (ko
Inventor
송석만
Original Assignee
송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만 filed Critical 송석만
Priority to KR2020110011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67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18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using quick-active type locking mechanisms, e.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케이스(10)와, 배출호퍼부(21)가 일단에 결합 되는 제2케이스(20)가 상호 접하며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2케이스(10,20) 내부에 필터(F)가 구비되어,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연소되는 연소가스가 유입된 후 필터링 되도록 하는 매연 저감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는 일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협관화되는 유입호퍼부(11)를 이루고, 타단은 끝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결합구(22)를 이루고, 타단으로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3)를 이루고, 제2절곡부(23)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결합구(24)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제3결합구(24)와 접하는 배출호퍼부(21)의 일단은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3결합구(24)와 결합되기 위한 제4결합구(210)를 이루고 타단은 협관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구(12)와 제2결합구(22) 및 상기 제3결합구(24)와 제4결합구(210) 사이에 시일부재(S)가 내재되며 밴드(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간 접하는 내측으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0)를 구비하되 간격유지구(40)의 양단측은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41)를 구비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케이스의 단부를 절곡하여 밴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내부에도 절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리테이너 등의 별도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내부에 끼워지는 필터의 고정 역할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연 저감장치의 결합 및 해제 등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요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밴드에 의하여 간단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VEHICLES EXHAUST GAS SMOKE DROP EQUIPMENT}
본 고안은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매연 저감장치를 이루는 케이스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배기 유니트는 기관의 매니폴드(Manifold)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연통 되는 배기파이프와, 이에 연결되며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전의 배기가스의 고압 및 고열,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소음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의 배기 유니트에 있어서, 기관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납 산화물 등 유해성 가스를 무해성 가스로 정화시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해당되는 매연 저감장치의 장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경유 차량은 매연 저감장치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경우 원형의 케이스로 형성되어 내부에 후처리 물질이 수용되며, 케이스의 양단에는 가스가 유입 및 유출되는 또 다른 케이스가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스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단부를 연장 절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절곡된 단부가 삽입되도록 클램프가 제공된다.
전술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이루는 케이스는 필터가 내재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좌우 측으로 각각 엔진 내에서 연소한 연소가스가 배기매니폴드를 통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유입호퍼부와, 타측으로 정화된 상태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배출호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그 좌우 측으로 각각 상기한 유입호퍼부와 배출호퍼부가 결합하여지는데 몸체부의 각 단부측 외주면으로 플렌지부를 형성하여 각 몸체부 및 유입, 배출호퍼부간을 플렌지부를 이용하여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의 매연 저감장치는, 그 결합 및 분리 작업시 각각의 무수한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일일이 해체하여 내부 필터 등을 교체 한 후, 재차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볼트 등의 결합 및 해제 작업이 번잡함은 물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 매연저감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 등의 번잡성과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 등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 제 423464 호인 '양방으로 개방되는 결합외통체 내부로 유입필터 및 중앙필터가 내재되고, 상기 유입필터와 중앙필터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외통체가 유입호퍼부와 타측단의 배출호퍼부의 각 단부측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한 각 요소의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당히 간단하면서도 손쉬운 체결력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결합후크가 등간격 다수 개 이격 구비되고, 각 유입호퍼부와 배출호퍼부의 주연부측으로는 각각 동일 개수의 결합플렌지가 구비되도록 하여, 그 구성에 의한 장치를 제조할 때 소요되는 부품 등이 많아 경제적 비용의 절감효를 이루는 데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0440140 호인 '차량용 배기가스의 정화장치의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밴드를 제공하되 상기 밴드의 일끝단 표면에는 너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구를 형성하고 타끝단 표면에는 볼트가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볼트결합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밴드에 체결된 볼트를 분리 또는 체결함에 따라 상당히 간단하며 손쉬우면서도 체결력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에 있어서 케이스를 이루는 부분에서 단부를 절곡한 후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클램핑 체결하게 되는데, 내부에 필터가 내재하도록 하되 상기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 이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30065 호에 의한 '매연 저감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필터 등을 내부에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등의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클램핑 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링 등을 성형 한 다음 케이스 외주면에 별도로 용접 작업을 하여 고정시킨 후, 클램핑 하게 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번잡한 작업을 요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1. 