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36B1 -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736B1
KR101489736B1 KR20130056208A KR20130056208A KR101489736B1 KR 101489736 B1 KR101489736 B1 KR 101489736B1 KR 20130056208 A KR20130056208 A KR 20130056208A KR 20130056208 A KR20130056208 A KR 20130056208A KR 101489736 B1 KR101489736 B1 KR 10148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unkering
connector
suppor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130A (ko
Inventor
박권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7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 벙커링 호스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연료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며 벙커링 호스를 끼워 고정하는 홈을 포함하는 호스 서포트; 및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벙커링 호스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추가 서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Bunkering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와 커넥터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는 호스 서포트와,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추가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벙커링(bunkering)은 벙커유로 알려진 선박 연료유를 저장 및 전송하는 것을 주로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LNG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LNG 연료의 전송 및 공급 또한 벙커링으로 포함되고 있다. 선박의 연료공급에서, 대량의 연료를 해안으로부터 선박까지 연료로 전송하기 위해 바지선이나 다른 컨테이너에 임시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연료 공급은 도크 또는 다른 항만 시설로부터 직접 이루어지거나, 바지선 또는 다른 연료 급유선에 의해 운반된 연료를 공급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벙커링을 위해서는 외부의 연료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주는 배관과 선박의 저장탱크를 연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선박에는 벙커링을 위한 배관이 마련되고, 외부의 연료공급 배관을 벙커링용 배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도 마련된다.
한국 출원번호 제10-2010-7010354호
안정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벙커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벙커링용 배관과 커넥터가 데크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벙커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배관의 유동이 크다면 배관이 손상되거나 커넥터 부분에 틈이 생겨 연료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상부에 지지대를 마련하여 배관과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배관(10)과 커넥터(20)가 데크 상부의 지지대(30)에 고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지지대(30)에 홈(31)을 마련하여 배관(10)을 홈(31)에 끼우고, 러그(40)와 배관(10)을 체인(50)으로 감아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배관을 고정하는 경우 체인이 부식 또는 손상되면 배관의 고정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연료 공급 중에 배관의 유동이 발생하면 커넥터가 지지대와 마찰로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 배관의 연결부에서 배관의 유동과 비틀림을 흡수하지 못하여, rubber 타입의 배관에서는 배관의 비틀림에 의한 변형과 하부 구조물과의 간섭 발생 가능성도 문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
상기 벙커링 호스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료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벙커링 호스를 끼워 고정하는 홈을 포함하는 호스 서포트; 및
상기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벙커링 호스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추가 서포트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서포트는, 상기 호스 서포트에 접하며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는 하부 링과, 상기 하부 링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하는 상부 링과, 상기 하부 링에 마련되며 상기 추가 서포트를 상기 호스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부 링의 호스 관통부분보다 넓은 단면을 지녀 상기 상부 링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벙커링 호스와 상기 커넥터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외부의 상기 공급배관과 플랜지 또는 퀵 커넥팅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벙커링 호스를 감아 고정시키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상기 호스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와 커넥터를,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는 호스 서포트의 홈에 상기 벙커링 호스를 끼워 고정하되,
상기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상기 벙커링 호스는 관통시키되 상기 커넥터의 단면적보다 좁은 관통부를 포함하는 추가 서포트를 마련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호스 서포트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벙커링 호스와 상기 커넥터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에서는,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벙커링 호스는 관통시키되 커넥터의 단면적보다 좁은 관통부를 포함하는 추가 서포트를 마련함으로써 커넥터와 호스 서포트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가 서포트를 통해 벙커링 호스와 커넥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호스와 커넥터를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함으로써, 벙커링 호스의 유동을 스위블 조인트에서 흡수함으로써 비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호스 handling이 수월해진다.
