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092B1 - 언발란스 자동도어 - Google Patents

언발란스 자동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092B1
KR101617092B1 KR1020140094633A KR20140094633A KR101617092B1 KR 101617092 B1 KR101617092 B1 KR 101617092B1 KR 1020140094633 A KR1020140094633 A KR 1020140094633A KR 20140094633 A KR20140094633 A KR 20140094633A KR 101617092 B1 KR101617092 B1 KR 10161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interlocking
driv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394A (ko
Inventor
성하섭
Original Assignee
성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하섭 filed Critical 성하섭
Priority to KR102014009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발란스 자동도어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과, 상기 도어 프레임(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2)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1)와, 상기 가이드부(11)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거나 가까워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20) 및 제2도어(30)와, 상기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시 상기 제1도어(20)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도어(30)를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연동수단(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두 도어의 개폐 범위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언발란스 자동도어를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언발란스 자동도어{UNBALANCE AUTOMATIC DOOR}
본 발명은 언발란스 자동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들을 연동하여 슬라이드 속도 조절이 가능한 언발란스 자동도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도어는 도어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도어 앞에 서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도어를 통과하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도어는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호텔, 대형빌딩, 병원, 관공서 등의 주출입구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도어는 도어 상단 중앙에 구비된 하나의 센서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양측의 도어에 구비된 각각의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양측 도어를 동일한 폭으로 열리게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전력손실이 높고 구조가 복잡하며 실내 냉난방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0618호(2010.10.13)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 도어 중 하나의 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에 연동하여 다른 하나의 도어가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되어 두 도어의 개폐 범위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언발란스 자동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거나 가까워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시 상기 제1도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도어를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이격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구동 연결하는 구동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간은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서로 만나는 지점과 동일 위상을 갖는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기어비 차이를 갖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기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를 연결하는 연동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기어비가 상기 제1연동기어 및 제2연동기어의 기어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상기 구동벨트의 회전속도가 상기 연동벨트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르게 한다.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1연동기어 및 제2연동기어의 기어비의 2배이다.
상기 제1도어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레일과, 상기 제1도어를 상기 구동벨트의 하부측에 연결하는 구동브라켓이 설치된다.
상기 제2도어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레일과,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연동벨트의 상부측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에서 제2도어가 제1도어의 구동에 연동하여 일정 비로 느리게 슬라이딩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연동이 이루어져 하나의 구동모터만 작동시켜도 비대칭으로 도어의 개방 및 차폐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어를 슬라이딩 시키는 구동수단과 제1도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제2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연동수단을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도어 프레임이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언발란스 자동도어의 시공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발란스 자동도어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언발란스 자동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수단과 연동수단이 배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어 프레임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닫히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언발란스 자동도어는, 양측으로 개폐되는 두 도어의 개폐 범위가 자동 연동에 의해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발란스 자동도어(1)는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과, 도어 프레임(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어 프레임(2)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1)와, 가이드부(11)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거나 가까워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20) 및 제2도어(30)와,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수단(40)과,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시 제1도어(20)의 구동에 연동하여 제2도어(30)를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연동수단(50)을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2)은 제1도어(20) 및 제2도어(3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도어 프레임(2)에 가이드부(11)가 구비되고 구동수단(40) 및 연동수단(50)의 구성이 설치된다.
언발란스 자동도어(1)는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구동되는 제1도어(20)와 제1도어(20)의 구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제2도어(30)로 구성되며, 제1도어(20)와 제2도어(30)는 개폐되는 범위가 상이하다.
언발란스 자동도어(1)는 출입구의 공간 활용을 용도변경에 맞춰 다양성을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도어(20)가 구동측 도어가 되고 제2도어(30)가 연동측 도어가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도어(20) 및 제2도어(30)는 가이드부(11)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도어(20)와 제2도어(30)를 하나의 가이드부(11)에 안내되게 하면 두 도어(20,30)가 차폐되었을 때 두 도어(20,30)의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일치하게 된다.
가이드부(11)는 도어 프레임(2)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도어(20)는 가이드부(11)에 안내되는 레일(21,23)과 제1도어(20)를 후술할 구동벨트(47)의 하부측에 연결하는 구동브라켓(25)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20)의 상부면에 한 쌍의 레일(21,23)이 연결되고, 한 쌍의 레일(21,23) 중 하나의 레일(21)에 구동브라켓(25)이 구비된다. 레일(21,23)은 제1도어(20)의 슬라이딩이 소음없이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한다.
