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240Y1 - 가구용 도어프레임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240Y1
KR200435240Y1 KR2020060023443U KR20060023443U KR200435240Y1 KR 200435240 Y1 KR200435240 Y1 KR 200435240Y1 KR 2020060023443 U KR2020060023443 U KR 2020060023443U KR 20060023443 U KR20060023443 U KR 20060023443U KR 200435240 Y1 KR200435240 Y1 KR 200435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longitudinal direction
bord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의 제작공정을 줄이고 조립공정도 줄어들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도 절감할 수 있도로 된 새로운 구조의 가구용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1삽입홈(15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자형 지지턱(130)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결합공(170)이 관통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공(330)이 형성되되 이 체결공(330)의 양단부에는 암나사부(335)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끼움홈(34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이 끼움홈(340)의 입구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345)이 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과; 상기 끼움홈(340)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끼움결합되되 끼움결합함에 따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2삽입홈(35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F”자 형상인 지지프레임(500)과; 상기 결합공(170)을 통해 암나사부(335)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이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 고정하는 스크류(600)와;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면 외측모서리부에 끼움결합되는 모서리캡(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프레임을 제공한다.
테두리프레임, 삽입홈, 끼움홈, 스크류, 투광판,

Description

가구용 도어프레임{door frame for furni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 - 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 B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투광판 100. 상측테두리프레임
150. 제1삽입홈 170. 결합공
200. 하측테두리프레임 300. 좌측테두리프레임
330. 체결공 340. 끼움홈
350. 제2삽입홈 400. 우측테두리프레임
500. 지지프레임 600. 스크류
700. 모서리캡
본 고안은 가구용 도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판으로 이루어진 도어에 있어서 상기 투광판의 둘레부를 감싸는 테두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싱크대 상측의 벽면에는 식기나 조리용구 등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장 등의 주방가구를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주방가구의 도어는 크게 목재패널형과 중앙부에 유리재 투광판이 구비된 액자형으로 대별된다.
한편, 종래 액자형 도어는 내측으로 개구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사각의 테두리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삽입홈에 그 둘레부가 끼워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재로 된 투광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중공의 바아부재를 사용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한 후 다시 양단부를 45°로 절단한 상하측/좌우측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상하측/좌우측 테두리프레임을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하는 “ㄱ”자 연결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측/좌우측 테두리프레임을 다수의 연결편으로 사각 테두리형태로 끼움 연결하되 스크류로 고정하여 프레임을 완성하게 되며, 어느 하나의 테두리프레임을 스크류로 고정하기 전에 투광판을 삽입홈에 끼운 후 마지막 테두리프레임을 스크류로 고정하여 액자형 도어를 제작 완료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 프레임은 압축성형된 바아부재를 일정길이로 절하여 테두리프레임을 마련하고 이 테두리프레임을 다시 45°로 절단하여야 하고, 테두리프레임을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결편도 필요함은 물론이에 따라 스크류 고정부위가 많아지는 등 부품수가 많고 제작 및 조립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의 제작공정을 줄이고 조립공정도 줄어들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도 절감할 수 있도로 된 새로운 구조의 가구용 도어프레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1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자형 지지턱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과;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되되 이 체결공의 양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끼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이 끼움홈의 입구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좌우측테두리프레임과; 상기 끼움홈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끼움결합되되 끼움결합함에 따라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의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하측테두리프레임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F”자 형상인 지지프레임과; 상기 결합공을 통해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이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 고정하는 스크류와;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의 양단부면 외측모서리부에 끼움결합되는 모서리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의 나사부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의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 - 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측테두리프레임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프레임은 한 쌍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 지지프레임(500), 모서리캡(7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은 알루미늄으로 중공의 사각 바아형태로 압출성형된 것으로, 양단부가 직각으로 절단되고 전면 외측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자형태의 지지턱(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130)에 의해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의 전면에 내측으로 개구되는 제1삽입홈(15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150)에 투광판(20)의 상하단이 끼움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결합공(170)이 각각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170)을 통해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에 스크류(600)를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내벽면 양단에는 후술할 지지프레임(500)의 끼움부(5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190)이 양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도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마찬가 지로 중공의 사각 바아형태로 압출성형한 것이며 양단부도 직각으로 절단된 것으로,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체결공(3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각각의 체결공(330) 양단부에는 암나사부(33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양단부와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내측면 양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결합공(170)을 통해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체결공(330)에 후술할 스크류(600)를 체결하여 사각 테두리형태로 도어프레임(10)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외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측으로 오목한 사각의 끼움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40)의 입구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34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40)에 후술할 지지프레임(500)을 결합하여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를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결합홈(50)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50)의 입구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5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50)과 결합턱(55)에 도면에 도시된 고무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57)를 길이방향으로 끼움결합하게 되며 상기 완충부재(57)에 의해 도어 개폐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줄이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끼움홈(340)에 결합되어 투광판(20)의 양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단면이 “F”자의 앵글형상으로 압출성형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끼움홈(340)에 상응하는 “┴”자 형상의 끼움부(52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500)의 끼움부(520)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끼움홈(34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결합하면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전면에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제1삽입홈(150)과 마찬가지로 제2삽입홈(350)이 형성되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면을 커버하게 된다. 즉, 양단부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양단부면 외측모서리부를 제외하고 커버하게 되며 외측 모서리부는 후술할 모서리캡(700)으로 마감하게 된다.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을 고정하는 스크류(600)는 헤드부(610)와 나사축(630)이 있는 체결구로서, 상기 나사축(630)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공(330)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체결공(330)에 끼워지는 결합돌기(65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650)를 체결공(330)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암나사부(335)에 체결되어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을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600)는 결합돌기(6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돌기(650)를 체결공(330)에 삽입시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캡(700)은 상기 지지프레임(500)으로 커버하지 못한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앙단부 외측 모서리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커버부(710)와 이 커버부(710)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에 삽입 되는 삽입부(7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730)의 일측면에는 지지프레임(500)의 내측에 걸려지는 돌기(750)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750)에 의해 모서리캡(700)이 지지프레임(500)에 걸려져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구용 도어프레임은 압출성형된 바아부재를 일정길이로 직각되게 절단하여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 및 지지프레임(500)을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프레임(500)을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에 끼움결합한 후 스크류(600)로 상하좌우측테두리프레임(100,200,300,400)을 스크류(600)로 체결하기만 하면 제작완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종래와 같이 압출성형된 바아부재를 일정길이로 절단한 다음 그 양단을 다시 45°로 절단하여 각각의 테두리프레임을 구비하고, 별도의 연결편으로 테두리프레임을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하고 각각의 테두리프레임 양단에 연결편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체결하는 것에 비해, 제작 및 조립공정이 줄어들어 제작/조립이 간편하고 제작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음 물론 코스트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가구용 도어프레임은 압출성형된 바아부재를 일정길이로 직각으로 절단하여 테두리프레임을 마련한 후 이들을 사각 테두리형태로 스크류로 체결 고정하고 모서리캡만 결합시키면 되므로, 제작 및 조립공정이 줄어드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1삽입홈(15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자형 지지턱(130)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결합공(170)이 관통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공(330)이 형성되되 이 체결공(330)의 양단부에는 암나사부(335)가 형성되고, 외측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끼움홈(34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이 끼움홈(340)의 입구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345)이 형성된 중공 바아형태의 한 쌍의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과;
    상기 끼움홈(340)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끼움결합되되 끼움결합함에 따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의 일면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제2삽입홈(35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F”자 형상인 지지프레임(500)과;
    상기 결합공(170)을 통해 암나사부(335)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과 좌우측테두리프레임(300,400)이 사각 테두리형태로 연결 고정하는 스크류(600)와;
    상기 상하측테두리프레임(100,200)의 양단부면 외측모서리부에 끼움결합되는 모서리캡(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600)의 나사부(630)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결합돌기(6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프레임.
KR2020060023443U 2006-08-31 2006-08-31 가구용 도어프레임 KR200435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43U KR200435240Y1 (ko) 2006-08-31 2006-08-31 가구용 도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43U KR200435240Y1 (ko) 2006-08-31 2006-08-31 가구용 도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240Y1 true KR200435240Y1 (ko) 2007-01-12

