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730A -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 Google Patents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730A
KR20190029730A KR1020197005402A KR20197005402A KR20190029730A KR 20190029730 A KR20190029730 A KR 20190029730A KR 1020197005402 A KR1020197005402 A KR 1020197005402A KR 20197005402 A KR20197005402 A KR 20197005402A KR 20190029730 A KR20190029730 A KR 2019002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liquefied gas
gas
rel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가스 이송 시설 (2A) 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육상에 배치되는 발전 설비 (50) 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이송 시설 (2A) 이다. 가스 이송 시설 (2A) 은, 중계 설비 (10A)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구비한다. 중계 설비 (10A) 는, 해양 (S) 에 있어서의 위치가 유지되며, 가스화 장치 (15) 를 갖는다. 액화 가스 라인 (20) 은, 중계 설비 (10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탱크와 가스화 장치 (15) 를 직접적으로 접속시킨다. 파이프 라인 본체 (31) 는, 가스화 장치 (15) 와 발전 설비 (50) 를 접속시킨다.

Description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이 발명은,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8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6990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LNG (액화 천연 가스) 나 LPG (액화 프로판 가스) 등의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은, 운반해 온 액화 가스를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 옮겨 넣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저장 탱크 및 재가스화 시설을 구비하는 대형의 수취선에 대하여, 이 수취선보다 소형의 액화 가스 운반선에 의해 배송되어 온 LNG 를 옮겨 넣어 저장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수취선은, 해안 근처로 이동한 후, 저장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를 재가스화 시설에 의해 재가스화하고 나서 육상의 시설에 송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29456호
그런데, 지금까지 액화 가스의 수용을 해 오지 않았던 항만에 있어서, 새로 액화 가스의 수용을 실시하려면,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을 신설해야만 하여, 다대한 비용이 든다는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과 같이, 해상에 있어서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 액화 가스를 이송하여 저장하는 경우, 이송시 등에 액화 가스의 일부가 기화된다. 그 때문에, 수취선 등에 있어서는, 기화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재액화 처리 등을 실시하는 설비의 규모가 커져, 필요 비용이 더욱 상승한다.
특허문헌 1 은, 대형의 수취선이 해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심이 얕은 항만에 있어서, 대형의 수취선이나 액화 가스 운반선 등을 수용하려면, 준설 (浚渫) 등의 대대적인 공사가 필요해져, 다대한 비용과 공사 기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안벽 (岸壁) 의 주변에, 가스 터빈이나 가스 터빈 등을 사용한 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액화 가스 저장 시설 등의 액화 가스 수용 시설의 설치 비용이 비싸져, 발전 시설 설치의 방해가 되고 있다.
이 발명은,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가스 이송 시설은,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육상에 배치되는 설비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이송 시설이다. 이 가스 이송 시설은, 중계 설비와, 액화 가스 라인과, 파이프 라인 본체를 구비한다. 중계 설비는, 해양에 있어서의 위치가 유지되며, 가스화 장치를 갖는다. 액화 가스 라인은, 중계 설비와, 상기 중계 설비의 주위에 위치하는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의 탱크와 상기 가스화 장치를 직접적으로 접속시킨다. 파이프 라인 본체는, 상기 가스화 장치와 상기 설비를 접속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화 가스 운반선에 의해 운반해 온 액화 가스는, 액화 가스 라인을 통하여 가스화 장치에 송입된다. 가스화 장치에서는,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가스 라인을 통하여 설비에 이송한다. 이와 같이,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 상태에서 설비에 이송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육상에 형성된 가스 저장 시설에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보다 보일 오프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액화 가스가 가스화되어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에 드는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의 규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나서 설비에 이송하므로, 가스의 온도는, 액 상태일 때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가스화 장치로부터 장치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라인 등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에, 액화 가스를 이송할 때와 같은 저온용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중계 설비는 해양에 형성되므로, 이 중계 설비를 안벽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안벽 공사나, 액화 가스 운반선을 착안 (着岸) 시키기 위한 준설 등의 항만 공사도 적어도 된다.