제2도어(30)는 가이드부(11)에 안내되는 레일(31,33)과 제2도어(30)를 후술할 연동벨트(57)의 상부측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5)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어(30)의 상부면에 한 쌍의 레일(31,33)이 연결되고, 한 쌍의 레일(31,33) 중 하나의 레일(33)에 연결브라켓(35)이 구비된다.
각각의 레일(31,33)은 제1도어(20)의 상부면과 제2도어(30)의 상부면에 각각 설치된 지지브라켓(27,29,37,39)을 매개로 고정된다.
구동벨트(47)의 하부측에 제1도어(20)의 구동브라켓(25)을 연결하고, 연동벨트(57)의 상부측에 제2도어(30)의 연결브라켓(35)을 연결하면 구동벨트(47)와 연동벨트(57)의 회전시 구동브라켓(25)과 연결브라켓(35)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구동벨트(47)의 상부측에 제1도어(20)의 구동브라켓(25)을 연결하고, 연동벨트(57)의 하부측에 제2도어(30)의 연결브라켓(35)을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구동수단(40)은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을 수행한다.
구동수단(40)은 도어 프레임(2)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42)과, 구동축(42)에 연결된 구동기어(43)와, 구동기어(43)와 이격되게 도어 프레임(2)의 중간에 설치된 종동기어(45)와,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를 구동 연결하는 구동벨트(47)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 프레임(2)의 중간은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30)를 차폐시 서로 만나는 지점과 동일 위상을 갖는다.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의 기어비는 동일하다.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는 도어 프레임(2)의 전면에 동일 위상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가 이격된 길이는 제1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는 범위이면 된다.
이러한 구동수단(40)은 구동모터(4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면 구동축(42)이 회전하여 구동기어(43)가 회전하고 구동기어(43)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벨트(47)를 통해 종동기어(45)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구동벨트(4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구동벨트(47)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은 구동벨트(47)에 설치된 구동브라켓(25)을 이동시켜 제1도어(20)를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벨트(47)의 정방향 회전은 제1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브라켓(25)을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은 제1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구동브라켓(25)을 이동시킨다.
연동수단(50)은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시 제1도어(20)의 구동에 연동하여 제2도어(30)를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연동수단(50)은 종동기어(45)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종동기어(45)와 기어비 차이를 갖는 제1연동기어(53)와, 구동기어(43)의 반대방향으로 제1연동기어(53)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2연동기어(55)와, 제1연동기어(53)와 제2연동기어(55)를 연결하는 연동벨트(57)를 포함한다.
연동수단(50)은 종동기어(45)가 회전하면 종동기어(45)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1연동기어(53)가 회전하고 제1연동기어(53)의 회전력이 연동벨트(57)를 통해 제2연동기어(55)로 전달되어 연동벨트(5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동벨트(57)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은 연동벨트(57)에 설치된 연결브라켓(35)을 이동시켜 제2도어(30)를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벨트(47)의 정방향 회전은 종동기어(45) 및 제1연동기어(53)를 정방향 회전시키므로 연동벨트(57)도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연동벨트(57)의 정방향 회전은 제2도어(30)가 닫히는 방향으로 연결브라켓(35)을 이동시키고 역방향 회전은 제2도어(30)가 열리는 방향으로 연결브라켓(35)을 이동시킨다.
종동기어(45)와 제1연동기어(53)는 연동축(51)에 의해 동축으로 연결된다.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5)의 기어비는 제1연동기어(53) 및 제2연동기어(55)의 기어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구동벨트(47)의 회전속도가 연동벨트(57)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르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5)의 기어비는 제1연동기어(53) 및 제2연동기어(55)의 기어비의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5)의 기어비와 제1연동기어(53) 및 제2연동기어(55)의 기어비가 2:1이 됨에 따라 구동벨트(47)가 연동벨트(57)의 회전수보다 빠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속도가 제2도어(30)의 슬라이딩 속도보다 빠르게 된다.
이러한 기어비 차이는 제1도어(20)가 열림에 의해 개방되는 출입구 폭 범위를 제2도어(30)가 열림에 의해 개방되는 출입구 폭 범위에 비해 넓게 한다.
제1연동기어(53)와 제2연동기어(55)가 이격된 길이는 제2도어(30)를 개폐될 수 있는 범위이면 된다. 그리고, 제1연동기어(53)와 제2연동기어(55)의 기어비는 동일하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40)은 제1도어(20)의 상부측 도어 프레임(2)에 배치되고 연동수단(50)은 구동수단(40)과 연동되게 제2도어(30)의 상부측 도어 프레임(2)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1도어(20)와 제2도어(30)의 슬라이딩을 위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제2도어(30)가 제1도어(20)의 구동에 연동하여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되게 설계하기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2)에 사용자의 도어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0)와, 감지부(60)의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모터(4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포함된다.
