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58Y1 -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58Y1
KR200395858Y1 KR20-2005-0017561U KR20050017561U KR200395858Y1 KR 200395858 Y1 KR200395858 Y1 KR 200395858Y1 KR 20050017561 U KR20050017561 U KR 20050017561U KR 200395858 Y1 KR200395858 Y1 KR 200395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ar chassis
furniture
binding member
furni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철조
Original Assignee
엄철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철조 filed Critical 엄철조
Priority to KR20-2005-0017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엠디에프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의 가장자리에 알루미늄 샤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간단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상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발장이나 싱크대 또는 욕실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용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엠디에프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의 가장자리에 전면 및 후면 샤시가 각각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그 끝단부에서 연결볼트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체결되어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몸체 양쪽으로 플랜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플랜지의 저면에 끼움편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 하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결속부재와, 이 결속부재의 플랜지 사이로 끼워져 몸체 상에 안착되며 고정 스크류에 의해 전면 및 후면 샤시에 체결되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A structure for furniture frame}
본 고안은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엠디에프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의 가장자리에 알루미늄 샤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간단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상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신발장, 욕실 수납장 등을 포함한 일반 가구용 프레임은 고가의 천연 목재 대신에 통상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y Fiberboard)라 불리고 있는 소재를 평판형태로 가공하여 조립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엠디에프는 식물질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이것을 펄프화한 다음 비중이 0.4∼0.8로 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휨강도가 우수하고 천연 목재에 비해 값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각종 가구나 건축자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엠디에프는 그 소재의 특성상 습기에 약하고 고정볼트 등과 같은 연결요소에 의해 체결되는 부위가 취약하여 쉽게 깨져 버리게 됨은 물론 일단 파손된 것은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기 처리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 엠디에프의 테두리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틀체를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앞서 출원된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1988-0003705호 및 제1992-0008913호 공보에는 사각의 판형상체를 사이에 두고 알루미늄 문짝틀 및 이들 각 모서리에 결합되는 연결패킹으로 구성된 조립식 문짝틀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319400호 및 제0343999호 공보에는 무늬판이나 MDF판을 알루미늄 프레임 내에 수용한 후 각 모서리에 브라켓을 개재하여 제작한 가구나 싱크대 등의 문짝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프레임과 다른 재질로서 별도로 제작되는 연결패킹의 상호 조립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작 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프레임의 절단 부위가 매우 날까롭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후가공을 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를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 엠디에프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에 알루미늄 샤시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임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견고하고 조립이 매우 용이한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절단부위에 별도의 후가공을 행하지 않고 마감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프레임의 색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발장이나 싱크대 또는 욕실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용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엠디에프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의 가장자리에 전면 및 후면 샤시가 각각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그 끝단부에서 연결볼트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체결되어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몸체 양쪽으로 플랜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플랜지의 저면에 끼움편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 하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결속부재와, 이 결속부재의 플랜지 사이로 끼워져 몸체 상에 안착되며 고정 스크류에 의해 전면 및 후면 샤시에 체결되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및 후면 샤시의 패널이 접속되는 조립홈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마련되어 있고, 격벽을 중심으로 각각 암나사부 및 고정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후면 샤시의 끝단부에는 배면판이 끼워져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 일측에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는 신발장이나 싱크대 또는 욕실 수납장 등의 틀체를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절단부위에 장착되는 결속부재(20) 및 마감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평판형상의 엠디에프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11)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가 끼워져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측 프레임(10)과 양 측면 프레임(10)이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임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는 패널(11)이 접속되는 조립홈(13)의 내면에 다수의 돌기(13a)가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위치한 격벽(14)을 중심으로 일측이 절개되어 텐션을 가지는 암나사부(15a)와 고정홈(15b)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상, 하부에는 각각 체결공(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체결공(16a)을 통해 연결볼트(17a)를 끼워넣어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암나사부(15a)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각 프레임(10)에 의한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샤시(12B)에 형성된 고정홈(15b)의 일측에는 삽입홈(18a)이 형성되어 배면판(19)을 끼워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이 삽입홈(18a)의 바깥쪽으로 절곡편(18b)이 형성되어 설치장소의 벽면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양 측면 프레임(10)에 상부 및 하부측 프레임(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10)의 상, 하측 단면부에 결속부재(20) 및 마감판(30)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결속부재(20)는 몸체(21)의 양쪽으로 플랜지(22a,22b)가 돌출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이 플랜지(22a,22b)의 저면에 끼움편(23a,23b)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1)의 