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732B1 - 배기가스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732B1
KR101783732B1 KR1020127024210A KR20127024210A KR101783732B1 KR 101783732 B1 KR101783732 B1 KR 101783732B1 KR 1020127024210 A KR1020127024210 A KR 1020127024210A KR 20127024210 A KR20127024210 A KR 20127024210A KR 101783732 B1 KR101783732 B1 KR 10178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ying
bolt
cas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451A (ko
Inventor
마사타카 미츠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Abstract

가스 정화체(2, 3) 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4, 5, 20, 21) 등의 장착 작업성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2, 3)와, 가스 정화체(2, 3)를 내설시키는 가스 정화 하우징(60)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가스 정화 하우징(60)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62)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지지 브래킷(62)에 볼트 구멍(87a)을 형성하고, 지지 브래킷(62)에 삽입 가이드(89)를 형성하고, 볼트 구멍(87a)에 삽입 가이드(89)를 통하여 장착 볼트(87)를 조이고 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정화 장치{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본원 발명은 디젤 엔진 등에 탑재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관계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그을음, 파티큘레이트) 등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젤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후처리 장치)로서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이하, DPF라고 한다)를 설치하고, DPF의 산화촉매 또는 매연 필터(soot filter) 등에 의해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
또한, DPF에 있어서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나,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설치하는 기술도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DPF에 있어서 외측 케이스의 내부에 내측 케이스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고, 산화촉매 또는 매연 필터 등을 내측 케이스에 내설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DPF에 있어서 산화촉매를 넣은 케이스와, 매연 필터를 넣은 케이스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플랜지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5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4-26359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737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949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2285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91982호 공보
종래 기술에서는, 엔진이나 기체측에 DPF를 장착할 경우 1명의 작업자가 양손으로 DPF를 들어올려서 소정의 자세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1명의 작업자가 장착 볼트를 조여서 DPF를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DPF의 조립 공수를 삭감할 수 없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체인 블록 등의 권양기를 이용해서 DPF를 들어올림으로써 1명의 작업자가 장착 볼트를 조여서 엔진이나 기체측에 DPF를 고정할 수 있었지만 권양기를 설치한 장소에서의 작업에 한정된다. DPF의 착탈 작업 시간을 간단하게 단축할 수 없다. 즉, DPF의 장착 작업성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없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엔진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와, 상기 가스 정화체를 내설시킨 가스 정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에 개설한 볼트 삽입용 노치에 의해 삽입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의 측부 가장자리에 상기 볼트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볼트 구멍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이 얹어진 상기 엔진의 장착부 상면의 장착 볼트를 끼우고 빼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가스 정화체가 내설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에 외측 케이스체를 피감시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의해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 내에 유입시키는 배기 가스 입구관을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워 맞추어서, 상기 장착 볼트를 통하여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상기 배기 가스 입구관의 배기 가스 입구측 개구 단부에, 상기 엔진의 배기측과 볼트 체결되는 입구 플랜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입구 플랜지체를 상기 엔진의 배기측과 체결시키는 볼트의 삽입 방향을,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하여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있고,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우고 빼는 방향을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을 향할 때의 배기 가스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하고,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은 상기 엔진에 대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으로 연결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한 볼트 삽입용 노치에 의해 상기 삽입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의 측부 가장자리에 상기 볼트 구멍을 개방시키고,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맞물리게 하고,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를 통하여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삭제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치수가 장척으로 되는 측의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배기가스 입구관이 형성된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와, 상기 가스 정화체를 내설시키는 가스 정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에 삽입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구멍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장착 볼트를 조이고 풀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 브래킷이 연결되는 상기 엔진측 또는 기기 본체측의 장착 부위에 반고정 상태로 가고정용 상기 장착 볼트를 장착한 후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맞물리게 하여 상기 장착 부위에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설치용 설치 볼트를 조여서 상기 지지 브래킷을 체결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착탈 작업할 수 있다. 중량물인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브래킷에 형성한 볼트 삽입용 노치에 의해 상기 삽입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의 측부 가장자리에 상기 볼트 구멍을 개방시키고,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맞물리게 하고,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를 통하여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반고정 상태로 가고정된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설치용 설치 볼트를 조여서 상기 지지 브래킷을 체결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착탈 작업할 수 있다. 중량물인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정화체가 내설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에 외측 케이스체를 피감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의해 가스 정화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보온과,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의 강성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정화체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플랜지체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치수가 장척으로 되는 측의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정화체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플랜지체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으로 형성된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강성으로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배기가스 입구관이 형성된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정화체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플랜지체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으로 형성된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과,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을 고강성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DPF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DPF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DPF의 외관 평면도이다.
도 4는 DPF의 외관 저면도이다.
도 5는 DPF의 외관 정면도이다.
도 6은 DPF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7은 DPF 상류측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DPF 하류측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DPF의 분해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협지 플랜지(반원호체)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11은 촉매측 접합 플랜지의 확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온도 센서용 센서 보스체의 장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좌측도이다.
도 16은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우측도이다.
