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802B1 -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802B1
KR102252802B1 KR1020200017190A KR20200017190A KR102252802B1 KR 102252802 B1 KR102252802 B1 KR 102252802B1 KR 1020200017190 A KR1020200017190 A KR 1020200017190A KR 20200017190 A KR20200017190 A KR 20200017190A KR 102252802 B1 KR102252802 B1 KR 10225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mesh
smoke
housing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봉
김하현
Original Assignee
김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봉 filed Critical 김상봉
Priority to KR10202000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the filtering elements having the form of disk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made from spirally-wound filter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12Metallic wire mesh fabric or kni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선박의 정지된 상태에서 처음 시동을 켤 시 시꺼먼 매연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고,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을 위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연적인 엔진 폭발의 배기에 의해 자연 정화되는 구조로서, 엔진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식 타입으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조립 및 분해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누구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이 짧고, 설치방법도 간단한 배관작업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므로 중소형 선박들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Smoke Reduction Device for Exhaust Gas of Ship Engine}
본 발명은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대기오염은 벙커 C유와 경유를 혼합한 혼합유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중소형 선박 또는 저인망 어선들이 항만 내에서 선박엔진을 공회전하거나 또는 선박엔진을 정지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선박의 운항을 위해 엔진의 가동 시에 급격한 출력 상승으로 인해 선박의 내연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매연과 미세먼지가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중소형 선박들은 상기에서와 같은 혼합유를 연료유로 사용함에 따라 다량의 매연과 미세먼지가 발생하여 대기의 공기질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것이 원인이 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종류의 선박용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의 저감장치들이 개발되어 특허 출원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촉매 환원부(110)와 하전부(120)와 챔버부(130)와 열교환부(14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미스트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특허문헌 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 물 분무 노즐(301), 내부 여과부(400), 물 저장부(500), 및 모터 펌프(320)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매연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선박, 열차 등의 운송수단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배기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 입자상 물질 처리부(200), 저장부(300), 용액 공급부(400) 및 전원 공급부(500)로 구성되고, 정전 분무 방식으로 중소형 선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 제안된 배기가스 저감장치들은 규모가 크고, 복잡한 구조이므로 현재 연근해에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한정된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된 배기가스 배출부에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적용시키기에는 부적합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도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원통형 내부에 교환이 가능한 복수 개의 필터가 구비된 구조로서, 배기부에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설치가 가능한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34914호(2013.12.05. 공고)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0096호(2017.08.30. 공고) 매연저감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36598호(2019.01.09. 공고) 정전 분무 방식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엔진설비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 개의 필터가 장착된 단순한 원통형 구조로서 내부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 기관실 선원들이 직접 매연저감장치를 조립 및 분해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하우징(20)과;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 하측에 형성되는 망체부(30)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41)이 형성되는 원통체(40)와; 상기 원통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을 저감시켜 상기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매연저감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매연저감수단(50)은 상기 원통체(40)의 상측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매연을 저감시키기 위한 하부매연저감부(60)와;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와 이격되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에 의해 1차 저감된 매연을 2차적으로 저감시켜 상기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매연저감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는 부직포(61)를 갖고, 상기 부직포(61)의 일측 외주면에 철망(62)이 롤 형태로 감기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는 롤형 필터부(6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631)이 형성되는 원통체(63)를 갖고, 상기 원통체(63)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64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64)를 가지며, 상기 원통체(6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65)을 포함하는 나선형 필터부(6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나선형 필터부(60b)의 날개(64) 상면과 하면에는 메쉬망(6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복수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철망(81), 메쉬망(82)으로 이루어지는 망체부(80)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711)이 형성되는 원통체(71)를 갖고, 상기 원통체(71)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72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72)를 가지며, 상기 원통체(7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의 나선형의 날개(72) 상면과 