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492A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492A
KR20200081492A KR1020207017071A KR20207017071A KR20200081492A KR 20200081492 A KR20200081492 A KR 20200081492A KR 1020207017071 A KR1020207017071 A KR 1020207017071A KR 20207017071 A KR20207017071 A KR 20207017071A KR 20200081492 A KR20200081492 A KR 2020008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pstream
downstream
engag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046B1 (ko
Inventor
유토 모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08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1Arrangements for mounting filtering elements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01N3/02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the structure being monolithic, e.g.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3Oxidation catalysts for HC and CO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18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using quick-active type locking mechanisms, e.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6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ayonet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정화용 통체의 각 플랜지부와,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중 한쪽의 각 플랜지부는, 접속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접속면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의 소정 폭의 부분에 외주면으로부터 축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체 폭에 걸쳐서 소정 깊이 오목해지는 걸림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 결합 핀을 갖고,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는, 접속면의 걸림 결합 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걸림 결합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과, 핀 삽입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정화용 통체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되고,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 홈부를 갖고, 걸림 결합 홈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깊이가, 걸림 결합 오목부의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해지게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통상, Diesel Particulate Filter라고 불리고, 이하, 「DPF」라고 함) 등의 정화 처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DPF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것인 점에서, 포집하여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세정하여 제거하는 클리닝 작업을 정기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DPF의 클리닝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필터용 통체의 전, 후의 플랜지부에, 각각 위치 결정 핀을 마련하고, 상류 통체의 플랜지부에는 절결 홈을 마련하고, 하류 통체의 플랜지부에는 절결 홈을 마련한다. 이에 의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필터용 통체를 접속할 때에는, 필터용 통체에 마련된 전, 후의 위치 결정 핀을, 상류 통체의 절결 홈과 하류 통체의 절결 홈에 각각 걸림 결합함으로써, 필터용 통체가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0/026864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에서, 필터용 통체를 설치, 분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필터용 통체에 마련된 전, 후의 위치 결정 핀에, 가스킷의 핀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고, 필터용 통체의 앞쪽 방향 플랜지부와 후방측 플랜지부에 가스킷을 임시 고정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필터용 통체에 마련된 전, 후의 위치 결정 핀을, 상류 통체의 절결 홈과 하류 통체의 절결 홈에 각각 걸림 결합시키면서, 필터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삽입한다.
이 때문에, 필터용 통체의 전방측의 가스킷과 상류 통체의 플랜지부 사이, 또는 필터용 통체의 후방측의 가스킷과 하류 통체의 플랜지부 사이의 어느 한쪽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외주부가, 대략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환형의 클램프 장치를 사용하여 체결되고, 가스킷에 의해 기밀하게 시일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런데, 클램프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서로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류 통체, 필터용 통체 및 하류 통체의 각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크리프를 생기게 한다. 그 때문에, 클램프 장치가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서로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저하되어, 가스킷에 의한 시일의 기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고,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함께,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접속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차체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에 마련된 상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의 하류측에 마련된 하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 사이에 동축으로 설치, 분리 가능하게 직렬 접속되어, 배기 가스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정화 처리 부재를 수용하는 정화용 통체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와 상기 정화용 통체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통체 단부에 평탄한 접속면을 갖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중 한쪽의 상기 각 플랜지부는,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축방향 외측의 소정 폭의 부분에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체 폭에 걸쳐서 소정 깊이 오목해지는 걸림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 결합 핀을 갖고, 다른 쪽의 상기 각 플랜지부는, 상기 접속면의 상기 걸림 결합 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과, 상기 핀 삽입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상기 정화용 통체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상기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 홈부를 갖고, 상기 걸림 결합 홈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깊이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해지게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홈부는, 상기 핀 삽입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상기 정화용 통체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각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된 핀 이동 홈과, 상기 핀 이동 홈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외측의 내주면의 축방향 외측의 단부 에지부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깊이와 거의 동등한 돌출 높이로 상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내 리브부를 갖고, 상기 핀 이동 홈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내주면과 상기 안내 리브부 사이에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되고, 상기 안내 리브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두께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리브부는, 상기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안측을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정화용 통체를 설치할 때,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 사이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삽입 방향 전방측 부분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걸림 결합 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접속면보다도 축방향 외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링형 삽입용 리브부를 갖고, 상기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용 리브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용 리브부가 삽입되는, 정면으로 보아 환형의 삽입 홈부를 갖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6 발명은, 상기 제5 발명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용 리브부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외측의 기단부를 따라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축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 오목해지는 가스킷 삽입 홈부와, 상기 삽입용 리브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킷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가스킷을 갖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가스킷이 배치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7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통체는, 제1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류 통체는, 제2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차체에 볼트에 의한 볼트 고정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상기 축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을 갖고, 단면 U자형 또는 V자형 홈이 내측을 향해 환형으로 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가 상기 클램프 결합구의 상기 홈 내에 끼워져, 설치, 분리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이다.
제1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각 플랜지부의 접속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걸림 결합 핀과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의 접속면에 형성된 핀 삽입 구멍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각 걸림 결합 핀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설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결합 핀의 기단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를 걸림 결합 홈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걸림 결합 홈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깊이가, 걸림 결합 오목부의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접속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된다.