도 17은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DPF를 설치한 디젤 엔진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립(분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요부 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의 연속 재생식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1)[이하, DPF(1)라고 한다]를 구비한다. DPF(1)에 의해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 도 6,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의 DPF(1)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디젤 엔진(70)의 출력축(크랭크축)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DPF(1)를 구성하고 있다. 디젤 엔진(70)의 플라이휠 하우징(78) 상에 DPF(1)를 배치한다. DPF(1)의 좌우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 입구관(16)(배기가스 도입측)과, 배기가스 출구관(34)(배기가스 배출측)을 디젤 엔진(70)의 좌우로 배분하여 설치한다. DPF(1)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배기가스 입구관(16)은 디젤 엔진(70)의 배기 매니폴드(71)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다. DPF(1)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가스 출구관(34)에 테일 파이프(107)를 접속시킨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1)는 내열금속 재료제의 DPF 케이싱(60)에 원통형의 내측 케이스(4, 20)를 통하여, 예를 들면 백금 등의 디젤 산화촉매(2)와 벌집 구조의 매연 필터(3)가 직렬로 나란히 수용된 구조이다. DPF(1)는 지지체로서의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와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통하여 플라이휠 하우징(78)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의 일단측은 DPF 케이싱(60)의 외주측에 후술하는 플랜지(4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다.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일단측은 DPF 케이싱(60)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1~6,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의 타단측은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의 DPF 장착부(80)에 2개의 후설치 볼트(88)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에 볼트 관통 구멍(88a)을 형성한다. DPF 장착부(80)에 나사 구멍(88b)을 상향으로 형성한다. DPF 장착부(80)의 편평한 상면에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를 얹고, 나사 구멍(88b)에 볼트 관통 구멍(88a)을 통하여 후설치 볼트(88)를 체결시키고,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에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를 통하여 DPF(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타단측은 플라이휠 하우징(78)의 상면(DPF 장착부)에 선설치 볼트(87)와 후설치 볼트(88)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에 볼트 관통 구멍(87a, 88a)을 형성한다. DPF 장착부(80)에 나사 구멍(87b)을 상향으로 형성한다. DPF 장착부(80)의 편평한 상면에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를 얹고, 나사 구멍(87b)에 볼트 관통 구멍(87a, 88a)을 통하여 선설치 볼트(87) 및 후설치 볼트(88)를 체결시키고,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에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통하여 DPF(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타단측에는 볼트 관통 구멍(87a)에 선설치 볼트(87)를 끼워넣기 위한 노치 홈(89)이 형성되어 있다. 디젤 엔진(70)에 DPF(1)를 장착할 때에 노치 홈(89)의 개구부가 선두에 위치하도록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전단 가장자리에 노치 홈(89)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노치 홈(89)의 개방 가장자리부는 끝이 넓어지는 형상(앞이 넓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70)에 DPF(1)를 장착할 경우 우선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의 DPF 장착부(80)에 나사 구멍(87b) 을 통하여 선설치 볼트(87)를 불완전하게 나사 결합시킨다. DPF 장착부(80) 상면으로부터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판두께 이상으로 선설치 볼트(87)의 두부가 이반된 상태에서 DPF 장착부(80)에 선설치 볼트(87)를 지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DPF(1)를 들어올리고, 선설치 볼트(87)의 두부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나사 구멍(87b)을 록킹시켜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에 DPF(1)를 가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DPF(1)로부터 작업자가 양손을 뗄 수 있다.
그 후,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와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3개의 후설치 볼트(88)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의 DPF 장착부(80)에 체결시킨다. 한편, 스터드(17a)와 입구 플랜지용 너트(17b)를 통하여 배기 매니폴드(71)에 입구 플랜지체(17)를 체결시켜 배기 매니폴드(71)에 배기가스 입구관(16)을 고착시킨다. 또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공구 릴리프용 노치(62a)를 형성하고, 입구 플랜지용 너트(17b)를 조일 때에 렌치(조임 공구)가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촉하는 것을 공구 릴리프용 노치(62a)로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의 DPF 장착부(80)에 선설치 볼트(87)를 완전하게 체결시켜서 배기 매니폴드(71)의 배기가스 출구측과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에 DPF(1)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시켜 디젤 엔진(70)에 DPF(1)를 장착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DPF 케이싱(60)의 착탈 방향의 전면측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볼트 삽입용 볼트 관통 구멍(87a)을 개방시켰기 때문에 선설치 볼트(87)를 불완전한 체결(반고정) 자세로 가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DPF 케이싱(60)을 양손으로 들어올리고, 디젤 엔진(70)(또는 기기 본체)의 장착 부위, 즉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선설치 볼트(87)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볼트 관통 구멍(87a)을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DPF 케이싱(60)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설치 볼트(88)(볼트)를 조여서 플랜지측 브래킷 레그(61) 및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DPF(1)를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DPF(1)[DPF 케이싱(60)]는 상기 각 브래킷 레그(61, 62)와 배기 매니폴드(71)에 의해 고강성 부재인 플라이휠 하우징(78)의 상부에서 디젤 엔진(70)의 후방부에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1명의 작업자에 의해 디젤 엔진(70)에의 DPF(1)의 착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는 디젤 엔진(70)의 배기 매니폴드(71)로부터 DPF 케이싱(60) 내의 디젤 산화촉매(2)측으로 유입되고, 디젤 산화촉매(2)로부터 매연 필터(3)측으로 이동해서 정화 처리된다.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은 매연 필터(3)에 있어서의 각 셀 간의 다공질 형상의 칸막이벽을 빠져나갈 수 없다. 즉,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은 매연 필터(3)에 포집된다. 그 후, 디젤 산화촉매(2) 및 매연 필터(3)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테일 파이프(107)에서 방출된다.