Family

ID=4155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443U KR200435240Y1 (ko) 2006-08-31 2006-08-31 가구용 도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8731A1 (en) Cover for covering an opening in a building
RU2401401C2 (ru) Лоток для двери холодильника
KR200435240Y1 (ko) 가구용 도어프레임
KR100954551B1 (ko) 방화문 둘레 장착용 테두리골조의 모서리 고정장치
KR101344906B1 (ko)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KR101240370B1 (ko) 라운드 슬라이딩 욕실용 수납장
KR101672457B1 (ko) 도어 결합 구조
JP2007291661A (ja) 多角形窓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JPS6328297Y2 (ko)
KR200386638Y1 (ko) 가구용 문짝의 문틀 조립 구조
JP2000136678A (ja) 建 具
RU17559U1 (ru) Уг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полых профилей (варианты)
KR200395858Y1 (ko)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JPH05287959A (ja) ド ア
KR200152308Y1 (ko) 이중유리의 스페이스바 연결구조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TWI822557B (zh) 可更換外部橫框之門窗
KR101240368B1 (ko) 라운드 여닫이 욕실용 수납장
KR200350083Y1 (ko) 모서리부재
JP2004238811A (ja) 内窓
KR200246397Y1 (ko) 가구용 패널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102285770B1 (ko)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200381364Y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