감지부(60)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으로 도어 진입 위치에 신호를 방출하고 도어에 진입하는 사용자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도어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60)가 방출하는 신호는 빛, 적외선, 초음파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60)는 도어 프레임(2)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감지부(60)의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모터(41)를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41)의 역방향 구동은 제1도어(20)와 제2도어(3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설정시간 경과 후 구동모터(4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제1도어(20)와 제2도어(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을 변경함에 의해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기어(45)에 제1연동기어(53)가 동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동기어(43)에 제1연동기어(53)가 동축으로 연결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언발란스 자동도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언발란스 자동도어를 출입구에 설치하고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구동수단(40)과 연동수단(50)이 설치된 도어 프레임(2)을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40)은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5)가 구동벨트(47)로 연결된 구조이며, 구동기어(43)에 구동모터(41)의 구동축(42)이 연결되어 구동모터(41)가 구동하면 구동기어(43)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다.
연동수단(50)은 제1연동기어(53)가 종동기어(45)와 연동축(51)에 의해 동축으로 연결되며 종동기어(45)의 회전시 제1연동기어(53)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다.
제1연동기어(53)는 구동기어(43)와 반대방향으로 제1연동기어(53)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연동기어(55)와 연동벨트(57)로 연결된 구조이며 종동기어(45)와 기어비 차이를 가진다. 그에 따라 구동벨트(47)의 회전속도가 연동벨트(57)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5)의 기어비를 제1연동기어(53) 및 제2연동기어(55)의 기어비의 2배로 구성한다.
제1연동기어(53)와 제2연동기어(55)가 이격된 거리는 제2도어(30)의 폭 및 제2도어(30)가 열리고 닫히는 범위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이 상태에서 제1도어(20)의 레일(21,23)을 가이드부(11)에 안내되게 설치하고 제1도어(20)의 레일(21,23) 중 하나에 고정된 구동브라켓(25)을 구동벨트(47)의 하부측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2도어(30)의 레일(31,33)을 가이드부(11)에 안내되게 설치하고 제2도어(30)의 레일(31,33) 중 하나에 고정된 연결브라켓(35)을 연동벨트(57)의 상부측에 고정한다.
이때, 구동브라켓(25)은 제1도어(20)의 레일(21,23) 중 종동기어(45)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레일(21)에 설치하고, 연결브라켓(35)은 제2도어(30)의 레일(31,33) 중 제1연동기어(53)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레일(33)에 설치하여 제1도어(20)와 제2도어(3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설치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20)의 구동브라켓(25)은 종동기어(45)와 근접한 구동벨트(47)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제2도어(30)의 연결브라켓(35)은 제1연동기어(53)와 근접한 연동벨트(57)의 상부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도어 진입이 감지되면, 감지부(60)가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감지부(60)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0)는 구동모터(41)를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41)의 역방향 회전은 구동기어(43)를 회전시켜 구동벨트(4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벨트(47)의 역방향 회전은 종동기어(45)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연동기어(53)를 회전시켜 연동벨트(57)를 역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브라켓(25)에 연결된 제1도어(20)가 제2도어(30)와 멀어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연결브라켓(35)에 연결된 제2도어(30)도 제1도어(20)와 멀어지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종동기어(45)가 제1연동기어(53)와 기어비 차이를 가져 구동벨트(47)를 연동벨트(57)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1도어(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속도가 제2도어(3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속도에 비해 빠르게 된다.
따라서, 동일시간에 제1도어(20)가 기준선(c)로부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폭(b)는 제2도어(30)가 기준선(c)으로부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폭(a)에 비해 크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20)가 b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2도어(30)는 a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며, 바람직하게는 b 이동 거리가 a 이동 거리의 2배가 되도록 한다.
제1도어(20)가 제2도어(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구동브라켓(25)이 구동기어(43)와 근접하면, 동일한 시점에 제2도어(30)도 제1도어(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연결브라켓(35)이 제2연동기어(55)와 근접한 위치가 되어 출입구가 완전히 개방된다.
출입구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70)는 사용자가 도어를 통과하였다고 판단하고 구동모터(4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제1도어(20)와 제2도어(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벨트(47)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1도어(20)가 화살표와 같이 기준선(c)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구동벨트(4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벨트(57)의 회전에 의해 제2도어(30)도 화살표와 같이 기준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종동기어(45)와 제1연동기어(53)의 기어비 차이로 인해 구동벨트(47)의 회전속도가 연동벨트(57)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르므로 제1도어(20)가 b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2도어(30)는 a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시점에 제1도어(20)와 제2도어(30)는 기준선까지 슬라이딩 이동되고 출입구를 차폐하게 된다.