추가로, 중계 설비에 가스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에 가스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액화 가스 운반선은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 상에 띄워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의 크기에 따라 중계 설비를 안벽으로부터 먼 바다측으로 떨어진 수심이 큰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에 관련된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의 해저에 계류된 계류부와, 상기 계류부에 대하여 상기 해양의 해면을 따른 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부체 (浮體) 본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액화 가스 운반선은, 상기 부체 본체에 계류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을 부체 본체에 계류시켜,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가스화 장치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계류부에 대하여 부체 본체가 회전 가능하므로, 바람이나 파도, 조류 등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과 부체 본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바람이나 파도, 조류 등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의 해저에 착상 (着床) 시켜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계 설비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중계 설비는,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을 계류시키는 계선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계선부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을 중계 설비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가스화 장치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액화 가스 운반선은, 상기 중계 설비에 대한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기 위치 유지 시스템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자기 위치 유지 시스템에 의해 중계 설비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의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가스화 장치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중계 설비는,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처리 설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중계 설비의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입열에 의해 서서히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액화 가스 라인은, 해양 상에 뜨는 플로팅 호스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액화 가스 운반선을 계류시키기 위해, 계선삭을 제외한 특별한 계류 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중계 설비에 액화 가스 수송선을 용이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9 양태에 의하면, 발전 시설은, 제 1 내지 제 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가스 이송 시설과, 상기 설비로서 상기 가스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발전 설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화 가스를 중간 설비에서 가스화한 상태에서 발전 설비에 이송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육상에 형성된 가스 저장 시설에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보다 보일 오프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액화 가스가 가스화되어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에 드는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의 규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나서 발전 설비에 이송하므로, 가스의 온도는, 액 상태일 때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가스화 장치로부터 발전 장치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라인 등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에, 액화 가스를 이송할 때와 같은 저온용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중계 설비는 해양에 형성되므로, 이 중계 설비를 안벽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안벽 공사나, 액화 가스 운반선을 착안시키기 위한 준설 등의 항만 공사도 적어도 된다.
추가로, 중계 설비에 가스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에 가스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액화 가스 운반선은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 설비 및 가스 이송 시설의 설치 비용, 운용 비용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발전 시설 (1) 은, 가스 이송 시설 (2A) 과, 발전 설비 (50) 를 구비한다.
가스 이송 시설 (2A) 은, 중계 설비 (10A)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이송 시설 (2A) 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해 온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육상에 형성된 발전 설비 (50) 에 송급한다. 발전 설비 (50) 에 있어서는, 송급된 가스에 의해, 예를 들어 가스 터빈 등을 구동시켜, 발전이 실시된다.
중계 설비 (10A) 는, 해양 (S) 상에 띄워 형성되어 있다. 중계 설비 (10A) 는, 부체 본체 (11) 와, 부체 본체 (11) 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 (계류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 (12) 는, 부체 본체 (11) 에 대하여, 연직축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12) 는, 계류삭 (13) 을 통하여 해저 (B) 에 계류되어 있다. 이로써, 중계 설비 (10A) 는, 해양 (S) 의 해면 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부체 본체 (11) 는, 파도나 바람, 조류 등에 의한 힘이 작용하였을 때, 해양 (S) 의 표면 (해면) 을 따라 고정부 (12)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체 본체 (11) 와 고정부 (12) 사이에는, 후술하는 가스화 장치 (15) 로부터 접속 호스 (34) 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유로에 있어서 고정부 (12) 에 대한 부체 본체 (11) 의 요동 (회전) 을 허용하는 회전 조인트 (도시 없음)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체 본체 (11) 와 고정부 (12) 사이에는, 고정부 (12) 에 대한 부체 본체 (11) 의 요동 (회전) 을 허용하면서, 후술하는 전원 배선을 가스화 장치 (15) 측의 배선에 접속시키기 위해, 슬립 링 (도시 없음)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계 설비 (10A) 의 부체 본체 (11) 에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이 계류된다. 그 때문에, 부체 본체 (11)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계류시키는 계선삭 (계선부) (14) 을 구비하고 있다.
