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53Y1 -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 Google Patents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53Y1
KR200464753Y1 KR2020100012418U KR20100012418U KR200464753Y1 KR 200464753 Y1 KR200464753 Y1 KR 200464753Y1 KR 2020100012418 U KR2020100012418 U KR 2020100012418U KR 20100012418 U KR20100012418 U KR 20100012418U KR 200464753 Y1 KR200464753 Y1 KR 200464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entrance
curtain
roll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78U (ko
Inventor
서상규
Original Assignee
서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규 filed Critical 서상규
Priority to KR2020100012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5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차차량의 차단막의 역할을 하도록 주차장 출입구를 끈(rope)을 이용하여 제작된 로프 커텐의 차단막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넓이에 맞추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주차된 차량번호판을 외부에서는 전혀 식별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번호가 불특정 다수인에게 노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개인의 신분노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생활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며, 차량의 진입과 출차 시 차량전용감지센서에 의해 로프 커텐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 되어져, 차단막에 의해 차량의 외부를 더럽히게 하거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AUTO ROPE CURTAIN OF PARKING LOT ENTRANCE}
본 고안에서는 주차차량의 차단막의 역할을 하도록 주차장 출입구를 로프(rope)를 이용하여 제작된 로프 커텐의 차단막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넓이에 맞추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주차된 차량번호판을 외부에서는 전혀 식별할 수 없도록 하여 차량번호가 불특정 다수인에게 노출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개인의 신분노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생활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며, 차량의 진입과 출차시 차량전용감지센서에 의해 로프 커텐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 되어져, 차단막에 의해 차량의 외부를 더럽히게 하거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을 제공한다.
최근 현대사회는 점차 산업의 발전으로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외출이나 여행 등의 원거리 이동시에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어 이로 인해 차량을 소유한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이용 시 일반적으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할 중요한 모임이라든지 타인에 의해 공공연히 오해의 소지를 받을 만한 특정의 장소에 출입하는 경우에는 차량소유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불특정 다수인에게 차량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개인적인 사생활에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리하여, 주차장의 출입구에 주차된 차량이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20-30cm정도의 넓이를 가진 천막(비닐)을 서로 겹치게 연결하여 주차장 출입구의 폭과 설치 높이에 맞도록 일정한 길이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차단막으로 주차장 입구의 넓이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것 주차장 출입구 차단막은, 20-30cm 정도의 넓이를 가진 천막(비닐)을 서로 겹치게 연결하여 주차장 출입구의 폭과 설치 높이에 맞추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차단막으로, 이와 같은 넓은 천막표면(20-30cm 이상)으로 제작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차단막은 외부의 먼지, 오물 또는 흙 등이 묻어 차단막의 미관을 해치게 하며, 차량의 통과시 차량을 더럽히게 하거나, 차량의 외부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천막의 넓이가 넓어 잘 찢겨 지거나 파손될 우려와 자동차의 진입과 출차 시 차단막의 넓은 표면적으로 인하여 차량의 진행 전방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바람에 의하여 쉽게 말리거나, 차단막의 훼손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주차차량의 차단막의 역할을 하도록 주차장 출입구를 일정한 굵기의 로프(rope)를 이용하여 제작된 로프 커텐 차단막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폭과 설치 높이에 맞추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로프를 사용하여 제작된 로프 커텐의 차단막으로 인하여 외부의 오염 등에 의하여 쉽게 더럽혀지지 않으며, 또한 잘 파손되지 않아 일회 설치로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였으며, 차량의 진입과 출차 시 차량전용감지센서에 의해 로프 커텐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 되어져, 차단막에 의해 차량의 외부를 더럽히게 하거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과 차량진행 방향의 시야를 가리지 아니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로프(rope)를 이용하여 제작된 로프 커텐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폭과 설치 높이에 맞추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으로써, 종래의 파손이 심한 천 또는 비닐을 이용한 차단막에 비하여 외부의 오염 등에 의하여 쉽게 더럽혀지지 않으며, 또한 잘 파손되지 않아 일회 설치로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내구성의 효과를 가지며, 차량의 진입 시와 출차 시 차량전용감지센서에 의해 로프 커텐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 되어져, 차량의 외부를 더럽히게 하거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과 차량진행 방향의 시야를 가리지 아니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인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본체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롤러(30)와 롤러 프레임(20)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30-1)와 롤러 프레임(20-1)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정공간에 주차된 차량을 주차장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도록 차단막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양측의 주차장출입구 벽면(B)을 중심으로 상층부에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본체(10)가 내재된 채로 주차장출입구 상단부(A)를 구성하여 설치하고, 차량의 진입과 출차 시 주차장 입구에 3m정도 떨어진 지면에 설치된 차량전용감지센서(S)에 의해 출입차량(C)만을 감지하도록 하여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50)이 양방향으로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하였다(도 5 참조).
