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74Y1 -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 Google Patents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74Y1
KR200416674Y1 KR2020060005978U KR20060005978U KR200416674Y1 KR 200416674 Y1 KR200416674 Y1 KR 200416674Y1 KR 2020060005978 U KR2020060005978 U KR 2020060005978U KR 20060005978 U KR20060005978 U KR 20060005978U KR 200416674 Y1 KR200416674 Y1 KR 200416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assembly
slats
horizontal member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202006000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또는 칸막이의 제작을 위한 부품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공하므로서, 도어 또는 칸막이 제작부품의 제작 및 유통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사용자에게는 조립과정의 편리성 및 조립제품의 우수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은 전후차단판의 형성을 위해서 그 높이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부재로 분리형성되며 그 전방면은 전방을 향해 배부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슬랫과; 상기한 슬랫의 외측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슬랫의 측단면형상이 연속되는 슬랫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랫조립부의 일측으로 상/하 가로부재의 조립을 위한 가로부재 조립홈부가 형성된 좌/우측 세로부재와; 상기한 좌/우측 가로부재에 마련된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 체결돌부가 양측단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상/하측 가로부재와; 상기한 좌/우측 슬랫조립부에 끼워진 슬랫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채워지는 몰딩; 으로 구성된다.
조립식 판넬, 슬랫, 굴곡면

Description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Panel to make doors}
도 1은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측 세로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측 가로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랫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랫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랫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판넬 20 : 좌측 세로부재
30 : 우측 세로부재 22,32 : 슬랫 조립부
24,34 : 가로부재 조립홈부 40 : 상측 가로부재
50 : 하측 가로부재 42,52 : 체결단부
44 : 상부 체결홈 54 : 하부 체결돌기
60 : 슬랫 62 : 굴곡면
70 : 몰딩 80 : 중간 보강부재
본 고안은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칸막이의 제작을 위한 부품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공하므로서, 도어 또는 칸막이 제작부품의 제작 및 유통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사용자에게는 조립과정의 편리성 및 조립제품의 우수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가정과 사무실을 비롯한 인간이 생활하는 거의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도어나 칸막이가 장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나 칸막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즉, 도어나 칸막이는 그 사용목적이나 장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될 뿐만 아니라, 미적감각을 고려하여 다양한 무늬가 조각되거나 도안 및 채색된 채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도어나 칸막이로 이용되기 위한 판넬은 대부분이 하나의 판형상으로 제작된 후 가구에 일체로 조립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칸막이가 필요한 시설물에 부가되기 위한 판넬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규격화된 하나의 판형상으로 제공된 후에 현장에서 적정크기로 절단된 후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판넬(100,200)은 좌/우측 세로부재(110,210) 및 상/하측 가로부재(120,220)에 의한 프레임에 고정장착되기 위한 전후차단판이 다수의 슬랫(130,230)으로 분리형성된 후에 적당한 크기로 조립되어 도어 또는 칸막이로 사용될 판넬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도 9는 슬랫(130,230)이 조립되기 위한 조립홈부(112)가 좌/우 세로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길게 형성된 경우로, 상기한 조립홈부(112)에 슬랫(130)의 양단이 끼워진 채로 슬랫이 필요한 높이만큼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적층된 슬랫 중에서 재질이나 주변환경에 의한 변형이 어느 하나의 슬랫에 발생될 경우에 조립홈부(112)와 슬랫(130) 끝단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서, 설계 또는 제작 당시의 미려한 디자인의 유지에 커다란 해를 끼치게 될 소지가 있는 것이다.
도 10은 슬랫(230)이 조립되기 위한 조립홈부(212)가 좌/우 세로부재(21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경우로, 각각의 슬랫(230)에는 상기 조립홈부(212)에 끼워지기 위한 조립돌기(232)가 슬랫의 몸체와는 별도로 형성된 경우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슬랫(230)의 조립돌기(232) 및 좌/우 세로부재(210)의 조립홈부(212)가 각각의 몸체와 연속적인 상관관계가 유지된 채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형상 및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므로서, 제작과정 및 조립과정에서 보다 정밀한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 및 칸막이에 사용되고 있는 조립식 판넬의 구성 및 작용을 충분히 검토한 후 고안된 것으로서, 도어 또는 칸막이의 제작을 위한 부품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공하므로서, 도어 또는 칸막이 제작부품의 제작 및 유통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을 사용자에게는 조립과정의 편리성 및 조립제품의 우수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좌우 한쌍의 가로부재과 상하 한쌍의 세로부재가 조립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을 이루고, 이 프레임 내측에 전후차단판이 고정지지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한 전후차단판의 형성을 위해서 그 높이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부재로 분리형성되며, 그 전방면은 전방을 향해 배부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슬랫과; 상기한 슬랫의 외측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슬랫의 측단면형상이 연속되는 슬랫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랫조립부의 일측으로 상/하 가로부재의 조립을 위한 가로부재 조립홈부가 형성된 좌/우측 세로부재와; 상기한 좌/우측 가로부재에 마련된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 체결돌부가 양측단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상/하측 가로부재와; 상기한 좌/우측 슬랫조립부에 끼 워진 슬랫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채워지는 몰딩;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슬랫의 전방면은 그 측면형상이 '
