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687B1 -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 Google Patents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687B1
KR100820687B1 KR1020060094205A KR20060094205A KR100820687B1 KR 100820687 B1 KR100820687 B1 KR 100820687B1 KR 1020060094205 A KR1020060094205 A KR 1020060094205A KR 20060094205 A KR20060094205 A KR 20060094205A KR 100820687 B1 KR100820687 B1 KR 10082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catalyst
baffle
mant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648A (ko
Inventor
정일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68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의 후방 측으로 배출될 때 배기가스의 정화 및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머플러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플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과 배플 사이를 연결하고 내부로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로는 촉매가 구비되는 맨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플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고액의 촉매장치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매내장형 머플러의 내구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머플러, 배플, 연결부, 나사부, 맨틀, 촉매, 가스켓

Description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Muffler where the catalyst separates}
도 1은 종래의 머플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맨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맨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플러, 10 : 케이스,
20 : 배플, 22 : 결합공,
30 : 연결부, 32 : 나사부,
34 : 외측면, 40 : 맨틀,
42 : 나사부, 44 : 내측면,
46 : 손잡이 바, 50 : 촉매,
60 : 가스켓
본 발명은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플 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고액의 촉매장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기 파이프는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관으로, 그 도중에는 머플러가 장치된다.
특히, 머플러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줄이는 것으로서, 머플러의 구조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지만, 보통 1mm정도의 강판을 원통형으로 만들어 그 내부를 몇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배기가스가 그들의 장벽을 통과한 음파의 간섭, 압력변동의 감소, 배기온도의 저하 등을 일으켜 점차로 소음 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머플러(100)는 다수개의 결합공(220)이 형성되는 배플(200)과,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장치(3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촉매장치(300)가 머플러(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배플(200)의 결합공(220)으로 수평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머플러(100)의 구성(특히 상용차)은 차량의 레이아웃 상 배기파이프 중간에 촉매장치(300)를 별도로 구성하질 못하고 상기 머플러(100)의 내부에 촉매장치(300)를 용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용차는 특성상 험지를 많이 다니기 때문에 차량진동과 엔진진동이 매우 심하고 큰 엔진 배기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머플러를 크게 제작하여야만 하여 야만 하고 이로 인해, 차량에 큰 진동과 큰 중량으로 인하여 머플러는 브라켓이나 배플 등의 파손이 이루어지고 교체를 해야하는데 이때 아무런 손상이 없는 촉매장치 또한 같이 교환하여 고액의 경비가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머플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고액의 촉매장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의 후방 측으로 배출될 때 배기가스의 정화 및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머플러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배플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과 배플 사이를 연결하고 내부로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대응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로는 촉매가 구비되는 맨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맨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맨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머플러(1)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적어도 하 나 이상 장착되는 배플(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20)과 배플(20) 사이를 연결하고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와 결합하고 내부로는 촉매(50)가 구비되는 맨틀(4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입구(12)와 출구(14)가 상, 하로 형성되되, 형상을 기존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대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방향으로 고정장착되는 배플(20)은 상기 연결부(30)를 지지 및 고정을 위해 결합공(22)이 다수개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22)의 형상은 원형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20)과 배플(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0)는 상기 배플(20)에 형성되는 결합공(22)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형상은 중공형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로는 상기 맨틀(40)과 결합을 위한 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0)의 내부와 결합하는 맨틀(40)은 상기 연결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2)와 대응되게 나사부(42)를 형성하여 결합하되, 상기 맨틀(40)의 내부로는 배기가스의 정화를 위한 촉매(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맨틀(40)의 끝단 중앙 내주면으로 손잡이 바(46)가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 바(46)는 상기 연결부(30)와 조립 및 분해시 용이하게 풀릴 수 있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촉매(50)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와 맨틀(40)이 접촉하는 외측면(34)과 내측면(44)은 외측을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어 밀착하고 그 사이로는 가스켓(6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외측면(34)과 내측면(44)의 사이로 가스켓(60)을 장착하여 상기 연결부(30)의 나사부(32)와 맨틀(40)의 나사부(42)가 접하는 사이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머플러(1)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의 내부에 다수개의 결합공(22)이 마련되는 배플(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한 후 상기 배플(20)의 결합공(22) 사이로 내주면에 나사부(32)가 형성된 연결부(30)를 고정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30)의 내부로 외주면에 상기 나사부(32)와 대응하는 나사부(42)가 형성된 맨틀(40)을 나사부(32)를 따라 장착하되, 상기 맨틀(40)의 내부로는 촉매(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와 맨틀(40)의 접촉하는 외측면(34)과 내측면(44)으로는 가스켓(60)을 장착하여 나사부(32, 42) 사이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끝단 머플러(1)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의 후방 측으로 배출되는 도중에 장착되어 배기가스를 정화 및 소음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머플러(1)의 외부 파손 및 촉매(50) 등으로 머플러를 교환하게 될 경우에는 상태가 양호한 촉매(50)가 구비된 맨틀(40)을 제거하여 새로운 머플러(1)의 연결부(30)에 촉매(50)가 구비된 맨틀(40)을 나사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플러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고액의 촉매장치를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매내장형 머플러의 내구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의 후방 측으로 배출될 때 배기가스의 정화 및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머플러에 있어서,
    입구(12)와 출구(14)가 마련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다수개의 결합공(22)이 형성되는 배플(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플(20)과 배플(20) 사이를 연결하고 내부로는 나사부(32)가 형성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에 형성된 나사부(32)와 대응하는 나사부(42)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로는 촉매(50)가 구비되는 맨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와 맨틀(40)이 접촉하는 외측면(34)과 내측면(44)으로 가스켓(6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맨틀(40)의 끝단 중앙 내주면으로 상기 연결부(30)와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바(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KR1020060094205A 2006-09-27 2006-09-27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KR10082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05A KR100820687B1 (ko) 2006-09-27 2006-09-27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205A KR100820687B1 (ko) 2006-09-27 2006-09-27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648A KR20080028648A (ko) 2008-04-01
KR100820687B1 true KR100820687B1 (ko) 2008-04-11