부체 본체 (11) 는, 추가로,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해 온 액화 가스를 재가스화하는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액화 가스를 도입하는 펌프, 및 액화 가스를 가스화시키는 열 교환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탱크 (101) 와 가스화 장치 (15) 를 직접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실시형태의 액화 가스 라인 (20) 은, 해양 (S) 상에 뜨는 플로팅 호스 (21) 를 사용하고 있다.
가스 파이프 라인 (30) 은, 파이프 라인 본체 (가스 라인) (31) 와, 전력 공급 라인 (32) 과, PLEM (파이프 라인 엔드 매니폴드) (33) 을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 라인 본체 (31) 는, 해양 (S) 상에 형성된 중계 설비 (10A) 에서 재가스화한 가스를 발전 설비 (50) 에 공급한다. 전력 공급 라인 (32) 은, 육상의 발전 설비 (50) 로부터 전력을 중계 설비 (10A) 에 공급한다.
PLEM (33) 은, 파이프 라인 본체 (31) 의 중계 설비 (10A) 측의 단부 (端部) 및 전력 공급 라인 (32) 의 중계 설비 (10A)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PLEM (33) 은, 파일 등의 기초부 (도시 없음) 에 의해 해저 (B) 에 고정되어 있다. PLEM (33) 과 중계 설비 (10A) 의 고정부 (12) 는, 유연성 (가요성) 을 가진 접속 호스 (34) 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접속 호스 (34) 의 내부에는, 중계 설비 (10A) 에서 재가스화한 가스를 PLEM (33) 에 이송하는 가스 호스 (도시 없음) 와, 전력 공급 라인 (32) 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 설비 (10A) 에 보내는 전원 배선 (도시 없음) 이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A)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계선삭 (14) 에 의해 중계 설비 (10A) 의 부체 본체 (11)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탱크 (101) 와 부체 본체 (11) 에 형성된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서의 플로팅 호스 (21) 에 의해 접속된다. 이 플로팅 호스 (21)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탱크 (101) 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접속 호스 (34) 를 통하여 PLEM (33) 에 이송되고, PLEM (33) 에 접속된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가스 이송 시설 (2A) 에 의하면,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 상태에서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육상에 형성된 가스 저장 시설에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보다 보일 오프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액화 가스가 가스화되어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에 드는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를 실시하는 설비의 규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 상태에서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하는 경우여도,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입열에 의해 서서히 발생하는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 제 1 실시형태의 가스 이송 시설 (2A) 에 있어서는, 중계 시설 (10A) 에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설비 (F) (도 1 참조 ; 처리 설비)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제 2 실시형태나 각 실시형태의 각 변형예도 동일하지만 도시를 생략한다). 이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로는, 보일 오프 가스를 재액화 처리하는 설비나, 보일 오프 가스를 연소 처리하는 설비 (보일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나서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하므로, 가스의 온도는, 액 상태일 때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가스화 장치 (15) 로부터 발전 설비 (50) 에 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유로를 구성하는 고정부 (12) 의 회전 조인트, 접속 호스, PLEM (33), 파이프 라인 본체 (31) 등의 유로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에, 액화 가스를 이송할 때와 같은 저온용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중계 설비 (10A) 는 해양 (S) 에 형성되므로, 이 중계 설비 (10A) 를 안벽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안벽 공사나,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착안시키기 위한 준설 등의 항만 공사도 적어도 된다.
