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55Y1 -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55Y1
KR200467055Y1 KR2020120001910U KR20120001910U KR200467055Y1 KR 200467055 Y1 KR200467055 Y1 KR 200467055Y1 KR 2020120001910 U KR2020120001910 U KR 2020120001910U KR 20120001910 U KR20120001910 U KR 20120001910U KR 200467055 Y1 KR200467055 Y1 KR 200467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grinding
longitudinal
too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 파 우
Original Assignee
진 화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화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진 화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2000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shear blades or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6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 B24D15/08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of knives; of razors
    • B24D15/081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of knives; of razors with sharpening elements in interengaging or in mutual contact

Abstract

연마베이스를 효과적으로 재빨리 고정하고 세로방향 연마편 및 가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연마의 효과와 응용성을 높일수 있는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구조는 연마베이스(base)(10), 연마세트(set) 및 커버(30)을 갖춘다. 연마베이스(base)(10)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11)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세로방향연마구(121) 및 가로방향연마구(122)가 있고 연마부 (12)가 설치된다. 세로방향연마구(121)에는 2개의 세로방향연마편(13)이 서로 위치를 밀어 배치된다. 연마세트(set)(20)는 가로방향연마구(122)에 배치되고 가로방향연마편(21),위치결정부재(22) 및 스토퍼(stopper)판(23)이 있고 가로방향 연마편 (21)은 위치결정부재(22)에 의해 압압(押壓)되어서 가로방향연마구(122) 위에 고정되고 밖으로 향해서 설치된 연마면을 가지고 스토퍼(stopper)판(23)은 가로방향 연마구(121)의 상방으로 배치되고 밖으로 향해서 설치된 당접부(231)가 있다.

Description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Structure of absorption knife polishing base}
본 고안은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base)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 또는 가위에 적용할 수가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 또는 가위는 사용을 계속하면 차차로 예리함이 나쁘게 된다. 종래는 칼 또는 가위의 예리함을 회복시키기 위해 숫돌에 의해 칼을 연마하였다. 그렇지만, 숫돌은 무겁고 수납하기 어려운 위에 손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상을 당하기 쉽고 또 칼 또는 가위를 연마(硏磨) 할 때에 칼의 칼날 또는 가위의 날의 경사각도를 스스로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각도로 기울이면 좋은지를 모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숫돌은 수납하기 어렵고 연마각도를 조정(調整)하기도 어려워서 부상을 당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더욱 숫돌은 칼을 연마할 때에 한 쪽면만 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면을 바꾸면서 연마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였다.
또 가위를 연마할 때에 가위의 양날을 완전히 열어서 연마하여도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숫돌에 부딪치기 때문에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 1 의 목적은 연마베이스가 일방향의 단부에 배치된 흡착장치와 타방의 단부에 설치되고 세로방향 연마편 및 가로방향 연마편이 배치된 연마부가 있고 흡착장치에 의해 연마베이스가 재빨리 고정이 되며 세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칼의 양면을 연마하고 가로방향 연마편은 가위의 편면(片面)을 연마할 수가 있고 연마베이스를 효과적으로 빨리 고정할 수가 있고 세로방향 연마편 및 가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연마의 효과와 응용성을 높일 수가 있는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제 2 의 목적은 서로 위치를 밀어 배치된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간의 끼인 각이 칼날의 형상을 이룬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세로방향 연마편 상에 칼을 직접 놓고 세운 상태에서 양면을 왕복 연마하고, 스토퍼 판의 당접부와 가로방향 연마구의 경사에 합해서 기울게 배치된 가로방향 연마편의 연마면을 이룬 각도가 칼의 형상을 이룬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가위를 누른 상태로 한쪽면을 왕복연마하고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제 3 의 목적은 가로방향 연마편의 연마면과 스토퍼(stopper)판의 당접부가 연마베이스의 경사 절흠부의 부분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가위의 연마하기 어려운 부분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가 있는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는 연마베이스(base), 연마세트(set) 및 커버(cover)를 갖추고 있다.