이에 의해, 각 걸림 결합 핀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하고, 정화용 통체를 설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걸림 결합 핀의 걸림 결합 오목부를 걸림 결합 홈부에 감입하여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함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통체는,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접속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되기 때문에,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체결하는 단면 U자형 또는 V자형의 클램프 결합구의 크리프를 억제하여,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 사이에 장착된 가스킷에 의한 시일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핀 이동 홈의 축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내주면과 안내 리브부 사이에, 걸림 결합 핀의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설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결합 오목부가 안내 리브부의 둘레 방향 안측에 도달하면, 걸림 결합 오목부에 안내 리브부가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안내 리브부가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접속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정화용 통체의 각 플랜지부의 접속면을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플랜지부의 접속면에, 확실하게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안내 리브부는,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의 두께가, 걸림 결합 오목부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안측을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핀 삽입 구멍에 삽입된 걸림 결합 핀의 걸림 결합 오목부에, 안내 리브부의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가 원활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설치 회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각 걸림 결합 핀을 둘레 방향 안측으로 원활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걸림 결합 핀은, 정화용 통체를 설치할 때,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삽입 방향 전방측 부분의 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설치할 때, 각 걸림 결합 핀과, 서로 대향하는 각 핀 삽입 구멍을 눈으로 보면서, 각 걸림 결합 핀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할 수 있어, 정화용 통체의 설치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각 걸림 결합 핀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에 삽입 한 경우에는, 한쪽의 각 플랜지부의 접속면보다도 축방향 외측으로,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링형 삽입용 리브부가,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의 접속면의 삽입용 리브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정면으로 보아 환형의 삽입 홈부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각 걸림 결합 핀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정화용 통체가, 삽입용 리브부를 개재하여,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대하여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정화용 통체의 설치 작업의 가일층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정화용 통체의 각 플랜지부에 마련된 가스킷 삽입용 홈부에 가스킷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 홈부에 각 삽입용 리브부를 삽입함으로써,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사이에 가스킷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 통체와 정화용 통체 사이에 가스킷을 마련하는 작업과, 하류 통체와 정화용 통체 사이에 가스킷을 마련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정화용 통체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각 클램프 결합구를 분리한 후, 제2 지지 부재를 고정하는 볼트를 푼다. 그 후, 정화용 통체를 분리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걸림 결합 핀을 각 핀 삽입 구멍 내에 위치시킨 후, 하류 통체를 축방향 외측(하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핀을 각 핀 삽입 구멍 내에 삽입한 후, 정화용 통체를 설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각 플랜지부에 클램프 결합구를 설치한다. 그리고, 또한, 제2 지지 부재를 고정하는 볼트를 체결하여, 해당 제2 지지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 사이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용 통체의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로의 설치, 분리 작업의 작업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한 포크리프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2는 카운터 웨이트 내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측단면도다.
도 3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정면도다.
도 4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걸림 결합 핀이 핀 삽입 구멍에 대향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6은 정화용 통체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된 걸림 결합 핀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7은 상류 통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핀 삽입 구멍과 걸림 결합 홈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다.
도 9는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에 설치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걸림 결합 핀을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다.
도 11은 도 10의 XI-X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다.
도 12는 걸림 결합 핀이 걸림 결합 홈부의 둘레 방향 안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다.
도 14는 정화용 통체를 상류 통체와 하류 통체로부터 분리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포크리프트에 대하여 적용한 일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배기 가스 정화 장치(1)가 탑재되는 포크리프트(10)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화살표 RR은, 차량 후방측을 나타내고, 또한 화살표 UPR은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10)의 차체(11)의 후방측에는, 카운터 웨이트(12)가 탑재되어 있다. 차체(11)의 엔진 룸(14) 내에는, 엔진(15)이 탑재되어 있다. 이 엔진(15)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엔진 룸(14)의 측벽에는, 도시하지 않은 외기 취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엔진(15)의 후방측에는, 엔진(15)에 의해 구동되는, 즉, 회전되는 팬(16)이 마련되어 있다.
팬(16)의 후방측에는, 엔진(15)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7)가 설치되어 있다. 팬(16)은, 엔진(15)의 구동에 의해, 외기 취입구로부터 외기(공기)를 엔진 룸(14)에 도입하여 라디에이터(17)에 분사한다. 이에 의해, 엔진(15)의 냉각수가 냉각된다. 그리고, 라디에이터(17)를 통과한 송풍은, 라디에이터(17)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전방측이 개방된 대략 상자체형으로 구획된 통풍실(18)을 거쳐서, 카운터 웨이트(12)의 후방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방향 분출구(19)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분출된다. 후방향 분출구(19)는, 예를 들어 차폭 방향으로 긴, 단면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운터 웨이트(12)의 후방 벽부의 상하 2개소에 평행하게 관통하고 있다.
