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97B1 -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997B1
KR101225997B1 KR1020100085622A KR20100085622A KR101225997B1 KR 101225997 B1 KR101225997 B1 KR 101225997B1 KR 1020100085622 A KR1020100085622 A KR 1020100085622A KR 20100085622 A KR20100085622 A KR 20100085622A KR 101225997 B1 KR101225997 B1 KR 10122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quefied gas
transfer
support body
dav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289A (ko
Inventor
권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으로서, 이송관의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결합된 중공원통 형상의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부가 지지본체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L 형상의 가동본체, 가동본체의 타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DAVIT FOR LIFTING SHORT DISTANCE PIECE OF LNG CARGO}
본 발명은 대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을 운반하는 대빗에 관한 것이다.
연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 및 석유가스(petroleum gas) 등은 효율적인 운반을 위하여 액화 과정을 거쳐 부피가 감소된 액화가스(liquefied gas) 상태로 운반된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가 되도록 하면, 그 부피가 약 600분의 1로 감소되어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양이 증가된다. 그리고, 목적지에 운반된 액화천연가스는 재기화(regasification) 되어 연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액화가스를 원거리 수송하는 데에는 극저온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설치된 액화가스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액화가스의 운반 및 사용을 위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FPSO), 부유식 액화석유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PG-FPSO) 및 부유식저장재기화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SRU)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상술한 부유식 설비들 또는 지상시설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수요지로 이동하여 저장했던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등 액화가스의 운반 및 하역(荷役, loading and unloading)을 행한다. 이 과정에서 액화가스 운반선과 지상시설 및 부유식 설비들 사이에는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관로(管路)가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파도, 바람 및 해류 등의 영향에 의해 액화가스 운반선과 지상시설 또는 부유식 설비들은 상대적인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액화가스의 이송을 위한 관로의 연결에는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유연성 이송호스가 이용 될 수 있다.
도 1에는 액화가스 운반선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운반선(10)의 선체(11)에는 데크(deck, 12), 탱크돔(tank dome, 13), 이송관(14) 및 대빗(davit, 1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관(14)이 이송관 지지대(17)에 의해 데크(12)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송관(14)의 단부에는 플랜지(15)가 설치되어, 액화가스 운반선(10)의 외부,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지상시설 또는 부유식 설비들로부터 이송관(14)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관(14) 및 이송호스(미도시)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에는 이송관(14)에 이송호스(미도시)를 직접 연결할 수 없으므로, 이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을 이용할 수 있다.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22, 23)가 각각 형성된다.
일측의 플랜지(23)는 이송관(14)에 형성된 플랜지(15)에 결합되도록 제작된다. 즉, 일측의 플랜지(23)에는, 이송관(14)의 플랜지(15)에 형성된 체결공(16)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는 체결공(25)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플랜지(2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송호스(미도시)의 플랜지(미도시)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는 체결공(24)이 형성된다.
이송호스(미도시)를 통한 액화가스의 이송이 완료되어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과 이송호스(미도시)를 분리한 후에는, 해수, 우수 및 이물질 등이 이송관(14)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플랜지(40)를 결합시킨다.
플랜지 본체(41)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4)의 위치 및 수에 상응하는 체결공(44)이 형성되어 볼트(50) 및 너트(51)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이송관(14) 및 플랜지(23) 또한 볼트(50) 및 너트(51)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 및 블라인드 플랜지(40)는 대부분 금속으로 제조되어 그 중량이 상당하다. 그러므로, 플랜지(23) 및 플랜지 본체(41)에 러그(26, 46)를 각각 형성하여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 및 블라인드 플랜지(40)의 결합, 분리 및 운반에 크레인(미도시) 또는 대빗(도 1의 19 참조)을 이용한다.