실용신안등록 제 0423464 호 2. 실용신안등록 제 0440140 호 3. 특허공개 제 10-2011-0030065 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매연 저감장치를 이루는 케이스와 케이스간 접하는 부분에 밴드를 이용하여 클램핑 체결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어서, 케이스의 단부를 절곡하여 밴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내부에도 절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리테이너 등의 별도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내부에 끼워지는 필터의 고정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매연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케이스(10)와, 배출호퍼부(21)가 일단에 결합 되는 제2케이스(20)가 상호 접하며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2케이스(10,20) 내부에 필터(F)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스(10)는 일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협관화되는 유입호퍼부(11)를 이루고, 타단은 끝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단이 상방향으로 경사면(120)이 일체로 이루어진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결합구(22)를 이루고, 타단으로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3)를 이루고, 제2절곡부(23)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결합구(24)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제3결합구(24)와 접하는 배출호퍼부(21)의 일단은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3결합구(24)와 결합되기 위한 제4결합구(210)를 이루고 타단은 협관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구(12)와 제2결합구(22) 및 상기 제3결합구(24)와 제4결합구(210) 사이에 시일부재(S)가 내재되며 밴드(30)에 의해 체결되어지되, 상기 밴드(30)는 띠부재(32)가 원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띠부재(32)의 양단부는 원형상으로 말려지며 공간부(320)를 형성하면서 외면측에 용접되고, 띠부재(32)의 양단측에 각각 엠보싱부(330)와, 상기 엠보싱부(330)와 결합되는 요홈(33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320)의 상호 대향 되는 측에 통공(321)이 천공되도록 하고, 말려지며 외면측에 용접되는 부위에는 장공(322)이 천공되어지고, 상기 띠부재(32)의 내측면으로 다수 개로 분할되는 요입홈부재(31)의 외면이 용접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한 요입홈부재(31)간에는 간격이 유지되도록 이격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간 접하는 내측으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0)를 구비하되 간격유지구(40)의 양단측은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41)를 구비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32)의 공간부(320)에는 "T"자 형태를 갖는 결합구(33)가 내입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구(33)의 본체(331)는 공간부(320)에 끼워지는 형태를 이루고, 결합구(33)의 중앙 외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구(33)와 함께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연장삽입구(33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삽입구(332)와 본체(331) 내부로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333)이 관통되며 천공되고, 상기 구멍(333)으로 장볼트(B)가 끼워지고 장볼트(B)의 단부측에 결합 되는 너트(34)의 머리부(3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2)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342)의 외경이 너트(34) 머리부(3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연장부(342)의 전면부는 나산형태의 요철부(343)를 형성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단부를 절곡하여 밴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내부에도 절곡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리테이너 등의 별도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내부에 끼워지는 필터의 고정 역할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연 저감장치의 결합 및 해제 등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요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밴드에 의하여 간단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적용된 매연 저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연 저감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면
도 4는 도 2에서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2케이스만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2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매연 저감장치의 케이스를 클램핑하기 위한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밴드를 분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같이 매연 저감장치를 제공하되, 그 매연 저감장치를 이루는 구성인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결합 및 제2케이스(20)와 배출호퍼부(21)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제1케이스(10)는, 도면에서 보듯이 차량 엔진으로부터 연소된 후 소음기(M)를 통과하게 되는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것으로, 일단측으로는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협관화되어지는 유입호퍼부(11)를 이룬다.
이러한 유입호퍼부(11)와 소음기(M)의 단부측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소음기(M)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유입호퍼부(11)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제1케이스(10) 타단측 단부는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구(12)를 이루게 되는데, 제1결합구(12)는 후술하는 제2케이스(20)의 단부측으로부터 상방향 절곡되는 제2결합구(22)와 접하게 되고, 상기 제1결합구(12) 및 제2결합구(22) 사이에는 시일부재(S)가 내재되어 후술하는 밴드(3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제2케이스(20)는 그 일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결합구(22)를 이루도록 하여, 전술한 제1케이스(10)의 제1결합구(12)와 접하면서 밴드(3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고, 제2케이스(20)의 타단으로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3)를 이루도록 하였다.