하면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메쉬망(7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상기 하우징(20)은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에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가 위치되는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하우징(24)과; 상기 하부하우징(24)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부공간(22)을 갖고, 상기 하부하우징(2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상부하우징(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선박의 정지된 상태에서 처음 시동을 켤 시 시꺼먼 매연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을 위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연적인 엔진 폭발의 배기에 의해 자연 정화되는 구조로서, 엔진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식 타입으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조립 및 분해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누구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이 짧고, 설치방법도 간단한 배관작업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므로 중소형 선박들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내지 도 3은 종래의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롤형 필터부가 적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롤형 필터부가 적용된 상태의 내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롤혈 필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나선형 필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서 나선형 필터부가 적용된 상태의 내부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매연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에 여지를 이용하여 간이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을 거른 여지의 상태를 찍은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하우징(20)과,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 하측에 형성되는 망체부(30)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망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41)이 형성되는 원통체(40)와, 원통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을 저감시켜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매연저감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것으로, 하부하우징(24)과 상부하우징(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하우징(24)은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에 하부매연저감부(60)가 위치되는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하우징(25)은 하부하우징(24)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매연저감부(7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부공간(22)을 갖고, 하부하우징(2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다. 이때, 하부하우징(24)의 상부와 상부하우징(25)의 하부에는 체결홀(261)이 형성된 플랜지(26)가 형성되어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한편, 하부하우징(24)은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상부는 개방되고, 상부 외주면에 체결홀(261)이 형성된 플랜지(26)를 갖는 하부체(27)와,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하부 외주면에 체결홀(261)이 형성된 플랜지(26)를 갖는 몸체(28)와,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외주면에 체결홀(261)이 형성된 플랜지(26)를 갖는 상부체(29)를 포함하되, 하부체(27), 몸체(28), 상부체(29)는 플랜지(26)가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되어 지도록 한다. 이때, 몸체(28)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하부매연저감부(60)의 롤형 필터부(60a) 및 나선형 필터부(60b)가 복수개로 적층되어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에 형성되므로 이와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하부매연저감부(60)의 롤형 필터부(60a) 및 나선형 필터부(60b)를 교체시 교체에 필요한 부분의 몸체(28)만 분리하여 하부매연저감부(60)의 롤형 필터부(60a) 및 나선형 필터부(60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망체부(30)는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20)의 하부하우징(24)의 내부공간(22)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철망(31)과 철망(31)의 상부에 형성되는 메쉬망(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철망(31)의 타공은 메쉬망(32)의 타공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진다.
망체부(30)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 철망(31)에 의해 1차 이물질이 걸러지고, 메쉬망(32)에 의해 미세한 이물질을 거르게 된다.
원통체(40)는 하우징(20)의 하부하우징(24)의 하부체(27)에 형성된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이 수직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망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41)이 형성된다. 이때, 원통체(40)의 내주면에는 메쉬망(42)이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원통체(40)는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매연이 폐쇄된 상부에 막혀 외주면에 형성된 홀(41)을 통해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홀(41)을 통해 이동하는 매연은 메쉬망(42)에 의해 걸러진 후 이동하게 된다.
매연저감수단(50)은 원통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을 저감시켜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체(40)의 상측에 형성되어 1차적으로 매연을 저감시키기 위한 하부매연저감부(60)와, 하부매연저감부(60)와 이격되어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매연저감부(60)에 의해 1차 저감된 매연을 2차적으로 저감시켜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매연저감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매연저감부(60)는 롤형 필터부(60a) 또는 나선형 필터부(60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우징(20)의 하부하우징(24)의 내부공간(22)에 형성되어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롤형 필터부(60a)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61)를 갖고, 부직포(61)의 일측 외주면에 철망(62)이 형성되어 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선형 필터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631)이 형성되는 원통체(63)를 갖고, 원통체(63)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64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64)를 가지며, 원통체(6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나선형 필터부(60b)의 날개(64) 상면과 하면에는 메쉬망(642)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복수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철망(81), 메쉬망(82)으로 이루어지는 망체부(80)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진다.
