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293B1 -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293B1
KR100907293B1 KR1020080010381A KR20080010381A KR100907293B1 KR 100907293 B1 KR100907293 B1 KR 100907293B1 KR 1020080010381 A KR1020080010381 A KR 1020080010381A KR 20080010381 A KR20080010381 A KR 20080010381A KR 100907293 B1 KR100907293 B1 KR 10090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hopper
exhaust gas
flange
gas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만
Original Assignee
송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만 filed Critical 송석만
Priority to KR102008001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293B1/ko
Priority to PCT/KR2008/004253 priority patent/WO200909664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통체를 이루는 일측으로 플렌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으로 결합 및 탈거 가능한 형태에 의해 밴딩 처리되는 플렌지를 형성하여, 상기 외통체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교체 등이 비교적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밴딩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내부로의 필터 내입 작업이 용이하고 손쉬워 작업 효율성의 배가 효과와 더불어, 종래와 같이 두 군데에서의 밴딩에 따른 배기가스의 유출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내 압력 저하를 방지하게 되므로, 엔진의 출력효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10381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외통체, 내통체, 필터, 밴드

Description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CAR FUMES PURIFIER}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통체를 이루는 일측으로 플렌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으로 결합 및 탈거 가능한 형태에 의해 밴딩 처리되는 플렌지를 형성하여, 상기 외통체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교체 등이 비교적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고, 아울러 밴딩 효과가 우수한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 유니트는 기관의 매니폴드(manifold)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와 연통되는 배기파이프와, 이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전의 배기가스의 고압 및 고열,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소음기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배기유니트에 있어서는, 기관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납산화물 등의 유해성 가스를 무해성 가스로 정화시켜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필터가 내재 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좌우측으로 각각 엔진내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배기매니폴드를 통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유입호퍼부(2)와 타측으로 정화된 상태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배출호퍼부(3)로 구분되고, 상기 몸체부(1)와 그 좌우측으로 각각 상기한 유입호퍼부(2) 및 배출호퍼부(3)가 결합되어지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몸체부(1) 각 단부측 외주면으로 플렌지부(4)를 형성하고, 이와 접하도록 대응되는 유입호퍼부(2)와 배출호퍼부(3)측으로도 각각 플렌지부(5)를 형성하여 각 몸체부(1) 및 유입, 배출호퍼부(2,3)간 플렌지부(4,5)를 이용하여 볼트(B)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를 갖는 배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그 결합 및 분리 작업시 각각의 무수한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일일이 해제하여 내부 필터 등을 교체 교환하거나 또는 청소 작업 등을 완료한 상태에서 재차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고정수단의 해제 및 결합작업이 번잡함은 물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 등이 어렵고 비용 및 시간 등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원인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 제 423464 호인, 『양방으로 개방되는 결합외통체 내부로 유입필터 및 중앙필터가 내재되고, 상기 유입필터와 중앙필터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외통체가 유입호퍼부와 타측단의 배출호퍼부의 각 단부측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한 각 요소의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당히 간단하며 손쉬우면서도 체결력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결합외통체를, 양단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각 양단부의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호퍼부 및 배출호퍼부의 주연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최단부측으로 절곡부를 갖는 결합후크가 등간격 다수개 이격 구비되고, 상기 각 유입호퍼부와 배출호퍼부의 주연부측으로는 각각 동일 개수의 결합플렌지가 구비되도록 하여, 그 구성에 의한 정화장치를 제조할 때 소요되는 부품 등이 많아 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이루는데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구조에 의한 배기정화장치로부터 탈피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원통체 내부에 다수의 필터가 일방향으로 진입되도록 한 후 일측 외주면에서만 밴딩 처리되도록 하여 개별 부품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터의 교체 및 체결 작업이 비교적 손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배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일단측은 동일 직경으로 개방되고 타단측은 축관되는 콘형상을 갖는 외통유입호퍼부로 이루어지는 외통체(100)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고, 일단측은 돌출단턱을 이룬 후 연장되어 단부가 라운드상으로 말려지는 밴드체결구를 갖으며 상기 외통체 일단측 주연부를 감싸며 돌출되도록 하고, 타단측은 내측으로 단턱을 이룬 후 축관되어 콘형상을 갖는 내통유입호퍼부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체에 내합되는 내통체(200)와,
상기 내통체가 내합되는 외통체의 일단측으로 결합되도록 돌출환부를 갖는 배출호퍼부(300)와,
상기 배출호퍼부 타단으로 연결되는 배출측플렌지(400)와,
상기 내통체 타단의 내통유입호퍼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유입측플렌지(500)와,
상기 내통체(200)의 밴드체결구와 상기 배출호퍼부의 돌출환부를 커버하며 밴딩하게 되는 밴드(60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측의 밴딩 구조를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되어 내부로의 필터 내입 작업이 용이하고 손쉬워 작업 효율성의 배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측에서의 밴딩만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두 군데에서의 밴딩에 따른 배기가스의 유출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내 압력 저하를 방지하게 되므로, 엔진의 출력효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같이 차량용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제공하되, 밴딩 구조를 간편화하고 내부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우수한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통체(100)와 상기 외통체(100)에 내입되는 내통체(200)와, 상기 내통체(200)의 일단과 접하며 결합되기 위한 배출호 퍼부(300)와 상기 배출호퍼부(300) 타단측과 연결되는 배출측플렌지(400)와, 상기 외통체(100) 및 내통체(200) 타단측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외통유입호퍼부와 겹쳐지는 내통유입호퍼부에 연결되는 유입측플렌지(500)와, 상기 내통체(200)의 일단 및 배출호퍼부(300)의 일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밴딩 처리하는 밴드(6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체(1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측이 동일직경으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타단측은 축관되는 외통유입호퍼부(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외통체(100) 외주면으로 움푹 들어가는 형태를 갖으며 내주면측에서 보았을 때 돌출되는 돌출요부(12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이격되며 형성된다.
