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294B1 -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294B1
KR100907294B1 KR1020080010388A KR20080010388A KR100907294B1 KR 100907294 B1 KR100907294 B1 KR 100907294B1 KR 1020080010388 A KR1020080010388 A KR 1020080010388A KR 20080010388 A KR20080010388 A KR 20080010388A KR 100907294 B1 KR100907294 B1 KR 10090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ers
hopper
exhaust gas
ho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만
Original Assignee
송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만 filed Critical 송석만
Priority to KR102008001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294B1/ko
Priority to PCT/KR2008/004253 priority patent/WO200909664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deforming housing, tube, baffle, plate,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기매니홀드를 이루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관 연결시 각 차량의 조건에 따라 머플러와 엔진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기매니홀드 배관간 높이가 각각 다르게 되는데, 각 차량에 따라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호환성이 부족하여 차량 종류에 따른 정화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 종류에 상관 없이 설치가능한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10388
배기가스 정화장치, 위치 변위, 외통체, 내통체, 간격유지구, 밴드

Description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A POSITION CHANGE TYPE CAR FUMES PURIFIER}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기매니홀드를 이루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관 연결시 각 차량의 조건에 따라 머플러와 엔진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기매니홀드 배관간 높이가 각각 다르게 되는데, 각 차량에 따라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호환성이 부족하여 차량 종류에 따른 정화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 종류에 상관 없이 설치가능한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 유니트는 기관의 매니폴드(manifold)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와 연통되는 배기파이프와, 이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전의 배기가스의 고압 및 고열,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소음기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배기유니트에 있어서는, 기관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납산화물 등의 유해성 가스를 무해성 가스로 정화시켜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필터가 내재 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 좌우측으로 각각 엔진내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배기매니폴드를 통해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유입호퍼부(2)와 타측으로 정화된 상태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배출호퍼부(3)로 구분되고, 상기 몸체부(1)와 그 좌우측으로 각각 상기한 유입호퍼부(2) 및 배출호퍼부(3)가 결합되어지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몸체부(1) 각 단부측 외주면으로 플렌지부(4)를 형성하고, 이와 접하도록 대응되는 유입호퍼부(2)와 배출호퍼부(3)측으로도 각각 플렌지부(5)를 형성하여 각 몸체부(1) 및 유입, 배출호퍼부(2,3)간 플렌지부(4,5)를 이용하여 볼트(B)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를 갖는 배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그 결합 및 분리 작업시 각각의 무수한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일일이 해제하여 내부 필터 등을 교체 교환하거나 또는 청소 작업 등을 완료한 상태에서 재차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므로, 고정수단의 해제 및 결합작업이 번잡함은 물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 등이 어렵고 비용 및 시간 등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원인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 제 423464 호인, 『양방으로 개방되는 결합외통체 내부로 유입필터 및 중앙필터가 내재되고, 상기 유입필터와 중앙필터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외통체가 유입호퍼부와 타측단의 배출호퍼부의 각 단부측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한 각 요소의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당히 간단하며 손쉬우면서도 체결력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결합외통체를, 양단부가 각각 개방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각 양단부의 외주면으로 상기 유입호퍼부 및 배출호퍼부의 주연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최단부측으로 절곡부를 갖는 결합후크가 등간격 다수개 이격 구비되고, 상기 각 유입호퍼부와 배출호퍼부의 주연부측으로는 각각 동일 개수의 결합플렌지가 구비되도록 하여, 그 구성에 의한 정화장치를 제조할 때 소요되는 부품 등이 많아 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이루는데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장치나, 공지된 다양한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각각의 차량 종류에 맞게 설계되어 제작,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종의 차량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타종의 차량에는 적용 불가능하여 호환가능성이 없게 되는데, 이는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라인과 머 플러 등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 라인의 위치가 각각 달라, 하나의 차종에 맞게 설계된 배기가스 정화장치만을 적용하여 설치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 차종에 맞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작으로 인한 생산원가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차종의 단종이 이루어질 경우 이에 적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폐기처분되어야 하는 등 사회적 손실이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구조에 의한 배기정화장치로부터 