이와 같이 하부매연저감부(60)를 복수개로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롤형 필터부(60a) 또는 나선형 필터부(60b)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부매연저감부(7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711)이 형성되는 원통체(71)를 갖고, 원통체(71)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72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72)를 가지며, 원통체(7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원통체(71)는 하부에 체결홀(713)이 형성된 플랜지(712)가 형성되고, 나선형의 날개(72) 상면과 하면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메쉬망(722)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원통체(71)는 하부하우징(224)의 상부체(29)에 형성되는 플랜지(26)와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선박의 정지된 상태에서 처음 시동을 켤 시 시꺼먼 매연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을 위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연적인 엔진 폭발의 배기에 의해 자연 정화되는 구조로서, 엔진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식 타입으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조립 및 분해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필터를 누구나 용이하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는 기존의 운항 중인 중소형 선박들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간단하게 조립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이 짧고, 설치방법도 간단한 배관작업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므로 중소형 선박들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기존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매연의 양을 각각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내용과 같다.
기존의 장치로서 배기가스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매연과,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저감장치로서 기존의 배기가스의 배출구에 저감장치를 조립 연결시킨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매연을 각각 측정하여 배기가스 내에 함유된 매연의 양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매연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이스팟 컴퍼니(한국)의 모델 BLUE-SM101을 사용하여 배기가스 중의 매연을 아래 [표 1]에 기재된 조건의 범위 내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측정 조건
예열시간 3분
측정오차 ±2%
측정방식 여지반사식
흡입시간 1.4±0.2초
흡입량 330±15cc
여지면적 8±0.24㎠
작동온도 -10 ~40℃ 범위 내
압력 4 kg/㎠
여지사양 (Round type) 5 Type A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에 여지를 이용하여 간이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종래의 선박용 배기가스의 배출구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에 여지를 대고 배출가스의 매연을 간이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다.
무게가 2g인 여지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을 간이 측정한 결과,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이 종래의 선박용 배기가스의 배출구의 여지는 무게가 6g으로 매연이 4g이 외기로 배출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구의 여지 무게는 2g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에 의해 매연이 거의 대부분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무게(g) 비고
여지 2 도 12의 (a) 참조
종래의 선박용 배기가스의 배출구의 여지 6 도 12의 (b)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구의 여지 2 도 12의 (c) 참조
참고로, 도 12의 (a)는 본 발명에서 선박용 배기가스의 배출구로부터 배기되는 매연을 측정하기 위한 여지이고, 도 12의 (b)는 종래의 선박용 배기가스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을 거른 여지이며, 도 12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을 거른 여지의 상태를 찍은 사진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20 : 하우징 21 : 유입구
22 : 내부공간 23 : 배출구
24 : 하부하우징 25 : 상부하우징
30 : 망체부 31 : 철망
32 : 메쉬망 40 : 원통체
41 : 홀 50 : 매연저감수단
60 : 하부매연저감부 60a : 롤혈 필터부
60b : 나선형 필터부 61 : 부직포
62 : 철망 63 : 원통체
631 : 홀 64 : 날개
65 : 메쉬망 70 : 상부매연저감부
80 : 망체부 81 : 철망
82 : 메쉬망 100 : 체결부재

Claims (10)

  1.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하우징(20)과;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 하측에 형성되는 망체부(30)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41)이 형성되는 원통체(40)와;
    상기 원통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매연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하부매연저감부(60)를 갖고,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와 이격되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에 의해 1차 저감된 매연을 2차적으로 저감시켜 상기 하우징(20)의 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한 상부매연저감부(70)를 갖는 매연저감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는 부직포(61)를 갖고, 상기 부직포(61)의 일측 외주면에 철망(62)이 롤 형태로 감기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는 롤형 필터부(60a)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631)이 형성되는 원통체(63)를 갖고, 상기 원통체(63)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64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64)를 