배기가스가 디젤 산화촉매(2) 및 매연 필터(3)를 통과할 때에 배기가스의 온도가 재생 가능 온도(예를 들면 약 300℃)를 초과하고 있음으로써 디젤 산화촉매(2)의 작용으로 배기가스 중의 NO(일산화질소)가 불안정한 NO2(이산화질소)로 산화된다. 그리고, NO2가 NO로 되돌아갈 때에 방출하는 O(산소)에 의해 매연 필터(3)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이 산화 제거된다. 또한, 매연 필터(3)에 입자상 물질이 퇴적되었을 경우 재생 가능 온도 이상으로 배기가스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입자상 물질이 산화 제거되기 때문에 매연 필터(3)의 입자상 물질의 포집 능력이 회복된다[매연 필터(3)가 재생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디젤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체(필터)의 일례인 디젤 산화촉매(2)를 장착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디젤 산화촉매(2)는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촉매 내측 케이스(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촉매 내측 케이스(4)는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촉매 외측 케이스(5)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디젤 산화촉매(2)의 외측에 세라믹 파이버제로 매트 형상의 촉매 단열재(6)를 개재하여 촉매 내측 케이스(4)를 피감시키고 있다. 디젤 산화촉매(2)와 촉매 내측 케이스(4) 사이에 촉매 단열재(6)를 압입하여 디젤 산화촉매(2)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촉매 내측 케이스(4)의 외측에 끝면 L자 형상의 박판제 지지체(7)를 통하여 촉매 외측 케이스(5)를 피감시키고 있다. 촉매 외측 케이스(5)는 상술한 DPF 케이싱(6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촉매 단열재(6)에 의해 디젤 산화촉매(2)가 보호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에 전해지는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응력(기계 진동, 변형력)을 박판제 지지체(7)에서 저감시킨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매 내측 케이스(4) 및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일측 단부에 원판 형상의 측부 덮개체(8)를 용접으로 고착하고 있다. 측부 덮개체(8)의 외면측에는 외덮개체(9)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디젤 산화촉매(2)의 가스 유입측 끝면(2a)과 측부 덮개체(8)는 일정 거리(L1)[가스 유입 공간(11)]만큼 이간시킨다. 디젤 산화촉매(2)의 가스 유입측 끝면(2a)과 좌측 덮개체(8) 사이에 배기가스 유입 공간(11)을 형성한다. 촉매 내측 케이스(4) 및 촉매 외측 케이스(5)에는 배기가스 유입 공간(11)에 면하는 배기가스 유입구(12)를 개구시킨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개구 가장자리와 촉매 외측 케이스(5)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폐쇄 링체(15)를 협지 형상으로 고착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개구 가장자리와 촉매 외측 케이스(5)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의 간극이 폐쇄 링체(15)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촉매 내측 케이스(4)와 촉매 외측 케이스(5) 사이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유입구(12)가 형성된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측면에 배기가스 입구관(16)을 배치한다. 배기가스 입구관(16)의 한쪽의 개구 단부에 입구 플랜지체(17)를 용접 고정한다. 디젤 엔진(70)의 배기 매니폴드(71)에 입구 플랜지체(17)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한다. 배기 매니폴드(71)에 배기가스 입구관(16)의 한쪽의 개구 단부를 연통시킨다. 배기가스 입구관(16)의 다른쪽의 개구 단부는 배기가스 유입구(12)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측면과 입구 플랜지체(17)의 측부 가장자리 사이에 1쌍의 보강 브래킷체(18)를 용접 고정하여 배기 매니폴드(71)와 배기가스 입구관(16)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가 배기 매니폴드(71)로부터 배기가스 입구관(16)으로 들어가고, 배기가스 입구관(16)으로부터 배기가스 유입구(12)를 통하여 배기가스 유입 공간(11)으로 들어가고, 디젤 산화촉매(2)에 이 좌측의 가스 유입측 끝면(2a)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 산화촉매(2)의 산화 작용에 의해 이산화질소(NO2)가 생성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디젤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체(필터)의 일례인 매연 필터(3)를 장착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매연 필터(3)는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필터 내측 케이스(20) 내에 설치한다. 필터 내측 케이스(20)는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필터 외측 케이스(21) 내에 설치한다. 즉, 매연 필터(3)의 외측에 세라믹 파이버제이고 매트 형상인 필터 단열재(22)를 개재하여 필터 내측 케이스(20)를 피감시키고 있다. 필터 외측 케이스(21)는 촉매 외측 케이스(5)와 함께 상술한 DPF 케이싱(6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매연 필터(3)와 필터 내측 케이스(20) 사이에 필터 단열재(22)를 압입하여 매연 필터(3)를 보호하고 있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능선이 직선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촉매 내측 케이스(4)는 디젤 산화촉매(2)를 수용하는 상류측 통부(4a)와, 후술하는 필터 내측 케이스(20)가 삽입되는 하류측 통부(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통부(4a)와 하류측 통부(4b)는 대략 동일 지름의 원통이다. 또한, 촉매 내측 케이스(4)의 외주에 용접 고정하는 박판 형상 링형의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와,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외주에 용접 고정하는 박판 형상 링형의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구비한다.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와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는 단면 끝면이 L형상인 도넛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하류측 통부(4b)의 단부에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L형 단면 끝면의 내주측을 용접 고정한다.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주측(방사 방향)을 향해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L형 단면 끝면의 외주측을 돌출시킨다.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L형 단면 끝면의 절곡 모서리부에 단차부(25a)를 형성한다. 촉매 외측 케이스(5)의 하류측 단부가 단차부(25a)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외주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중도부에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의 L형 단면 끝면의 내주측을 용접 고정한다.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측(방사 방향)을 향해서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의 L형 단면 끝면의 외주측을 돌출시킨다.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의 L형 단면 끝면의 절곡 모서리부에 단차부(26a)를 형성한다.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상류측 단부가 단차부(26a)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필터 내측 케이스(20)는 능선이 직선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배기가스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는 대략 동일 지름의 원통이다.
