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319A - 가구용 문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구용 문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319A
KR20170017319A KR1020150111064A KR20150111064A KR20170017319A KR 20170017319 A KR20170017319 A KR 20170017319A KR 1020150111064 A KR1020150111064 A KR 1020150111064A KR 20150111064 A KR20150111064 A KR 20150111064A KR 20170017319 A KR20170017319 A KR 20170017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panel
door frame
intermedi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퍼니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퍼니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퍼니쳐
Priority to KR102015011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319A/ko
Publication of KR2017001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E06B3/72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2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with a continuous layer allowing folding
    • A47B2096/203Profiled sections
    • A47B2096/204Profiled sections using an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문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 판매되고 있는 합판을 절단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문판을 이룸으로 자재의 낭비를 막아 원자재 부담을 줄이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구획된 패널 조각으로 문판을 이룸으로 다양한 디자인적인 미감을 취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이루고자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장방형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1)과, 상기 문판 프레임을 구획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중간 프레임(2)과, 상기 중간 프레임(2)으로 구획된 공간에 문판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지지하는 문판 패널(3)을 끼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문판 조립체{Furniture door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가구용 문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 판매되고 있는 합판을 절단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문판을 이룸으로 자재의 낭비를 막아 원자재 부담을 줄이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구획된 패널 조각으로 문판을 이룸으로 다양한 디자인적인 미감을 취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문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의 통체와, 이 통체 전면에 도어를 부착하여 실내 수납공간으로 이용된다.
상기 장롱의 도어는 당겨 열고 닫는 여닫이와 슬라이딩하여 열고 닫는 미닫이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미닫이 장롱에 적용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여닫이 장롱의 문판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종래에도 많은 종류의 슬라이드 도어 지지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도어 상부에 도어를 지지하는 요홈의 레일과 도어 하부에 롤러를 내장하고 이 롤러를 접동시키는 레일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주지된 슬라이딩 도어는 장롱의 통체 하부판 전면 끝단부에 단순히 레일을 박아 형성한 것으로서 도어의 하중에 의해 하부 레일이 내려앉아 도어의 흔들림을 심화시키고 슬라이딩을 방해하여 도어가 이탈되는 등의 폐단이 있고 장롱이 하나의 통으로 일체화되어 이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고자 공지된 선행기술을 살펴본다.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장롱은 하부에 서랍이 부착된 타입과 서랍이 없는 타입으로 구분되며, 3~4통의 장롱 전체 경간을 일체형의 하부레일로 형성하거나 또는 각 통의 장롱에 폭에 맞추어 하부레일을 나누어 형성한 등분형 하부레일 타입이 있다.
하부레일을 3~4통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장롱 경간을 일체형의 하부레일로 이루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감이 우수하고 도어 개폐시에 걸리는 문제가 없다는 장점은 있지만 장롱의 물류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하부레일의 길이가 길어져 취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장롱 통수와 동일하게 등분하여 이루어지는 등분형 하부레일 구조는 하부레일의 길이가 짧아 장롱에 결합한 상태에서 물류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반대로 각각의 장롱 통을 현장 설치함에 있어 수평을 맞추어 등분된 하부레일의 대면부위가 정확하게 조정되어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 절단 대면되는 레일 위치에서 도어가 걸려 작동감을 떨어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제조 공장에서 사용가로 물류 운송 및 설치의 용이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데 주 원인은 슬라이드 도어의 자중이 무거워 그 지지레일 역시 견고한 구조를 이루어야만 처짐 발생이 없게 된다는 점에 의해 전체적인 고 하중과 고하중 지지구조를 갖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고 하중 지지구조는 원자재 소요량을 증가시키고 결국 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 부담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문판은 문판 패널과 패널 외곽을 장방형으로 마감하는 테두리로서의 문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데 문판 패널은 규격합판(1200*2440)을 이용하여 홈을 파거나 돌출 장식을 붙여 도장 또는 수지 필름 피착(멤브레인 가공)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문판 패널은 그 크기 상 상기 규격합판을 절단 사용하므로 원자재인 규격합판은 자투리가 발생하고 폐기되므로 원자재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알루미늄 재 문판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술로서 공지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19400호의 "가구용 문짝"에 의하면 문짝의 내외면을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고 앞뒤로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 외관의 심미감을 높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식상함을 배제할 수 있는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고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문틀과, 이 문틀 내에 안착되어진 무늬판으로 구성되어 싱크대나 장롱 등의 가구에 경첩으로 체결 되어지는 통상의 문짝에 있어 전후면이 각기 다른 색상으로 구현되어진 무늬판과, 상기 무늬판의 전체면 외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지고 각 모서리내에 브라켓이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되어진 문틀과 상기 문틀에 싱크대와 체결될 수 있도록 경첩이 고정 되어진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재 문틀 프레임을 사용하더라도 전술한 규격 원판을 사용하여 문판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따른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으며 단순히 전후면이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한정되어 있다.