도 1은 벙커링용 배관과 커넥터를 체인을 이용하여 지지대에 고정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도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서 추가 서포트만을 별도로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2에서 호스 서포트에 고정된 추가 서포트의 하부 단면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도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 2중에서 추가 서포트(400)만을 별도로 도시한 모습이 도 3이고, 호스 서포트(300)에 고정된 추가 서포트(400)의 하부 단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도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시스템에 있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100)(bunkering hose)와, 벙커링 호스(10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연료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200)(connector)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며 벙커링 호스(100)를 끼워 고정하는 홈(310)을 포함하는 호스 서포트(300)(support)와, 호스 서포트(300)의 상부에 마련되며 벙커링 호스(100)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추가 서포트(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라 함은 벙커링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일반 선박과 특수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벙커링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는 오일, LNG를 포함하여, 선박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고 배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모든 연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을 위해서 육지의 벙커링 설비 또는 연료 공급선 등의 외부 연료 공급처와 배관을 연결하게 되는데, 외부 연료 공급처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전달받을 수 있는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가 데크 상부에 고정되면 안정적인 연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호스 서포트(300)의 홈(310)에 고정된 벙커링 호스(100)를 체인(500)으로만 감아 고정하는 경우, 체인(500)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면 벙커링 중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이 있을 수 있고, 체인(500)에 의해 벙커링 호스(100)가 손상될 수도 있으며, 커넥터(200)와 호스 서포트(300) 간의 마찰로 인해 커넥터(200)가 마모되고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벙커링 호스(100)를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는 추가 서포트(400)를 호스 서포트(300) 상부에 마련하였다. 추가 서포트(400)는 벙커링 호스(100)를 관통시키는 구조로 하여 벙커링 호스(100) 및 커넥터(200)를 데크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이 있을 때에는 베어링(bearing)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추가 서포트(400)는 호스 서포트(300)에 접하며 벙커링 호스(100)가 관통되는 하부 링(420)과, 하부 링(420)의 상부에 마련되어 벙커링 호스(100)가 관통되며 커넥터(200)와 접하는 상부 링(410)과, 하부 링(420)에 마련되며 추가 서포트(400)를 호스 서포트(300)에 고정하는 고정부(430)를 포함하며, 커넥터(200)는 상부 링(410)의 호스 관통부분보다 넓은 단면을 지녀(r1<r2) 상부 링(4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 서포트(400)는 하부 링(420)과 상부 링(410)의 이중 구조로 마련함으로써, 상부 링(4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커넥터(200)를 호스 서포트(3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고정부(43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를 마련하여 고정핀이 고정구를 관통하고 호스 서포트(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미도시)로 연결되어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를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함으로써, 외부 공급배관과의 연결시 커넥터(200)가 회전할 수 있어 수월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이 있을 때에도 스위블 조인트에서 이를 흡수함으로써 벙커링 호스(100)의 비틀림 등 변형을 방지하고 커넥터(200)와의 연결부분에 손상이 발생하여 벙커링 중 연료가 누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200)는 외부의 공급배관과 플랜지 또는 퀵 커넥팅(quick connecting)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 서포트(400)를 통해 벙커링 호스(100) 및 커넥터(200)를 호스 서포트(300)에 고정시킨 후, 고정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벙커링 호스(100)를 감아 고정시키는 체인(500)과, 체인(500)을 호스 서포트(300)에 고정시키는 고정 러그(510)(Lug)를 통해 추가로 벙커링 호스(1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호스 서포트(300a)의 홈(310a)에 벙커링 호스(100)를 고정시키고, 클램프(600)로 벙커링 호스(100)를 감싸고 호스 서포트(300a)의 측벽에 클램프(600)를 볼팅 체결(610)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는 호스 서포트(300a)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확보와 Weight 감소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2 실시예에서도 커넥터(200)가 호스 서포트(300a)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추가 서포트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추가 서포트는 상부 링과 하부 링의 이중 구조 대신, 벙커링 호스가 관통하는 하나의 링과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는 호스 서포트(300)의 홈(310)에 벙커링 호스(100)를 끼워 고정하되, 호스 서포트(300)의 상부에, 벙커링 호스(100)는 관통시키되 커넥터(200)의 단면적보다 좁은 관통부를 포함하는 추가 서포트(400)를 마련하여 커넥터(200)와 호스 서포트(300)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되어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은, 호스 서포트(300)의 상부에 추가 서포트(400)를 마련하여 벙커링 호스(100)를 고정하는데, 특히 추가 서포트(400)의 관통부를 벙커링 호스(100)는 관통시키되 커넥터(200)의 단면적보다 좁게 함으로써, 커넥터(20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를 고정할 수 있고, 커넥터(200)가 호스 서포트(30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찰 등에 의한 커넥터(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벙커링 호스(100)와 커넥터(200)를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함으로써, 벙커링 중 발생할 수 있는 벙커링 호스(100)의 유동을 스위블 조인트에서 흡수할 수 있어, 호스의 비틀림 등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호스 handling이 수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벙커링 호스
200: 커넥터
300: 호스 서포트
310: 홈
400: 추가 서포트
410: 상부 링
420: 하부 링
430: 고정부
500: 체인
510: 고정 러그

Claims (8)

  1.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