연마베이스(base)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세로방향 연마구 및 가로방향 연마구가 있고, 연마부가 설치된다.
세로방향 연마구에는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이 서로 위치를 밀어 배치하고 연마세트(set)는 가로방향 연마구에 배치되고 가로방향 연마편 위치결정부재 및 스토퍼(stopper)판이 있고, 가로방향 연마편은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압압(押壓)되어 가로방향 연마구 위에 고정되고 밖으로 향해 설치된 연마면이 형성되고 스토퍼(stopper)판은 가로방향 연마구의 상방(上方)에 배치되고 밖으로 향해서 당접부를 설치함으로써 칼이나 가위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연마베이스(base)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세로방향 연마편 및 가로방향 연마편이 배치된 연마부가 설치되어 있고 흡착장치에 의해 연마베이스를 재빨리 고정할 수가 있고 세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칼의 양면을 연마하고 가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가위의 한쪽면을 연마할 수가 있고, 연마베이스를 재빨리 효과적으로 고정하고, 세로방향 연마편 및 가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연마의 효과와 응용성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2) 서로 위치를 멀게 하여 배치된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 사이의 끼인각이 칼날의 형상을 이룬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 위에 칼을 직접 놓고 세운 상태에서 양면을 왕복 연마할 수가 있고 스토퍼(stopper)판의 당접부와 가로방향 연마구의 경사(傾斜)에 합해서 기울게 배치된 가로방향 연마편의 연마면을 이룬 각도가 칼 형상의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가위를 누른 상태에서 한 쪽면을 왕복연마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다.
(3) 가로방향 연마편의 연마면과 스토퍼(stopper)판 의 당접부가 연마 베이스(base)의 경사절흠부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위의 연마하기 어려운 부분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로 나이프를 연마할 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의 구조로 가위를 연마할 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본 고안은 제 1 의 형태에 의하면 연마베이스(base), 연마세트(set) 및 커버(cover)를 갖춘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구조에 있어서, 연마베이스(base)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세로방향 연마구 및 가로방향 연마구를 가진 연마부가 설치되고 세로방향 연마구에는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이 서로 위치를 밀어 배치되고, 연마세트(set)는 가로방향 연마구에 배치되고 가로방향 연마편, 위치결정부재 및 스토퍼(stopper)판이 있고, 가로방향 연마편은 위치 결정부재에 의해 압압되어서 가로방향 연마구 위에 고정되고 밖으로 향해 설치된 연마면이 있고, 스토퍼(stopper)판은 가로방향 연마구의 위에 배치되고 밖으로 향해 설치된 당접부가 있고 커버(cover)는 연마베이스(base)의 연마부에 체결되고, 연마세트(set) 및 세로방향 연마편을 고정하고 세로방향 연마편이 위로 향해서 관설된 천공이 있고, 흡착장치에 의해 연마베이스(base)를 재빨리 고정하고, 세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양면을 연마 하고, 가로방향 연마편에 의해 한쪽면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흡착장치는 흡반, 연동레버(lever), 탄성부재 및 회전핸들(handle)이 있고, 연동레버(lever)는 연마 베이스(base)에 관설 되고 일방향의 단부에 흡반이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회전핸들(handle)이 접속되고 탄성부재는 흡반과 연마 베이스와의 사이에 당접되고 회전핸들을 연마베이스 위에서 회전시키면 연동레버가 끌어 당겨지고 흡반이 연마 베이스로 향해 움푹 패여 평면에 흡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세트의 스토퍼 판은 금속재료로 되며 스토퍼 판의 당접부에는 가위의 연마되어 있지 않은 단면이 당접되고 가위가 연마되는 위치를 조정하고 커버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막아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로방향 연마구는 연마부의 흡착장치의 가까운 단부에 설치되고 가로방향 연마구는 연마부의 흡착장치로부터 먼 단부에 설치되고 경사절흠부가 있고. 가로방향 연마편의 연마면과 스토퍼부의 당접부와는 경사절흠부의 위치에서 노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방향 연마편은 가로방향 연마구의 경사에 합해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 1 " ~ 도 " 3 " 을 참조한다.