추가로, 중계 설비 (10A) 에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되어 온 액화 가스를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하는 가스 이송 시설 (2A), 발전 시설 (1) 을 저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계 설비 (10A) 는, 해양 (S) 상에 띄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크기에 따라 중계 설비 (10A) 를 안벽으로부터 먼 바다측으로 떨어져 수심이 큰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가스 운반선 (100) 을 부체 본체 (11) 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부체 본체 (11) 는, 고정부 (12)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바람이나 파도, 조류 등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과 부체 본체 (11) 가 일체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바람이나 파도, 조류 등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선삭 (14) 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중계 설비 (10A) 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서 플로팅 호스 (21) 를 채용함으로써, 중계 설비 (10A) 에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계류시키기 위해, 계선삭을 제외한 특별한 계류 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중계 설비 (10A) 에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용이 (바꿔 말하면, 안전 및 저렴) 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계선삭 (14) 을 통하여 중계 설비 (10A) 에 계류시키고, 플로팅 호스 (21) 를 통하여 액화 가스를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이송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1) 을 구성하는 가스 이송 시설 (2B)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A)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B)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중계 설비 (10B) 의 부체 본체 (11) 에는, 선박에서 선박으로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로딩 아암 (계선부) (16) (도 3 참조) 이 형성되고, 이 로딩 아암 (16) 을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이 계류된다. 로딩 아암 (16) 에는,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서,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로딩 호스 (22) 가 형성되어 있다. 액화 가스는, 이 로딩 호스 (22)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의 탱크 (101) 로부터 부체 본체 (11) 의 가스화 장치 (15) 에 이송된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B)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로딩 아암 (16) 에 의해 중계 설비 (10B) 의 부체 본체 (11)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로딩 호스 (22) 를 통하여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접속 호스 (34) 를 통하여 PLEM (33) 에 이송되고, PLEM (33) 에 접속된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로딩 아암 (16) 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중계 설비 (10B) 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4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C)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A)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C)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이, 자기 위치 유지 시스템인 DPS (다이나믹 포지션 시스템) (103) 를 구비하고 있다. 이 DPS (103) 는, 해저 (B)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추진력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해저 (B)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 (선위 (船位)) 를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DPS (103) 는, 예를 들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에 의해 측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과 중계 설비 (10C) 의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로팅 호스 (21) 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나타낸 로딩 호스 (2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계 설비 (10C)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은, DPS (103) 에 의해 중계 설비 (10C) 에 대한 정박 위치를 유지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접속 호스 (34) 를 통하여 PLEM (33) 에 이송되고, PLEM (33) 에 접속된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이, 중계 설비 (10C)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를 유지하는 DPS (103) 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중계 설비 (10C)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도 5 는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D)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A)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D)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 (도시 없음)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의 선체의 선수측 또는 선미측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계류시킨다.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는, 중계 설비 (10D) 에 형성된 계류 부재 (계선부) (17) (도 6 참조) 에, 고무제의 펜더 등의 방현재 (도시 없음)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을 계류시킨다. 돌핀 펜더 계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돌핀 펜더 계류 장치에 대응한 형상의 전용선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중계 설비 (10D) 의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로팅 호스 (21) 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나타낸 로딩 호스 (2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D)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은, 돌핀 펜더 계류 장치 (도시 없음) 에 의해 중계 설비 (10D)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부체 본체 (11) 에 형성된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고,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접속 호스 (34) 를 통하여 PLEM (33) 에 이송되고, PLEM (33) 에 접속된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계류 부재 (17) 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을 중계 설비 (10D) 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중계 설비 (10D) 사이의 액화 가스 라인 (20) 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이 중계 설비 (10D) 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중계 설비의 배치가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되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은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발전 시설 (1) 은, 발전 설비 (50) 와, 가스 이송 시설 (2E) 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이송 시설 (2E) 은, 중계 설비 (10E)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E)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이송 시설 (2E) 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해 온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육상에 형성된 발전 설비 (50) 에 송급한다.