    상기 벙커링 호스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료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벙커링 호스를 끼워 고정하는 홈을 포함하는 호스 서포트; 및
    상기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벙커링 호스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추가 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벙커링 호스와 상기 커넥터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추가 서포트는
    상기 호스 서포트에 접하며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는 하부 링;
    상기 하부 링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하는 상부 링; 및
    상기 하부 링에 마련되며 상기 추가 서포트를 상기 호스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부 링의 호스 관통부분보다 넓은 단면을 지녀 상기 상부 링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호스 서포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부의 상기 공급배관과 플랜지 또는 퀵 커넥팅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벙커링 호스를 감아 고정시키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을 상기 호스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고정 러그를 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7.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벙커링 연결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용기로 이송하는 벙커링 호스와 커넥터를,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부에 마련되는 호스 서포트의 홈에 상기 벙커링 호스를 끼워 고정하되,
    상기 호스 서포트의 상부에, 상기 벙커링 호스는 관통시키되 상기 커넥터의 단면적보다 좁은 관통부를 포함하는 추가 서포트를 마련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호스 서포트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벙커링 호스와 상기 커넥터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로 연결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의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서포트는
    상기 호스 서포트에 접하며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는 하부 링;
    상기 하부 링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벙커링 호스가 관통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하는 상부 링; 및
    상기 하부 링에 마련되며 상기 추가 서포트를 상기 호스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부 링의 호스 관통부분보다 넓은 단면을 지녀 상기 상부 링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호스 서포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방법.
  8. 삭제
KR20130056208A 2013-05-20 2013-05-20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KR101489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208A KR101489736B1 (ko) 2013-05-20 2013-05-20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208A KR101489736B1 (ko) 2013-05-20 2013-05-20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30A KR20140136130A (ko) 2014-11-28
KR101489736B1 true KR101489736B1 (ko) 2015-02-04

Family

ID=5245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208A KR101489736B1 (ko) 2013-05-20 2013-05-20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82A (ja) 2001-02-06 2002-08-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ホース保持装置
KR100924495B1 (ko) * 2009-05-06 2009-11-03 (주)글로벌 심층수 해양심층수 취수유닛 설치방법
JP2009543003A (ja) * 2006-07-13 2009-12-03 ソシエテ ユーロピエンヌ デ・アンジェニリ メカニク − ユーロディム 液体供給用の変形されうる油送パイプの末端を船舶に搭載されたマニホルドのような固定された配管設備へ繋ぐための接続装置
KR200465532Y1 (ko) * 2010-09-0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82A (ja) 2001-02-06 2002-08-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ホース保持装置
JP2009543003A (ja) * 2006-07-13 2009-12-03 ソシエテ ユーロピエンヌ デ・アンジェニリ メカニク − ユーロディム 液体供給用の変形されうる油送パイプの末端を船舶に搭載されたマニホルドのような固定された配管設備へ繋ぐための接続装置
KR100924495B1 (ko) * 2009-05-06 2009-11-03 (주)글로벌 심층수 해양심층수 취수유닛 설치방법
KR200465532Y1 (ko) * 2010-09-03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30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144B (zh) 使用输送低温流体的悬垂状柔性导管的系统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AU2008101304A4 (en)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floating vessels using flexible conduit and releasable mooring system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KR101783783B1 (ko) Lng 벙커링용 안전 분리형 커플러의 시험 장치
KR20160084199A (ko)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20130105640A (ko) 호스 릴이 구비된 플랫폼
KR101489736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벙커링 연결시스템 및 벙커링 연결방법
KR101099693B1 (ko) 선대선 액화가스 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US20180022425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a first vessel and a second vessel
FR2923453A1 (fr) Installation de transfert d&#39;un fluide entre un premier navire et un deuxieme navire flottant sur une etendue d&#39;eau, ensemble de transport et procede assoces.
KR101778809B1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US9440713B2 (en) Device for passing a fluid in a tank and having such a device equipped vessel
KR20120003251U (ko)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CN104044703A (zh) 用于在船和装于船中的转台结构之间传送流体的传送组件
KR20170000778U (ko) 벙커링 선박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시스템
KR101973817B1 (ko) Lng fsru 선체 보호용 구조물
NO20200460A1 (en) An emergency release system and an associated fluid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moored vessels or offshore structures
JP2001278400A (ja) 船舶用荷役ホースおよび荷役方法
KR20160000024U (ko) 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
KR20120003825U (ko) 자체추력형 부이를 이용한 유체이송장치
US20090107153A1 (en) Pressure relief offsho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