KR 319400 Y1 KR 436067 Y1 KR 441767 Y1 KR 441299 Y1 KR 397758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문틀 외곽 프레임을 이루고 이 문판 프레임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분리하는 중간 프레임을 하나 이상 다수로 형성하여 조각 형태의 문판을 끼워 조립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 문판을 이루어 원판 자재를 자투리 폐기 없이 문판 조립에 사용 가능하게 하여 원자재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판 조립체의 외곽 프레임을 이루는 문판 프레임 내측에 중간 프레임 단부를 은폐하는 것에 의해 중간 프레임을 수평, 수직 및 사선으로 배치가 가능하여 문판의 디자인적인 다양성을 추구하기에 용이한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판 패널을 한 장의 패널로 결합하는 것과 다수로 절단하여 여러 장의 패널로 조립 결합하는 것을 공용적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문판 프레임을 제공하여 호환 사용이 가능한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문판 패널을 구획하는 중간 프레임의 양측 노출 표면을 비대칭 폭으로 이루어 전면 노출 띠 형상의 폭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에 의하여 문판 조립체를 경량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슬라이드 장롱의 경우에는 문판 하중을 줄여 레일과 미끄럼 호차의 부품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운반 및 설치 하중이 줄어 취급이 용이한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께 6mm의 박판 패널을 조립 구성하여 문판 조립체를 이룸으로 조립된 문판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얇은 패널로써 문판 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장방형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과, 상기 문판 프레임을 구획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중간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으로 구획된 공간에 끼워 문판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지지하는 문판 패널로 이루어지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구현하는 것에 의한다.
상기 문판 프레임 중에 적어도 2개의 문판 프레임 사이를 횡단하는 중간 프레임은 수평, 수직 또는 사선 중 선택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이루고 그 공간에 문판 패널을 끼워 고정하여 가구용 문판 조립체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디자인적으로 새로운 감각을 창출하는 것과 함께 합판 원자재를 재단(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자재비의 절감에 유용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문판 외곽 프레임을 이루고 이 문판 프레임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분리하는 중간 프레임을 하나 이상 다수로 형성하여 조각 형태의 문판을 끼워 조립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 문판을 이루어 원판 자재를 자투리 폐기 없이 문판 조립에 사용 가능하여 원자재 사용률이 높아 경제적이며 폐기물 발생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문판 조립체의 외곽 프레임을 이루는 문판 프레임 내측에 중간 프레임 단부를 은폐하는 것에 의해 미적 마감이 우수하고, 특히 중간 프레임을 수평, 수직 및 사선으로 배치가 가능하여 문판의 디자인적인 다양성을 추구하기에 용이하여 메탈의 질감을 결합한 가구 제작이 가능하며, 문판 패널을 한 장의 패널로 결합하는 것과 다수로 절단하여 여러 장의 패널로 조립 결합하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 프레임을 공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프레임 자재의 호환성이 높아 자재 생산 및 재고 관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판 패널의 두께를 6mm 박판으로 절단하여 조합하므로서 문판 조립체의 자중을 줄여 슬라이드 장롱의 지지 레일에 하중을 줄일 수 있고 기존에 시도 불가능하였던 박판의 문판 패널을 다수 조립하여 이룸으로 패널 원자재의 가격을 절감하여 전체적인 장롱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판 패널을 구획하는 중간 프레임의 양측 노출 표면을 비대칭 폭으로 이루어 전면 노출 띠 형상의 폭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미감을 얻을 수 있으며,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에 의하여 문판 조립체를 경량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슬라이드 장롱의 경우 문판 하중을 줄여 레일과 미끄럼 호차의 부품 수명을 늘릴 수 있고 운반 및 설치 하중이 줄어 취급이 용이한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미닫이 장롱을 도시한 정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문판 조립체를 발췌 도시한 정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정면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배면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문판 프레임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2 발명의 A-A선 단면으로 문판 프레임과 문판 패널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2 발명의 B-B선 단면으로 중간 프레임과 문판 패널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판 조립체 외관의 변형 예들을 도시한 정면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장방형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1)과, 상기 문판 프레임을 구획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중간 프레임(2)과, 상기 중간 프레임(2)으로 구획된 공간에 끼워 문판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지지하는 문판 패널(3)로 이루어지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100)를 구성한다.