또한, 통풍실(18)에는, 라디에이터(17)의 후방측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가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가스 통로의 일부를 이루는 배기관(22)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배기관(22)과 함께 배기 가스 통로를 구성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동안에,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15)은, 고효율이고 내구성도 우수하지만, 입자상 물질(PM),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의 유해 물질을, 배기 가스와 함께 배출해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배기관(22)에 접속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산화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25)(도 3 참조)를 상류측에 배치하고, 입자상 물질(PM)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DPF(26)(도 3 참조)를 하류측에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통풍실(18) 내에 배치된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설치되고, 통풍실(18)의 천장부의 근방에,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폭 방향으로 긴, 평면으로 보아 가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 에지부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각각 통풍실(18)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지주(28)의 상단부에 볼트(31)에 의해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한, 통풍실(18)의 천장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차폭 방향으로 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18A)는, 차폭 방향으로 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고 평판상인 덮개 부재(32)가 상방으로부터 볼트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덮개 부재(32)를 분리함으로써, 개구부(18A)를 통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DPF(26)를 설치,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상류측에 배치되는 상류 통체(35)와,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류 통체(37)와,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동축으로 설치, 분리 가능하게 직렬 접속되는 정화용 통체(36)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 통체(35)에는, 산화 촉매(25)가 수용되고, 정화용 통체(36)에는, DPF(26)가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 통부(35A)와, 원통부(35B)와, 플랜지부(35C)와, 원통부(35B) 내에 수용되는 산화 촉매(25)로 구성되어 있다. 유입 통부(35A)는, 상류측 단부에 배기관(22)이 접속되고 축방향 하류측(도 4 중, 좌측)으로 점차 확경된 단면 원 형상의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5B)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단부가 유입 통부(35A)의 확경된 하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되고, 내측에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산화 촉매(25)가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끼워 넣어져 있다.
플랜지부(35C)는, 원통부(35B)의 하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되어 플랜지형으로 마련되어 있다(도 10 참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5C)의 하류측 단부면인 접속면(35D)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환형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에 맞닿아 접속된다(도 10 등 참조).
산화 촉매(25)는, 원통부(35B)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등한 외경 치수를 갖는 세라믹제 셀형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으로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내면에 백금(Pt) 등의 귀금속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산화 촉매(25)는, 소정의 온도 하에서 다수의 관통 구멍에 배기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시켜 제거한다.
이렇게 구성된 상류 통체(3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5B)의 하면측에, 측면으로 보아 크랭크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판상의 지지 부재(41)의 상단부면이, 이 지지 부재(41)의 하단측이 유입 통부(35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41)의 하단측에는, 관통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41)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의 상면부에 적재되고, 관통 구멍(41A)에 삽입 관통된 볼트(42)에 의해 볼트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류 통체(35)는,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지지 부재(41)를 통해 고정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 통체(37)는, 정화용 통체(36)에 수용된 DPF(26)를 통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원통형 원통부(37A)와, 플랜지부(37B)와, 배기 가스를 유출하는 배출 통부(37C)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37A)는, 상류 통체(35)의 원통부(35B)와 거의 동일한 외경이고, 축방향의 길이가 원통부(35B)보다도 약간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부(37A)는, 하류측 단부가 폐색되고, 중앙부에 배출 통부(37C)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축방향 외측에 배출 통부(37C)가 용접 등에 의해 동축으로 용착되어 있다. 배출 통부(37C)는, 배기관(23)(도 3 참조)을 통해 하류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소음기(머플러)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37B)는, 원통부(37A)의 상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되어 플랜지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에 대하여 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37B)의 상류측 단부면인 접속면(37D)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환형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에 맞닿아 접속된다(도 3, 도 10 참조).
이렇게 구성된 하류 통체(3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7A)의 하면측에, 측면으로 보아 크랭크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판상의 지지 부재(45)의 상단부면이, 이 지지 부재(45)의 하단측이 원통부(37A)보다도 축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45)의 하단측에는, 축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4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45)가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의 상면부에 적재되고, 긴 구멍(45A)에 삽입 관통된 볼트(46)에 의해 볼트 고정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가 동축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볼트(46)는 긴 구멍(45A)의 하류측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로부터 정화용 통체(36)가 분리된 경우에는, 볼트(46)는, 약간 풀어진 상태에서, 긴 구멍(45A)의 상류측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하류 통체(37)는,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지지 부재(45)를 통해 긴 구멍(45A)의 길이만큼 축방향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용 통체(36)는, 상류 통체(35)에 수용된 산화 촉매(25)를 통과한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원통형 원통부(36A)와,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파지부(36D)와, 원통부(36A) 내에 수용되는 DPF(26)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36A)는, 상류 통체(35)의 원통부(35B)와 거의 동일한 외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DPF(26)가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끼워 넣어져 있다.
상류측 플랜지부(36B)는, 원통부(36A)의 상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되어 플랜지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류측 플랜지부(36C)는, 원통부(36A)의 하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용착되어 플랜지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는,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상류측 단부면인 접속면(36E)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환형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에 맞닿아 접속된다(도 10 참조).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하류측 단부면인 접속면(36F)(도 14 참조)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환형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에 맞닿아 접속된다. 또한, 원통부(36A)의 외주면의 축방향 중앙부에는, 대략 역ㄷ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막대형의 파지부(36D)의 양단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하도록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쥐고, 정화용 통체(36)를 운반할 수 있다.