도 " 1 " ~ 도 " 3 "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는 적어도 연마베이스(base)(10), 연마세트(set)(20) 및 커버(cover)(30)로 구성된다.
연마베이스(base)(10)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11)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연마부(12)가 설치되어 있다. 흡착장치(11)는 흡반(111), 연동레버(lever)(112), 탄성부재(113) 및 회전핸들(handle)(114)이 설치된다. 연동레버(lever)(112)는 연마베이스(base)(10)에 관설(貫設)되고 일방의 단부에 흡반(111)이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회전핸들(handle)(114)이 접속되어 있다.
탄성부재(113)는 흡반(111)과 연마베이스(base)(10)와의 사이에 당접되어 있다. 회전핸들(handle)(114)을 연마베이스(base)(10) 위에서 회전시키면 연동레버(lever)(112)가 끌어 당겨지고 흡반(111)이 연마베이스(base)(10)로 향해 움푹 패여 평면에 흡착할 수 있다. 연마부(12)는 흡착장치(11)에 가까운 단부에 설치된 세로방향 연마구(121)와 흡착장치(11)로부터 거리가 먼 단부에 설치된 가로방향 연마구(122)가 설치된다. 세로방향 연마구(121)에는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13)이 서로 밀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로방향연마구(122)에는 경사절흠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연마세트(set)(20)는 가로방향 연마구(122)에 배치되고,가로방향연마편(21), 위치결정부재(22) 및 스토퍼(stopper)판(23)이 있다.
가로방향 연마편(21)은 위치결정부재(22)에 의해 압압(押壓)되고 가로방향 연마구(122)의 경사(傾斜)에 합해 저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가로방향 연마편(21)에는 밖으로 향해서 연마면(211)이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stopper)판 (23)은 가로방향연마구(122)의 위로 배치되고 밖으로 향해서 설치된 당접부(231)가 있다.
가로방향연마편(21)의 연마면(211)과 스토퍼(stopper)판(23)의 당접부(231)와는 경사절흠부(123)의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다.
연마세트(set)(20)의 스토퍼(stopper)판(23)은 금속재료로 된다. 스토퍼(stopper)판(23)의 당접부(231)에 가위를 연마시킬 수 없는 단면이 당접되면 가위의 연마하는 위치를 조정하며 커버(cover)(30)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커버(cover)(30)는 연마베이스(base)(10)의 연마부(12)에 체결되어 있다.
연마세트(set)(20) 및 세로방향연마편(13)은 커버(cover)(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버(cover)(30)에 설치된 천공(31)에는 세로방향연마편(13)이 위로 향해서 관설(貫設)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 흡착장치(11)로 연마베이스(base)(10)를 재빨리 고정할 수 있으며 세로방향연마편(13)에 의해 칼의 양면을 연마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연마편(21)에 의해 가위의 한쪽면을 연마할 수 있고 응용성을 높을 수가 있다.
도 " 1 " ~ " 4 " 를 참조한다.
도 " 1 " ~ " 4 "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구조를 실제로 조립할때는 먼저 연마베이스(base)(10)에 관설 된 연동레버(lover)(112)를 끼우고 연마베이스(base)(10)의 단부에 흡착장치(11)를 접속한다.
연동레버(112)에는 일방의 단부에 흡반(111) 및 탄성부재(113)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회전핸들(handle)(114)이 결착 되어 있다.
연마베이스(base)(10)의 연마부(12)에 설치된 세로방향연마구(121)에 세로방향연마편(13)을 서로 위치를 밀게하여 배치한다.
가로방향 연마구(122)에 연마세트(set)(20)를 배치한다.
가로방향 연마구(122)에 연마면(211)이 연마베이스(base)(10)의 경사절흠부 (123)의 위치로 노출하는 모양으로 연마세트(set)(20)의 가로방향연마편(21)을 가로방향연마구(122)의 경사로 합해서 기울어지게 배치한다.
