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92Y1 -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92Y1
KR200467492Y1 KR2020130000504U KR20130000504U KR200467492Y1 KR 200467492 Y1 KR200467492 Y1 KR 200467492Y1 KR 2020130000504 U KR2020130000504 U KR 2020130000504U KR 20130000504 U KR20130000504 U KR 20130000504U KR 200467492 Y1 KR200467492 Y1 KR 200467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grill
far
cook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김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202013000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88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having infrared radi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의 조리시 조리장치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의 방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조리시간을 단축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기구의 상부에 물받이를 올려놓고 물받이의 상부엔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를 거치시키고 석쇠의 상부에 조리용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들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를 상부에서 덮기 위한 커버체를 결합하고 상기 가열기구를 가열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방사체는 만곡판 형태로 이루어져 물받이의 중앙통로에 형성한 설치홈에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방사체엔 다수의 열방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석쇠의 중앙에 석쇠불판을 거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마련하되, 상기 석쇠불판은 방사상으로 절곡하여 뚫어 형성한 다수의 방사확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Far-infrared radiation type cooker}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09970호인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개선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의 조리시 조리장치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의 방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조리시간을 단축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09970호인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의 경우 내부의 구성부품으로서 세라믹방사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너무 커서 조리장치 전체의 크기도 역시 비대하여지고, 이에 따라 실제로 구이조리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리공간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전체 조리장치가 비효율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에서 채택하고 있는 세라믹방사기구는 원통형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성이 되어 있는 관계로 가열기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기가 세라믹방사기구를 거쳐 확산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 조리시 원적외선의 발생과 확산이 기대만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세라믹방사체의 구성을 개선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도록 독특한 구조의 석쇠불판을 채택 설치하여 원적외선의 발생 및 확산효과를 향상시켜 조리효과도 향상시키면서, 이들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불판의 구성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축소하여 전체 조리장치의 크기도 축소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조리장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열기구의 상부에 물받이를 올려놓고 물받이의 상부엔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를 거치시키고 석쇠의 상부에 조리용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들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를 상부에서 덮기 위한 커버체를 결합하고 상기 가열기구를 가열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방사체는 만곡판 형태로 이루어져 물받이의 중앙통로에 형성한 설치홈에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방사체엔 다수의 열방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석쇠의 중앙에 석쇠불판을 거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마련하되, 상기 석쇠불판은 방사상으로 절곡하여 뚫어 형성한 다수의 방사확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물받이의 하부에 별도의 물받이받침을 설치하되, 상기 물받이는 중앙통로의 상부에 설치홈을 형성하고 중앙통로의 가장자리엔 물을 담아주기 위한 물저장홈을 마련하고 그 가장자리 부위엔 조리시 조리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아니면 내부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균형유지용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받이받침은 물받이받침의 중앙돌출통로가 상기 중앙통로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물받이의 중앙통로와 상기 물받이받침의 중앙돌출통로에 대한 각각의 만곡도를 달리하여 상기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받침을 서로 결합하면 이들 상기 물받이의 중앙통로와 상기 물받이받침의 중앙돌출통로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세라믹방사체의 구성을 개선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도록 독특한 구조의 석쇠불판을 채택 설치하여 원적외선의 발생 및 확산효과를 향상시켜 조리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이들 세라믹방사체와 석쇠불판의 구성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축소함에 따라 전체 조리장치의 크기도 축소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조리장치의 크기를 대폭 축소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석쇠불판의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가열기구(1)의 상부에 물받이(2)를 올려놓고 물받이(2)의 상부엔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4)를 거치시키고 석쇠(4)의 상부에 조리용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들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4)를 상부에서 덮기 위한 커버체(5)를 결합하고 상기 가열기구(1)를 가열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방사체(3)는 만곡판 형태로 이루어져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에 형성한 설치홈(20a)에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방사체(3)엔 다수의 열방사공(3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석쇠(4)의 중앙에 석쇠불판(6)을 거치하기 위한 설치부(40)를 마련하되, 상기 석쇠불판(6)은 방사상으로 절곡하여 뚫어 형성한 다수의 방사확산공(6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2)의 하부에 별도의 물받이받침(7)을 설치하되, 상기 물받이(2)는 중앙통로(20)의 상부에 설치홈(20a)을 형성하고 중앙통로(20)의 가장자리엔 물을 담아주기 위한 물저장홈(22)을 마련하고 그 가장자리 부위엔 조리시 조리공간(8)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아니면 내부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균형유지용 통공(24)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받이받침(7)은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가 상기 중앙통로(20)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에 대한 각각의 만곡도를 달리하여 상기 물받이(2)와 상기 물받이받침(7)을 서로 결합하면 이들 상기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72)이 형성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미설명부호로서 42는 석쇠(4)의 다리, 50은 커버체(5)의 손잡이, 52는 커버체(5)의 유리뚜껑, 74는 물받이받침(7)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방사상의 안전절곡돌부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본 고안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물받이받침(7)을 가열기구(1)에 올려놓고 물받이받침(7)의 상부로서 중앙돌출통로(70)에 물받이(2)의 중앙통로(20)를 결합하여 올려놓고 물받이받침(7)의 중앙통로(20)에 마련한 설치홈(20a)엔 세라믹방사체(3)를 얹어 결합한 다음, 물받이(2)의 물저장홈(22)엔 물을 충분히 채워놓고 석쇠(4)의 다리(42)를 설치한 후에 석쇠(4)엔 석쇠불판(6)을 결합하며 석쇠(4)와 석쇠불판(6)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거치하고 커버체(5)를 덮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실행한다.
다음, 가열기구(1)를 가동시켜 조리를 시작하게 되는데, 가열기구(1)로부터 발생된 열기는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와 세라믹방사체(3)의 여러 열방사공(30)을 거쳐 조리장치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열기는 세라믹방사체(3)의 여러 열방사공(30)을 경유하면서 세라믹방사체(3) 자체 및 열방사공(30)을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면서 이동하는 열기와 함께 조리장치의 내부로 방사 이동하고, 대부분은 세라믹방사체(3)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석쇠불판(6)의 저부에 도달하고 일부는 반사 내지 복사가 이루어지면서 확산되고 나머지는 방사확산공(60)을 경유하여 상부로 확산된다.
그리하여 열방사공(30)을 경유하여 조리장치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는 석쇠불판(6)을 거치거나 아니면 직접 석쇠(4)의 상,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조리공간(8)에 이르러 충분한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면서 이들 열기와 함께 방사 이동하게 되며, 결국 가열기구(1)로부터 발생된 모든 열기는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와 여러 열방사공(30)을 경유하면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함께 방사되어 조리를 위한 열원으로 활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방사체(3)는 만곡판 형태로 납짝하게 이루어져 설치공간이 아주 작게 차지하게 되어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4)가 위치하게 되는 석쇠불판(6)과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조리장치의 높이를 줄여 전체적으로 그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게 되고,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에 대한 각각의 만곡도를 달리하여 상기 물받이(2)와 상기 물받이받침(7)을 서로 결합하면 이들 상기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72)이 형성되어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를 통과하게 되는 열기가 물받이(2)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결국 물받이(2)의 과열을 방지하고 물받이(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세라믹방사체(3)의 구성을 개선하고 그 상부에 위치하도록 독특한 구조의 석쇠불판(6)을 채택 설치하여 원적외선의 발생 및 확산효과를 향상시켜 조리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이들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불판(6)의 구성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축소함에 따라 전체 조리장치의 크기도 축소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조리장치의 크기가 대폭 축소되면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가열기구, 2: 물받이,
3: 세라빅방사체, 4: 석쇠,
5: 커버체, 6: 석쇠불판,
7: 물받이받침, 8: 조리공간,
20: 중앙통로, 20a: 설치홈,
22: 물저장홈, 24: 균형유지용 통공,
30: 열방사공, 40: 설치부,
42: 다리, 50: 손잡이,
52: 유리뚜껑, 60: 방사확산공,
70: 중앙돌출통로, 72: 공간,
74: 절곡돌부