데크(12) 상의 매니폴드(미도시)에는 도시된 이송관(14)과 같은 이송관들(미도시)이 복수로 설치된다. 즉, 액화가스의 이송을 시작하기 전이나 종료한 후에는 이송관들(미도시) 각각에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 및 블라인드 플랜지(40)를 결합, 분리 및 운반 작업을 행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20) 및 블라인드 플랜지(40)의 연결, 분리 및 운반을 위하여 상술한 매니폴드(미도시)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관들(미도시) 마다 대빗(도 1의 19 참조)이 각각 설치되었고, 대빗(도 1의 19 참조)은 데크(12) 상에 설치되어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대빗을 여러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고, 대빗에 의한 작업공간의 점유율을 낮추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결합된 중공원통 형상의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L 형상의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타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러그 및 상기 슬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를 상기 가동본체에 고정시키는 나비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본체를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시키는 나비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안장형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안장형 지지판의 상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본체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을 분산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이송관에 지지부를 각각 설치하여 가동부를 필요한 위치의 지지부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러그가 형성된 슬리브가 가동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대빗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각 대빗에 다수의 러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데크의 작업공간이 절약된다.
도 1은 액화가스 운반선을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의 가동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의 지지부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100)에는 지지부(110) 및 가동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는 이송관(14)의 외주면에 설치되는데,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이송관(14)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송관 지지대(17)의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가동부(130)에는 가동본체(131) 및 슬라이더(1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130)는 지지부(110)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동부(130)에 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의 가동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도 4의 100)의 가동부(130)에는, 일측에 삽입부(132)가 형성된 L 형상의 가동본체(131) 및 가동본체(131)의 타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35)에는, 가동본체(131)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sleeve, 136), 슬리브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러그(lug, 137) 및 슬리브 고정수단(138)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 고정수단(1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36)에 설치될 수 있고, 슬리브(136)는 슬리브 고정수단(138)에 의하여 가동본체(131)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 고정수단(138)으로는 슬리브(136)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나비볼트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나비볼트를 조이면 나비볼트의 단부가 가동본체(131)를 가압하여 슬리브(136)가 가동본체(1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가동본체(131)의 타단부에는 엔드커버(139)가 설치된다. 엔드커버(139)는 슬리브(136)가 가동본체(131)의 타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엔드커버(139)는 가동본체(131)의 단면보다 면적이 넓은 원판을 가동본체(131)의 타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슬리브(136)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동본체(131) 내의 공간으로 우수, 해수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본체(131)의 일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본체(131) 및 삽입부(132)의 경계부에는 센터 플랜지(center flange, 133)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센터 플랜지(133) 및 삽입부(132)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가동본체(131)의 절곡된 부분에는 보강수단(134)이 설치된다. 보강수단(134)은 러그(137)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가동본체(13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가동본체(131)의 경량화도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의 지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10)에는 중공원통 형상의 지지본체(111), 안장형 지지판(112), 지지브라켓(113, 114, 115) 및 가동부 고정수단(117, 118)이 포함될 수 있다.
지지본체(111)는 이송관(14)의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송관(14)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이송관(14)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본체(111)를 통하여 이송관(14)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이송관(14) 및 지지본체(111) 사이에는 안장형 지지판(112)이 개재될 수 있다.
안장형 지지판(112)은 이송관(14)의 외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지지본체(111)는 안장형 지지판(112)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본체(111)의 중공부에는 가동본체(131)의 일단부에 형성된 삽입부(132)가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센터 플랜지(133)의 직경이 지지본체(111)의 중공부의 직경보다 더 길도록 형성하여, 센터 플랜지(133)가 지지본체(111)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가동본체(131)가 지지본체(111)를 회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센터 플랜지(133) 및 지지본체(111)의 상단부 사이는 밀폐된 구조가 아니므로, 우수, 해수 및 이물질 등이 지지본체(111)의 중공부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지지본체(111)의 내부 및 삽입부(132) 등이 부식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지본체(111)의 하단부에 배수공(116)을 형성하여 지지본체(111) 내로 유입된 우수, 해수 및 이물질 등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본체(111)에 삽입부(132)가 결합되어,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100)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도 3의 20) 및 블라인드 플랜지(도 3의 40) 등을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는 경우, 지지본체(111)에는 횡방향의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본체(111)의 외주면 및 안장형 지지판(112)의 상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브라켓(113, 114, 115)을 설치하면, 이러한 횡방향의 힘이 분산 지지되므로 지지부(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지지부(110)의 경량화도 가능하다.