탈피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이루는 외통체의 중앙 적정 지점을 분리하여 머플러측과 이어지는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제1외통체와 엔진으로부터의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제2외통체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외통체 및 제2외통체의 접하는 부분을 밴딩 처리하되, 어느 한측의 외통체의 플렌지를 편심되도록 하여 각 차량의 조건에 따라 편심 된 외통체를 회전시킨 후 밴딩 처리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 및 체결 작업이 비교적 손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배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110,110')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유입호퍼부(120)와 배출호퍼부(12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호퍼부(120,120') 타단이 상호 대접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1,2외통체(100,100')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내통유입호퍼부와 내통배출호퍼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호퍼 부 타단이 연장되어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벤드체결구를 형성하여 상호 대접되며 상기 제1,2외통체(100,100')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1,2 내통체(200,200')와,
상기 각 제1,2내통체(200,200')에 필터(F)가 내입되고, 상기 제1,2내통체(200,200')의 접하는 벤드체결구 내부로 상기 필터(F)간 간격을 이격되도록 하여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유지구(300)와,
상기 제1,2내통체(200,200')의 각 단부측 벤드체결구를 감싸며 벤딩 처리하는 벤드(400)와,
상기 내통유입호퍼부 및 내통배출호퍼부의 단부 내주면으로 각각 용접 고정되는 유입측플렌지(500) 및 배출측플렌지(600)를 구비하여,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과 머플러로 이어지는 배관라인을 각각 연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호퍼부,배출호퍼부 및 내통유입호퍼부와 내통배출호퍼부는 각 상기 제1,2외통체(100,100')와 제1,2내통체(200,200')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내통체(100)와 제2내통체(100')의 각 내통유입호퍼부(220)와 내통배출호퍼부(220')에서 몸체측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단턱(221,221')을 형성하고, 각 제1내통체(100) 및 제2내통체(100') 반대측에 형성되며 각각 접하게 되는 밴드체결구(210,210') 내주에 간격유지구(230)를 내입하여 필터(F)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F)의 외면과 각 단부측을 커버하는 필터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 라인과 머플러측으로 이어지는 배관라인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차종에 설치 호환성이 우수한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로의 필터 내입 작업이 용이하고 손쉬워 작업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같이 차량용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제공하되, 밴딩 구조를 간편화하고 내부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차종에 상관없이 설치 호환성이 우수한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2외통체(100,100')와 상기 제1,2외통체(100,100')에 각각 내입되는 제1,2내통체(200,200')와, 상기 1,2외통체(100,100') 및 제1,2내통체(200,200') 중앙 부분의 상호 접하는 부위를 결합하기 위한 밴드(400)와, 상기 제1,2내외통 체(200,200',100,100')의 중심에서 각각 편심 되는 유입호퍼부,배출호퍼부 및 내통유입호퍼부와 내통배출호퍼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체(100,100')는 제1외통체(100)와 제2외통체(200)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되, 중앙부분으로는 상호 접하는 형태를 이루고 타단측으로는 각각 축관되는 형태의 유입호퍼부(120)와 배출호퍼부(120')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즉, 도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제1외통체(100)는 우측에 도시되는 것을 의미하고 제2외통체(100')는 좌측에 도시되는 것을 의미하되, 제1외통체의 유입호퍼부(120)는 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라인과 연결되고, 제2외통체(100')의 배출호퍼부(120')는 정화된 배기가스가 머플러(미도시)측과 이어지는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고 도시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각 제1,2외통체(100,100')의 외주면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움푹하게 들어가는 구조를 갖는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를 돌출요부(110,110')로 설명한다.
상기 돌출요부(110,110')는 이후 설명되는 제1,2내통체(200,200')의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1,2외통체(100,100')와 제1,2내통체(200,200')간 이격되는 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1,2외통체(100,100') 타단으로 축관되어 각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라인과 머플러측으로 이어지는 배관라인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 한, 유입호퍼부(120) 및 배출호퍼부(120')는 각각 제1,2외통체(100,100')의 중심선상에서 편심 되도록 하였다.
상기 내통체(200,200')는 제1,2내통체(200,20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술한 제1외통체(100) 및 제2외통체(100')에 각각 내입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내통체(200,200')의 접하는 부분은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그 일단이 둥근 형태로 라운딩 처리되는 벤드체결구(210,210')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접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호 접하게 되는 벤드체결구(210,210')을 커버하며 에워싸는 형태로 각 제1,2내통체(200,200')를 밴드(40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밴드(40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체(410)를 원호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는 각각 라운딩 처리되는 라운드부(420)에 볼트 등으로 되는 외주면에 숫나사를 형성하여서 되는 체결구(43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421)이 각각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라운부(420)내로 상기 체결구(43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밴드(400)의 조임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조임구(440)가 내입 된다.