양쪽에 관통공(24a,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감판(30)은 결속부재(20)의 플랜지(22a,22b) 사이로 끼워져 몸체(21) 상에 안착되도록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삽입공(31a,31b)을 통해 고정 스크류(32a,32b)가 끼워져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암나사부(15a)에 각각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신발장이나 씽크대 또는 욕실 수납장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 우선 엠디에프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11)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절취 가공하여 접속부를 형성하고, 별도의 압출공정에 의해 성형된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13)을 끼워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평판형태의 일체형 프레임(1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프레임(1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상, 하부측 프레임(10)과 양 측면 프레임(10) 및 배면판(19)을 각각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함과 동시에 양 측면 프레임(10)의 상, 하측 단면부에 결속부재(20) 및 마감판(30)을 고정시킨 후, 그 용도에 따라 이들 프레임(10)에 도시하지 않은 선반이나 도어 등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프레임(10)들을 조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양 측면 프레임(1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6a)을 통해 연결볼트(17a)를 끼워 넣어 상, 하부측 프레임(10)의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에 마련되어 있는 암나사부(15a)에 체결시킴으로써 사방 4개의 프레임(10)을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게 되며, 이 때 각 후면 샤시(12B)에 형성된 삽입홈(18a) 내로 배면판(19)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각 프레임(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양 측면 프레임(10)의 상,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단면부에 결속부재(20)를 장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결속부재(20)의 플랜지(22a,22b)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편(23a,23b)을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고정홈(15b)으로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결속부재(20)의 플랜지(22a,22b) 사이로 마감판(30)을 끼워 몸체(21) 상에 안착시키고 삽입공(31a,31b) 내로 고정 스크류(32a,32b)를 끼워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암나사부(15a)에 체결시킴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되며, 상기 후면 샤시(12B)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편(18b)을 이용하여 각 설치장소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11)이나 결속부재(20) 및 마감판(30)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는 설계사양에 따라 선반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도어를 통상의 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엠디에프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에 알루미늄 샤시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프레임을 임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조립이 매우 용이해짐은 물론 프레임 자체를 경량으로 하여 자재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절단부위에 별도의 후가공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프레임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a는 각 프레임을 조립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b는 결속부재 및 마감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각 프레임을 조립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는 각 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패널
12A: 전면 샤시 12B: 후면 샤시
13: 조립홈 13a: 돌기
14: 격벽 15a: 암나사부
15b: 고정홈 16a: 체결공
17a: 연결볼트 18a: 삽입홈
18b: 절곡편 19: 배면판
20: 결속부재 21: 몸체
22a,22b: 플랜지 23a,23b: 끼움편
24a,24b: 관통공 30: 마감판
31a,31b: 삽입공 32a,32b: 고정 스크류

Claims (3)

  1. 신발장이나 싱크대 또는 욕실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용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엠디에프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패널(11)의 가장자리에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가 각각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그 끝단부에서 연결볼트(17a)에 의해 서로 직각으로 체결되어 사각틀 형상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몸체(21) 양쪽으로 플랜지(22a,22b)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플랜지(22a, 22b)의 저면에 끼움편(23a,23b)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 하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결속부재(20)와,
    이 결속부재(20)의 플랜지(22a,22b) 사이로 끼워져 몸체(21) 상에 안착되며 고정 스크류(32a,32b)에 의해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에 체결되는 마감판(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 샤시(12A,12B)의 패널(11)이 접속되는 조립홈(13)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13a)들이 마련되어 있고, 격벽(14)을 중심으로 각각 암나사부(15a) 및 고정홈(15b)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샤시(12B)의 끝단부에는 배면판(19)이 끼워져 장착되는 삽입홈(18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 일측에 절곡편(1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2005-0017561U 2005-06-17 2005-06-17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395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61U KR200395858Y1 (ko) 2005-06-17 2005-06-17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61U KR200395858Y1 (ko) 2005-06-17 2005-06-17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58Y1 true KR200395858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61U KR200395858Y1 (ko) 2005-06-17 2005-06-17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155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5095675A (en) Recessed, raised building panel
KR100890344B1 (ko) 조립식 사물함
KR200395858Y1 (ko)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421678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344906B1 (ko)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KR200396287Y1 (ko) 유리문 장식샤시 모서리 연결구조
KR101161138B1 (ko) 가구용 문짝 구조
EP0538540B1 (en) A mechanical connection element for erecting unit furniture, particularly exposed and enclosed distribution boards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200360505Y1 (ko) 수납장
KR200295294Y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KR20090004873U (ko) 조립식 서랍
KR200398589Y1 (ko) 조립식 책꽂이의 구조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JPH06292617A (ja) 樹脂製キャビネット
KR200386357Y1 (ko) 유골 안치함의 구조
KR200435240Y1 (ko) 가구용 도어프레임
CN110778904B (zh) 一种型材及应用该型材的连接结构
DE102009028433A1 (de) Türeinbauteil für ein Kältegerät
EP3970561B1 (en) Fixing system of oblong elements with joint element and structure provided with fixing system for pieces of furniture, pieces of furniture or accessories for pieces of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