상기 문판 프레임(1) 중에 적어도 2개의 문판 프레임 사이를 횡단하는 중간 프레임(2)은 수평, 수직 또는 사선 중 선택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이루고 그 공간에 문판 패널(3)을 끼워 고정하여 가구용 문판 조립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문판 프레임(1)은 비틀림과 휨에 대한 보강 돌기(11)를 내향 돌출하고 일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방형의 사각틀(12)과 사각틀의 일변에서 연장되고 문판 패널(3) 단부 삽입홈(13)을 형성하여 문판 패널 단부를 감싸는 커버부(14)를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13)을 이루는 사각틀(12)의 일면 일부에는 중간 프레임(2)의 지지단턱(21) 두께(t)와 동일한 두께 만큼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한 육후부(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4)의 종단에는 돌부(14a)를 돌출 형성하여 돌출부위는 중간 프레임(2)의 종단부 은폐기능과 함께 도어를 슬라이드 시킬때 손잡이로서 손가락을 걸기위한 지지부 기능을 겸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프레임(2)은 "H"자 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벽체(22)를 기준으로 양단에 지지단턱(21)을 형성하여 삽입홈(23)이 연속되도록 알루미늄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벽체(22) 양단의 지지단턱(21)은 양변이 동일하거나, 일변이 길고 일변이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판 패널(3)은 문판 프레임(1)의 안쪽 둘레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중간프레임(2)으로 구획한 경우에는 해당 구획 내부와 동일한 크기로 원판 패널을 절단한 조각으로 이루어 상기 문판 프레임(1)의 삽입홈(13)과 중간 프레임(2)의 삽입홈(23)에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판 프레임(1)의 사각틀(12) 내부 공간에는 그 내부에 맞는 목재를 삽입하거나 또는 문판 프레임(1)이 직교하는 위치에 내장하고 직교하는 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지로 성형한 결합 부재를 개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문판 프레임(1) 사각틀(12) 내부 공간에 개재하는 목재 및 직교 위치에 개재하는 결합 부재는 미 도시 하였으며 이러한 구조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하여도 압출 프레임을 결합하는 분야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실시되는 것이어서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은 도 8 도시와 같이 다양한 문판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롱의 문판을 이루며 장방형의 사각형 조립 프레임을 이루는 문판 프레임의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중간 프레임(2)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중간 프레임(2)은 수평, 수직 및 사선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조합하여 문판 조립체(100)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과 제 작용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장롱의 문판을 이루는 규격의 폭과 길이로 문판 프레임(1)을 절단하여 직교하도록 준비하고 디자인된 중간 프레임(2)의 삽입 위치에 맞추어 중간 프레임(2)을 절단 준비하며 중간 프레임(2)과 문판 프레임(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문판 패널(3)을 절단하여 준비한다.
준비된 문판 프레임(1)을 3면 조립하고 문판 패널(3)의 단부를 대향하는 삽입홈(13)에 끼워 조립한다.
이때 문판 패널(3)의 단부 일단은 삽입홈(13)의 육후부(15)에 접하면서 끼워져 커버부(14)로서 단부가 보호됨과 동시에 문판 패널(3)의 결합 강도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문판 프레임(1)의 육후부(15)에 의해 문판 패널(3)은 사각틀(12)에서 두께(t)에 해당하는 이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두께(t)에 해당하는 육후부(15)의 형성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끼워지는 중간 프레임(2)을 사각틀(12)에 육후부를 형성한 해당 표면 깊숙히 진입하도록 이루어 문판 패널(3)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하며 중간 프레임에의한 문판 패널의 구획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하는데 주요하다.
이격된 공간에는 중간 프레임(2)의 지지단턱(21) 삽입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두 부재의 삽입홈(13, 23)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삽입홈(13, 23)은 문판 패널(3)의 4면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패널 고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문판 패널(3)과 중간 프레임(2)의 적층 조립의 반복에 의해 전체적인 문판 프레임(1) 내 구획 공간을 모두 채워 개방되어 있던 일측 문판 프레임을 끼워 고정하면 문판 조립체(10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문판 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8 도시의 다양한 문판 디자인의 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완제된 문판 조립체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문판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을 이루므로 문판 중량이 경량화되고 문판을 제작하기 위한 규격 판넬을 재단하여 절단 사용하므로 자투리를 남기지 아니하고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문판 조립체(100)는 슬라이드 장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 프레임 부분에 슬라이드용 호차 또는 호차를 대용하는 가이드를 요입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미닫이용 장롱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첩 일측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호차와 경첩의 결합을 위해 문판 프레임(1)의 사각틀(12) 내부에는 목재를 압입하여 해당 목재 부분에 요입 가공을 이루어 체결용 하드웨어를 결합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문판 프레임(1)의 사각틀(12) 내부에는 보강 돌기(11)를 다수 돌설하여 휨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돌기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아니하며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프레임(2)의 중심벽체(22)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 단턱(21)은 양측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삽입홈(23)을 이루면서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어느 일면이 미적 감각을 더하면서도 디자인에 따라서는 일측 지지단턱을 길게 형성하여 노출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작게한 지지단턱으로 날렵한 디자인으로 조립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문판 프레임(1)과 중간 프레임(2)은 통상의 수지피복(멤브레인) 가공을 통해 문판 패널과 조화되는 피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문판 프레임은 방향성이 없으며 어느 일면을 전면으로 노출하도록 조립하여도 가능한 바, 사각틀이 전면 노출되는 경우에는 입체감이 배가되며, 커버부(14)가 전면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입체감이 적은 반면 심플한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1 : 문판 프레임 2 : 중간 프레임
