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932B1 -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932B1
KR102098932B1 KR1020190067485A KR20190067485A KR102098932B1 KR 102098932 B1 KR102098932 B1 KR 102098932B1 KR 1020190067485 A KR1020190067485 A KR 1020190067485A KR 20190067485 A KR20190067485 A KR 20190067485A KR 102098932 B1 KR102098932 B1 KR 10209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joiner
fram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Priority to KR102019006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평 구분 프레임(2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형 조이너(100); 및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평 프레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직 구분 프레임(3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직형 조이너(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샤시 구조에 입면 분할창을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분할 영역과 수직 분할 영역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밀성 완벽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샤시의 구조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Horizontal joiner and Vertical Joiner for chassis combination, and chassis combin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샤시 구조에 입면 분할창을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하나의 샤시의 전체 구조에서 분할된 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조 단계에서 구분된 분할창 구조를 갖는 샤시를 제작하거나, 제작된 샤시에 구분 프레임을 접착제나 볼팅 체결 방식 등을 활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구매자의 요구에 맞는 분할 창을 형성하지 못하고 제조된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해야하는 바 구매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전체 샤시에 구분 프레임을 형성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과도한 접착제 사용이나 볼트 등에 힘을 가하는 경우 샤시가 방수와 같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5-0038033호 "커텐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SLIDING SASH WINDOW WITH A CURTAIN AND FLY SCREE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샤시 구조에 입면 분할창을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 분할 영역과 수직 분할 영역을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성 완벽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샤시의 구조에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는,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평 구분 프레임(2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형 조이너(100); 및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평 프레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직 구분 프레임(3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직형 조이너(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직형 조이너(200)는, 하나의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상부 및 하부에 있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형 조이너(100)는, 하나의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좌우로 형성되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형 조이너(100)는, 수평 구분 프레임(20)에 형성된 내부 홀로 삽입되어 체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 및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 부착을 위한 수직 부착단 그룹(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은,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제 2 수평형 삽입단(112),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을 포함하며, 넓이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은, 수평 구분 프레임(20)에 형성된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으로 삽입되며,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의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은, 양측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 1 수평형 삽입홀(21a)로 삽입된 뒤에 수평형 조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형 돌기 3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분리방지형 돌기 간에는 높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형 조이너(200)는, 육면체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순차적으로 수집형 삽입단 그룹(230)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삽입단(231), 제 2 수직형 삽입단(232),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이 형성되는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또한, 본 발명에서 제 1 수직형 삽입단(231)이 형성된 양측면으로는 2개의 체결단(220)이 형성됨으로써, 각 체결단(220)에 형성된 2개의 너트홈을 통해 테두리 수평 프레임(12)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수직형 삽입단(131)은,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제 1 수직형 삽입홀(32)으로 삽입되며, 제 1 수직형 삽입홀(32)의 양측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는, 기존의 샤시 구조에 입면 분할창을 자유롭게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는, 수평 분할 영역과 수직 분할 영역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는, 기밀성 완벽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샤시의 구조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직형 조이너(200)를 체결하기 위한 샤시 테두리 프레림(10) 중 테두리 수평 프레임(12)과 그 상부에 수직형 조이너(200) 체결을 위한 보조 프레임(4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보조 프레임(40) 상부로 얹혀지는 수직형 조이너(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샤시 체결을 위한 수직형 조이너(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A 영역에 수평 구분 프레임(20)이 수평형 조이너(100)를 통해 체결되며, 테두리 수평 프레임(12)의 B 영역, 