아울러, 상기 판형체(410)의 저면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내통체(200,200')의 밴드체결구(210,210')를 커버 하게 되는 커버부(63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각 밴드체결구(210,2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외통체(100,100')의 각 단부가 접하도록 제1,2외통체(100,100') 단부 상방으로 돌출 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제1내통체(200)와 제2내통체(200')의 각 타단으로 축관되는 내통유입호퍼부(220)와 내통배출호퍼부(220')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1내통체(200)의 타단 내통유입호퍼부(220)와, 제2내통체(200')의 타단 내통배출호퍼부(220')는 각각 제1,2내통체(210,210')의 중심선에서 편심되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통유입호퍼부(220)는 상기한 제1외통체(100)의 유입호퍼부(120)와 내합 되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2내통체(200')의 내통배출호퍼부(220')는 상기 제2외통체(100')의 배출호퍼부(120')와 내합되며 그 단부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2외통체(100,100')에는 각각 제1,2내통체(200,200')가 내입되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호 접하는 부분의 단부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내통체(200,200')의 라운딩 처리되는 밴드체결구(210,210')의 일측에 제1,2외통체(100,100')의 단부가 접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각 밴드체결구(210,210')의 타측으로는 상호 선접촉에 의해 접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선접촉에 의해 접하는 각 밴드체결구(210,210')를 커버하는 밴드(400)에 의해 분리된 제1,2내외통체(100,100'200,200')의 상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내통체(200,200') 외주면에서 보았을 때 움푹 들어가고, 내주면에서 보았을 때 돌출되는 돌출요부(201,201')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이 격 형성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외통체(100,100') 내주면으로 길게 돌출되며 이격 형성되는 돌출요부(110,110')는 제1,2내통체(200,200')의 외면과 접하여 외통체(100,100')와 내통체(200,200')간 이격되는 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내통체(200,200') 내주면으로 길이방향 형성되는 돌출요부(201,201')는 제1,2내통체(200,200') 내부로 삽입되는 각 필터(F)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필터(F)와 제1,2내통체(200,200')간 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 공간(S1,S2)에 의해 필터(F)를 통과하는 고온의 배출가스 온도가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필터(F)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필터(F)와 제1,2내통체(200,200') 및 제1,2외통체(100,100')간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듯이, 필터(F)는 제1내통체(200)와 제2내통체(200')에 각각 내입되고, 필터(F) 사이에는 공간(S)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제1내통체(100)와 제2내통체(100')의 각 내통유입호퍼부(220)와 내통배출호퍼부(220')에서 몸체측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단턱(221,221')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되는 단부측으로도 제2단턱(221a,221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여기서 상기 단턱(221,221')은 필터(F)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는 리테이너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그 반대측 즉 도면상 보았을 때 중앙부위는 밴드체결구(210,210')에 서로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밴드체결구(210,210')의 내주에 간격유지구(300)를 내입하여, 상기 단턱(221a,221a')과 접하며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간격유지구(300)는 상기한 밴드체결구(210,210')를 밴드(400)에 의해 밴딩 결합할 때 내통체(200,200')의 밴드체결구(210,210')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배제하고, 견고한 결합력이 가능하도록 심재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필터(F)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함은 물론, 필터(F)와 필터(F)간 공간(S)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간격유지구(300)의 측면과 접하며 각 가스켓(212,212')과, 상기 가스켓(212,212')과 접하며 필터(F)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고정리테이너(211,211')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F)는 이와 같이 필터고정리테이너(211,211')와 내통유입 및 배출호퍼부(220,220')의 각 단턱(221,221')에 내재되며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F) 외면으로는 흡음재(F-1)가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F-1)를 감싸는 필터케이싱(F-2)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케이싱(F-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측은 절곡부(F-21)를 형성하여, 필터(F)와 흡음재(F-1)의 일단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라인과, 머플러 등으로 연결되는 배관라인 사이에 본 발명을 연결하게 되는데, 먼저 제1내통체(200)와 제2내통체(200')에 각각 필트(F)를 가 스켓(212,212') 및 필터고정리테이너(211,211') 등을 이용하여 내입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각 제1내통체(200)와 제2내통체(200')를 각각 제1외통체(100)와 제2외통체(100')에 삽입 한 후, 상호 접하는 부위에 간격유지구(300)를 구비하여, 제1내외통체(100,200)와 제2내외통체(100,200')간 공간(S)이 확보되도록 하며, 제1,2외통체(100,100') 분리 부분을 밴드(400)를 이용하여 밴딩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라인과, 머플러 등으로부터 연결되는 배관라인의 위치가 각각 차종에 따라 다르므로, 설치하게 되는 차종의 배관 라인 조건에 맞게, 제1,2외통체(100,100')를 회전시켜 각 배관라인과 일치되도록 위치변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변위 작업에 의해 제1,2외통체(100,100')의 유입호퍼부(120) 및 배출호퍼부(120')가 엔진 및 머플러 등과 이어지는 각 배관 라인이 일치되는 위치에서 플렌지 등을 이용하여 연결 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밴드(40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밴딩 체결되도록 하여 차종에서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결합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장치내 필터를 교환하거나 청소 등을 하기 위해 탈거 할 경우,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각 배관 라인에서 분리한 다음, 중앙 부분의 밴드(400)를 분리하여 각 제1,2내통체(200,200')에서 필터(F)를 제거하여 교환 또는 청소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전후에서 체결되는 밴드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2외통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제1,2외통체의 정단면도