구동벨트(47)와 연동벨트(57)의 회전속도 차이로 인해 제1도어(20)가 기준선으로부터 출입구를 차폐하는 폭과 제2도어(30)가 기준선으로부터 출입구를 차폐하는 폭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2도어(30)의 크기를 제1도어(20)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계하여 제1도어(20)가 기준선(c)에 도달하는 시점과 제2도어(30)가 기준선(c)에 도달하는 시점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언발란스 자동도어는 제1도어(20)의 슬라이딩 구동에 연동하여 제2도어(30)가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되어 제1도어(20)와 제2도어(30)의 개폐 범위가 상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출입구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며 전력손실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언발란스 자동도어 2: 도어 프레임
11: 가이드부 20: 제1도어
21,23: 레일 25: 구동브라켓
27,29: 지지브라켓 30: 제2도어
31,33: 레일 35: 연결브라켓
37,39: 지지브라켓 40: 구동수단
41: 구동모터 42: 구동축
43: 구동기어 45: 종동기어
47: 구동벨트 50: 연동수단
51: 연동축 53: 제1연동기어
55: 제2연동기어 57: 연동벨트
60: 감지부 70: 제어부

Claims (8)

  1.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거나 가까워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1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시 상기 제1도어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도어를 일정 비로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이격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구동 연결하는 구동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기어비 차이를 갖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연동기어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를 연결하는 연동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벨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벨트의 회전은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연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연동벨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연동벨트의 회전은 상기 제2연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2도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간은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서로 만나는 지점과 동일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기어비가 상기 제1연동기어 및 제2연동기어의 기어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상기 구동벨트의 회전속도가 상기 연동벨트의 회전속도에 비해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1연동기어 및 제2연동기어의 기어비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레일과, 상기 제1도어를 상기 구동벨트의 하부측에 연결하는 구동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레일과,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연동벨트의 상부측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발란스 자동도어.



KR1020140094633A 2014-07-25 2014-07-25 언발란스 자동도어 KR10161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633A KR101617092B1 (ko) 2014-07-25 2014-07-25 언발란스 자동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633A KR101617092B1 (ko) 2014-07-25 2014-07-25 언발란스 자동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94A KR20160013394A (ko) 2016-02-04
KR101617092B1 true KR101617092B1 (ko) 2016-05-02

Family

ID=5535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633A KR101617092B1 (ko) 2014-07-25 2014-07-25 언발란스 자동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0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381Y1 (ko) 2004-09-15 2005-01-14 (주)동우자동도어 자동도어의 개폐 장치
JP2007107326A (ja) * 2005-10-17 2007-04-26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自動扉開閉装置
KR101161006B1 (ko) 2009-09-18 2012-07-09 (주)바벨시스템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200464753Y1 (ko) 2010-12-01 2013-01-17 서상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381Y1 (ko) 2004-09-15 2005-01-14 (주)동우자동도어 자동도어의 개폐 장치
JP2007107326A (ja) * 2005-10-17 2007-04-26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自動扉開閉装置
KR101161006B1 (ko) 2009-09-18 2012-07-09 (주)바벨시스템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200464753Y1 (ko) 2010-12-01 2013-01-17 서상규 주차장 출입구용 로프 커텐 자동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94A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CN107075894B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KR101493000B1 (ko)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JPH1088902A (ja) 滑りドア運転装置及び滑りドア運転方法
CN106516950B (zh) 电梯门安全保护装置
KR101616523B1 (ko) 3연동 슬라이딩 자동도어
KR20110030788A (ko)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WO2015023228A1 (en) Access gates configured with vertically rotatable flap barriers
US11885168B2 (en) Sliding barrier tracking system
KR10180986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KR101617092B1 (ko) 언발란스 자동도어
KR20110013829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1563921B1 (ko) 3연동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EA006217B1 (ru) Экр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водным двигателе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EP1854957A3 (en) Device for the motorisation of sliding shutters
JP2001032625A (ja) 自動ドアの安全装置
JP7114443B2 (ja) 電動開閉装置
JP2022091281A (ja) 引き戸自動開閉装置及び自動開閉式引き戸
JP5396226B2 (ja) 半自動引き戸
KR101630520B1 (ko) 자동문 구조
KR200422571Y1 (ko) 방화유리 자동문
WO2014199517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KR101693891B1 (ko) 도어 글래스 열림량 자동 조절장치
KR20130045627A (ko) 개방 폭 조절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