DPF(2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세라믹스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의 부재에 의해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필터 본체(26A)와, 해당 필터 본체(26A)의 외주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된 완충재로 되는 원통형 단열재(26B)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본체(26A)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구멍이 마련된 하니컴 구조의 셀형 통체를 이루고, 각 작은 구멍은, 이웃끼리 교대로 다른 단부가 눈메꿈 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 본체(26A)는, 상류측으로부터 각 작은 구멍으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다공질 재료에 통과시킴으로써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고, 배기 가스만을 인접하는 작은 구멍을 통해 하류측으로 유출시킨다.
이 경우, 필터 본체(26A)에 의해 포집된 입자상 물질은, 정기적으로 배기 가스 온도를 상승시켜 연소 제거되지만, 그 일부는 재로 되어 작은 구멍 내에 점차 퇴적된다. 또한, 기타 미연소 잔류물, 예를 들어 엔진 오일 중의 중금속, 칼슘 등도 점차 퇴적된다. 그래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화용 통체(36)를 분리하여, DPF(26)를 클리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4 참조).
또한, 도 4, 도 6,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과,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접속면(36F)에는, 파지부(36D)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직경 방향 외측 주연부의 근방 위치에, 각각 1개씩 걸림 결합 핀(48)이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축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36E)과 접속면(36F)에는, 각각, 걸림 결합 핀(48)보다도 원통부(36A)의 반경 방향 내측의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걸림 결합 핀(48)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일한 돌출 높이로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직경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정면으로 보아 링형 삽입용 리브부(51)가, 원통부(36A)에 대하여 동축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36E)과 접속면(36F)에는, 각각, 삽입용 리브부(51)의 반경 방향 외측의 기단부를 따라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축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반경 방향 단면 역ㄷ자형으로 형성된 가스킷 삽입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스킷 삽입 홈부(5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직사각형이고 링형인 가스킷(53)이, 각각 1개씩 삽입용 리브부(51)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삽입된다(도 10 참조).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림 결합 핀(48)은,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측의 거의 전체 길이의 약 1/3의 부분이, 각 접속면(36E, 36F)에 형성된 단면 원형이고 바닥이 있는 각 설치 구멍(49)에, 예를 들어 압입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핀(48)은, 각 접속면(36E, 36F)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의 전체 길이의 약 1/3의 폭의 부분에, 외주면의 도 6 중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상측의 정점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측으로 소정 깊이(예를 들어, 걸림 결합 핀(48)의 반경과 거의 동등한 깊이), 이 정점의 접선 방향 전체 폭에 걸쳐서 측면으로 보아 역ㄷ자형으로 오목해지는 걸림 결합 오목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를 동축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에는, 각각, 각 걸림 결합 핀(48)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 걸림 결합 핀(48)이 삽입되는 단면 원형의 핀 삽입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 삽입 구멍(55)의 깊이는, 각 걸림 결합 핀(48)의 정화용 통체(36)의 각 플랜지부(36B, 36C)의 각 접속면(36E, 36F)으로부터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등한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핀 삽입 구멍(55)의 내경은, 각 걸림 결합 핀(48)의 외경과 거의 동등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핀 삽입 구멍(55)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회전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 중, 앞쪽 방향, 즉, 도 2 중, 차량 후방측 방향임)으로, 각 플랜지부(35C, 37B)의 둘레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 홈부(56)가 소정 길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걸림 결합 홈부(56)는, 각 핀 삽입 구멍(55)에 삽입된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된다(도 12 참조).
여기서,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에 형성되는 각 걸림 결합 홈부(56)는, 면 대칭으로 구성되고,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에 형성된 걸림 결합 홈부(56)의 구성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홈부(56)는, 걸림 결합 핀(48)이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 이동 홈(57)과,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 내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 핀(48)을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리브부(58)로 구성되어 있다.