가로방향 연마구(122)에 위치결정부재(22)를 배치하고 위치결정부재(22)에 의해 가로방향연마편(21)을 압압(押壓)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가로방향 연마구(122)의 위에는 당접부(231)가 가로방향 연마편(21)의 연마면(211)의 위에 위치하는 모양으로 스토퍼(stopper)판(23)을 배치한다.
연마면(211)과 당접부(231)와의 사이에는 연마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천공(31)에 세로방향연마편(13)을 관설(貫設)하고 연마베이스(base)(10)의 연마부(12)에는 커버(cover)(30)를 체결하면 연마세트(set)(20)를 고정할 수가 있다.
도 " 2 " 및 " 도 " 3 " 을 참조한다.
도 " 2 " 및 " 도 " 3 "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시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의 연마베이스(base)(10)는 흡착장치(11)에 의해 책상, 벽면, 탁자표면, 냉장고의 표면 등의 평면에 고정할 수가 있다.
먼저 흡판(111)을 끼워서 흡착장치(11)를 임의의 평면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회전핸들(handle)(114)를 회전시켜서 연마베이스(base)(10)에 눌러 붙히면 연동레버(lever)(112)가 끌어 당겨지고 흡반(111)이 연마베이스(base)(10)
로 향해서 움푹 패여지고 이것에 의해 연마베이스(base)(10)를 진공흡착에 의해 재빨리 고정이 되며, 흡착장치(11)에 의해 벽면에 흡착되어 편리하게 수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 5 " 를 참조한다.
도 " 5 "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를 사용하여 칼(A)를 연마할 때는 먼저 연마베이스(base)(10) 의 2개의 세로방향 연마편(13) 사이에 칼(A)의 칼날(A1)을 직접 놓고 세로방향연마편 (13)에는 서로 위치를 밀게하여 배치되고 끼인각이 칼날(A1)의 각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A)을 세운 상태에서 왕복 연마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칼(A)의 양면을 연마할 수가 있고 사용자가 칼(A) 및 세로방향연마편(13)의 연마각도를 스스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
도 " 6 " 을 참조한다.
도 " 6 "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흡착식 칼 연마베이스 구조를 사용하여 가위(B)를 연마할 때는 가위(B)의 칼(B1) 일방의 단면을 가로방향연마편(21)에 당접시키고 타방의 단면을 스토퍼(stopper)판(23)의 당접부(231)에 당접(當接)시키면 가위(B)의 한쪽 면을 연마할 수가 있다.
가로방향연마편(21)은 가로방향연마구(122)의 경사에 합해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다.(도" 4 " 참조)
스토퍼(stopper)판(23)의 당접부(231)와 연마면(211)을 이룬 각도는 칼(B1)의 각도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가위(B)를 누른 상태에서 왕복 연마할 수가 있다.
또 가로방향연마편(21)의 연마면(211)과 스토퍼(stopper)판(23)의 당접부 (231)와는 연마베이스(base)(10)의 경사절흠부(123)의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위(B)의 연마하기 어려운 부분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당해 분야의 기술을 숙지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실시형태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하였으나 이것들은 결코 본 고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취지와 영역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 연마(硏磨)베이스(base) A 칼
11 흡착장치 A1 칼날
12 연마부 B 가위
13 세로방향연마편 B1 칼
20 연마세트(set)
21 가로방향연마편
22 위치결정부재
23 스토퍼(stopper)판
30 커버(cover)
31 천공(穿孔)
111 흡반(吸盤)
112 연동레버(lever)
113 탄성부재
114 회전핸들(handle)
121 세로방향연마구(硏磨溝)
122 가로방향연마구(硏磨溝)
123 경사절흠부(傾斜切欠部)
211 연마면
231 당접부(當接剖)

Claims (5)

  1. 연마베이스(base), 연마세트(set) 및 커버(cover)를 갖춘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에 있어서,