또한, 디젤 산화촉매(2)의 외경과 매연 필터(3)의 외경을 같게 형성한다. 필터 단열재(22)의 두께에 비하여 촉매 단열재(6)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있다. 한편, 촉매 내측 케이스(4)와 필터 내측 케이스(20)는 동일 판두께의 재료로 형성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하류측 통부(4b)의 내경에 비하여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외경을 작게 형성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내주면과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외주면 사이에 하류측 간극(23)을 형성한다. 하류측 간극(23)은 상기 각 케이스(4, 20)의 판두께(예를 들면 1.5밀리미터)보다 큰 치수(예를 들면 2밀리미터)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케이스(4, 20)가 녹슬거나, 열변형되어도 촉매 내측 케이스(4)의 하류측 통부(4b)에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배기가스 상류측 단부를 간단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도 1~도 5, 도 9,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4)을 통하여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와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맞댄다. 각 외측 케이스(5, 21)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1쌍의 후판 형상의 중앙 협지 플랜지(51, 52)로 각 접합 플랜지(25, 26)를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운다. 볼트(27) 및 너트(28)로 각 중앙 협지 플랜지(51, 52)를 체결하여 각 접합 플랜지(25, 26)를 협지함으로써 촉매 외측 케이스(5)와 필터 외측 케이스(2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중앙 협지 플랜지(51, 52) 및 각 접합 플랜지(25, 26)를 통하여 촉매 외측 케이스(5)의 하류측 단부에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상류측 단부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디젤 산화촉매(2)와 매연 필터(3) 사이에 촉매 하류측 공간(29)이 형성된다. 즉, 디젤 산화촉매(2)의 하류측 단부와, 매연 필터(3)[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상류측 단부가 센서 장착용 간격(L2)만큼 떨어져서 대치한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매 내측 케이스(4)에 있어서의 상류측 통부(4a)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3)보다 촉매 외측 케이스(5)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4)를 길게 형성한다.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5)보다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6)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촉매 하류측 공간(29)의 센서 장착용 간격(L2)과, 촉매 내측 케이스(4)의 상류측 통부(4a)의 원통 길이(L3)와,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원통 길이(L5)를 가산한 길이(L2+L3+L5)가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원통 길이(L4)와,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원통 길이(L6)를 가산한 길이(L4+L6)에 거의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상류측 단부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각 케이스(20, 21)의 길이의 차(L7≒L5-L6)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촉매 외측 케이스(5)에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로부터 돌출된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상류측 치수(L7)만큼 촉매 외측 케이스(5)의 하류측[촉매 내측 케이스(4)의 하류측 통부(4b)]에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상류측 단부가 삽입된다. 즉, 하류측 통부(4b)[촉매 하류측 공간(29)] 내에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상류측이 발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촉매(2)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매연 필터(3)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3a)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매연 필터(3)에서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하여 디젤 엔진(70)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음을 감쇠시키는 소음기(30)는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소음 내측 케이스(31)와, 내열금속 재료제이고 대략 원통형인 소음 외측 케이스(32)와,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하류측 측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착된 원판 형상의 측부 덮개체(33)를 갖는다. 소음 외측 케이스(32) 내에 소음 내측 케이스(31)를 설치한다. 소음 외측 케이스(32)는 촉매 외측 케이스(5) 및 필터 외측 케이스(21)와 함께 상술한 DPF 케이싱(60)을 구성한다. 또한, 원통형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직경은 원통형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직경 또는 원통형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직경과 대략 동일 치수이다.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원반 형상의 내덮개체(36, 37)가 각각 용접으로 고착되어 있다. 각 내덮개체(36, 37) 사이에는 1쌍의 배기가스 도입관(38)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배기가스 도입관(38)의 상류측 단부는 상류 내덮개체(36)를 관통하고 있다. 각 배기가스 도입관(38)의 하류측 단부는 하류 내덮개체(3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각 배기가스 도입관(38)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연통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배기가스 도입관(38) 내에 연통 구멍(39)을 통하여 팽창실(45)을 연통시키고 있다. 팽창실(45)은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내부[각 내덮개체(36, 37)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소음 내측 케이스(31) 및 소음 외측 케이스(32)에는 각 배기가스 도입관(38) 사이에 배치한 배기가스 출구관(34)을 관통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34)의 일단측이 출구 덮개체(3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출구관(34)의 전체에 다수의 배기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배기가스 도입관(38)이 복수의 연통 구멍(39), 팽창실(45) 및 다수의 배기 구멍(46)을 통하여 배기가스 출구관(34)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가스 출구관(34)의 타단측에 테일 파이프(48)를 접속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해,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양 배기가스 도입관(38) 내로 들어간 배기가스는 복수의 연통 구멍(39), 팽창실(45) 및 다수의 배기 구멍(46)을 통하여 배기가스 출구관(34)을 통과하고, 테일 파이프(48)를 통하여 소음기(30) 외부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하류측 단부에 박판 형상 링형의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의 내경측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측(반경 외측, 방사 방향)을 향해서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의 외경측을 돌출시킨다.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의 외주측(끝면 L형의 각우부)에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하류측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상류측 단부에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외주측(반경 외측)으로 튀어나온 박판 형상의 소음측 접합 플랜지(41)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소음측 접합 플랜지(41)의 배기가스 상류측에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상류측을 소정 원통 치수(L10)만큼 돌출시킨다. 소음측 접합 플랜지(41)의 하류측에서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외주면에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상류측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4)을 통하여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와 소음측 접합 플랜지(41)를 맞대고, 각 외측 케이스(21, 32)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1쌍의 후판 형상의 출구 협지 플랜지(53, 54)로 각 접합 플랜지(40, 41)를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협지시킨다. 볼트(42) 및 너트(43)로 각 접합 플랜지(40, 41)에 각 출구 협지 플랜지(53, 54)를 체결함으로써 필터 외측 케이스(21)와 소음 외측 케이스(3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8)보다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원통 길이(L9)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상류측 단부는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상류측 단부[접합 플랜지(41)]로부터 각 케이스(31, 32)의 길이의 차(L10≒L8-L9)만큼 돌출되어 있다. 