핀 이동 홈(57)은, 핀 삽입 구멍(55)의 내경과 동등한 도 7 중의 상하 폭으로, 이 핀 삽입 구멍(55)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되고, 플랜지부(35C)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예를 들어, 걸림 결합 핀(48)의 직경의 약 4배 내지 5배의 길이임) 형성되어 있다. 핀 이동 홈(57)의 축방향의 깊이는, 핀 삽입 구멍(55)의 축방향의 깊이와 동등한 치수, 즉, 걸림 결합 핀(48)의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으로부터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등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리브부(58)는, 핀 이동 홈(57)의 도 7 중 상측 내주면의 축방향 외측의 단부 에지부로부터,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걸림 결합 오목부(48A)의 깊이와 거의 동등한 돌출 높이로 플랜지부(35C)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안내 리브부(58)의 축방향의 두께는, 핀 삽입 구멍(55)측의 단부의 두께가, 걸림 결합 오목부(48A)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핀 삽입 구멍(55)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안측을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리브부(58)의 둘레 방향 안측의 두께는, 걸림 결합 오목부(48A)의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를 동축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에는, 각각, 각 삽입용 리브부(51)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 삽입용 리브부(51)가 삽입되는, 정면으로 보아 원 형상이고 단면 대략 역ㄷ자형인 삽입 홈부(59)가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홈부(59)의 깊이는, 각 삽입용 리브부(51)의 정화용 통체(36)의 각 플랜지부(36B, 36C)의 각 접속면(36E, 36F)으로부터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등한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홈부(59)의 직경 방향의 폭은, 각 삽입용 리브부(51)의 직경 방향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설치하는 수순에 대하여 도 3, 도 9 내지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각의 삽입용 리브부(51)에 링형 가스킷(53)을 삽입 관통하고, 해당 가스킷(53)을 또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카운터 웨이트(12)의 상부 개구부(18A)(도 2 참조)를 통해, 이하의 작업을 행한다. 우선,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파지부(36D)를 갖고, 해당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측(도 9 중, 화살표 62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걸림 결합 핀(48)을,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핀 삽입 구멍(55)에 삽입한다. 또한 동시에, 작업자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정면으로 보아 링형 삽입용 리브부(51)를,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삽입 홈부(59)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측(도 9 중, 화살표 62 방향)으로 더욱 이동시켜,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삽입된 가스킷(53)을 압궤하면서,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을,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에 맞닿게 한다. 또한, 상류 통체(35)는, 볼트(42)에 의해 지지 부재(41)를 통해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긴 구멍(45A)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46)를 약간 푼 상태에서, 하류 통체(37)를 정화용 통체(36)측(도 9 중, 화살표 63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걸림 결합 핀(48)을,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핀 삽입 구멍(55)에 삽입한다. 또한 동시에, 작업자는,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정면으로 보아 링형 삽입용 리브부(51)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삽입 홈부(59)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하류 통체(37)를 정화용 통체(36)측(도 9 중, 화살표 63 방향)으로 더욱 이동시켜,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삽입된 가스킷(53)을 압궤하면서,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을, 서로 대향하는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접속면(36F)(도 14 참조)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쥐고, 정화용 통체(36)를 도 9 중, 앞쪽 방향(도 9 중, 화살표 65 방향)으로, 즉, 차량 후방측(도 2 참조)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 걸림 결합 핀(48)을,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핀 이동 홈(57)의 안측 단까지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에 형성되는 각 걸림 결합 홈부(56)는, 면 대칭으로 구성되어,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에 형성된 핀 이동 홈(57)의 안측 단까지 이동한 걸림 결합 핀(48)의 상태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걸림 결합 핀(48)이,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핀 이동 홈(57)의 안측 단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 내에,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안내 리브부(58)의 안측 단부가 감입된다. 즉,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과,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이, 맞닿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걸림 결합 핀(48)이,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핀 이동 홈(57)의 안측 단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 내에,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안내 리브부(58)의 안측 단부가 감입된다. 즉,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접속면(36F)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이, 마찬가지로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가 동축으로 배치됨(직경 방향의 위치 정렬이 행해짐)과 함께, 축방향의 위치 정렬이 행해진다.
그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직경 방향 외주부 및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직경 방향 외주부에, 각각 환형의 클램프 결합구(67)를 조립한다. 이에 의해, 각 접속면(35D, 36E) 및 각 접속면(36F, 37D)이, 각 클램프 결합구(67)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 조여져, 각각 서로 축방향으로 맞닿은 상태로 설치,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지 부재(45)의 긴 구멍(45A)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46)를 조여, 하류 통체(37)를 지지 부재(45)를 통해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정화용 통체(36)가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동축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류 통체(35), 정화용 통체(36) 및 하류 통체(37)의 축방향의 위치 정렬이 행해진 상태에서,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고정된다.