Family

ID=3953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205A KR100820687B1 (ko) 2006-09-27 2006-09-27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107A (en) 1990-12-11 1992-08-18 Kioritz Corporation Exhaust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814033A (ja) * 1994-06-24 1996-01-16 Caterpillar Inc 内燃エンジン用モジュール触媒コンバータとマフラー
JP2005337247A (ja) 2004-05-27 2005-12-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排気マフラー装置および締結具チューブ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107A (en) 1990-12-11 1992-08-18 Kioritz Corporation Exhaust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814033A (ja) * 1994-06-24 1996-01-16 Caterpillar Inc 内燃エンジン用モジュール触媒コンバータとマフラー
JP2005337247A (ja) 2004-05-27 2005-12-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排気マフラー装置および締結具チューブ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648A (ko)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217B2 (ja) マフラの支持構造
KR20130006451A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2005016374A (ja) ディーゼル機関の消音器
JP2009007970A (ja) 遮音カバー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100820687B1 (ko) 촉매가 분리되는 머플러
KR20130013486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JP2005076459A (ja) 排気浄化装置
KR100907294B1 (ko) 위치 변위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20137150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JP2008128197A (ja) 車両用マフラの排水構造
JP2005163621A (ja) 触媒コンバータ
KR100981980B1 (ko) 소음기 모듈
KR101362066B1 (ko) 차량용 테일파이프의 구조
KR100508164B1 (ko) 가변 머플러의 연결구조
JP3657456B2 (ja) 排気マフラー
KR200333311Y1 (ko)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와 소음기의 연결장치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KR20090079647A (ko) 자동차 배기시스템
KR20120137155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100598529B1 (ko) 배기계 플랜지부의 결합 구조
KR100907293B1 (ko) 차량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327139B1 (ko) 차량의 머플러 배플 장착구조
JP2005163622A (ja) 触媒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