Claims (3)

  1. 가열기구(1)의 상부에 물받이(2)를 올려놓고 물받이(2)의 상부엔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4)를 거치시키고 석쇠(4)의 상부에 조리용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들 세라믹방사체(3)와 석쇠(4)를 상부에서 덮기 위한 커버체(5)를 결합하고 상기 가열기구(1)를 가열하여 조리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방사체(3)는 만곡판 형태로 이루어져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에 형성한 설치홈(20a)에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방사체(3)엔 다수의 열방사공(30)을 형성하고,
    상기 석쇠(4)의 중앙에 석쇠불판(6)을 거치하기 위한 설치부(40)를 마련하되,
    상기 석쇠불판(6)은 방사상으로 절곡하여 뚫어 형성한 다수의 방사확산공(6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2)의 하부에 별도의 물받이받침(7)을 설치하되,
    상기 물받이(2)는 중앙통로(20)의 상부에 설치홈(20a)을 형성하고 중앙통로(20)의 가장자리엔 물을 담아주기 위한 물저장홈(22)을 마련하고 그 가장자리 부위엔 조리시 조리공간(8)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아니면 내부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균형유지용 통공(24)을 다수 형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받이받침(7)은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가 상기 중앙통로(20)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에 대한 각각의 만곡도를 달리하여 상기 물받이(2)와 상기 물받이받침(7)을 서로 결합하면 이들 상기 물받이(2)의 중앙통로(20)와 상기 물받이받침(7)의 중앙돌출통로(70)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72)이 형성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2020130000504U 2013-01-21 2013-01-21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200467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04U KR200467492Y1 (ko) 2013-01-21 2013-01-21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04U KR200467492Y1 (ko) 2013-01-21 2013-01-21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92Y1 true KR200467492Y1 (ko) 2013-06-17

Family

ID=5138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504U KR200467492Y1 (ko) 2013-01-21 2013-01-21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484A (ko) * 2009-04-21 2009-06-22 이연옥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0460203Y1 (ko) 2009-12-24 2012-05-09 김성권 조리장치
KR101147407B1 (ko) 2010-03-29 2012-05-22 김정애 다용도 조리기
KR101209970B1 (ko) * 2012-07-19 2012-12-07 김성권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484A (ko) * 2009-04-21 2009-06-22 이연옥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0460203Y1 (ko) 2009-12-24 2012-05-09 김성권 조리장치
KR101147407B1 (ko) 2010-03-29 2012-05-22 김정애 다용도 조리기
KR101209970B1 (ko) * 2012-07-19 2012-12-07 김성권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821B1 (ko) 오븐
US20150122137A1 (en) Cooking pot and lid thereof
CN102755117B (zh) 热源上置式电烤炉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JP3193084U (ja) 加熱調理器
KR20040035941A (ko) 가열 조리기
CN208808168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火锅烤盘
KR200467492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100610055B1 (ko) 구이판
KR200467497Y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기의 세라믹방사체 구조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CN204336599U (zh) 具备电线固定件的加热烹调器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778880B1 (ko) 고효율 구조의 전기로스터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JP6267453B2 (ja) 液体加熱調理器
KR101320210B1 (ko) 열효율이 증가되는 오븐의 구조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JP3188154U (ja) 熱遮断体が備えられた加熱調理器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KR20100096971A (ko) 조리기기
CN208371618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火锅烤盘
CN206709147U (zh) 一种电热煲仔炉及其炉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