참고로, 지지본체(111)의 외주면 및 안장형 지지판(112)의 상면 사이의 경계 부분에는 지지브라켓(113, 114, 115)에 스칼럽(scallop, 113a)을 형성함으로써 배수공(116)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동부 고정수단(117, 1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본체(111)에 설치될 수 있고, 가동부(130)는 가동부 고정수단(117, 118)에 의해 지지본체(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부 고정수단(117, 118)으로는 지지본체(11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나비볼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나비볼트를 조이면 나비볼트의 단부가 가동부(130)의 삽입부(132)를 가압하여, 가동부(130)가 지지본체(111)로부터 분리되거나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100)은, 매니폴드(미도시)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관들(미도시)에 지지부(110 참조)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부(130)만 필요한 위치에 설치된 지지부(11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액화가스 운반선(도 1의 10 참조)에 설치되는 대빗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러그(137)가 형성된 슬리브(136), 즉 슬라이더(135)가 가동본체(13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러그(137)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동본체(131)에 다수의 러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100)은 이송관(14) 상에 직접 설치되므로, 데크(도 1의 12 참조) 상의 작업공간의 점유가 매우 적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110: 지지부 111: 지지본체
112: 안장형 지지판 113, 114, 115: 지지브라켓
116: 배수공 117, 118: 가동부 고정수단
130: 가동부 131: 가동본체
132: 삽입부 133: 센터 플랜지
135: 슬라이더 136: 슬리브
137: 러그 138: 슬리브 고정수단
139: 엔드커버

Claims (6)

  1. 액화가스의 하역을 위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설치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이송호스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으로서,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에 상방향으로 결합된 중공원통 형상의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에 분리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L 형상의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타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러그; 및
    상기 슬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를 상기 가동본체에 고정시키는 나비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본체를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시키는 나비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 및 상기 지지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안장형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안장형 지지판의 상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본체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을 분산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KR1020100085622A 2010-09-01 2010-09-01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KR10122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22A KR101225997B1 (ko) 2010-09-01 2010-09-01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22A KR101225997B1 (ko) 2010-09-01 2010-09-01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289A KR20120023289A (ko) 2012-03-13
KR101225997B1 true KR101225997B1 (ko) 2013-01-24

Family

ID=4613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22A KR101225997B1 (ko) 2010-09-01 2010-09-01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128B1 (ko) * 2014-07-3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엘앤지 생산저장설비의 리퀴드 돔의 매터리얼 핸들링 시스템 및 핸들링 방법
KR20200012630A (ko)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12631A (ko)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059B1 (ko) * 2021-01-22 2022-03-16 주식회사 에스알이테크 내부 가이드관을 구비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2374063B1 (ko) * 2021-01-22 2022-03-16 주식회사 에스알이테크 내부격벽을 구비한 관로 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839A (ko) * 2004-05-21 2007-01-29 코노코필립스 컴퍼니 해양 선박 선체의 개구를 덮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076B1 (ko) *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839A (ko) * 2004-05-21 2007-01-29 코노코필립스 컴퍼니 해양 선박 선체의 개구를 덮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076B1 (ko) *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128B1 (ko) * 2014-07-3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엘앤지 생산저장설비의 리퀴드 돔의 매터리얼 핸들링 시스템 및 핸들링 방법
KR20200012630A (ko)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12631A (ko) * 2018-07-27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189814B1 (ko) * 2018-07-27 2020-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189815B1 (ko) * 2018-07-27 2020-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 돔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289A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613B2 (en) System using a catenary flexible conduit for transferring a cryogenic fluid
KR101225997B1 (ko) 액화가스 이송 연결관용 대빗
CN112236614B (zh) 一种装有装卸塔的密封隔热储罐
CN101473163B (zh) 用于船上的运输低温液化气的圆筒形容器的结构
US6829901B2 (en) Single point mooring regasification tower
CN102216153B (zh) 浮动生产lng的装置和将lng运输船改造为这种装置的方法
US20150253072A1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25700A (ko) Lng 운반선의 호환성 로딩 시스템
CN113958861B (zh) 用于储存液化气的贮罐的壁
KR101629192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0465532Y1 (ko) 액화가스 이송용 연결관 거치대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101099693B1 (ko) 선대선 액화가스 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65533Y1 (ko) 액화가스 이송관용 연결구조체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20150059940A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2449083B1 (ko)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KR101814458B1 (ko) 펌프타워 구조물
NO345783B1 (en) A process system and a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process system
KR101383457B1 (ko) 벨마우스 갭 조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벨마우스 설치방법
KR100747378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압력감소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100929709B1 (ko) 부유식 천연가스 저장선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KR10149824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