아울러, 제2절곡부(23)의 외주면으로는 상방향으로 절곡 되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용접하게 되는 제3결합구(24)를 구성하여, 배출호퍼부(21)의 단부측에 해당되는 제4결합구(210)와 접하며 밴드(30)에 의해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3결합구(24)와 제4결합구(210) 사이에 시일부재(S)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접하게 되는 부분인, 제1결합구(12)와 제2결합구(22)의 결합 부위 내측으로 간격유지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간격유지구(4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 내부와 제2케이스(20) 내부에 걸쳐서 구비되어 질 수 있는 것으로 간격유지구(40)의 외주면에 제2케이스(20)의 제2결합구(22)가 위치하게 되고, 아울러 제1케이스(10)의 제1결합구(12)가 위치하여 밴드(30)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간격유지구(40)에 의해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F)는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리테이너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간격유지구(40) 이외에 전술한 제2케이스(20)의 제2절곡부(23)에 의해서도 리테이너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케이스(20)의 타단측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3)가 이루어지고, 제2절곡부(23)를 이루는 외주면 측으로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용접되는 것으로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3결합구(24)가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구(24)와 접하게 되는 제4결합구(210)를 갖는 유입호퍼부(11)가 구비되어, 밴드(30)에 의해 제3결합구(24) 및 제4결합구(210)가 결합하여지고, 제3,4결합구(24,210) 사이에는 시일부재(S)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제2케이스(20)의 제2절곡부(23)의 외주면으로는 상기 유입호퍼부(11)의 단부측 내부에 유입되는 구성을 갖도록 하여 결국, 제2절곡부(23)를 갖는 제2케이스(20) 단부는 배출호퍼부(21)의 단부측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케이스(20)에서 일단측 즉, 제1케이스(10)와 접하게 되는 단부측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5 에서 보듯이 제2케이스(20)의 일단측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120)을 이룬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 되도록 하는 제2결합구(22)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6 에서 보듯이 제2케이스(20)의 일단측으로부터 테이퍼지는 경사면(120)을 형성한 후 이어서 수평선상으로 이어지는 수평연장부(121)를 구성하여 수평연장부(121)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제2결합구(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120)을 이루게 되는 것은 간격유지구(40)의 유입 및 제2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터(F)의 유입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제1결합구(12) 및 제2결합구(22)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일부재(S)가 구비되고, 제3결합구(24) 및 제4결합구(210) 사이에도 시일부재(S)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한 제1,2결합구(12,22) 및 제3,4결합구(24,210)를 감싸며 케이스 전체를 결합하도록 하는 밴드(3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밴드(30)는, 도 7 내지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띠부재(32)가 원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띠부재(32)의 양단부는 원형상으로 말려지며 공간부(320)를 형성하면서 외면측에 용접되도록 하였다.