여기서 의미하는 돌출요부(120)는 외통체(100)의 내주면에서 보았을 때의 의미이며, 외통체(100)의 외주면에서 보았을 때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이격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외통체(100)와 내통체(200)간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돌출요부(120)로 설명되어진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통체(100)의 평단면도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돌출요부(120)는 내주면에서의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내통체(200)는 전술한 외통체(100)의 내측으로 내입 되는 구성이다.
그 일단은 동일 직경 즉 내통체(200)가 이루는 직경과 동일한 상태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타단은 외통체(100)와 마찬가지로 협소하게 축관 되는 콘 형상의 내통유입호퍼부(210)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내통체(200)의 외주면에서 보았을 때 움푹하게 들어가는 요홈에 의해 내주면측으로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요부(220)를 다수개 등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내통체(200)의 돌출요부(220)는 상기 내통체(200)에 필터(F)가 내입되었을 때 상기 필터(F) 외주면과 상기 돌출요부(220)가 맞닿아 일정 정도 공간(S2)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필터(F)의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c에서의 내통체(200) 평단면도에서 보듯이, 전술한 외통체(100)와 마찬가지로 내주면측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 돌출 형성되는 돌출요부(220)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체(200) 일단으로는 도 6b 정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단턱(230)을 이룬 후 연장되고, 그 단부가 둥근 원형태를 이루도록 라운드상으로 말려지는 밴드체결구(240)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밴드체결구(240)는 이후 설명하게 되는 밴드(600)에 의해 내통체(200)의 밴드체결구(240)와 접하게 되는 배출호퍼부(300)의 일단과 접하며 밴딩 처리 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단턱(230)을 지칭할 때 도면에서와 같이 내통체(200) 일단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내통체(200)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지는 단턱 을 동시에 지칭하며, 동일한 부호에 의해 설명되고 도시화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내통체(200)의 타단 즉 도 6b에서의 오른쪽 단부측으로는 일체로 콘 형상을 이루며 축관 되는 내통유입호퍼부(2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내통체(200)의 몸통부위와 상기 내통유입호퍼부(210)가 시작되는 부분에 단턱(211)을 형성하며 내통유입호퍼부(210)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단턱(211)의 경우에도 내통체(20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동일 지점을 가르키게 되는 것으로 동일 부호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턱(211)은 필터(F)가 내입되었을 때 리테이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내통체(200)는 외통체(100) 내부로 진입되며 내합되는데, 그 단면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내통체(200)의 외주면과 외통체(100)의 내주면으로는 일정 공간(S1)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S1)의 형성은 외통체(100) 내주면의 돌출요부(120)와 내통체(200)의 외주면이 접하며 발생 되는 공간(S1)이다.
