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32Y1 -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32Y1
KR200465532Y1 KR2020100009284U KR20100009284U KR200465532Y1 KR 200465532 Y1 KR200465532 Y1 KR 200465532Y1 KR 2020100009284 U KR2020100009284 U KR 2020100009284U KR 20100009284 U KR20100009284 U KR 20100009284U KR 200465532 Y1 KR200465532 Y1 KR 200465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pipe
support
transf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870U (ko
Inventor
권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3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가 개시된다.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의 거치대로서, 액화가스 운반선의 데크에 의해 지지되고, 연결관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관이 베이스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HOLDER FOR SHORT DISTANCE PIECE FOR LIQUEFIED GAS CARGO}
본 고안은 연결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연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 및 석유가스(petroleum gas) 등은 효율적인 운반을 위하여 액화 과정을 거쳐 부피가 감소된 액화가스(liquefied gas)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액화가스를 원거리 수송하는 데에는 극저온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설치된 액화가스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액화가스의 운반 및 사용을 위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FPSO), 부유식 액화석유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PG-FPSO) 및 부유식저장재기화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SRU)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상술한 부유식 설비들 또는 지상시설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수요지로 이동하여 저장했던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등 액화가스의 운반 및 하역(荷役, loading and unloading)을 행한다. 이를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과 지상시설 및 부유식 설비들 사이에는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관로(管路)가 연결된다.
그런데, 파도, 바람 및 해류 등의 영향에 의해 액화가스 운반선과 지상시설 또는 부유식 설비들은 상대적인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액화가스의 이송을 위한 관로의 연결에는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유연성 이송호스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액화가스 운반선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운반선(10)의 선체(11)에는 데크(deck, 12), 탱크돔(tank dome, 13), 이송관(14) 및 대빗(davit, 1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관(14)이 지지대(17)에 의해 데크(12)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송관(14)의 단부에는 플랜지(15)가 설치되어, 액화가스 운반선(10)의 외부,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지상시설 또는 부유식 설비들로부터 이송관(14)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관(14) 및 이송호스(미도시)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에는 이송관(14)에 이송호스(미도시)를 직접 연결할 수 없으므로, 이들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을 개재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은 중공원통 형상의 연결관 본체(21)와, 연결관 본체(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22, 23)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관 본체(21)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송호스(미도시)의 플랜지(미도시)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는 체결공(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 본체(21)의 타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3)에는 이송관(14)의 플랜지(15)에 형성된 체결공(16)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는 체결공(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관(14),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 및 이송호스(미도시)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은 이송관(14) 및 이송호스(미도시)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은 대부분 금속으로 제조되어 그 중량이 상당하다. 그러므로, 이송관(14)에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을 결합 또는 분리할 때에는 크레인(미도시) 또는 대빗(도 1의 19)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크레인(미도시) 또는 대빗(19)으로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플랜지(23)의 일측에 러그(26)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송호스(미도시)와의 규격이 맞지 않거나, 액화가스의 이송이 종료되어 이송관(14)으로부터 분리된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은 데크(도 1의 12) 상에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데크(12) 상의 다른 장비나 공구 등과 충돌하여 손상 또는 변형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플랜지(22, 23)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경우, 이송관(14)의 플랜지(23) 또는 이송호스(미도시)의 플랜지(미도시) 사이로 액화가스가 누설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의 거치대로서,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데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관이 안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지파이프;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가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복수의 지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데크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양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중간영역은 원호형상을 갖는 스트랩;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 중 인접한 두 개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되는 지지편; 및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편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분 이상의 영역이 탄성재로 코팅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분 이상의 영역이 탄성재로 코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를 제공하여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이 손상 또는 변형되는 방지함으로써,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액화가스 운반선을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의 사용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의 베이스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의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의 베이스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에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도 3의 20)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지파이프(115, 116)와, 복수의 지지파이프(115, 116)가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파이프(115, 116)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3, 114)와, 일측은 복수의 지지플레이트(113, 114)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액화가스 운반선(도 1의 10)의 데크(도 1의 12)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111, 11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플레이트(111, 112) 및 지지플레이트(113, 114)의 길이, 두께 및 폭 등의 규격은 지지하여야 할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의 하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플레이트(111, 112), 지지플레이트(113, 114) 및 지지파이프(115, 116)의 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의 규격에 따라 가감될 수도 있다.
메인플레이트(111, 112) 및 지지플레이트(113, 114)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13, 114)의 상단부는 원호형상의 지지파이프(115, 116)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파이프(115, 116)의 형상과 같이 원호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지지파이프(115, 116) 및 지지플레이트(113, 114)의 결합에도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 또는 용접 등의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111, 112)가 데크(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100)에는 베이스부(110) 및 고정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에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이 안착되어 있는데, 지지파이프(115, 116)에 의해 연결관 본체(21)의 외주면이 지지되고 있다. 베이스부(110)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130)는 베이스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이 베이스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고정부(130)에는 양단부에 너트(136, 137)가 결합되는 체결부(132, 133)가 각각 형성되고 중간영역은 원호형상을 갖는 스트랩(131)과, 체결부(132, 133)에 결합되고 인접한 두 지지파이프(115, 116)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되는 지지편(134, 135)과, 체결부(132, 133)에 체결되어 지지편(134, 135)을 각각 고정시키는 너트(136, 137)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편(134, 135)에는 체결부(132, 133)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통공(134c, 135c)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파이프(115, 116)와 안정적으로 접촉 및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요홈(134a, 134b, 135a, 135b)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대빗(도 1의 19) 등에 의해 이동된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100)가 베이스부(110)에 안착되면, 스트랩(131)을 연결관 본체(2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체결부(132, 133)에 지지편(134, 135)를 각각 결합시킨 다음, 너트(136, 137)를 체결부(132, 133)에 각각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부(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액화가스 운반선(도 1의 10)이 운항하는 중 선체(11)가 바람, 파도 및 해류 등에 의해 흔들리더라도 연결관 본체(21)가 지지파이프(115, 116) 및 스트랩(131)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플랜지(22, 23) 또한 연결관 본체(21)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편(134, 135) 및 너트(136, 137) 사이에 스프링 너트(spring nut)와 같은 풀림방지부재를 부가하면 액화가스 운반선(도 1의 10)이 장기간 항해를 하는 동안 안정적으로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20)을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100) 중 연결관 본체(21)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 즉 지지파이프(115, 116) 및 스트랩(131)의 표면에 탄성재를 코팅하면 연결관 본체(21)의 외주면에 흠집이 발생되거나 흔들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100)는 선체(도 1의 11 참조)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술한 탄성재로는 내후성, 내부식성, 내열성, 복원성 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탄성재는 연결관 본체(21)와 접하는 부분 이상의 영역, 즉 지지파이프(115, 116)의 표면 및 스트랩(131)의 표면 중 최소한 연결관 본체(21)와 직접 접하는 부분에 코팅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영역에도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선체(도 1의 11)의 흔들림에 의해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100)에 거치된 연결관 본체(21)가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파이프(115, 116)가 연결관 본체(21)의 외주면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지지파이프(115, 116)의 곡률을 연결관 본체(21)의 곡률과 최대한 유사하게 제조하면 지지파이프(115, 116)를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크(도 1의 12)에 의해 지지되는데, 메인플레이트(111, 112)를 데크(12)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데크(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대(도 2 및 도 3의 17 참조)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공간의 확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110: 베이스부 111, 112: 메인플레이트
113, 114: 지지플레이트 115, 116: 지지파이프
130: 고정부 131: 스트랩
132, 133: 체결부 134, 135: 지지편
136, 137: 너트