도 2는 본 고안인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본체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수단들을 살펴보면,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은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지며, 자동문의 일측에 전원스위치(11)를 두어 전원을 on/off 하게 하였으며, 차량의 진입과 출차 시 주차장 입구에 3m 정도 떨어진 지면에 설치된 차량전용감지센서(S)에 의해 출입차량(C)만을 감지하도록 하여 로프 커텐(50)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을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한 구동모터(12)가 설치되며, 구동모터(12)의 회전축과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내측에 홈이 형성된 타이밍벨트(14)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타이밍벨트(14)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된 도르래(18)와 연동하는 타이밍벨트(14)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벨트(14)의 상단부에는 좌측 도어 행그(15)를 설치하여 좌측의 커텐 결합부(40)와 결합하고, 하단부에는 우측 도어 행그(16)를 설치하여 우측의 커텐 결합부(40)와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2)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자동문 제어부(13)에 의해 좌측 도어 행그(15)와 우측 도어 행그(16)가 결합된 좌우측의 커텐 결합부(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져 로프 커텐이 개폐되어지며, 자동문 스토퍼(17)에 의해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출입차량들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본체(10)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은 상기의 자동문 본체(10)를 이용하여 자동문 본체 하부에 롤러(30, 3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물로써 롤러 프레임(20)이 설치되며, 롤러 프레임(20, 20-1)은 사각형 구조의 프레임으로 롤러(30, 30-1)가 내제되어 롤러 프레임 내부에서 롤러 가이드홈(21) 또는 롤러 가이드레일(2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롤러 프레임(20, 20-1)의 하부는 내재된 롤러의 결합축(33)과 커텐 결합부(40)가 결착되어져 롤러(30, 30-1)의 이동시 롤러 프레임(20, 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결합축(33)과 결착된 커텐 결합부(40)의 일측면에 로프 커텐(50)이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들의 출입 시에 로프 커텐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이 완성되어진다.
상기 롤러와 롤러 프레임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롤러 프레임(20, 20-1)은 내부에 내재된 롤러(30)의 구조에 의해 정하여지는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의 롤러(30)와 롤러 프레임(20)의 사시도 및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롤러(30)의 바퀴가 둥근 모양의 원형 바퀴(31)인 경우에는 롤러 바퀴의 원형부분이 롤러 가이드홈(21)을 통하여 롤러 프레임(20) 내부에서 요동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 가이드홈(21)을 가진 사각형 구조의 롤러 프레임(20)과 함께 짝을 맞추어 사용되어지며,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30-1)와 롤러 프레임(20-1)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롤러(30-1)의 바퀴가 골을 가진 모양의 골형 바퀴(31-1)인 경우에는 롤러 바퀴의 골부분이 롤러 가이드레일(21-1)을 통하여 프레임 내부에서 요동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 가이드레일(21-1)을 가진 사각형 구조의 프레임(20-1)과 함께 짝을 맞추어 사용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도 3과 도 4 에서와 같이, 롤러 프레임(20, 20-1) 내부에 내재된 롤러(30, 30-1)는 2개~6개로 구성되며, 이들 롤러 바퀴는 바퀴결합체(32)에 의해 고정되고, 바퀴결합체(32)의 하부에는 롤러의 결합축(33)이 연결된 롤러결합체(35)에 의해 커텐 결합부(40)와 결착되어져 롤러(30, 30-1)의 이동시 롤러 프레임(20, 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개구되어 있으며, 롤러(30, 30-1)의 이동경로인 롤러 가이드홈(21) 또는 롤러 가이드레일(21-1)을 통하여 프레임 내부에서 요동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부의 바람과 같은 영향에도 로프 커텐의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로프 커텐(50)은 다양한 색상의 생사로 직조하여 형성된 일정한 