그리고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B 영역에 수직 구분 프레임(30)이 수직형 조이너(20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평형 조이너(100)는 샤시 테두리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서 구분 창을 위한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부착된 뒤, 수평 방향으로 수평 구분 프레임(20)과 체결을 통해 수직 방향의 구분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형 조이너(100)는 하나의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좌우로 형성되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시의 전체 구조(1)는 도 1과 같이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수평 구분 프레임(20), 수직 구분 프레임(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단면은 수평형 삽입홀 그룹(21), 수직형 마감단 그룹(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평형 삽입홀 그룹(21)은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제 2 수평형 삽입홀(21b), 제 3 수평형 삽입홀(21c)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형 마감단 그룹(22)은 제 1 수직형 마감단(22a),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제 4 수직형 마감단(22d)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홀의 크기는 제 2 수평형 삽입홀(21b), 제 3 수평형 삽입홀(21c),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순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대칭형의 형상으로 인해 수평 방향에서 제공되는 횡압력에 대해서 각 삽입홀을 지탱하는 지지단의 분산 구조로 인해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홀의 크기가 작으면서도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수평형 삽입홀(21a)과 제 3 수평형 삽입홀(21c)에는 홀의 상단 중앙 및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돌출단이 형성됨으로써, 길이 방향에 대한 보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을 형성하는 테두리면 상부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제 1 수직형 마감단(22a), 제 2 수직형 마감단(22b)이 형성되며,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을 형성하는 테두리면 상부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상술한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및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제 3 수평형 삽입홀(21c)을 형성하는 테두리면 상부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술한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및 제 4 수직형 마감단(22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수직형 마감단(22b)은 제 1 수평형 삽입홀(21a)과 제 2 삽입홀(22b)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며, 제 3 수직형 마감단(22c)은 제 2 수평형 삽입홀(21b)과 제 3 삽입홀(22c)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직형 마감단(22a)의 높이는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내지 제 3 수직형 마감단(22d)의 높이의 3/5 내지 3/5의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수직형 마감단(22a)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창의 전체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및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하부면 중 경계 영역에는 보강단(23)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제 3 수평형 삽입홀(21c)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 4 수직형 마감단(22d)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수직형 마감단(22a 내지 22b)에 비해 큰 것과 대응된 반대쪽 영역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수평형 조이너(100)는 수평 구분 프레임(20)에 형성된 내부 홀로 삽입되어 안정적 체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 부착을 위한 수직 부착단 그룹(120),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서 돌출된 단턱부를 마감처리 하기 위한 마감단 그룹(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은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제 2 수평형 삽입단(112),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을 포함하며, 넓이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은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으로 삽입되며,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의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 1 수평형 삽입홀(21a)로 삽입된 뒤에 수평형 조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형 돌기 3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분리방지형 돌기 간에는 높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평형 삽입단(112)은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으로 삽입되며,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의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ㅗ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향하게 중앙의 홈을 형성하는 돌출단과 돌출 단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은 제 3 수평형 삽입홀(21c)으로 삽입되며, 제 3 수평형 삽입홀(21c)의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 3 삽입홀(21b)로 삽입된 뒤에 수평형 조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형 돌기 3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분리방지형 돌기 간에는 높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므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의 넓이에 비해 1.2 내지 1.5배의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 3 수평형 삽입홀(21c)과의 접촉면이 커져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직 부착단 그룹(120)은 제 1 수직 부착단(121), 제 2 수직 부착단(122), 제 3 수직 부착단(123)을 포함하며, 넓이 방향에서 넓이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 부착단(121), 제 2 수직 부착단(122), 제 3 수직 부착단(123)으로 형성되는 수직 부착단 그룹(120)은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제 2 수평형 삽입단(112),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으로 이루어지는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하게 새워진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이 