여기서, 클램프 결합구(67)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결합구(67)는, 대략 U자형 또는 대략 V자형(도 12에는, 대략 U자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음)의 단면 형상을 갖는 반원호 형상의 2개의 프레임체(67A, 67A)와, 각 프레임체(67A)의 일단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67B)와, 각 프레임체(67A)의 타단측을 접속하는 볼트·너트식의 접속부(67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 결합구(67)는, 접속부(67C)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를 축방향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 결합구(67)는, 접속부(67C)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를 축방향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로부터 분리하는 수순에 대하여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작업자는, 우선, 카운터 웨이트(12)의 상부의 개구부(18A)(도 2 참조)를 통해, 각 클램프 결합구(67)의 접속부(67C)의 볼트를 너트로부터 떼어, 각 클램프 결합구(67)를 분리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카운터 웨이트(12)의 상부 개구부(18A)를 통해, 이하의 작업을 행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지지 부재(45)의 긴 구멍(45A)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46)를 약간 풀어, 하류 통체(37)가 축방향 하류측(도 14 중,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각 접속면(35D, 36E) 사이 및 각 접속면(36F, 37D) 사이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밀착력을 해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파지부(36D)를 쥐고, 해당 정화용 통체(36)를 안측 방향(도 14 중, 화살표 71 방향)으로, 즉, 차량 전방측(도 2 참조)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 걸림 결합 핀(48)을,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핀 이동 홈(57)을 따라 이동시켜, 각 핀 삽입 구멍(55) 내에 위치시킨다(도 10, 도 11 참조). 또한,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파지부(36D)를 연직 방향 상측에 대략 수평하게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쥔 상태에서, 하류 통체(37)를 정화용 통체(3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 즉, 축방향 하류측(도 14 중, 화살표 7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걸림 결합 핀(48)을,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핀 삽입 구멍(55)으로부터 발출함과 함께,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삽입용 리브부(51)를 플랜지부(37B)의 삽입 홈부(59)로부터 발출하여, 하류 통체(37)를 정화용 통체(36)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쥔 상태에서, 해당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 즉, 축방향 하류측(도 14 중, 화살표 73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걸림 결합 핀(48)을,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핀 삽입 구멍(55)으로부터 발출함과 함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삽입용 리브부(51)를 플랜지부(35C)의 삽입 홈부(59)로부터 발출하고,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쥔 상태에서, 해당 정화용 통체(36)를 연직 방향 상측(도 14 중, 화살표 73 방향)으로, 즉, 차량 상방측으로 이동시켜, 카운터 웨이트(12)의 상부 개구부(18A)(도 2 참조)를 통해, 차량 외부로 취출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상류 통체(35)를 지지 부재(41) 및 볼트(42)를 통해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고정하고, 하류 통체(37)를 지지 부재(45) 및 볼트(46)를 통해 처리 장치 지지 브래킷(29)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정화용 통체(36)만을 상방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용 통체(36) 내에 수용된 DPF(26)의 필터 본체(26A)(도 10 참조)에, 예를 들어 에어건 등을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작은 구멍 내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의 재, 미연소 잔류물을 제거함으로써, DPF(26)를 클리닝할 수 있다. 따라서, DPF(26)를 클리닝한 후에는, 이 DPF(26)를 수용한 정화용 통체(36)를 다시,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에서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각의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가스킷(53)을 삽입한다. 그 후, 정화용 통체(36)의 각 걸림 결합 핀(48)과 각 삽입용 리브부(51)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핀 삽입 구멍(55)과 각 삽입 홈부(59)에 삽입함으로써, 정화용 통체(36)의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한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간이한 구성으로 억제함과 함께,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정화용 통체(36)를 파지부(36D)를 쥐고 앞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걸림 결합 핀(48)을 각 걸림 결합 홈부(56)의 둘레 방향 안측에 위치시키게 되면, 각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에 각 안내 리브부(58)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각 안내 리브부(58)가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 접속면(36E, 36F)에 맞닿아,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통체(36)는,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 접속면(36E, 36F)과,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접속면(35D, 37D)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플랜지부(35C) 및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플랜지부(37B)를 체결하는 단면 U자형 또는 V자형의 각 클램프 결합구(67)의 크리프를 억지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플랜지부(35C) 사이 및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플랜지부(37B) 사이에 장착된 각 가스킷(53)에 의한 시일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홈부(56)를 구성하는 각 안내 리브부(58)는, 핀 삽입 구멍(55)측의 단부의 두께가, 걸림 결합 오목부(48A)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핀 삽입 구멍(55)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안측을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핀 삽입 구멍(55)에 삽입된 걸림 결합 핀(48)의 걸림 결합 오목부(48A)에, 안내 리브부(58)의 핀 삽입 구멍(55)측의 단부가 원활하게 들어가게 하기 위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설치 회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켜, 각 걸림 결합 핀(48)을 걸림 결합 홈부(56)의 둘레 방향 안측으로 원활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각 걸림 결합 핀(48)은, 정화용 통체(36)를 설치할 때,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삽입 방향 전방측 부분의 각 접속면(36E, 36F)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설치할 때, 각 걸림 결합 핀(48)과, 서로 대향하는 각 핀 삽입 구멍(55)을 눈으로 보면서, 각 걸림 결합 핀(48)을 서로 대향하는 핀 삽입 구멍(55)에 삽입할 수 있어,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기단부에 마련된 각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가스킷(53)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에 형성된 각 삽입 홈부(59)에 각 삽입용 리브부(51)를 삽입함으로써,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 사이에 가스킷(53)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 통체(35)와 정화용 통체(36) 사이에 가스킷(53)을 마련하는 작업과, 하류 통체(37)와 정화용 통체(36) 사이에 가스킷(53)을 마련하는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각 클램프 결합구(67)를 분리한 후, 지지 부재(45)를 고정하는 볼트(46)를 푼다. 그 후, 정화용 통체(36)를 분리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 걸림 결합 핀(48)을 각 핀 삽입 구멍(55) 내에 위치시킨 후, 하류 통체(37)를 축방향 외측(하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 걸림 결합 핀(48)을 각 핀 삽입 구멍(55) 내에 삽입한 후, 정화용 통체(36)를 설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서로 대향하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플랜지부(35C) 및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플랜지부(37B)의 각각에 클램프 결합구(67)를 설치한다.