따라서, 상기의 공간(S1)에 의해 내통체(200)의 필터(F)를 통과하는 고온의 배출가스 온도가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일정 정도 차단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내통체(200)가 외통체(100)에 내입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외통체(100) 내주면으로 길이방향 길게 형성되는 돌출요부(120)는 외통 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내통체(200) 외주면과 접하는 상태를 이루고 있어, 상기한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내통체(200)를 지지하여 외통체(100) 내부에서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내통체(200)의 일단부 즉, 동일 직경으로 개방되는 측의 밴드체결구(240) 외면과 접하게 되는 것으로 후술하게 되는 리테이너(310)와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내통체(200) 내부로 다수개의 필터(F)를 내입하게 되는데, 도 3에서의 외통체(100), 내통체(200) 및 그 내통체(200)에 내입된 필터(F)를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체(200) 양단측에서 상기 필터(F) 중 양단에 각각 위치되는 최외곽 필터(F)를 각각 지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데, 내통체(200) 후단측 즉 도면상 보았을 때 우측단으로 이어지는 내통유입호퍼부(210)의 단턱(211)에 최초 내입되는 필터(F)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상기 필터(F)를 고정하게 되고, 타단 즉 도면상 보았을 때 좌측단으로 필터고정리테이너(250)를 구비하여 다수개로 내입되는 필터(F)를 전후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호퍼부(300)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3에서 좌측단은 상기한 필터고정리테이너(250) 외면과 접하게 되는 가스켓(260)과 당접되도록 하고, 타단은 그 직경이 축관되며, 배출측플렌지(400)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 용착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고정리테이너(250)는 최종 필터(F)를 마감 처리하게 되는데, 그 필 터고정리테이너(250)의 외측면과 상기한 내통체(200)의 돌출단턱(230)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지므로, 상기 가스켓(260)이 끼워졌을 때 상기의 필터고정리테이너(250) 및 돌출단턱(230)과 접하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260)과 접하게 되는 배출호퍼부(300)의 일단측 외주면으로 플렌지부(30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렌지부(301)로부터 동일 직경의 수평연장부(302)를 이루도록 한 후, 콘 형상으로 축관 되어 상술한 배출측플렌지(400)의 일단측과 용접 되도록 한다.
상기한 플렌지부(301)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02)의 외주면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리테이너(310)의 내주면이 접하며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플렌지부(301)와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도 3 참조)
상기 배출측플렌지(400)는 상술한 배출호퍼부(300)의 일단 즉 축관되는 부분의 단부측에 용접 처리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상기 유입측플렌지(500)는 상기 내통유입호퍼부(210)의 축관된 단부측에 용접 처리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호퍼부(300)의 수평연장부(302) 및 플렌지부(301)에 위치되는 리테이너(310)와, 내통체(200)의 상기 밴드체결구(240)를 커버하며 밴딩처리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은 밴드(600)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밴드(6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체(610)를 원호상으 로 형성하되 양단부는 각각 라운딩 처리되는 라운드부(611)에 볼트 등으로 되는 외주면에 숫나사를 형성하여서 되는 체결구(62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612)이 각각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라운부(611)내로 상기 체결구(62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배드(600)의 조임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구(613)가 내입 된다.
아울러, 상기 판형체(610)의 저면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310)와 내통체(200)의 상기 밴드체결구(240)를 커버 하게 되는 커버부(630)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외통체(100) 내부로 내통체(200)를 내입 한 후 외통유입호퍼부(110)의 축관되는 부분 내주면과 내통체(200)의 내통유입호퍼부(210) 축관되는 부분 외주면간을 용접처리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그 내통체(200) 타단측은 라운드 처리되는 밴드체결구(240)가 외통체(100) 타단측 단부를 지지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를 갖는 외통체(100)와 내통체(200)간에는 외통체(100)의 내주면으로 길이방향 돌출되는 돌출요부(120)에 의한 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S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 온도가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일정 정도 차단하게 되는 역할과, 외부와의 충격력 흡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통체(100)와 내통체(200)간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내통 체(200) 내부로 필터(F)를 다단 내입하게 되는데, 최초 내입 되는 필터(F)(도면상 보았을 때 오른쪽 필터를 지칭하게 된다)의 일단측은 내통체(200) 일측 내통유입호퍼부(210)의 리테이너 역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단턱(211)에 걸려 지지되고, 최종 내입되는 필터(F)(도면상 보았을 때 왼쪽 필터를 지칭한다)는 가스켓(260)과 접하는 필터고정리테이너(250)와 접하도록 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고정리테이너(250)와 가스켓(260)을 내입하여, 다수개로 구비되는 필터(F)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배출호퍼부(300)의 일측 즉 플렌지부(301)와 내통체(200)의 밴드체결구(240)가 접하도록 하고, 리테이너(310)를 배출호퍼부(300)의 수평연장부(302)에 환설되도록 한 후, 밴드(600)의 커버부(630)가 상기 리테이너(310)와 내통체(200)의 밴드체결구(240)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600) 라운드부(611)내에 위치되는 조임구(613)측으로 판형체(610)의 라운드부(611)로 천공된 구멍(612)을 통해 체결구(620)를 삽입, 체결하여 조여지도록 하여 완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필터(F)를 교체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청소를 하는 등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종전과 같이 전후로 각각 체결된 밴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밴드(600)만을 분리하여 필터(F)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엔진으로부터 연결되고, 차체 후방의 머플러 등과 배관 연결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관 특성에 의해 기존과 같은 방식을 따를 경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전부 차량으로부터 탈거하여 작업하여야 되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일측의 밴드(600)를 분리하여 머플러 등으로 이어지는 배출매니홀드와의 배관만을 분리 한 후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작업 시간 또한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에 의한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통체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정단면도