즉, 필터 외측 케이스(21)에 소음 외측 케이스(32)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상류측 단부가 돌출된 치수(L10)만큼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하류측 단부[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 내에 형성된 필터 하류측 공간(49)에 소음 내측 케이스(31)의 상류측 단부가 삽입된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판 형상의 중앙 협지 플랜지[51(52)]는 촉매 외측 케이스(5)[필터 외측 케이스(2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실시형태에서는 2개)로 분할된 반원호체[51a, 51b(52a, 52b)]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각 반원호체[51a, 51b(52a, 52b)]는 원호 형상(거의 반원 형상의 말굽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촉매 외측 케이스(5)에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각 반원호체[51a, 51b(52a, 52b)]의 각 단부가 접촉한다. 즉, 각 반원호체[51a, 51b(52a, 52b)]에 의해 촉매 외측 케이스(5)[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측이 환상으로 둘러싸여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중앙 협지 플랜지[51(52)]에는 둘레 방향을 따른 등간격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볼트 체결부(55)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중앙 협지 플랜지(51)당 8개소의 볼트 체결부(5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반원호체[51a, 51b(52a, 52b)] 단위로 보면 원주 방향을 따른 등간격으로 4개소씩 볼트 체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및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에는 중앙 협지 플랜지[51(52)]의 각 볼트 체결부(55)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5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촉매 외측 케이스(5)와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할 때에는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주측을 촉매측의 양 반원호체(51a, 51b)로 둘러쌈과 아울러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측을 필터측의 양 반원호체(52a, 52b)로 둘러싸고, 개스킷(24)을 협지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와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이들 반원호체군[중앙 협지 플랜지(51, 52)]에 의해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양측의 중앙 협지 플랜지(51, 52)의 볼트 체결부(55)와, 양 접합 플랜지(25, 26)의 볼트 구멍(56)에 볼트(27)를 삽입해서 너트(28)로 조인다. 그 결과, 양 접합 플랜지(25, 26)가 양 중앙 협지 플랜지(51, 5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고, 촉매 외측 케이스(5)와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연결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촉매측의 반원호체(51a, 51b)와, 필터측의 반원호체(52a, 52b)의 단부끼리가 맞닿은 부분은 서로 72°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판 형상의 출구 협지 플랜지[53(54)]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소음 외측 케이스(32)]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실시형태에서는 2개)로 분할된 반원호체[53a, 53b(54a, 54b)]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각 반원호체[53a, 53b(54a, 54b)]는 중앙 협지 플랜지[51(52)]의 반원호체[51a, 51b(52a, 52b)]와 기본적으로 같은 형태의 것이다. 출구 협지 플랜지[53(54)]에도 둘레 방향을 따른 등간격으로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볼트 체결부(57)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 및 소음측 접합 플랜지(41)에는 출구 협지 플랜지[53(54)]의 각 볼트 체결부(57)에 대응하는 볼트 구멍(5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필터 외측 케이스(21)와 소음 외측 케이스(32)를 연결할 때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측을 필터 출구측의 양 반원호체(53a, 53b)로 둘러쌈과 아울러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외주측을 소음측의 양 반원호체(54a, 54b)로 둘러싸고, 개스킷(24)을 협지한 필터 출구측 접합 플랜지(40)와 소음측 접합 플랜지(41)를 이들 반원호체군[출구 협지 플랜지(53, 54)]으로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양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53, 54)의 볼트 체결부(57)와, 양 접합 플랜지(40, 41)의 볼트 구멍(58)에 볼트(42)를 삽입해서 너트(43)로 조인다. 그 결과, 양 접합 플랜지(40, 41)가 양 출구 협지 플랜지(53, 54)로 끼워져 고정되고, 필터 외측 케이스(21)와 소음 외측 케이스(32)의 연결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필터 출구측의 반원호체(53a, 53b)와, 소음측의 반원호체(54a, 54b)의 단부끼리가 맞닿은 부분은 서로 72°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플랜지(51~54) 중 적어도 1개에 DPF 케이싱(60)[외측 케이스(5, 21, 32)]을 디젤 엔진(70)에 지지시키는 지지체로서의 좌브래킷 레그(61)가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출구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53) 중 한쪽의 반원호체(53a)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지지체 체결부(59)가 이웃하는 볼트 체결부(57) 사이에 위치하도록 2개소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브래킷 레그(61)에는 상술한 지지체 체결부(59)에 대응하는 장착 보스부(86)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필터 출구측에 있는 한쪽의 반원호체(53a)의 지지체 체결부(59)에 좌브래킷 레그(61)의 장착 보스부(86)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필터 출구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53)에 좌브래킷 레그(6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우브래킷 레그(62)의 일단측은 DPF 케이싱(60)[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주측에 용접 고정되고, 좌우 양 브래킷 레그(61, 62)의 타단측은 플라이휠 하우징(78)의 상면에 형성된 DPF 장착부(80)에 볼트 체결되는 것은 앞의 설명과 같다. 그 결과, DPF(1)는 좌우 양 브래킷 레그(61, 62)와 터빈 케이스(101)의 배기가스 배출관(103)에 의해 고강성 부재인 플라이휠 하우징(78)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된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디젤 산화촉매(2), 매연 필터(3)]와, 디젤 산화촉매(2), 매연 필터(3)를 내장한 각 내측 케이스(4, 20, 31)와, 각 내측 케이스(4, 20, 31)를 내장한 각 외측 케이스(5, 21, 32)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각 내측 케이스(4, 20, 31)는 각 외측 케이스(5, 21, 32)의 외주측으로 튀어나온 접합 플랜지(25, 26, 40, 41)를 통하여 각 외측 케이스(5, 21, 32)에 연결시킨다. 가스 정화체[디젤 산화촉매(2), 매연 필터(3)], 각 내측 케이스(4, 20, 31) 및 각 외측 케이스(5, 21, 32)의 조합을 복수 세트 구비하고, 각 접합 플랜지[25, 26(40, 41)]를 1쌍의 협지 플랜지[51, 52(53, 54)]로 협지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외측 케이스(5, 21, 32)를 연결한다.
따라서, 이웃하는 접합 플랜지[25, 26(40, 41)]를 각 협지 플랜지[51, 52(53, 54)]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압접(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협지 플랜지(51~54)를 외측 케이스(5, 21, 32)에 용접하는 일없이 별체로 구성하므로 협지 플랜지(51~54)와 외측 케이스(5, 21, 32)의 관계에 있어서 용접에 기인한 응력 집중이나 변형의 문제가 생길 우려는 없다. 이 때문에, 각 접합 플랜지[25, 26(40, 41)]의 전체에 대략 균일한 압접력을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협지 플랜지(51~54)의 밀봉면(협지면)의 면압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접합 플랜지[25, 26(40, 41)] 사이로부터의 배기가스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협지 플랜지(51~54)는 외측 케이스(5, 21, 32)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말굽형 반원호체[51a, 51b(52a, 52b, 53a, 53b, 54a, 54b)]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반원호체[51a, 51b(52a, 52b, 53a, 53b, 54a, 54b)]에 의해 외측 케이스(5, 21, 32)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반원호체[51a, 51b(52a, 52b, 53a, 53b, 54a, 54b)]로 구성된 협지 플랜지(51~54)이면서 일체물과 마찬가지의 장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링 형상인 것에 비하여 협지 플랜지(51~54)의 장착이 용이하여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 비용이나 장착 비용을 억제하면서 밀봉성이 높은 DPF(1)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서 각 접합 플랜지(25, 26, 4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접합 플랜지(25, 26, 40)는 모두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촉매 내측 케이스(4)와 촉매 외측 케이스(5)에 용접 고정되는 촉매측 접합 플랜지(25)를 대표 예로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확대 측면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매 측 접합 플랜지(25)는 이 단면 끝면이 L형의 중간에 계단 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5a)를 갖는다. 단차부(25a)에 촉매 외측 케이스(5)의 하류측 단부를 피감시키고, 촉매 외측 케이스(5)의 하류측 단부에 단차부(25a)를 용접 고정시킨다.