그리고, 또한, 지지 부재(45)를 고정하는 볼트(46)를 체결하여, 해당 지지 부재(45)를 고정함으로써,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용 통체(36)의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로의 설치, 분리 작업의 작업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구조, 외관, 형상, 처리 수순 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량,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 내지 도 14의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구성 등과 동일 부호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의 구성 등과 동일 혹은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A) 예를 들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접속면(35D, 37D)의 핀 삽입 구멍(55) 대신에, 1개씩 걸림 결합 핀(48)을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축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마련해도 된다. 또한,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과,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접속면(36F)에는, 각 걸림 결합 핀(48) 대신에, 각 걸림 결합 핀(48)이 삽입되는 단면 원 형상의 핀 삽입 구멍(55)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각 핀 삽입 구멍(55)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측의 회전 방향(예를 들어, 도 2 중, 차량 전방측 방향임)으로, 각 플랜지부(35C, 37B)의 둘레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 홈부(56)를 소정 길이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각의 가스킷 삽입 홈부(52)에 가스킷(53)을 삽입한 후, 파지부(36D)를 갖고, 해당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측(도 9 중, 화살표 62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핀 삽입 구멍(55)에,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걸림 결합 핀(48)을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시에, 작업자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정면으로 보아 링형 삽입용 리브부(51)를,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의 삽입 홈부(59)에 삽입하고, 상류측 플랜지부(36B)의 접속면(36E)을,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35C)의 접속면(35D)에 맞닿도록 해도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하류 통체(37)를 정화용 통체(36)측으로 이동시켜,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핀 삽입 구멍(55)에,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걸림 결합 핀(48)을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시에, 작업자는,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정면으로 보아 링형 삽입용 리브부(51)를,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의 삽입 홈부(59)에 삽입하고,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접속면(36F)을,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37B)의 접속면(37D)에 맞닿도록 해도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파지부(36D)를 쥐고, 정화용 통체(36)를 설치 회전 방향(예를 들어, 차량 후방측)으로 회전시켜,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정화용 통체(36)가 동축으로 배치됨과 함께, 축방향의 위치 정렬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정화용 통체(36)를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화용 통체(36)는,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하류측 플랜지부(36C)의 각 접속면(36E, 36F)과,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접속면(35D, 37D)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속된다.
(B) 또한, 예를 들어 클램프 결합구(67) 대신에, 복수의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서로 대향하는 정화용 통체(36)의 상류측 플랜지부(36B)와 상류 통체(35)의 플랜지부(35C) 사이, 정화용 통체(36)의 하류측 플랜지부(36C)와 하류 통체(37)의 플랜지부(37B) 사이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C) 또한, 예를 들어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정화 처리 부재로서 DPF(26)를 사용했지만, 배기 가스 정화 장치로서 NOx 처리 장치를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NOx를 환원하는 선택 환원 촉매와, 이 선택 환원 촉매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가 정화 처리 부재에 해당한다.
(D) 또한,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21)는, 포크리프트(10)에 한정되지 않고, 덤프 트럭,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 등, 디젤 엔진을 사용한 다른 산업 차량에도 널리 탑재할 수 있다.
(E) 또한, 예를 들어 상류 통체(35)와 하류 통체(37)의 각 플랜지부(35C, 37B)의 각 접속면(35D, 37D)에 형성되는 각 걸림 결합 홈부(56)를 각 핀 삽입 구멍(55)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하여, 각 플랜지부(35C, 37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차량 전방측 방향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정화용 통체(36)의 설치 회전 방향을 도 2 중, 차량 전방측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11: 차체
15: 엔진
21: 배기 가스 정화 장치
22: 배기관
26: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PF)
35: 상류 통체
35C, 37B: 플랜지부
35D, 36E, 36F, 37D: 접속면
36: 정화용 통체
36B: 상류측 플랜지부
36C: 하류측 플랜지부
37: 하류 통체
41, 45: 지지 부재
42, 46: 볼트
45A: 긴 구멍
48: 걸림 결합 핀
48A: 걸림 결합 오목부
51: 삽입용 리브부
52: 가스킷 삽입 홈부
53: 가스킷
55: 핀 삽입 구멍
56: 걸림 결합 홈부
57: 핀 이동 홈
58: 안내 리브부
59: 삽입 홈부
67: 클램프 결합구

Claims (7)

  1. 차체에 탑재된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에 마련된 상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의 하류측에 마련된 하류 통체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 사이에 동축으로 설치, 분리 가능하게 직렬 접속되어, 배기 가스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정화 처리 부재를 수용하는 정화용 통체
    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와 상기 정화용 통체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통체 단부에 평탄한 접속면을 갖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중 한쪽의 상기 각 플랜지부는,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상기 축방향 외측의 소정 폭의 부분에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체 폭에 걸쳐서 소정 깊이 오목해지는 걸림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 결합 핀을 갖고,
    다른 쪽의 상기 각 플랜지부는,
    상기 접속면의 상기 걸림 결합 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결합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과,
    상기 핀 삽입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상기 정화용 통체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상기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 홈부
    를 갖고,
    상기 걸림 결합 홈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깊이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해지게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홈부는,
    상기 핀 삽입 구멍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속해서 상기 정화용 통체의 설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각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된 핀 이동 홈과,
    상기 핀 이동 홈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외측의 내주면의 축방향 외측의 단부 에지부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깊이와 거의 동등한 돌출 높이로 상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내 리브부
    를 갖고,
    상기 핀 이동 홈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내주면과 상기 안내 리브부 사이에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가 끼워 넣어져 걸림 결합되고,
