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80Y1 -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 Google Patents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80Y1
KR200462080Y1 KR2020110002134U KR20110002134U KR200462080Y1 KR 200462080 Y1 KR200462080 Y1 KR 200462080Y1 KR 2020110002134 U KR2020110002134 U KR 2020110002134U KR 20110002134 U KR20110002134 U KR 20110002134U KR 200462080 Y1 KR200462080 Y1 KR 200462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insertion space
support frame
partition member
var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Original Assignee
김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웅 filed Critical 김대웅
Priority to KR2020110002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형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측면측에서 상호 끼움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체결되며, 모서리부에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삽입공간부를 제공하며, 그 삽입공간부의 내측에서 다수의 체결홈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삽입공간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재와, 상기 분할부재에 의해 분할된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고정되는 외장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각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홈이 마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특정 체결홈에 삽입되어, 면상 외장재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설정하는 구획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면상 외장재의 교체시에도 기존의 지지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표준화된 사양의 지지프레임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및 재고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Pillar structures that can be combined in a variety of exterior}
본 고안은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재의 모양에 따라 지지프레임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의 그늘막 등에 사용되는 기둥구조체는 중앙부의 견고한 코어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외장재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서 코어부의 외측에는 외장재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이 마련되어 있다. 그 지지프레임은 코어부의 측면측에서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분할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상기 외장재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측면에 폭이 좁은 두 개의 면상 외장재를 끼워 넣기 위해서는 그 면상 외장재의 폭에 상당한 결합홈이 한 쌍으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폭이 넓은 하나의 면상 외장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폭이 넓은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외장재의 모양에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구조 또한 다르게 설계 및 제조되어야 한다. 이는 외장재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지지프레임 또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교체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외장재가 정해진 상태에서 그 외장재의 형상에 부합하는 지지프레임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및 재고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장재의 형상에 무관하게 표준화된 지지프레임을 설계하고, 그 지지프레임에 다양한 형상의 외장재를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는, 파이프 형상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측면측에서 상호 끼움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체결되며, 모서리부에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삽입공간부를 제공하며, 그 삽입공간부의 내측에서 다수의 체결홈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삽입공간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재와, 상기 분할부재에 의해 분할된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고정되는 외장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는, 각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홈이 마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특정 체결홈에 삽입되어, 면상 외장재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설정하는 구획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면상 외장재의 교체시에도 기존의 지지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표준화된 사양의 지지프레임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및 재고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는,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기둥의 강성을 제공하는 코어부(10)와, 상기 코어부(10)의 상호 마주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호 끼움 결합되어 상기 코어부(10)의 외측에 밀착되며, 외측에 삽입공간부(40)가 마련되고, 그 삽입공간부(4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체결홈(41~44)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과,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에 마련된 체결홈(41~44)들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부(40)를 분할하는 분할부재(50)와, 상기 분할부재(50)에 의해 분할된 삽입공간부(40) 각각에 끼움 결합되는 외장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구조와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코어부(10)는 중공된 금속재 파이프이며, 기둥의 형상에 따라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 육각,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부(10)는 야외의 그늘막 지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위치에 하부 일부가 매립되거나 중량물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코어부(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이 각각 코어부(10)의 측면측으로부터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의 형상은 각각 두 개의 모서리부(70)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모서리부(70)의 사이 측면에서, 그 모서리부(70)에 비하여 안으로 오목한 구조를 가지며, 그 오목한 구조부분에 이후에 설명될 외장재(6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부(40)를 이루는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의 측면부에는 상하로 긴 형태의 다수의 체결홈(41~4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은 각각 돌출부(21,31)와 오목부(22,32)가 상대되게 결합되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코어부(10)의 외면에 밀착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끼움결합방식은 설치가 용이하며, 그 코어부(10)의 상단측에서 마감부(도면 미도시)를 끼워 상기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 다음, 상기 체결홈(42)에는 분할부재(50)가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부(40)를 2분할 한다. 즉, 분할부재(50)가 상기 삽입공간부(40)의 수직방향 중앙에 위치하여, 그 분할부재(50)의 좌우측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0) 또는 제2지지프레임(30)의 모서리부(70)의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분할부재(50)에 의해 분할된 두 삽입공간부(40)에 각각 외장재(60)가 삽입 고정된다.