Figure 112006015856252-utm00001
'형상으로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슬랫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상하 이웃하는 슬랫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돌기 및 조립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상/하측 가로부재의 양측단에는 좌/우측 세로부재의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조립되기 위한 체결단부가 각각 돌출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슬랫은 그 전방면에 형성된 굴곡이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과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조립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측 세로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하측 가로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랫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조립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랫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랫의 조립상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조립식 판넬을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60은 본 고안에 의한 슬랫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조립식 판넬(10)은 사각형상의 프레임의 조립을 위한 좌/우측 세로부재(20,30)와 상/하측 가로부재(40,50), 상기 프레임 내측에 고정장착되어 프레임의 전후측을 차단하는 전후차단막으로서의 슬랫(60)들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전후차단막은 슬랫(60) 형태로서 제작되므로서,유통과정이 용이하고 소비자가 직접 조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슬랫(60)은 제작과 유통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목적 이외에도 보다 우수한 디자인의 제공에도 있는 것인만큼 그 몸체(61)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여 완만하게 배부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랫(60)의 측단면형상에서 직선형상이 아닌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프레임에 조립되는 각 슬랫(60)의 위치가 정해지게 되므로서, 적층된 다수의 슬랫 중에서 어느 하나에 변형이 발생되어 그 위상이 변하게 되더라도 그 주변의 슬랫의 장착위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슬랫(60)의 측면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Figure 112006015856252-utm00002
'형상(전면의 윤곽만을 표현한 것임)을 이루는데, 상하방향은 소비자의 임의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슬랫(60)의 길이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제작된 채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의 슬랫(6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조립식 판넬(10)의 조립과정에서 상하측에 위치되는 슬랫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돌기(63) 및 조립홈(64)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슬랫(6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몸체(61)의 전면에 형성되는 굴곡면(62)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도 6 내지 도 7 참조)
한편, 슬랫(60)의 양단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세로부재(20,30)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슬랫조립부(22,32)가 홈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슬랫조립부(22,32)는 슬랫(60)의 측면형상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랫조립부(22,32)에는 단층의 굴곡면(62)을 가진 슬랫이 조립될 수도 있고, 복층의 굴곡면(62)을 가진 슬랫이 조립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슬랫조립부(22,32)의 후측으로는 프레임의 상하부를 이루는 상/하측 가로부재(40,50)의 조립을 위한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는 좌/우측 세로부재(20,30)의 길이에 맞추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즉, 슬랫조립부(22,32) 및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는 좌측 세로부재(20)와 우측 세로부재(30)가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측 세로부재(20,30)의 전면 외측 모서리부분은 도면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챔퍼가공된 경사면(26,36)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하측 가로부재(40,50)에는 좌/우측 세로부재(20,30)에 마련된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에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조립되기 위한 체결단부(42,52)가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의 폭으로 돌출형성된다. 상측 가로부재(40)와 하측 가로부재(50)는 그 내측면이 서로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슬랫(60)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측 가로부재(40)의 하측면에는 슬랫(6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조립돌기(63)가 조립되기 위한 상부체결홈(44)이 형성되고, 하측 가로부재(50)의 상측면에는 슬랫(60)의 하측면에 형성된 조립홈(64)이 조립되기 위한 하부체결돌기(5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좌/우측 세로부재(20,30), 상/하측 가로부재(40,50), 다수의 슬랫(60)을 이용하여 도어 또는 칸막이 제작을 위한 조립식 판넬(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단층의 굴곡면(62)을 가진 슬랫이든 복층의 굴곡면(62)을 가진 슬랫이든 관계없이 슬랫(60)의 양단은 좌측 세로부재(20) 및 우측 세로부재(30)에 홈형상으로 형성된 슬랫조립부(22,32)에 끼워진다. 이 과정에서 슬랫조립부(22,32)는 슬랫의 측면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보다 정확한 슬랫의 조립위치가 결정되어지고, 상하측에 위치되는 슬랫 중 어느 하나에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와 이웃하는 슬랫의 배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필요한 높이로 슬랫(60)의 적층이 실시한 후에는 좌측 가로부재(20)와 우측 가로부재(30)의 간격을 좁히게 되므로서 슬랫(60)의 끝단이 슬랫조립부(22,3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좌측 세로부재(20)와 우측 세로부재(30)에는 하측 가로부재(50) 및 상측 가로부재(40)의 조립이 실시된다. 하측 가로부재(50) 또는 상측 가로부재(40)의 조립순서는 조립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측 가로부재(50)를 먼저 조립하는 경우에, 그 양단에 마련된 체결단부(42,52)가 좌측 세로부재(20) 및 우측 세로부재(30)의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에 위치되도록 한 후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체결단부의 조립상태는 억지끼움의 형태가 더 유리할 것이다. 하측 가로부재(50)의 조립과정에서 최하측에 위치된 슬랫(60)의 조립홈(64)은 하측 가로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결돌기(54)와 체결된다.