도 3은 제1,2외통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2내통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제1,2내통체의 정단면도로 각 부분을 부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제1,2내통체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정화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정화장치를 수직상태로 절개한 상태에서의 절개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1외통체 100'; 제2외통체
110,110'; 돌출요부 120; 유입호퍼부
120'; 배출호퍼부 200; 제1내통체
200'; 제2내통체 201,201'; 돌출요부
210,210'; 밴드체결구 211,211'; 필터고정리테이너
212,212'; 가스켓 220; 내통유입호퍼부
220'; 내통배출호퍼부 221,221'; 단턱
300; 간격유지구 400; 밴드
410; 판형체 420; 라운드부
421; 구멍 430; 체결구
440; 조임구 450; 커버부
F; 필터 F-1; 흡음재
F-2; 필터케이싱 F-3; 절곡부

Claims (4)

  1.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110,110')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유입호퍼부(120)와 배출호퍼부(12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호퍼부(120,120') 타단이 상호 대접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1,2외통체(100,100')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요부가 길이방향 다수개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 구성되어지되, 내통유입호퍼부와 내통배출호퍼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호퍼부 타단이 연장되어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벤드체결구를 형성하여 상호 대접되며 상기 제1,2외통체(100,100')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를 이루는 제1,2 내통체(200,200')와,
    상기 각 제1,2내통체(200,200')에 필터(F)가 내입되고, 상기 제1,2내통체(200,200')의 접하는 벤드체결구 내부로 상기 필터(F)간 간격을 이격되도록 하여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유지구(300)와,
    상기 제1,2내통체(200,200')의 각 단부측 벤드체결구를 감싸며 벤딩 처리하는 벤드(400)와,
    상기 내통유입호퍼부 및 내통배출호퍼부의 단부 내주면으로 각각 용접 고정되는 유입측플렌지(500) 및 배출측플렌지(600)를 구비하여, 엔진으로부터 이어지는 배관과 머플러로 이어지는 배관라인을 각각 연결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호퍼부(120),배출호퍼부(120') 및 내통유입호퍼부(220)와 내통배출호퍼부(220')는 각 상기 제1,2외통체(100,100')와 제1,2내통체(200,200')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통체(100)와 제2내통체(100')의 각 내통유입호퍼부(220)와 내통배출호퍼부(220')에서 몸체측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단턱(221,221')을 형성하고, 각 제1내통체(100) 및 제2내통체(100') 반대측에 형성되며 각각 접하게 되는 밴드체결구(210,210') 내주에 간격유지구(230)를 내입하여 필터(F)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F)의 외면과 각 단부측을 커버하는 필터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0080010388A 2008-01-31 2008-01-31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090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8A KR100907294B1 (ko) 2008-01-31 2008-01-31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PCT/KR2008/004253 WO2009096641A1 (en) 2008-01-31 2008-07-21 Exhaust gas filtering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88A KR100907294B1 (ko) 2008-01-31 2008-01-31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294B1 true KR100907294B1 (ko) 2009-07-13

Family

ID=4133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88A KR100907294B1 (ko) 2008-01-31 2008-01-31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88B1 (ko) 2009-09-25 2011-12-09 대지금속 주식회사 디젤 차량용 머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26U (ko) * 1989-07-27 1991-03-20
KR200423464Y1 (ko) 2006-05-25 2006-08-08 이순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결합 구조
KR100871482B1 (ko) 2002-05-07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의 오염 제거용 세척장치
KR100871481B1 (ko) 2001-02-21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26U (ko) * 1989-07-27 1991-03-20
KR100871481B1 (ko) 2001-02-21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정화장치
KR100871482B1 (ko) 2002-05-07 2008-12-05 대기포레시아(주) 엔진 배기가스의 오염 제거용 세척장치
KR200423464Y1 (ko) 2006-05-25 2006-08-08 이순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88B1 (ko) 2009-09-25 2011-12-09 대지금속 주식회사 디젤 차량용 머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726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CN102027215B (zh) 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CN102753797B (zh) 排气气体净化装置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JP581443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6773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0907294B1 (ko)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423464Y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결합 구조
JP4709682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546790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4029157A (ja) エンジン装置
KR200469677Y1 (ko)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JP53401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49334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0907293B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JP5777257B2 (ja) エンジン装置
KR200440140Y1 (ko) 차량용 배기가스의 정화장치의 결합구조
KR20130014681A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080003982U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체결밴드
JP5551497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93208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68529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0820687B1 (ko)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JP5554814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2251564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