이후에 앞서 설명한 마감부를 체결하여 상기 분할부재(50) 및 외장재(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의 예는 기둥조립체의 각 면당 하나의 분할부재(50)를 적용한 예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그 분할부재(50)의 적용 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폭을 가지는 외장재(6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분할부재(50)의 구체적인 형상은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판상 절곡구조이며, 그 가장자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0) 또는 제2지지프레임(30)에 접하도록 측면으로 연장되며, 그 두 가장자리중 일측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체결홈(41~44)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분할부재(50)의 중앙부는 그 분할부재(50)가 결합되는 하나의 체결홈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구조가 된다. 이는 분할부재의 가장자리를 외장재(60)가 눌러 제1지지프레임(20) 또는 제2지지프레임(30)으로 밀착시켜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외장재(60)는 스크류로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그 코어부(10),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의 구조는 동일하며, 그 동일한 구조의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에 상기 외장재(60)의 폭에 비하여 그 폭이 더 좁은 외장재(60)를 결합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분할부재(50)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 각각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삽입공간부(40)의 체결홈(41,42)에 결합하여 상기 삽입공간부(40)를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된 삽입공간부(40)에는 외장재(60)에 비하여 폭이 좁은 외장재(61)가 끼움결합된다.
앞서 살펴본 예와 같이 상기 분할부재(50)의 사용 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장재(60,61)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외장재(60)를 폭이 더 좁은 외장재(61)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미리 설치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을 교체할 필요가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지속적인 사용에 의하여 외장재의 교체시기가 도래한 경우, 선택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형상의 외장재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의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외장재(60,61)의 종류에 따라 다른 구조의 프레임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표준화된 구조의 지지프레임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및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의 예들은 분할부재(50)를 사용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그 분할부재(50)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모서리부(70)들에 의해 정의되는 삽입공간부(40)에 하나의 외장재(62)를 삽입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62)는 앞서 설명된 다른 외장재(60,61)들에 비하여 폭이 더 큰 것이다.
이와 같이 분할부재(50)의 사용여부 및 사용 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외장재(60~62)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각 측면부마다 서로 다른 형상의 외장재(60~62)를 결합하여 다양한 기둥구조체의 측면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즉, 기둥구조체의 제1측면에는 분할부재(50)를 사용하지 않고 외장재(62)를 결합하며, 제2측면에는 하나의 분할부재(50)를 사용하여 외장재(60)를 결합하며, 제3측면에는 두 개의 분할부재(50)를 사용하여 외장재(61)를 결합하여, 기둥구조체를 보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측면 모양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수직 바(bar) 형상의 외장재들을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며, 그 외장재(60~62)는 대부분 목재인 것이 보통이다.
이와 다르게 현재 규격화되어 생상되는 외장재로서 수지를 이용하여 목재와 같은 질감을 나타내는 외장재가 있으며, 이 외장재가 결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규격화된 수지재 외장재(63)는 판상의 구조이며, 양측면 모서리에 결합홈이 마련되되, 그 양측면 모서리의 결합홈이 각각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장재(63)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모서리부(70)의 측면측으로는 측면삽입공간부(80)가 마련되어 상기 외장재(63)의 일측면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하고, 타측면 모서리는 분할부재(5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분할부재(51)의 형상은 체결홈(41~44) 중 중앙의 두 체결홈(42,43)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장재(63)의 배면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재(63)의 타측면 모서리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그 외장재(63)의 측면을 지지하여 일측이 상기 측면삽입공간부(80)에 삽입된 상태의 외장재(6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다양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20,30)의 교체 없이 다양한 구조의 외장재(60~63)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분할부재(52)는 앞서의 실시예들과는 다른 형상이며, 그 폭이 상기 분할부재(50)에 비하여 더 넓으며, 두 개의 체결홈(41,44)에 고정되는 돌출단이 마련되어 있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분할부재(52)에 의해 구획된 삽입공간부(40)에는 두 개의 외장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두 분할부재(50)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장재를 생략한 구조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분할부재를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에 끼워 삽입공간부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상의 외장재를 그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의 교체 없이 적용할 수 있게 된다.