한편, 촉매 내측 케이스(4)[촉매 외측 케이스(5)]의 연장 방향(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L형의 내경측 단부(25b)가 연장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하류측 단부에 내경측 단부(25b)를 피감시키고, 촉매 내측 케이스(4)에 내경측 단부(25b)를 용접 고정시킨다. 한편,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외주로부터 방사 방향(연직 방향)을 향해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L형의 외경측 단부(25c)를 연장시킨다.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단면 끝면 L형상과 단차부(25a)의 형성에 의해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높은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협지 플랜지(51, 52)와 접합 플랜지(25, 26)에 각각의 볼트 구멍(56)을 통하여 볼트(27)를 관통시키고, 너트(28)를 나사 결합시켜서 협지 플랜지(51, 52)와 접합 플랜지(25, 26)를 체결시키는 것으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의 외경측 단부(25c)가 협지 플랜지(51, 52)에 의해 협지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도 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1)에 부설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09)[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촉매 내측 케이스(4)의 상류측 통부(4a)와 하류측 통부(4b) 사이에서 촉매 내측 케이스(4)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센서 보스체(110)의 일단측을 용접 고정한다. 촉매 외측 케이스(5)의 센서 장착 개구(5a)로부터 상기 케이스(5)의 외측을 향해서 방사 방향으로 센서 보스체(110)의 타단측을 연장시킨다. 센서 보스체(110)의 타단측에 센서 장착 볼트(111)를 나사 결합시킨다. 센서 장착 볼트(111)에 예를 들면 서미스트형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09)를 관통시키고, 센서 보스체(110)에 센서 장착 볼트(111)를 통하여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09)를 지지시킨다. 촉매 하류측 공간(29) 내에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09)의 검출 부분을 삽입시키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촉매(2)의 가스 유출측 끝면(2b)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었을 때 그 배기가스 온도가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09)에서 검출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보스체(110)에 센서 장착 볼트(111)를 통하여 예를 들면 서미스트형의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12)를 장착하여 매연 필터(3)의 타측 끝면(배출측 끝면)(3b)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12)에서 검출시킨다.
이어서, 도 10, 도 13~도 20을 참조하여 DPF(1)에 부설하는 차압 센서(63)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압력 센서로서 차압 센서(63)가 설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63)는 DPF(1) 내에 있어서의 매연 필터(3)를 사이에 둔 상류측 및 하류측 간의 배기가스의 압력차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력차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3)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환산되어 DPF(1) 내의 막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즉, 차압 센서(63)에서 검출된 배기가스의 압력차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액셀 제어 수단 또는 흡기 스로틀 제어 수단 등을 작동시킴으로써 매연 필터(3)의 재생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13~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음측의 입구 협지 플랜지(54)에 센서 브래킷(66)을 볼트 체결하고, DPF 케이싱(60)의 상면측에 센서 브래킷(66)을 배치시킨다. 차압 센서(63)의 검출 본체(67)가 센서 브래킷(66)에 장착된다. 차압 센서(63)의 검출 본체(67)에는 상류측 센서 배관(68)과 하류측 센서 배관(69)을 통하여 상류측 관이음체(64)와 하류측 관이음체(65)가 각각 접속된다. DPF 케이싱(60)에는 상기 센서 보스체(110)와 마찬가지로 센서 보스체(113)가 배치된다. 관이음 볼트(114)에 의해 센서 보스체(113)에 상류측 관이음체(64)[하류측 관이음체(65)]가 체결된다.
도 10, 도 13~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음측의 입구 협지 플랜지(54)의 일부에 센서 지지부(44)를 일체 형성하고, 센서 지지부(44)에 센서 브래킷(66)을 볼트(47)로 체결하고 있다. 필터 출구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53)(배기가스 압력 센서 장착용 플랜지체)에 볼트(42) 및 너트(43)를 통하여 소음측의 입구 협지 플랜지(54)(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장착용 플랜지체)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즉, 배기가스 압력 센서 장착용 센서 브래킷(66)을 센서 지지부(4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터 외측 케이스(배기가스 정화 케이스)(21)의 외측면에 차압 센서(배기가스 압력 센서)(63)를 배치하고 있다.