상기 띠부재(32)는 도 9에서와 같은 띠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일자형태의 띠부재(32)의 양단측으로는 각각 장공(322)과 통공(321)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띠부재(32)의 양단이 말려지면서 상기 장공(322)과 통공(321)이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띠부재(32)의 양단측에 각각 엠보싱부(330)와, 상기 엠보싱부(330)와 결합되는 요홈(331)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엠보싱부(330) 및 요홈(331)에 의해 띠부재(32)의 양단을 둥그렇게 말면서 엠보싱부(330)가 요홈(331)에 접하며 위치를 선정하게 되면, 공간부(320)의 전면측은 통공(321)이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고, 통공(321)의 후방측으로도 장공(322)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띠부재(32)의 단부를 둥근 원형태로 말며 공간부(320)를 형성할 때, 결합구(33)는 공간부(320)에 위치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엠보싱부(330)가 요홈(331)에 위치되어며 띠부재(32)의 양단부가 둥그렇게 말려진 후, 상기 띠부재(32)가 말려지며 겹쳐지는 부위를 점용접 등의 방법으로 용접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띠부재(32)의 내측 면으로 다수 개로 분할되는 요입홈부재(31)의 외면이 용접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한 요입홈부재(31)간에는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밴드(30)의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요입홈부재(31)의 내측으로는 홈(310)이 구성되어 전술한 결합구(12;22, 24;210)가 내입되도록 하고, 상기 홈(310)의 양측단으로 활개편(311)을 일체로 이루어 제1,2결합구(12,22) 외면 및 제3,4결합구(24,210) 외면에 접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띠부재(32)의 공간부(320)에는 "T"자 형태를 갖는 결합구(33)가 내입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결합구(33)의 본체(331)는 공간부(320)에 끼워지는 형태를 이루고, 결합구(33)의 중앙 외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구(33)와 함께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연장삽입구(3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연장삽입구(332)와 본체(331) 내부로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333)이 관통되며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멍(333)으로는 장볼트(B)가 끼워지게 되는데 결합구(33)는 띠부재(3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볼트(B)가 어느 한측의 결합구(33)를 관통하여 그 단부측, 즉 장볼트(B)의 단부측이 타 결합구(33)의 구멍(333)을 관통하여 돌출되는바, 이러한 장볼트(B)에 너트(34)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0,20)의 결합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장볼트(B)와 너트(34) 간 조임에 따른 결합에 있어서, 너트(34)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경우 원형태로 말려지는 띠부재(32)에서 공구와 접촉되는 부분이 공구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마모되어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기존에는 밴드형태를 갖는 결합 구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구와 접하는 부분을 절곡 하여 공구와의 마모현상을 배제하도록 하였으나, 절곡 되는 경우 전단력이 작용하게 됨은 물론 절곡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너트(34)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즉, 도 8 에서 보는 바와 너트(34)의 머리부(3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2)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342)의 외경이 너트(34) 머리부(3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34) 머리부(341)를 파지하여 돌릴 때, 공구와 띠부재(32) 외주면 간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띠부재(32)와 공구간 마모 현상의 원천적 배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연장부(342)의 전면부는 도 8의 확대도면에서 보듯이 나산형태의 요철부(343)를 형성하도록 하되, 너트(34)가 돌려지며 조임 역할을 할 때에는 마찰 없이 공구에 의해 볼트와의 체결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결합이 완료된 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여타 외적 요인에 의해 너트(34)가 자연적으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제1케이스 11; 유입호퍼부
12; 제1결합구 120; 경사면
121; 수평연장부 20; 제2케이스
21; 배출호퍼부 210; 제4결합구
22; 제2절곡부 23; 제2절곡부
24; 제3결합구 30; 밴드
31; 요입홈부재 310; 홈
311; 활개편 32; 띠부재
320; 공간부 321; 통공
322; 장공 33; 결합구
331; 본체 332; 연장삽입구
333; 구멍 34; 너트
F; 필터 M; 소음기
S; 시일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케이스(10)와, 배출호퍼부(21)가 일단에 결합 되는 제2케이스(20)가 상호 접하며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2케이스(10,20) 내부에 필터(F)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스(10)는 일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협관화되는 유입호퍼부(11)를 이루고, 타단은 끝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결합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단이 상방향으로 경사면(120)이 일체로 이루어진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결합구(22)를 이루고, 타단으로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3)를 이루고, 제2절곡부(23)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결합구(24)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20)의 제3결합구(24)와 접하는 배출호퍼부(21)의 일단은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3결합구(24)와 결합되기 위한 제4결합구(210)를 이루고 타단은 협관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구(12)와 제2결합구(22) 및 상기 제3결합구(24)와 제4결합구(210) 사이에 시일부재(S)가 내재되며 밴드(30)에 의해 체결되어지되, 상기 밴드(30)는 띠부재(32)가 원형태를 이루도록 하되 띠부재(32)의 양단부는 원형상으로 