10:코어부 20:제1지지프레임
30:제2지지프레임 40:삽입공간부
41~44:체결홈 50:분할부재
60,61,62,63:외장재 70:모서리부
80:측면삽입공간부

Claims (4)

  1. 파이프 형상의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측면측에서 상호 끼움결합되어 상기 코어부의 외면에 체결되며, 모서리부에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부의 사이에서 삽입공간부를 제공하며, 그 삽입공간부의 내측에서 다수의 체결홈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삽입공간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재; 및
    상기 분할부재에 의해 분할된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고정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지지프레임 각각은,
    두 개의 상기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을 위하여 오목부와 돌출부가 양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재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양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양단 중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홈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의 측면측에는 측면삽입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장재는 상기 측면삽입공간부에 일측면이 삽입되며,
    상기 분할부재는 상기 외장재의 타측면의 측면부를 지지하여, 상기 외장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KR2020110002134U 2011-03-15 2011-03-15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KR200462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34U KR200462080Y1 (ko) 2011-03-15 2011-03-15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34U KR200462080Y1 (ko) 2011-03-15 2011-03-15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80Y1 true KR200462080Y1 (ko) 2012-08-27

Family

ID=4707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34U KR200462080Y1 (ko) 2011-03-15 2011-03-15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472B1 (ko) * 2018-01-25 2018-09-12 (주)티엔팀버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65B1 (ko) 2004-01-19 2007-01-26 (주)맥디자인 조립식 기둥 구조체
KR200442821Y1 (ko) 2008-09-09 2008-12-11 주식회사 자인 조립식 기둥
KR100959984B1 (ko) 2008-05-28 2010-05-27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0452699Y1 (ko) 2010-04-29 2011-03-16 이경희 페르골라용 기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65B1 (ko) 2004-01-19 2007-01-26 (주)맥디자인 조립식 기둥 구조체
KR100959984B1 (ko) 2008-05-28 2010-05-27 주민선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200442821Y1 (ko) 2008-09-09 2008-12-11 주식회사 자인 조립식 기둥
KR200452699Y1 (ko) 2010-04-29 2011-03-16 이경희 페르골라용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472B1 (ko) * 2018-01-25 2018-09-12 (주)티엔팀버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684B1 (ko) 분리 가능한 프레임을 갖는 케이블 리드-스루
US7546717B2 (en) Timber covering for exteriors and interiors
KR101602807B1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US20130199118A1 (en) Frame profile system
KR200462080Y1 (ko)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KR101200761B1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KR100576951B1 (ko) 나사에 의해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로 이루어진 조합 강철프레임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KR100811773B1 (ko) 칸막이 코너 연결 구조
US11268284B2 (en) Railing system
JP2006322180A (ja) 窓枠体
KR102098932B1 (ko)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KR20110089967A (ko)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JP3130624U (ja) パネルフェンス及びパネルフェンスを用いた構築物
JP6595373B2 (ja) 窓枠のコーナージョイント構造
JP2006207340A (ja) パネル組み立て式パーティション
JP5872087B1 (ja) 板状体
KR101207014B1 (ko) 면귀를 구비한 코너앵글
KR200416674Y1 (ko)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JP2019173432A (ja) 連窓構造の目地巾調整機構、及び目地巾調整方法
JP3187630U (ja) パネルフレーム、及びパネルキット
JP7408375B2 (ja) 建具構造および建具の施工方法
KR200378153Y1 (ko) 거푸집 연결구 어셈블리
KR101369063B1 (ko) 프레임 구조 어셈블리
JP7376262B2 (ja) 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