중계 설비 (10E) 는, 해양 (S) 의 해저 (B) 에 착상시켜 형성되어, 해양 (S) 에 있어서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또, 중계 설비 (10E) 는, 그 상면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해양 (S) 상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계 설비 (10E) 에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이 계류된다. 이 때문에, 중계 설비 (10E)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계류시키는 계선삭 (14) 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계선삭 (14) 을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이, 바람이나 파도, 조류 등에 의해 중계 설비 (10E) 에 대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중계 설비 (10E)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해 온 액화 가스를 재가스화하는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측으로부터 액화 가스를 도입하는 펌프, 액화 가스를 가스화시키는 열 교환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 과 가스화 장치 (15) 를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해양 (S) 상에 뜨는 플로팅 호스 (21) 가 사용되고 있다.
가스 파이프 라인 (30E) 은, 파이프 라인 본체 (31) 와, 전력 공급 라인 (32) 을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 라인 본체 (31) 는, 해양 (S) 의 해저 (B) 에 착상시켜 형성된 중계 설비 (10E) 에서 재가스화한 가스를 발전 설비 (50) 에 공급한다. 전력 공급 라인 (32) 은, 육상의 발전 설비 (50) 로부터 전력을 중계 설비 (10E) 측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E) 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계선삭 (14) 에 의해 중계 설비 (10E)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 과 중계 설비 (10E) 에 형성된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서의 플로팅 호스 (21) 에 의해 접속되고, 이 플로팅 호스 (21)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2 실시형태의 가스 이송 시설 (2E) 에 의하면,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 상태에서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육상에 형성된 가스 저장 시설에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보다 보일 오프 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액화 가스가 가스화되어 생성된 보일 오프 가스의 처리에 드는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의 규모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하고 나서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하므로, 가스의 온도는, 액 상태일 때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가스화 장치 (15) 로부터 발전 설비 (50) 에 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유로를 구성하는 파이프 라인 본체 (31) 등의 각종 부재에, 액화 가스를 이송할 때와 같은 저온용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중계 설비 (10E) 는 해양 (S) 에 형성되므로, 이 중계 설비 (10E) 를 안벽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안벽 공사나,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착안시키기 위한 준설 등의 항만 공사도 적어도 된다.
추가로, 중계 설비 (10E) 에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함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가스화 장치 (15) 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에 의해 운반되어 온 액화 가스를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이송하는 가스 이송 시설 (2E), 발전 시설 (1) 을 저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계 설비 (10E) 는, 해양 (S) 의 해저 (B) 에 착상시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계 설비 (10E) 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계선삭 (14) 을 통하여 중계 설비 (10E) 에 계류시키고, 플로팅 호스 (21) 를 통하여 액화 가스를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이송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F)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E)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F)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E)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중계 설비 (10F) 에는, 선박에서 선박으로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로딩 아암 (16) 이 형성되고, 이 로딩 아암 (16) (도 9 참조) 을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이 계류된다. 로딩 아암 (16) 에는,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서,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로딩 호스 (22) 가 형성되어 있다. 액화 가스는, 이 로딩 호스 (22)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중계 설비 (10F) 의 가스화 장치 (15) 에 이송된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F)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은, 로딩 아암 (16) 에 의해 중계 설비 (10F)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가 로딩 호스 (22) 를 통하여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로딩 아암 (16) 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을 중계 설비 (10F) 에 계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10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G)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E)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G)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E)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이, DPS (다이나믹 포지션 시스템) (103) 를 구비하고 있다. 이 DPS (103)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와 동일하게, 해저 (B)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상대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DPS (103) 는, 검출된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추진력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해저 (B)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과 중계 설비 (10G) 의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로팅 호스 (21) 나,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나타낸 로딩 호스 (2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G)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은, DPS (103) 에 의해 중계 설비 (10G) 에 대한 정박 위치를 유지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이, 중계 설비 (10G)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를 유지하는 DPS (103) 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중계 설비 (10G) 에 대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화 가스 운반선 (100C)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도 11 은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발전 시설, 가스 이송 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H)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이송 시설 (2E) 과 동일하게, 중계 설비 (10H) 와, 액화 가스 라인 (20) 과, 가스 파이프 라인 (30E) 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 (도시 없음)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의 선체의 선수측 또는 선미측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계류시킨다. 이 돌핀 펜더 계류 장치는, 중계 설비 (10H) 에 형성된 계류 부재 (17) (도 12 참조) 에, 고무제의 펜더 등의 방현재 (도시 없음) 를 통하여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을 계류시킨다.