돌출된 면인 전면부로부터 이격된 후면부 영역에 근접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수직 부착단(121)은 제 1 수평형 삽입단(111)과 대응되는 넓이 영역에 형성되며, 제 2 수직 부착단(122)은 제 2 수평형 삽입단(112)과 대응되는 넓이 영역 형성되며, 제 3 수직 부착단(123)은 제 3 수평형 삽입단(113)과 대응되는 넓이 영역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가 샤시 테두리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삽입시 수직 면에서 안정적으로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를 잡아 줄 뿐만 아니라, 제 1 수직 부착단(121)은 수직형 마감단 그룹(22)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마감단(22a) 및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사이로 삽입되고, 제 2 수직 부착단(122)은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및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사이로 삽입되고, 제 3 수직 부착단(123)은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및 제 4 수직형 마감단(22d)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직 부착단(121), 제 2 수직 부착단(122), 제 3 수직 부착단(123)의 상부 영역에는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가 샤시 테두리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한 너트홈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각각에 대한 볼트 체결을 통해 수평형 조이너(100)가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실링으로 수평 구분 프레임(20)이 샤시 테두리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닌 수평형 조이너(100)와 수평 구분 프레임(20) 간의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 1 수직 부착단(121), 제 2 수직 부착단(122) 각각과 높이 방향에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및 제 2 수평형 삽입단(112)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영역에는 추가로 수직 부착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수직 부착단(123) 및 후술하는 제 4 마감단(134)과 대칭되는 영역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보조 돌기(140)가 형성됨으로써, 보조 돌기(140)에 의해 수평형 조이너(110)와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하부 영역의 우측 외측부를 맞출 수 있는 기준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마감단 그룹(130)은 제 1 마감단(131), 제 2 마감단(132), 제 3 마감단(133), 제 4 마감단(134)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감단 그룹(130)은 수평 구분 프레임(20)과 수평형 조이너(100) 간의 수평형 삽입홀 그룹(21)의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제 2 수평형 삽입홀(21b), 제 3 수평형 삽입홀(21c) 각각으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의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제 2 수평형 삽입단(112),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이 삽입되는 경우,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수직형 마감단 그룹(22)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마감단(22a), 제 2 수직형 마감단(22b), 제 3 수직형 마감단(22c), 제 4 수직형 마감단(22d)이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수직형 부재인 제 1 마감단(131), 제 2 마감단(132), 제 3 마감단(133), 제 4 마감단(134)으로 형성되되, 수직하게 새워진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새워진 상태의 수평형 조이너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이 돌출된 면인 전면부에 근접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직형 조이너(200)를 체결하기 위한 샤시 테두리 프레림(10) 중 테두리 수평 프레임(12)과 그 상부에 수직형 조이너(200) 체결을 위한 보조 프레임(4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보조 프레임(40) 상부로 얹혀지는 수직형 조이너(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중 샤시 체결을 위한 수직형 조이너(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수평 구분 프레임(20)과 동일한 상단면을 갖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의 상부로 수직 구분단(41), 제 1 평판부(42), 제 2 평판부(43)을 갖는 보조 프레임(40)이 얹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구분단(41)은 수직형 조이너(200)의 체결단(220)을 제 1 평판부(42)로 삽입하기 위한 수직의 경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높이가 제 1 평판부(42) 및 제 3 평판부(43) 보다 높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평판부(42)는 제 2 평판부(43) 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상부 표면적이 제 2 평판부(43) 보다 좁게 형성되어 수직형 조이너(200)의 체결단(220)에 형성되는 너트홈을 통해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평판부(43)는 제 1 평판부(42)과 이웃하게 형성됨으로써, 수직형 조이너(200)의 체결단(220)이 볼트 체결을 통해 체결되면, 체결단(220) 상부에 있는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 있는 제 1 수직형 삽입단(231)과 이웃하는 제 2 수직형 삽입단(232), 그리고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단면은 격벽단(31), 제 1 수직형 삽입홀(32), 제 2 수직형 삽입홀(33)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ㅗ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단(31)은 제 1 수직형 삽입단(231)의 후단을 받치도록 형성되며, 제 1 수직형 삽입홀(32)은 "H자" 형의 홀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 1 수직형 삽입홀(3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 2 수직형 삽입홀(33)은 "ㅁ자" 형의 홀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대칭형의 형상으로 인해 수직 방향에서 제공되는 종압력에 대해서 각 삽입홀을 지탱하는 지지단의 분산 구조로 인해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수직형 조이너(200)는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 체결단(220), 수집형 삽입단 그룹(230),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상부 및 하부에 있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는 육면체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순차적으로 수집형 삽입단 그룹(230)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삽입단(231), 제 2 수직형 삽입단(232),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이 형성되며, 제 1 수직형 삽입단(231)이 형성된 양측면으로는 2개의 체결단(220)이 형성됨으로써, 각 체결단(220)에 형성된 2개의 너트홈을 통해 테두리 수평 프레임(12)과 체결될 수 있다.