말려지며 공간부(320)를 형성하면서 외면측에 용접되고, 띠부재(32)의 양단측에 각각 엠보싱부(330)와, 상기 엠보싱부(330)와 결합되는 요홈(33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320)의 상호 대향 되는 측에 통공(321)이 천공되도록 하고, 말려지며 외면측에 용접되는 부위에는 장공(322)이 천공되어지고, 상기 띠부재(32)의 내측면으로 다수 개로 분할되는 요입홈부재(31)의 외면이 용접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한 요입홈부재(31)간에는 간격이 유지되도록 이격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간 접하는 내측으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0)를 구비하되 간격유지구(40)의 양단측은 각각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41)를 구비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32)의 공간부(320)에는 "T"자 형태를 갖는 결합구(33)가 내입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구(33)의 본체(331)는 공간부(320)에 끼워지는 형태를 이루고, 결합구(33)의 중앙 외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구(33)와 함께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연장삽입구(33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삽입구(332)와 본체(331) 내부로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333)이 관통되며 천공되고, 상기 구멍(333)으로 장볼트(B)가 끼워지고 장볼트(B)의 단부측에 결합 되는 너트(34)의 머리부(3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2)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342)의 외경이 너트(34) 머리부(3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연장부(342)의 전면부는 나산형태의 요철부(343)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7. 삭제
KR2020110011526U 2011-12-26 2011-12-26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KR200469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26U KR200469677Y1 (ko) 2011-12-26 2011-12-26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26U KR200469677Y1 (ko) 2011-12-26 2011-12-26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39U KR20130004039U (ko) 2013-07-04
KR200469677Y1 true KR200469677Y1 (ko) 2013-10-29

Family

ID=5077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526U KR200469677Y1 (ko) 2011-12-26 2011-12-26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9681A1 (de) * 2015-05-27 2016-12-01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behandlungseinrichtung mit austauschbarem Einsatz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08B1 (ko) * 2019-02-13 2020-01-15 김기훈 엔진배관 유속 증대장치
KR102252802B1 (ko) * 2020-02-12 2021-05-14 김상봉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38A (ko) * 2001-02-21 2003-11-01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KR20090052190A (ko) * 2007-11-20 2009-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38A (ko) * 2001-02-21 2003-11-01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KR20090052190A (ko) * 2007-11-20 2009-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9681A1 (de) * 2015-05-27 2016-12-01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behandlungseinrichtung mit austauschbarem Einsatz
DE102015209681B4 (de) 2015-05-27 2023-05-17 Purem GmbH Abgasbehandlungseinrichtung mit austauschbarem Einsa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39U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7215B (zh) 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EP1751459B1 (en) Ribbed pipe clamp with sealing sleeve
US8117830B2 (en) Exhaust purification device for engine
CA2681774C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housing sections of soot particle filters
JP5689187B2 (ja) 排気処理装置のためのポカ繋ぎ部(poka−yoke)搭載システム
KR200469677Y1 (ko)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KR20070026193A (ko) 머플러
JP2009085171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5983517B2 (ja) エンジンの触媒付き排気管構造
KR20200081492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200467773Y1 (ko) 배기가스 배출 향상을 위한 소음기의 배기관 구조
KR200430997Y1 (ko) 클램프를 이용한 분리형 자동차용 매연저감장치
KR100791644B1 (ko)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클램프 체결구조
US20100005789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exhaust system member and insertion member
US9115627B2 (en) Multiple skewed channel bricks mounted in opposing clocking directions
US20080136117A1 (en) Annular self-supporting, self-indexing gasket and joint for use of same
KR101315266B1 (ko) 소음기용 테일파이프구조
JP2016223311A (ja) 排気浄化装置の接続構造及び方法
US20080136172A1 (en) Tapered annular gasket and joint for use of same
US20130126644A1 (en) Threaded Injector Mount
CN107949686B (zh) 带凸起的排气歧管滑动接头
KR200440063Y1 (ko) 차량용 분리형 매연저감장치케이스
KR100907294B1 (ko)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2008115797A (ja)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の集合部構造
KR100907293B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