도 13, 도 15,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서의 촉매 내측 케이스(4)[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에 센서 배관체로서의 센서 보스체(113)를 설치한다. 상기 센서 보스체(113)에 관이음 볼트(114)를 통하여 센서 배관 접속용 상류측 관이음체(64)[또는 하류측 관이음체(65)]를 체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서의 촉매 외측 케이스(5)[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의 외주 형상을 따르게 해서 센서 보스체(113)로부터 배기가스 압력 센서로서의 차압 센서(67)를 향해서 강관제의 상류측 센서 배관(68)[또는 하류측 센서 배관(69)]을 연장시키고 있다. 상류측 센서 배관(68)[또는 하류측 센서 배관(69)]에 합성수지제의 상류측 가동관(137)[또는 하류측 가동관(138)]을 통하여 차압 센서(67)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매연 필터(3)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3)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67)를 통하여 검출된다. 매연 필터(3)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3)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67)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3)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재생 제어 가능 범위 이상으로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더 증가했을 때에는 DPF 케이싱(60)을 착탈 분해하고, 매연 필터(3)를 청소하여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하여진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70)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로서의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와,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를 내설시키는 가스 정화 하우징(60)[촉매 내측 케이스(4), 촉매 외측 케이스(5), 필터 내측 케이스(20), 필터 외측 케이스(21)]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가스 정화 하우징으로서의 DPF 케이싱(60)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으로서의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구비하는 구조이고,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에 볼트 관통 구멍(87a)을 형성하고,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에 삽입 가이드로서의 노치 홈(89)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 관통 구멍(87a)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장착 볼트로서의 선설치 볼트(87)를 조이고 풀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가 연결되는 디젤 엔진(70)측 또는 기기 본체측의 장착 부위[DPF 장착부(80)]에 반고정 상태로 가고정용 선설치 볼트(87)를 장착한 후 선설치 볼트(87)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볼트 관통 구멍(87a)을 맞물리게 하여 상기 장착 부위에 DPF 케이싱(60)을 지지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DPF 케이싱(60)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설치용 설치 볼트(88)를 조여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체결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DPF 케이싱(60)을 착탈 작업할 수 있다. 중량물인 DPF 케이싱(60)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에 형성한 볼트 삽입용 노치에 의해 노치 홈(89)을 형성하고, 노치 홈(89)을 통하여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의 측부 가장자리에 볼트 관통 구멍(87a)을 개방시키고, 가고정 상태의 선설치 볼트(87)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볼트 관통 구멍(87a)을 맞물리게 하여 가고정 상태의 선설치 볼트(87)를 통하여 DPF 케이싱(60)(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반고정 상태로 가고정된 선설치 볼트(87)에 노치 홈(89)을 통하여 볼트 관통 구멍(87a)을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DPF 케이싱(60)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설치용 설치 볼트(88)를 조여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체결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DPF 케이싱(60)을 착탈 작업할 수 있다. 중량물인 DPF 케이싱(60)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가 내설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로서의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외측에 외측 케이스체로서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피감시키고,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와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에 의해 가스 정화 하우징으로서의 DPF 케이싱(60)을 형성하고,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에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에 의해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보온과 DPF 케이싱(60)의 강성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세트의 가스 정화체[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 및 외측 케이스체[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로서의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매연 필터(3)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세트의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 및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하기 위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치수가 장척으로 되는 측인 촉매 외측 케이스(5)에 노치 홈(89)이 형성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으로 형성된 촉매 외측 케이스(5)를 이용하여 노치 홈(89)이 형성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고강성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 1, 도 13, 도 18~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세트의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 및 상기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를 연결하기 위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촉매 외측 케이스(5) 또는 필터 외측 케이스(21) 중 배기가스 입구관(16)이 설치된 촉매 외측 케이스(5)에 노치 홈(89)이 형성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를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 및 촉매 내측 케이스(4) 또는 필터 내측 케이스(20)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디젤 산화촉매(2) 또는 매연 필터(3)의 매연 막힘 제거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촉매측 접합 플랜지(25) 또는 필터측 접합 플랜지(26)에 의해 배기가스 누설 등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으로 형성된 촉매 외측 케이스(5)를 이용하여 노치 홈(89)이 형성된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62)와 배기가스 입구관(16)을 고강성으로 장착할 수 있다.
2 : 디젤 산화촉매(가스 정화체) 3 : 매연 필터(가스 정화체)
4 : 촉매 내측 케이스 5 : 촉매 외측 케이스
16 : 배기가스 입구관
20 : 필터 내측 케이스(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21 : 필터 외측 케이스(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25 : 촉매측 접합 플랜지(플랜지체)
26 : 필터측 접합 플랜지(플랜지체)
60 : DPF 케이싱(가스 정화 하우징)
62 : 케이싱측 브래킷 레그(지지 브래킷)
70 : 디젤 엔진 80 : DPF 장착부
87 : 설치 볼트 87a : 볼트 구멍
89 : 삽입 가이드

Claims (6)

  1. 엔진이 배출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가스 정화체와, 상기 가스 정화체를 내설시킨 가스 정화 하우징을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에 개설한 볼트 삽입용 노치에 의해 삽입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의 측부 가장자리에 상기 볼트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볼트 구멍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이 얹어진 상기 엔진의 장착부 상면의 장착 볼트를 끼우고 빼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가스 정화체가 내설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외측에 외측 케이스체를 피감시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의해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 내에 유입시키는 배기 가스 입구관을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워 맞추어서 상기 장착 볼트를 통하여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상기 배기 가스 입구관의 배기 가스 입구측 개구 단부에, 상기 엔진의 배기측과 볼트 체결되는 입구 플랜지체를 설치하고, 상기 입구 플랜지체를 상기 엔진의 배기측과 체결시키는 볼트의 삽입 방향을,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하여 상기 삽입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우고 빼는 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있고,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우고 빼는 방향을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을 향할 때의 배기 가스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은 상기 엔진에 대하여 상기 지지 브래킷 및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으로 연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에 상기 볼트 삽입용 노치를 통하여 상기 볼트 구멍을 끼워 맞추고, 가고정 상태의 상기 장착 볼트를 통하여 상기 가스 정화 하우징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고착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치수가 장척으로 되는 측의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세트의 상기 가스 정화체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가스 정화체의 접속 경계 위치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체를 오프셋시키는 한편, 상기 복수의 외측 케이스체 중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이 형성된 외측 케이스체에 상기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상기 지지 브래킷을 고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KR1020127024210A 2010-03-17 2011-02-24 배기가스 정화 장치 KR101783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0959A JP2011196194A (ja) 2010-03-17 2010-03-17 排気ガス浄化装置
JPJP-P-2010-060959 2010-03-17