3 : 문판 패널 11 : 보강돌기
12 : 사각틀 13, 23 : 삽입홈
14 : 커버부 15 : 육후부
21 : 지지단턱 22 : 중심벽체
t : 두께

Claims (8)

  1. 장롱용 문판 조립체에 있어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장방형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문판 프레임(1)과,
    상기 문판 프레임을 구획하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중간 프레임(2)과,
    상기 중간 프레임(2)으로 구획된 공간에 문판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지지하는 문판 패널(3)을 끼워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판 프레임(1) 중에 적어도 2개의 문판 프레임 사이를 횡단하는 중간 프레임(2)은 수평, 수직 또는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이루고 그 공간에 문판 패널(3)을 끼워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판 프레임(1) 중에 적어도 2개의 문판 프레임 사이를 횡단하는 중간 프레임(2)은 수평, 수직 또는 사선방향 중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이루고 그 공간에 문판 패널(3)을 끼워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판 프레임(1)은 비틀림과 휨에 대한 보강 돌기(11)를 내향 돌출하고 일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방형의 사각틀(12)과 사각틀의 일변에서 연장되고 문판 패널(3) 단부 삽입홈(13)을 형성하여 문판 패널 단부를 감싸는 커버부(14)를 일체로 알루미늄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3)을 이루는 사각틀(12)의 일면 일부에는 중간 프레임(2)의 지지단턱(21) 두께(t)와 동일한 두께의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한 육후부(15)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4)의 종단에는 돌부(14a)를 더 돌출 형성하여 삽입하는 중간 프레임(2)의 종단부를 은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2)은 "H"자 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벽체(22)를 기준으로 양단에 지지단턱(21)을 형성하여 삽입홈(23)이 연속되도록 알루미늄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벽체(22) 양단의 지지단턱(21)은 양변이 동일하거나, 일변이 길고 일변이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1020150111064A 2015-08-06 2015-08-06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20170017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4A KR20170017319A (ko) 2015-08-06 2015-08-06 가구용 문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4A KR20170017319A (ko) 2015-08-06 2015-08-06 가구용 문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319A true KR20170017319A (ko) 2017-02-15

Family

ID=5811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64A KR20170017319A (ko) 2015-08-06 2015-08-06 가구용 문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3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52A (ko) * 2017-06-09 2018-12-19 방영식 가구용 경량 거울 알판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400B1 (ko) 1998-12-30 2002-05-13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패키지및그제조방법
KR100397758B1 (ko) 1996-11-05 2004-03-2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듀플렉서
KR100436067B1 (ko) 2001-11-16 2004-06-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1299B1 (ko) 2001-10-31 2004-07-23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강화된 난연성을 갖는 실사출력용 직물 시트의 제조방법및 직물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58B1 (ko) 1996-11-05 2004-03-2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듀플렉서
KR100319400B1 (ko) 1998-12-30 2002-05-13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패키지및그제조방법
KR100441299B1 (ko) 2001-10-31 2004-07-23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강화된 난연성을 갖는 실사출력용 직물 시트의 제조방법및 직물 시트
KR100436067B1 (ko) 2001-11-16 2004-06-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52A (ko) * 2017-06-09 2018-12-19 방영식 가구용 경량 거울 알판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49955B1 (en) A panel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aid assembly
CA2717624A1 (en)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2923022A1 (en) Frame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200387590Y1 (ko) 조립식 벽체용 창틀 조립체
US20070251179A1 (en) Modular panel assembly
KR20170017320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JP6185950B2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US7845743B2 (en) Applied molding for texturizing exterior surfaces of furniture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102185534B1 (ko) 가구의 측면 몰딩 결합구조
KR20090117243A (ko) 조립식 사물함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CN205743464U (zh) 一种门窗扇的扇料中挺
GB2345512A (en) Doors and door assemblies
KR200395858Y1 (ko)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2473881B1 (ko) 복합 도어
JP5604206B2 (ja) 窓枠及びこれを用いた窓枠納め構造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KR102249341B1 (ko) 3연동 도어용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KR200416674Y1 (ko) 도어 및 칸막이 제작용 조립식 판넬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CN211408242U (zh) 实木多层柜体板
JP3898161B2 (ja) 押入・床の間建築ユニット
JP7014539B2 (ja) パネル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