이와 같은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중계 설비 (10H) 의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액화 가스 라인 (20) 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로팅 호스 (21) 나,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나타낸 로딩 호스 (2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 설비 (10H) 에 있어서는, 액화 가스를 운반해 온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은, 돌핀 펜더 계류 장치 (도시 없음) 에 의해 중계 설비 (10H) 에 계류된다.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중계 설비 (10H) 에 형성된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라인 (20) 을 통하여 접속되고,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가 이송된다. 가스화 장치 (15) 는,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송입된 액화 가스를 가스화한다. 가스화된 가스는, 파이프 라인 본체 (31) 를 통하여 육상의 발전 설비 (50) 에 공급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추가하여, 계류 부재 (17) 에 의해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을 중계 설비 (10G) 에 계류시킴으로써,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과 중계 설비 (10H) 사이의 액화 가스 라인 (20) 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이 중계 설비 (10H) 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액화 가스 운반선 (100D) 으로부터 가스화 장치 (15) 에 액화 가스를 안정적으로 송입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부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불과하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중계 설비 (10A ∼ 10G) 는, 액화 가스, 또는 가스화된 가스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탱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연한 가요성을 갖는 접속 호스 (34) 가 중계 설비 (10A ∼ 10D) 에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속 호스 (34) 를 통상적인 사용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 배관 등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 호스 (34) 를 사용하여 중계 설비 (10A ∼ 10D) 를 계류시켜도 된다.
또한, 중계 설비 (10A ∼ 10D) 가 계류삭에 의해 계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중계 설비 (10A ∼ 10D) 에 DPS 를 형성하여, 중계 설비 (10A ∼ 10D) 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계류삭에 의한 계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중계 설비 (10A ∼ 10G) 는, 적어도 그 상면이 수면 상에 노출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중계 설비 (10A ∼ 10G) 는, 그 상면이 수면 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중계 설비 (10A ∼ 10D) 의 계류 수법 및 액화 가스 운반선 (100, 100C, 100D) 의 계류 수법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 나타낸 계류 수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계류 수법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 (F) 는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 발명은,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을 저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발전 시설
2A ∼ 2H : 가스 이송 시설
10A ∼ 10H : 중계 설비
11 : 부체 본체
12 : 고정부 (계류부)
13 : 계류삭
14 : 계선삭 (계선부)
15 : 가스화 장치
16 : 로딩 아암 (계선부)
17 : 계류 부재 (계선부)
20 : 액화 가스 라인
21 : 플로팅 호스
22 : 로딩 호스
30 : 가스 파이프 라인
30E : 가스 파이프 라인
31 : 파이프 라인 본체 (가스 라인)
32 : 전력 공급 라인
34 : 접속 호스
50 : 발전 설비
100, 100C, 100D : 액화 가스 운반선
101 : 탱크
B : 해저
F : 설비 (처리 설비)
S : 해양

Claims (8)

  1. 액화 가스 운반선으로부터 육상에 배치되는 설비에 가스를 이송하는 가스 이송 시설로서,
    해양에 있어서의 위치가 유지되며, 가스화 장치를 갖는 중계 설비와,
    상기 중계 설비의 주위에 위치하는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의 탱크와 상기 가스화 장치를 직접적으로 접속시키는 액화 가스 라인과,
    상기 가스화 장치와 상기 설비를 접속시키는 가스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액화 가스 라인은, 해양 상에 뜨는 플로팅 호스인, 가스 이송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 상에 띄워 형성되어 있는, 가스 이송 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의 해저에 계류된 계류부와, 상기 계류부에 대하여 상기 해양의 해면을 따른 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부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은, 상기 부체 본체에 계류되는, 가스 이송 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설비는, 상기 해양의 해저에 착상시켜 형성되어 있는, 가스 이송 시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설비는,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을 계류시키는 계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가스 이송 시설.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이, 상기 중계 설비에 대한 상기 액화 가스 운반선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기 위치 유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가스 이송 시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설비는, 보일 오프 가스를 처리하는 처리 설비를 구비하는, 가스 이송 시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스 이송 시설과,
    상기 설비로서 상기 가스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발전 설비를 구비하는, 발전 시설.