도 5c는 도 5a의 측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통체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정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측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F; 필터 S1, S2; 공간
100; 외통체 110; 외통유입호퍼부
120; 돌출요부 200; 내통체
210; 내통유입호퍼부 211; 단턱
220; 돌출요부 230; 돌출단턱
240; 밴드체결구 250; 필터고정리테이너
260; 가스켓 300; 배출호퍼부
301; 플렌지부 302; 수평연장부
310; 리테이너 400; 배출측플렌지
500; 유입측플렌지 600; 밴드
610; 판형체 611; 라운드부
612; 구멍 613; 조임구
620; 체결구 630; 커버부

Claims (5)

  1.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120)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일단측은 동일 직경으로 개방되고 타단측은 축관되는 콘형상을 갖는 외통유입호퍼부(110)로 이루어지는 외통체(100)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220)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되 일단측은 돌출단턱(230)을 이룬 후 연장되어 단부가 라운드상으로 말려지는 밴드체결구(240)를 갖으며 상기 외통체(100) 일단측 주연부를 감싸며 돌출되도록 하고, 타단측은 내측으로 단턱(211)을 이룬 후 축관되어 콘형상을 갖는 내통유입호퍼부(210)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체(100)에 내합되며 다수개의 필터(F)가 내입되는 내통체(200)와,
    상기 내통체(200)의 밴딩체결구(240)와 접하도록 플렌지부(301)를 이루고 상기 플렌지부(301)로부터 수평연장부(302)를 이룬 후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호퍼부(300)와,
    상기 배출호퍼부(300) 타단으로 연결되는 배출측플렌지(400)와,
    상기 내통체(200) 타단의 내통유입호퍼부(210) 내측으로 결합되는 유입측플렌지(500)와,
    상기 내통체(200)의 밴드체결구(240)와 상기 배출호퍼부(300)의 플렌지부(301)를 커버하며 밴딩하게 되는 밴드(60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0)의 다수의 돌출요부와 내통체(100) 내주면과, 외통유입호퍼부(110)내부로 내입되는 내통체(100) 내통유입호퍼부(210) 사이에 공간(S1,S2)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200)로 다수개 내입되는 필터(F) 중 최종 필터(F)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필터고정리테이너(250)와, 상기 필터고정리테이너(250)와 외접하는 가스켓(260)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퍼부(300)의 수평연장부(302)에 환설되며 상기 플렌지부(301)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310)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600)는 양단부에 각각 구멍(612)이 천공되는 라운드부(611)를 이루며 판형체(6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운드부(611)에 조임구(613)가 내입되어 상기 구멍(612)을 통해 진입되는 체결구(620)와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판형체(610) 저면으로 일체 형성되는 커버부(630)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0080010381A 2008-01-31 2008-01-31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090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1A KR100907293B1 (ko) 2008-01-31 2008-01-31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PCT/KR2008/004253 WO2009096641A1 (en) 2008-01-31 2008-07-21 Exhaust gas filtering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1A KR100907293B1 (ko) 2008-01-31 2008-01-31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293B1 true KR100907293B1 (ko) 2009-07-13

Family

ID=4133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81A KR100907293B1 (ko) 2008-01-31 2008-01-31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2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2413A (ja) 1982-04-05 1983-10-11 Mazda Motor Corp モノリス触媒コンバ−タ
JPH0327826U (ko) * 1989-07-27 1991-03-20
KR100871482B1 (ko) 2002-05-07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의 오염 제거용 세척장치
KR100871481B1 (ko) 2001-02-21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2413A (ja) 1982-04-05 1983-10-11 Mazda Motor Corp モノリス触媒コンバ−タ
JPH0327826U (ko) * 1989-07-27 1991-03-20
KR100871481B1 (ko) 2001-02-21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KR100871482B1 (ko) 2002-05-07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의 오염 제거용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7215B (zh) 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CN102812217B (zh) 排气气体净化装置
JP4202787B2 (ja) 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装置
CN101999036B (zh) 具有可拆除模块的用于处理废气流的设备
CN102753797B (zh) 排气气体净化装置
KR20130006451A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US8763375B2 (en) Exhaust gas cleaning device, exhaust system, removal method
WO2005052328A1 (ja) 排気浄化装置
CN104271905A (zh) 粒子过滤器
CN103392056A (zh) 排气净化装置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JP2011117385A (ja) 排気浄化装置
JP581443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0791644B1 (ko)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클램프 체결구조
KR100907293B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US9222393B2 (en) Conical substrate
KR200423464Y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결합 구조
KR200469677Y1 (ko)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KR100907294B1 (ko)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09096641A1 (en) Exhaust gas filtering system for vehicles
JP2007278156A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546790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4048931B2 (ja) エンジンのegr装置
JP2017075596A (ja) 排気ガス後処理装置
KR200440063Y1 (ko) 차량용 분리형 매연저감장치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