Claims (5)

  1.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의 거치대로서,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데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관이 안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원호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지파이프;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가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복수의 지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데크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양단부에 너트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중간영역은 원호형상을 갖는 스트랩;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파이프 중 인접한 두 개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되는 지지편; 및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편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분 이상의 영역이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의 곡률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분 이상의 영역이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KR2020100009284U 2010-09-03 2010-09-03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KR200465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4U KR200465532Y1 (ko) 2010-09-03 2010-09-03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84U KR200465532Y1 (ko) 2010-09-03 2010-09-03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70U KR20120001870U (ko) 2012-03-13
KR200465532Y1 true KR200465532Y1 (ko) 2013-02-25

Family

ID=5135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284U KR200465532Y1 (ko) 2010-09-03 2010-09-03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736B1 (ko) * 2013-05-20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817B1 (ko) * 2013-06-11 2019-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fsru 선체 보호용 구조물
JP2022064652A (ja) * 2020-10-14 2022-04-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用断熱二重配管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化ガス貯留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76B1 (ko)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KR100929709B1 (ko) 2007-08-31 2009-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천연가스 저장선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76B1 (ko)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KR100929709B1 (ko) 2007-08-31 2009-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천연가스 저장선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736B1 (ko) * 2013-05-20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70U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625B2 (ja) 船舶用lng貯溜タンクの内槽支持構造
US11619350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provided with a loading/unloading tower
US10400953B2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KR101812621B1 (ko) 액화가스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상구조물
KR101934324B1 (ko) 액화가스 저장 탱크 지지 구조
KR200465532Y1 (ko)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KR100712076B1 (ko) 액화가스 이송장치
KR20140025700A (ko)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CN113958861B (zh) 用于储存液化气的贮罐的壁
KR101225997B1 (ko)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20110048923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101554896B1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0465533Y1 (ko) 액화가스 이송관용 연결구조체
KR20100052283A (ko) 부유식 계류 장치
CN112424525B (zh) 流体存储设施
KR101713848B1 (ko) 유체 이송 시스템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20110004667U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102449083B1 (ko)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KR200482045Y1 (ko) 해양구조물의 밸브 배관 진동저감장치
KR101361747B1 (ko) 포터블 액화물 이송 모듈
WO2018168372A1 (ja) 浮体構造物及び被燃料補給体への燃料供給方法
KR2023003027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방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