    상기 안내 리브부의 둘레 방향 안측의 두께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리브부는, 상기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의 두께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의 상기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 구멍측의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 안측을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정화용 통체를 설치할 때,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 사이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삽입 방향 전방측 부분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걸림 결합 핀보다도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내측의 부분으로부터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접속면보다도 축방향 외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링형 삽입용 리브부를 갖고,
    상기 다른 쪽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용 리브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용 리브부가 삽입되는, 정면으로 보아 환형의 삽입 홈부를 갖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핀은,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의 상기 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는,
    상기 삽입용 리브부의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 외측의 기단부를 따라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서 축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 오목해지는 가스킷 삽입 홈부와,
    상기 삽입용 리브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킷 삽입 홈부에 삽입되는 가스킷
    을 갖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가스킷이 배치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통체는, 제1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류 통체는, 제2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차체에 볼트에 의한 볼트 고정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볼트가 삽입 관통되는 상기 축방향으로 기다란 긴 구멍을 갖고,
    단면 U자형 또는 V자형 홈이 내측을 향해 환형으로 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정화용 통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플랜지부와, 상기 상류 통체와 상기 하류 통체의 각 플랜지부는,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가 상기 클램프 결합구의 상기 홈 내에 끼워져, 설치, 분리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20207017071A 2017-12-19 2018-11-29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2375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2706A JP6743803B2 (ja) 2017-12-19 2017-12-19 排気ガス浄化装置
JPJP-P-2017-242706 2017-12-19
PCT/JP2018/043888 WO2019124016A1 (ja) 2017-12-19 2018-11-29 排気ガス浄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492A true KR20200081492A (ko) 2020-07-07
KR102375046B1 KR102375046B1 (ko) 2022-03-15

Family

ID=6699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71A KR102375046B1 (ko) 2017-12-19 2018-11-29 배기 가스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68431B2 (ko)
EP (1) EP3730754B1 (ko)
JP (1) JP6743803B2 (ko)
KR (1) KR102375046B1 (ko)
CN (1) CN111512029B (ko)
WO (1) WO2019124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1891A1 (de) * 2019-11-26 2021-05-27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Verbindungseinheit
CN213144571U (zh) * 2020-08-28 2021-05-07 济南天业工程机械有限公司 颗粒捕集装置
CN113339123B (zh) * 2021-06-07 2022-04-01 扬州润盈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和更换的内燃机用尾气过滤装置
CN113339110A (zh) * 2021-06-11 2021-09-03 中国计量大学 一种可拆卸的碳减排装置与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5814A (ja) * 2006-10-11 2008-04-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接続構造
WO2010026864A1 (ja) 2008-09-08 2010-03-11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KR20110082479A (ko) * 2008-11-11 2011-07-19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DE202015008551U1 (de) * 2015-12-14 2017-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lanschverbindung eines Turboladers und einer Nachbehandl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519U (ja) * 1982-11-09 1984-05-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排気管の可動継手
JP2000227020A (ja) * 1999-02-05 2000-08-15 Kyosei Uehara エンジン排気ガス集塵装置
JP2005076459A (ja) * 2003-08-28 2005-03-24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US8672367B2 (en) * 2006-05-02 2014-03-18 M&G DuraVent, Inc. Exhaust system interlocking mechanism
CN102016255B (zh) * 2008-07-10 2013-06-19 日立建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
JP4897757B2 (ja) * 2008-09-09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CN102644813A (zh) * 2012-05-08 2012-08-22 河北巴瑞斯科技发展有限公司 卫生级快开连接
US9181848B2 (en) * 2014-02-24 2015-11-10 Cummins Inc. Turbocharger exhaust manifold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5814A (ja) * 2006-10-11 2008-04-24 Calsonic Kansei Corp パイプ接続構造
WO2010026864A1 (ja) 2008-09-08 2010-03-11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KR20110053309A (ko) * 2008-09-08 2011-05-20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20110082479A (ko) * 2008-11-11 2011-07-19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처리 장치
DE202015008551U1 (de) * 2015-12-14 2017-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lanschverbindung eines Turboladers und einer Nachbehandl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08846A (ja) 2019-07-04
US20200347762A1 (en) 2020-11-05
KR102375046B1 (ko) 2022-03-15
WO2019124016A1 (ja) 2019-06-27
US11268431B2 (en) 2022-03-08
EP3730754A4 (en) 2020-11-11
EP3730754B1 (en) 2022-02-23
CN111512029B (zh) 2022-04-08
JP6743803B2 (ja) 2020-08-19
EP3730754A1 (en) 2020-10-28
CN111512029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579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EP2357333B1 (en)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KR20200081492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539474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1783732B1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JP2010043572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81443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7222311B2 (ja) 配管の固定構造
KR20200096660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JP546790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49334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4029157A (ja) エンジン装置
EP3594465B1 (en) Mounting structure of exhaust gas cleaning apparatus
JP5777257B2 (ja) エンジン装置
JP5793208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