PCT/JP2011/054172 WO2011114857A1 (ja) 2010-03-17 2011-02-24 排気ガス浄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51A KR20130006451A (ko) 2013-01-16
KR101783732B1 true KR101783732B1 (ko) 2017-10-23

Family

ID=4464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210A KR101783732B1 (ko) 2010-03-17 2011-02-24 배기가스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26726B2 (ko)
EP (1) EP2549075A4 (ko)
JP (1) JP2011196194A (ko)
KR (1) KR101783732B1 (ko)
CN (1) CN102822469B (ko)
WO (1) WO2011114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13158T1 (de) 2007-04-26 2011-07-15 Voss Automotive Gmbh Leitungs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US9644522B2 (en) * 2008-03-17 2017-05-09 Faurecia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Cast end cap mounting module
US9651185B2 (en) 2008-03-19 2017-05-16 Voss Automotive Gmbh Line connector for media lines
JP5422528B2 (ja) 2010-09-15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とその排気処理装置の取り付け方法
US9016972B2 (en) * 2011-10-14 2015-04-28 Blanking Systems, Inc. Mechanically interlocking frame assemblies
JP2013160145A (ja) * 2012-02-06 2013-08-19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EP2806130B1 (en) * 2012-01-20 2017-03-08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JP2013148035A (ja) * 2012-01-20 2013-08-01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US8820691B2 (en) 2012-06-28 2014-09-02 Electro-Motive Diesel, Inc.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an after-treatment component
JP5981255B2 (ja) * 2012-07-26 2016-08-3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2889464B1 (en) * 2012-07-05 2017-07-05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5882158B2 (ja) * 2012-07-26 2016-03-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9057316B2 (en) 2012-12-03 2015-06-1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US8974740B2 (en) * 2013-03-12 2015-03-10 Tenneco Automa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treatment component mounting system
CN105229271B (zh) * 2013-04-11 2019-01-01 珀金斯发动机有限公司 用于安装排放净化模块的支撑结构
JP2014029157A (ja) * 2013-09-30 2014-02-13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JP5777257B2 (ja) * 2013-09-30 2015-09-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WO2015076338A1 (ja) * 2013-11-22 2015-05-2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5101997A (ja) * 2013-11-22 2015-06-04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9470134B2 (en) * 2014-04-17 2016-10-18 Honda Motor Co., Ltd Muffler mount structure
DE202014102809U1 (de) * 2014-06-18 2014-08-06 Tenneco Gmbh Abgasmodu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6226849B2 (ja) * 2014-09-30 2017-11-08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6133830B2 (ja) * 2014-10-30 2017-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系支持構造
JP6558993B2 (ja) * 2015-07-23 2019-08-1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の連結構造
DE102016123139A1 (de) * 2016-11-30 2018-05-30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schalldämpf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3062632B1 (fr) * 2017-02-03 2020-06-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iece intermediaire de maintien provisoire d’un element auxiliaire sur un carter de moteur thermique
CN108412585A (zh) * 2018-05-16 2018-08-17 安徽全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颗粒捕集器及汽车
CN112627943A (zh) * 2020-11-14 2021-04-09 河北虹旭环保科技有限公司 Dpf便携式维护设备
CN112682151B (zh) * 2020-12-24 2023-08-01 江苏星光发电设备有限公司 一种柴油发电机组的尾气净化设备
CN116818671B (zh) * 2023-08-31 2023-11-10 常州中冷环保技术有限公司 滤筒自动检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277A (ja) * 2001-08-06 2003-04-23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20030159436A1 (en) * 2002-02-27 2003-08-28 Foster Michael Ralph Diesel particulate filter ash removal
JP2008062865A (ja) * 2006-09-11 2008-03-21 Mazda Motor Corp 部品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844A (en) * 1961-01-24 1965-02-16 Wix Corp Air filter
US4006000A (en) * 1974-06-06 1977-02-01 United Filtration Corporation All dry air cleaner
US4704143A (en) * 1985-11-20 1987-11-03 Percy Donald W Multistage micronic in-line after-air filter
US5013182A (en) * 1989-04-04 1991-05-07 Donaldson Company, Inc. Self-adjusting mounting-band assembly
DE4203864C2 (de) * 1992-02-11 1993-12-02 Deere & Co Positioniereinrichtung für Luftfilter
US5293743A (en) * 1992-05-21 1994-03-15 Arvin Industries, Inc. Low thermal capacitance exhaust processor
JP3591565B2 (ja) * 1997-04-17 2004-11-24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096108A (en) * 1997-10-22 2000-08-01 Donaldson Company, Inc. Air cleaner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JP3904768B2 (ja) 1999-09-06 2007-04-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気ガス用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クリーニング及び再生装置
ATE261061T1 (de) * 2000-06-22 2004-03-15 Mann & Hummel Gmbh Ansaugluftfilter
JP3557552B2 (ja) * 2000-12-05 2004-08-2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底板取付構造
DE50200365D1 (de) * 2001-08-31 2004-05-27 Mann & Hummel Gmbh Saugrohr mit Befestigungsflansch und Einsatz zur Verstärkung des Flanschbauteils
JP4202787B2 (ja) 2003-02-28 2008-12-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装置
JP2005194949A (ja) 2004-01-08 2005-07-21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JP4496226B2 (ja) * 2004-11-25 2010-07-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EP2224121B1 (en) * 2005-10-12 2013-03-06 Kohler Co. Air cleaner assembly
JP2009091982A (ja) 2007-10-09 2009-04-30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排気浄化装置
JP2009228516A (ja) 2008-03-21 2009-10-08 Calsonic Kansei Corp Dpf装置
CN102057141B (zh) * 2008-09-08 2013-02-13 日立建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
DE102010010397A1 (de) * 2010-03-05 2011-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Katalysatorbefestig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277A (ja) * 2001-08-06 2003-04-23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20030159436A1 (en) * 2002-02-27 2003-08-28 Foster Michael Ralph Diesel particulate filter ash removal
JP2008062865A (ja) * 2006-09-11 2008-03-21 Mazda Motor Corp 部品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6726B2 (en) 2015-01-06
JP2011196194A (ja) 2011-10-06
WO2011114857A1 (ja) 2011-09-22
US20120311984A1 (en) 2012-12-13
CN102822469A (zh) 2012-12-12
KR20130006451A (ko) 2013-01-16
CN102822469B (zh) 2016-03-23
EP2549075A4 (en) 2015-06-03
EP2549075A1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732B1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KR101736263B1 (ko) 배기가스 정화 장치
KR101571192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5649895B2 (ja) エンジン装置
KR20130010468A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JP5697934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1179384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200081492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JP581443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6773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649896B2 (ja) エンジン装置
KR20130007837A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JP53401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4029157A (ja) エンジン装置
JP546790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85234B2 (ja) エンジン装置
JP49334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845324B2 (ja) エンジン装置
JP5777257B2 (ja) エンジン装置
JP5554814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2251564A (ja) エンジン装置
JP568529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93208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6062395B2 (ja) エンジン装置の組み付け方法
JP2011220238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