굵기의 로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주차장 출입구의 가로면과 세로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재단하고, 재단된 로프의 상단부를 천으로 마감하기 위하여 재봉털로써 상단부의 천 위로 로프와 함께 박음질하여 로프 커텐을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주차장 출입문이 철재 또는 판넬 등의 고정문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때, 출입구의 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는 경우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으나, 상기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로프로 만들어진 로프 커텐(50)의 사용 시에는 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의 실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은 차량의 진입과 출차 시 주차장 입구에 3m정도 떨어진 지면에 설치된 차량전용감지센서(S)에 의해 출입차량(C)만을 감지하도록 하여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에 설치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50)이 양방향으로 자동 개폐되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제작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이 설치한 곳으로 차량이 진입을 할 경우에 외부의 오염 등에 의하여 쉽게 더럽혀지지 않으며, 또한 로프로 제작된 커텐의 사용으로 차단막이 잘 파손되지 않아 일회 설치로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차량의 진입 및 출차 시 차량의 충돌 예방과 차량진행 전방이 시야를 가리지 아니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차차량 차단막의 재료로서 충분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A : 주차장출입구 상체 B : 주차장출입구 벽면
C : 자동차 S : 차량전용감지센서
10 : 자동문 본체
11 : 전원스위치 12 : 구동모터
13 : 자동문 제어부 14 : 타이밍 벨트
15 : 좌측 도어 행그 16 : 우측 도어 행그
17 : 자동문 스토퍼 18 : 도르래
20 , 20-1 : 롤러 프레임
21 : 롤러 가이드홈 21-1 : 롤러 가이드레일
30 , 30-1 : 롤러
31 : 원형 바퀴 31-1 : 골형 바퀴
32 : 바퀴결합체 33 : 롤러의 결합축
34 : 결합나사 35 : 롤러결합체
40 : 커텐 결합부 50 : 로프 커텐

Claims (4)

  1.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은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지며, 자동문의 일측에 전원스위치(11), 주차장 입구에서 3m 정도 떨어진 지면에 출입용 차량만을 감지하는 차량전용감지센서(S)가 설치되어, 출입차량(c)들의 출입 시에 로프 커텐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을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해 설치한 구동모터(12)가 설치되며, 구동모터(12)의 회전축과 체결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내측에 홈이 형성된 타이밍벨트(14)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타이밍벨트(14)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톱니가 형성된 도르래(18)와 연동하는 타이밍벨트(14)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벨트(14)의 상단부에는 좌측 도어 행그(15)를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우측 도어 행그(16)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12)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자동문 제어부(13)에 의해 좌측 도어 행그(15)와 우측 도어 행그(16)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며 자동문 스토퍼(17)에 의해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출입차량들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문 본체(10)와,

    상기 자동문 본체(10)의 하부에는 롤러(30, 3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물로써 롤러 프레임(20, 20-1)과,
    상기 롤러 프레임(20, 20-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내제되어 있는 롤러(30, 30-1)와,
    상기 롤러와 결착된 커텐 결합부(40)와,
    상기 커텐 결합부(40)의 일측면 하단에 로프 커텐(50)이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들의 출입 시에 로프 커텐이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2. 제 1항에 있어서,