가지며, 상기 원통체(6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65)을 갖는 나선형 필터부(60b)를 포함하여, 상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원통체(4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필터부(60b)의 날개(64) 상면과 하면에는 메쉬망(6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복수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필터부(60a)와 나선형 필터부(60b)는 철망(81), 메쉬망(82)으로 이루어지는 망체부(80)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홀(711)이 형성되는 원통체(71)를 갖고, 상기 원통체(71)의 외주면 상에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721)이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72)를 가지며, 상기 원통체(7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메쉬망(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의 나선형의 날개(72) 상면과 하면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메쉬망(7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부가 배기구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구(21)를 갖고, 내부에 상기 하부매연저감부(60)가 위치되는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하우징(24)과;
    상기 하부하우징(24)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매연저감부(7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부공간(22)을 갖고, 상기 하부하우징(2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 저감된 매연이 배출되는 배출구(23)를 갖는 상부하우징(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KR1020200017190A 2020-02-12 2020-02-12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KR102252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90A KR102252802B1 (ko) 2020-02-12 2020-02-12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90A KR102252802B1 (ko) 2020-02-12 2020-02-12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802B1 true KR102252802B1 (ko) 2021-05-14

Family

ID=7591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90A KR102252802B1 (ko) 2020-02-12 2020-02-12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621B1 (ko) 2022-03-24 2022-04-28 김상봉 선박엔진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33A (ko) * 1993-07-30 1995-02-17 이헌조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캐비넷
KR20130004039U (ko) * 2011-12-26 2013-07-04 송석만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KR101334914B1 (ko) 2013-05-03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50007764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 시스템
KR101770096B1 (ko) 2017-06-14 2017-08-30 강석관 매연저감장치
KR101936598B1 (ko) 2017-12-01 2019-01-09 주식회사 애니텍 정전 분무 방식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33A (ko) * 1993-07-30 1995-02-17 이헌조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캐비넷
KR20130004039U (ko) * 2011-12-26 2013-07-04 송석만 차량용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KR101334914B1 (ko) 2013-05-03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50007764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 시스템
KR101770096B1 (ko) 2017-06-14 2017-08-30 강석관 매연저감장치
KR101936598B1 (ko) 2017-12-01 2019-01-09 주식회사 애니텍 정전 분무 방식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621B1 (ko) 2022-03-24 2022-04-28 김상봉 선박엔진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9113A (en) Diesel exhaust particulate trap with axially stacked filters
US7278259B2 (en) Apparatus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and methods
KR102252802B1 (ko)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매연저감장치
CN106014550A (zh) 一种柴油内燃机的废气处理装置
JP5889229B2 (ja) 再循環排ガス浄化装置及び再循環排ガス浄化方法
CN216677432U (zh) 一种节能型干式废气净化装置
CN201120200Y (zh) 一种带旁通的四芯单桶式柴油预过滤装置
CN210178451U (zh) 一种柴油发动机尾气净化装置
CN211924357U (zh) 一种柴油机废气排放堇青石陶瓷载体过滤器
US8328591B2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oling and filtering engine intake air
CN207356733U (zh) 油雾净化器
DE59100641D1 (de) Durch Abbrennen regenerierbarer Partikelfilter für die Abgase von Brennkraftmaschinen.
CN206111287U (zh) 一种经济捕集型发电机尾气净化系统
CN201120221Y (zh) 一种带旁通及自动报警功能的柴油预过滤装置
CN214221297U (zh) 一种新型柴油机排气管
CN201120199Y (zh) 一种三芯单桶式柴油预过滤装置
CN210977625U (zh) 一种柴油机用机油滤清器总成
KR20170003780A (ko) 자동차의 흡배기관 및 연소실 클리닝용 집진장치
CN201139995Y (zh) 一种四芯双桶并联式柴油预过滤装置
CN220036756U (zh) 一种柴油发电机组dpf尾气颗粒物捕捉器
CN215916988U (zh) 一种船舶的防污染设备
CN211635639U (zh) 消火型烟尘处理装置
CN2083196U (zh) 柱状滤网内燃机火花熄灭器
CN108487967A (zh) 一种汽车尾气过滤器
CN215830616U (zh) 一种机车城轨燃油精滤器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