수직형 삽입단 그룹(230)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삽입단(131)은 제 1 수직형 삽입홀(32)으로 삽입되며, 제 1 수직형 삽입홀(32)의 양측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형 삽입단(132)은 제 2 수직형 삽입홀(33)으로 삽입되며, 제 2 수직형 삽입홀(33)과 단면이 "ㅁ자" 형태로 형성되며, "ㅁ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형 삽입홀(33)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이 추가로 형성되어 보조 수직형 삽입홀(34)로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은 제 2 수직형 삽입단(132)에 비해 높이가 3/4 내지 4/5 가량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1/9 내지 1/10 가량으로 형성되고 넓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대신에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의 끝단에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수평형 조이너
110 : 수평형 삽입단 그룹
120 : 수직 부착단 그룹
130 : 마감단 그룹
200 : 수직형 조이너
210 :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
220 : 체결단
230 : 수집형 삽입단 그룹
240 : 보조 수직형 삽입단

Claims (10)

  1.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평 구분 프레임(2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평형 조이너(100); 및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테두리 수평 프레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수직 구분 프레임(3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직형 조이너(200); 를 포함하고,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단면은 수평형 삽입홀 그룹(21)을 포함하고,
    수평형 삽입홀 그룹(21)은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제 2 수평형 삽입홀(21b), 제 3 수평형 삽입홀(21c)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수평형 삽입홀(21a) 및 제 2 수평형 삽입홀(21b)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하부면 중 경계 영역에는 보강단(23)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형 조이너(200)는,
    하나의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상부 및 하부에 있는 테두리 수평 프레임(12)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형 조이너(100)는,
    하나의 수평 구분 프레임(20)의 양끝단과, 샤시 테두리 프레임(10) 중 좌우로 형성되는 테두리 수직 프레임(11)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형 조이너(100)는,
    수평 구분 프레임(20)에 형성된 내부 홀로 삽입되어 체결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 및
    테두리 수직 프레임(11)에 부착을 위한 수직 부착단 그룹(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수평형 삽입단 그룹(110)은,
    제 1 수평형 삽입단(111), 제 2 수평형 삽입단(112), 제 3 수평형 삽입단(113)을 포함하며, 넓이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은,
    수평 구분 프레임(20)에 형성된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으로 삽입되며, 제 1 수평형 삽입홀(21a)의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 1 수평형 삽입단(111)은,
    양측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 1 수평형 삽입홀(21a)로 삽입된 뒤에 수평형 조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형 돌기 3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분리방지형 돌기 간에는 높이 방향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형 조이너(200)는,
    육면체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순차적으로 수집형 삽입단 그룹(230)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형 삽입단(231), 제 2 수직형 삽입단(232), 보조 수직형 삽입단(240)이 형성되는 수직형 조이터 플레이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1 수직형 삽입단(231)이 형성된 양측면으로는 2개의 체결단(220)이 형성됨으로써, 각 체결단(220)에 형성된 2개의 너트홈을 통해 테두리 수평 프레임(12)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 1 수직형 삽입단(131)은,
    수직 구분 프레임(30)의 제 1 수직형 삽입홀(32)으로 삽입되며, 제 1 수직형 삽입홀(32)의 양측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출단과 안정적 체결구조를 위해 단면이 "H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KR1020190067485A 2019-06-07 2019-06-07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KR10209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85A KR102098932B1 (ko) 2019-06-07 2019-06-07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85A KR102098932B1 (ko) 2019-06-07 2019-06-07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932B1 true KR102098932B1 (ko) 2020-04-08

Family

ID=7027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85A KR102098932B1 (ko) 2019-06-07 2019-06-07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56B1 (ko) * 2020-08-18 2021-02-26 주식회사 예림화학 수평 및 수직조이너를 이용한 입면분할 샤시창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90U (ko) * 2008-04-16 2009-10-21 윤병재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10110479A (ko) * 2010-04-01 2011-10-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셋팅블럭 일체형 샤시 연결재
KR20110009878U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할식 창호
KR101950250B1 (ko) * 2018-09-10 2019-02-20 전창원 프레임 조립용 브라켓
KR20190018871A (ko) * 2017-08-16 2019-02-26 류장영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입면 분할 바 세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할 창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90U (ko) * 2008-04-16 2009-10-21 윤병재 창호용 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10110479A (ko) * 2010-04-01 2011-10-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셋팅블럭 일체형 샤시 연결재
KR20110009878U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할식 창호
KR20190018871A (ko) * 2017-08-16 2019-02-26 류장영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입면 분할 바 세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할 창호
KR101950250B1 (ko) * 2018-09-10 2019-02-20 전창원 프레임 조립용 브라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5-0038033호 "커텐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SLIDING SASH WINDOW WITH A CURTAIN AND FLY SCREE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56B1 (ko) * 2020-08-18 2021-02-26 주식회사 예림화학 수평 및 수직조이너를 이용한 입면분할 샤시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932B1 (ko)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EP3318686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JP6421051B2 (ja) 建具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KR20180048168A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직고정장치
KR200451348Y1 (ko) 패널 고정구조
KR101649307B1 (ko) 실내 설치형 커튼월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6524289B1 (ja) 窓付きドアパネル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US3343859A (en) Constructional 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bars
JP2009287244A (ja)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1932758B1 (ko) 유리 고정부재가 구비된 창틀용 프레임
KR102202734B1 (ko) 문의 가로프레임과 문판의 결합구조
JP6503892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シール材の取付構造
KR100641829B1 (ko) 파티션 연결 받침대
JP2024020666A (ja) 建具構造および建具の施工方法
KR102498775B1 (ko) 패널마감구조체
KR102497782B1 (ko) 육각 마감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2007009461A (ja) ガラス間仕切装置のコーナージョイント部材及びコーナージョイント構造
JP4268544B2 (ja) 段板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