    롤러 프레임(20, 20-1)은 사각형의 구조로 롤러 가이드홈(21) 또는 롤러 가이드레일(21-1)를 구성하고, 롤러 프레임(20, 20-1)의 하부는 개구되어 롤러가 내제되어 프레임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3. 제 1항에 있어서,
    롤러(30, 30-1)는 롤러 가이드홈(21) 또는 롤러 가이드레일(21-1)을 구성하고 있는 롤러 프레임(20, 20-1)에 따라 원형바퀴(31) 또는 골형바퀴(31-1)로 구성된 롤러 (30, 30-1)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4. 제 3항에 있어서,
    롤러(30, 30-1)를 구성하는 원형바퀴(31) 또는 골형바퀴(31-1)는 2~6개의 바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KR2020100012418U 2010-12-01 2010-12-01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KR200464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18U KR200464753Y1 (ko) 2010-12-01 2010-12-01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18U KR200464753Y1 (ko) 2010-12-01 2010-12-01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78U KR20120004078U (ko) 2012-06-11
KR200464753Y1 true KR200464753Y1 (ko) 2013-01-17

Family

ID=4661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18U KR200464753Y1 (ko) 2010-12-01 2010-12-01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24B1 (ko) * 2012-07-11 2014-03-12 황기섭 커튼 개폐장치
KR101617092B1 (ko) 2014-07-25 2016-05-02 성하섭 언발란스 자동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31Y1 (ko) 2018-08-10 2019-01-30 박재민 캐뉼라 시술용 피부 보호기구
KR102106120B1 (ko) 2019-11-29 2020-05-07 김지수 지방 흡입 시술용 캐뉼라 프로텍터
KR102446321B1 (ko) 2021-12-16 2022-09-22 정병태 삼중제거술 땀샘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379B1 (ko) 1999-07-30 2001-09-29 권영직 커튼 자동개폐장치
KR100667347B1 (ko) 2005-10-17 2007-01-12 문병원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0912440B1 (ko) 2008-11-14 2009-08-17 임병기 모텔 차량 출입문커튼 자동개폐장치 및 그 자동개폐방법
KR100953105B1 (ko)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379B1 (ko) 1999-07-30 2001-09-29 권영직 커튼 자동개폐장치
KR100667347B1 (ko) 2005-10-17 2007-01-12 문병원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0912440B1 (ko) 2008-11-14 2009-08-17 임병기 모텔 차량 출입문커튼 자동개폐장치 및 그 자동개폐방법
KR100953105B1 (ko)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24B1 (ko) * 2012-07-11 2014-03-12 황기섭 커튼 개폐장치
KR101617092B1 (ko) 2014-07-25 2016-05-02 성하섭 언발란스 자동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78U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53Y1 (ko)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KR101933458B1 (ko) 사고인지 기능이 향상된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JP5709325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469305Y1 (ko) 지하철 외부 출입구용 캐노피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TWI576501B (zh) Double garage door side door moving structure
JP2008285129A (ja) 分離型上下可動式駅ホーム転落防止柵
JP2018086992A (ja) 昇降装置付き乗物
JP5963696B2 (ja) エレベータ
KR200452163Y1 (ko) 도어스커프 구조
KR20110047519A (ko) 차량 출입막 자동개폐장치
KR101260748B1 (ko) 타이어 파손형 하이브리드 바리케이드
KR200475847Y1 (ko) 철도건널목의 통행안전장치
KR101596302B1 (ko)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CN216074869U (zh) 一种建筑工地用道闸
JPH0616093Y2 (ja) ガレージのシャッター
KR101162841B1 (ko) 절첩식 차량 출입문
JP5374315B2 (ja) 出入口の開閉装置
KR101202285B1 (ko) 지하철 차고지용 자동 절첩식 폴드-슬라이딩 도어
JP7480991B2 (ja) 外構構造物
JPH0616143Y2 (ja) 門扉装置
KR200242162Y1 (ko) 전동차 승강장용 안전펜스
KR200350065Y1 (ko) 자동문
KR0127724Y1 (ko) 자동문을 갖는 지하철 승강장 칸막이 시설
JP4138460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