상측 가로부재(40)의 전체적인 조립과정은 하측 가로부재(50)의 조립과정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만, 그 하부측에 형성된 상부체결홈(44)이 슬랫(60)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돌기(63)에 조립되는 과정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좌/우측 세로부재(20,30)의 상하 끝단과 상/하측 가로부재(40,50) 의 양측 끝단이 체결된 후에는 별도의 볼트, 리벳, 핀 등을 포함한 고정수단으로써 체결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좌/우측 세로부재, 상하측 가로부재 및 다수의 슬랫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판넬의 형태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슬랫의 보다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슬랫조립부(22,32)에 위치된 슬랫의 양단 후측에 빈공간으로 남아 있게 되는 가로부재 조립홈부(24,34)에 별도로 제작 공급되는 몰딩(70)으로 마무리된다. 이 몰딩(70)은 다수로 분리형성된 슬랫과 함께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좌측 세로부재(20)와 우측 세로부재(30)의 사이 도중에는 중간 보강부재(80)가 조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중간 보강부재(80)의 양단은 상/하측 가로부재와 같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은 하측 가로부재(50)의 상면과 같이 형성되고, 그 하부면은 상측 가로부재(40)의 하면과 같이 형성된다. 이 중간 보강부재(80)의 조립은 슬랫(6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함께 실시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조립식 판넬(10)이 가구의 문짝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문짝의 회전동작 및 시건을 위한 힌지 및 손잡이 등이 상기 판넬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서 형성된 조립식 판넬에 의하면, 도어 또는 칸막이의 제작을 위한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부품의 제작공정 및 유통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서 그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도어 또는 칸막이의 제작을 위한 판넬의 조립이 가능한 커다란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판넬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소정간격으로 굴곡진 면이 형성되므로서 보다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좌우 한쌍의 가로부재과 상하 한쌍의 세로부재가 조립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을 이루고, 이 프레임 내측에 전후차단판이 고정지지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에 있어서,
    상기한 전후차단판의 형성을 위해서 그 높이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부재로 분리형성되며, 그 전방면은 전방을 향해 배부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슬랫과;
    상기한 슬랫의 외측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슬랫의 측단면형상이 연속되는 슬랫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랫조립부의 일측으로 상/하 가로부재의 조립을 위한 가로부재 조립홈부가 형성된 좌/우측 세로부재와;
    상기한 좌/우측 가로부재에 마련된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 조립돌기가 양측단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상/하측 가로부재와;
    조립된 슬랫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로부재 조립홈부의 빈 공간에 채우도록 형성되는 몰딩;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랫의 전방면은 그 측면형상이 '
    Figure 112006015856252-utm00003
    '형상으로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랫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각각 상하 이웃하는 슬랫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돌기 및 조립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측 가로부재의 양측단에는 좌/우측 세로부재의 가로부재 조립홈부에 조립되기 위한 체결단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측 가로부재의 하부면에는 슬랫의 상부면과 조립되기 위한 상부체결홈이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 가로부재의 상부면에는 슬랫의 하부면과 조립되기 위한 하부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랫은 그 전방면에 형성된 굴곡이 복수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측 세로부재와 우측 세로부재의 사이 중간부분에는 보강을 위한 중간 보강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2020060005978U 2006-03-06 2006-03-06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200416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78U KR200416674Y1 (ko) 2006-03-06 2006-03-06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978U KR200416674Y1 (ko) 2006-03-06 2006-03-06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74Y1 true KR200416674Y1 (ko) 2006-05-19

Family

ID=4176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78U KR200416674Y1 (ko) 2006-03-06 2006-03-06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99B1 (ko) * 2012-07-03 2014-04-25 주식회사 필룩스 인테리어 마감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99B1 (ko) * 2012-07-03 2014-04-25 주식회사 필룩스 인테리어 마감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205B1 (ko)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CA2570537C (en) Plastic utility shed roof system
CN102917616A (zh) 组合元件和与之一起应用的转角连接
KR200416674Y1 (ko)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100546420B1 (ko)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용 프레임의 구조
KR200438310Y1 (ko) 도어 및 칸막이용 조립식 패널
KR101951348B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0491435Y1 (ko) 가구용 도어틀
KR101249806B1 (ko) 조립식 신발장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JP2007154609A (ja) 建物構造体、玄関構造及び建物
KR20200001449U (ko) 도어 및 창프레임
EP2829667B1 (en) Siding profiles
KR101340144B1 (ko) 사물함 조립구조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US20050000180A1 (en) Decoration panel
US20080184637A1 (en) Trim assembly
GB2398578A (en) Partitioning prefabricated building unit
JP7089925B2 (ja) 門柱
JP2013087609A (ja) 建築パネル
DE102011014514A1 (de) Modulares Möbelverbindungsstecksystem
KR200446037Y1 (ko) 연속식 메탈 패널
KR200426030Y1 (ko) 금속재 화장실용 조립 패널
KR200462080Y1 (ko) 다양한 외장재의 결합이 가능한 기둥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