    연마베이스(base)는 일방의 단부에 흡착장치가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세로방향 연마구 및 가로방향 연마구를 가진 연마부가 설치되고 세로방향 연마구에는 2 개의 세로방향 연마편이 서로 위치를 밀어 배치되고, 연마세트(set)는 가로방향 연마구에 배치되고 가로방향연마편, 위치결정부재 및 스토퍼(stopper)판이 있고, 가로방향연마편은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압압되어서 가로방향연마구 위에 고정되고 밖으로 향해 설치된 연마면이 있고, 스토퍼(stopper)판은 가로방향 연마구의 위에 배치되고 밖으로 향해 설치된 당접부가 있고 커버(cover)는 연마베이스(base)의 연마부에 체결되고, 연마세트(set) 및 세로방향연마편을 고정하고 세로방향연마편이 위로 향해서 관설된 천공이 있고, 흡착장치에 의해 연마베이스(base)를 재빨리 고정하고, 세로방향연마편에 의해 양면을 연마하고, 가로방향연마편에 의해 한 쪽면을 연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 장치는 흡반, 연동레버(lever), 탄성부재 및 회전핸들(handle)이 있고 연동레버(lever)는 연마베이스(base)에 관설되고 일방향의 단부에 흡반이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회전핸들(handle)이 접속되고 탄성부재는 흡반과 연마베이스와의 사이에 당접되고 회전핸들을 연마베이스 위에서 회전시키면 연동레버가 끌어 당겨지고 흡반이 연마베이스로 향해 움푹 패여 평면에 흡착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마세트의 스토퍼 판은 금속재료로 되며 스토퍼 판의 당접부에는 가위의 연마되어 있지 않은 단면이 당접되고 가위가 연마되는 위치를 조정하고 커버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막아주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연마구는 연마부의 흡착장치의 가까운 단부에 설치되고, 가로방향 연마구는 연마부의 흡착장치로 부터 먼 단부에 설치되고 경사절흠부가 있고 가로방향연마편의 연마면과 스토퍼부의 당접부와는 경사절흠부의 위치에서 노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방향연마편은 가로방향연마구의 경사에 합해서 기울어 지게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 구조.
KR2020120001910U 2012-03-12 2012-03-12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KR200467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910U KR200467055Y1 (ko) 2012-03-12 2012-03-12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910U KR200467055Y1 (ko) 2012-03-12 2012-03-12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55Y1 true KR200467055Y1 (ko) 2013-05-23

Family

ID=5371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910U KR200467055Y1 (ko) 2012-03-12 2012-03-12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5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267B1 (ko) 2010-04-21 2010-11-05 강석만 휴대형 가위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267B1 (ko) 2010-04-21 2010-11-05 강석만 휴대형 가위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65484S1 (en) Random orbital sander, random orbital sander mechanism and rotary sanding pad
US7153200B1 (en) Blade grinding tool
US8715041B2 (en) Attachment type sharpening tool
JP4231010B2 (ja) 研磨装置
KR200467055Y1 (ko) 흡착식 칼 연마 베이스의 구조
JP2010260160A (ja) 刃物研ぎ具
JP3209108U (ja) 角度調整可能な砥石式電動刃研ぎ機
JP3166608U (ja) 吸着式刃物研ぎ器
JP3176799U (ja) 刃物研ぎ用装置
KR200456205Y1 (ko) 칼 갈이 기구
JP2002361542A (ja) 包丁砥ぎ器
KR200479028Y1 (ko) 흡착식 칼갈이
TWM530726U (zh) 吸附式磨刀座
TWM537957U (zh) 吸附式磨刀座
JP2008207261A (ja) 刃物研磨装置
TWM459068U (zh) 磨刀器結構
TWI522203B (zh) Flat tool grinding device
AU2011100677A4 (en) Sharpening tool
KR100818062B1 (ko) 연마구
JP5669609B2 (ja) ソーチェーンの目立て機
JP3190289U (ja) 吸着式ナイフシャープナー
JP3096573U (ja) 包丁研ぎ具
JP3191707U (ja) 水研グラインダー
AU2012100252A4 (en) Attachment type sharpening tool
TWM545020U (zh) 電動磨刀機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