KR1020197005402A 2016-08-31 2017-08-30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KR20190029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9903 2016-08-31
JP2016169903A JP2018034668A (ja) 2016-08-31 2016-08-31 ガス移送施設、発電施設
PCT/JP2017/031224 WO2018043587A1 (ja) 2016-08-31 2017-08-30 ガス移送施設、発電施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730A true KR20190029730A (ko) 2019-03-20

Family

ID=6130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02A KR20190029730A (ko) 2016-08-31 2017-08-30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8034668A (ko)
KR (1) KR20190029730A (ko)
CN (1) CN109890694A (ko)
BR (1) BR112019003590A2 (ko)
WO (1) WO2018043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187B1 (fr) * 2019-04-17 2022-08-12 Technip France Système de chargement et de déchargement de fluide, installation et procédé associé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456A (ja) 2006-03-15 2009-08-20 ウッドサイド エナジー リミテッド Lngの船上再ガス化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942A1 (en) * 2003-09-19 2005-04-14 Single Buoy Moorings, Inc. Gas offloading system
KR100730701B1 (ko) * 2005-06-08 2007-06-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액화 가스 저장선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사이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수단
JP2008030702A (ja) * 2006-07-31 2008-02-14 Shinkichi Morimoto 浮体間係留方法および装置
AU2007332978B2 (en) * 2006-09-11 2014-06-0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Open-sea berth LNG import terminal
KR101537280B1 (ko) * 2013-10-21 2015-07-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시스템 및 발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456A (ja) 2006-03-15 2009-08-20 ウッドサイド エナジー リミテッド Lngの船上再ガス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3590A2 (pt) 2019-05-21
JP2018034668A (ja) 2018-03-08
WO2018043587A1 (ja) 2018-03-08
CN109890694A (zh)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144B (zh) 使用输送低温流体的悬垂状柔性导管的系统
US8186170B2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US7836840B2 (en) Subsea cryogenic fluid transfer system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CN103328878B (zh) 用于海上液化天然气浮式储存的具有自升式平台再气化单元的设备
US8286678B2 (en)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BRPI0716258A2 (pt) mÉtodo para importar gÁs natural liquefeito, sistema de transporte de fluido, e, mÉtodos para transportar gÁs natural liquefeito e para transportar fluido
BR112015025873B1 (pt) Sistemas e métodos para liquefação de gás natural em cais flutuante
JP2005512883A (ja) 単一点係留の再ガス化塔
JP2010509136A5 (ko)
CN104608880A (zh) 一种大型浮式液化天然气生产储卸装置
KR101388871B1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9730A (ko) 가스 이송 시설, 발전 시설
CN103328879B (zh) 用于海上液化天然气浮式储存的具有码头再气化单元的设备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CN210734441U (zh) 用于传输流体或电力的浮式的传输结构和传输系统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JP2018034668A5 (ko)
AU2021400933B2 (en) A ship and a method for bringing liquified gas from an onshore terminal across a sea to a subsurface permanent storage reservoir
KR20150086640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40144846A (ko)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0804907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라이저 장치 및 그것의 설치방법
KR20230083996A (ko)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부유식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
KR100747408B1 (ko) 연질관을 구비한 lng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