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12Y1 -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 Google Patents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12Y1
KR200461912Y1 KR2020100003568U KR20100003568U KR200461912Y1 KR 200461912 Y1 KR200461912 Y1 KR 200461912Y1 KR 2020100003568 U KR2020100003568 U KR 2020100003568U KR 20100003568 U KR20100003568 U KR 20100003568U KR 200461912 Y1 KR200461912 Y1 KR 200461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ight emitting
power
light
lo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680U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2020100003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1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18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g. elect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1Illuminated cane or umbrella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전형 안전 발광구조로 발광 LED의 방향을 역사선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빛의 발산 영역을 넓게 고안 하였고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시 볼 스위치의 구성에 의해 전지를 완전 차단하도록 고안 하여 별도의 사용자 조작 스위치 없이도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Power-saving security Light umbrella}
본 고안은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의 윗쪽 끝 부분에 발광 LED를 역 원뿔모양으로 구성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한 건전지를 포함하며, 비 사용시 건전지의 전기를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자동 스위치를 포함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건전지의 전기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건전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아주는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비가 내릴 때에 그 비를 피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우천시에는 날이 어둡고 특히 야간이거나 밤일 경우에는 시야 확보가 많이 어려워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를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지 못함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고,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산에 조명장치를 추가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다.
우산 살 사이에 전선을 연결하고 우산 살 끝에 램프를 고정하여 불을 비취는 방법이나 우산 꼭대기에 램프를 고정 시키고 스위치는 우산대에 고정 시키는 방법, 아니면 우산 꼭대기에 기울기 센서를 내장해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전의 기술들에 따르면, 발광체는 우산 밖에 놓고 스위치나 전지를 모두 우산 살이나 손잡이 부분에 부착시키려 하여 전선의 배선처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우산 꼭지에 설치된 전구의 공간적 한계에 의해 우산 아래 쪽으로 조명이 고르게 미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 안 할 때 전지의 소모를 막기 위해 기울기 센서를 사용했으나 우산이 85도 이상 넘어져 있어야 전지의 소모를 줄일 뿐이어서 완전 전지를 차단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젖은 우산을 말리기 위해 사용자들이 우산을 편 후 45도 각도로 기울려 놓을 경우는(도4) 사용하지도 않는데 계속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은, 우산 꼭지에 설치되는 역 원뿔 형상의 발광구조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체(20)의 상층부(36)는 불투명한 재질의 납작한 원기둥 모양으로 성형되며, 상기 발광구조체(20)의 하층부(30)는 역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층부(30)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LED(31)가 상기 하층부(30)의 사선 방향과 직각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광LED(31)는 볼 스위치(32)에 의해 전기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은 발광체의 넓은 발광 영역을 위하여
별도의 미러나 반사판, 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발광구조체를 역 삼각형 방향으로 구성하여 우산의 넓은 영역과 그 주변을 밝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가 올 때 우산을 쓰는 경우, 볼 스위치에 의해 전기가 도통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점등 되도록 하였으며, 비에 젖은 우산을 말리기 위해 우산을 펼쳐 기울 였을 때에는, 볼 스위치가 중력에 의해서 전기 접점 면의 한 부분을 이탈하도록 되어있어, 우산을 실제 사용할 때만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기의 차단을 해결하였다. 또한 우산을 접어 거꾸로 세웠을 때에도 쉽게 세울 수 있어 별도의 우산꽂이가 필요 없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구조체의 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이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됨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구조체가 기울어져서 볼 스위치가 꺼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이 거꾸로 세워 놓았을 때를 도시한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의 회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구조체의 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이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됨을 표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구조체가 기울어져서 볼 스위치가 꺼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이 거꾸로 세워 놓았을 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1)을 사용하지 않고 눕혀 놓거나 거꾸로 세워 놓거나, 젖은 우산을 말리기 위해 기울여 놓았을 때에는, 볼 스위치(32)의 볼(60)이 중력 작용에 의해 전기 접점(62)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전기가 차단된다.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1)을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1)을 펴고 위로 세워서 들게 되므로, 볼 스위치(32)의 볼(60)이 중력 작용에 의해 전기 접점(62)과 연결되어 전기가 통한다.
전기에너지가 전지(33)의 플러스 전극으로부터 시작되어 저항(35)을 거친 후, 발광 LED(31)와 볼 스위치(32)를 거처 다시 전지(33)의 마이너스 전극으로 이동되는 폐회로가 구성되므로, 발광 LED(31)에 불이 켜지게 된다.
삭제
삭제
이때 발광 LED(31)의 발광 방향은,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1)의 꼭지 부분에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사선으로 조사된다.
발광구조체(20)의 상층부(36)는 불투명한 재질의 납작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1)을 접어 거꾸로 세워도 자체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발광구조체(20)의 하층부(30)는 발광 LED(31)의 빛이 잘 조사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하층부(30)의 모양이 역 원뿔 모양을 이루므로, 빛의 전달 범위가 넓게 형성된다.
1: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20 : 발광 구조체
21 : 발광에 의해 표출되는 발광 영역
30 : 하층부
31 : 발광 LED
32 : 볼 스위치
33 : 전지
35 : 저항
36 : 상층부
60: 볼
62: 전기접점

Claims (1)

  1. 우산 꼭지에 설치되는 역 원뿔 형상의 발광구조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체(20)의 상층부(36)는 불투명한 재질의 납작한 원기둥 모양으로 성형되며,
    상기 발광구조체(20)의 하층부(30)는 역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층부(30)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LED(31)가 상기 하층부(30)의 사선 방향과 직각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광LED(31)는 볼 스위치(32)에 의해 전기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KR2020100003568U 2010-04-06 2010-04-06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KR200461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68U KR200461912Y1 (ko) 2010-04-06 2010-04-06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68U KR200461912Y1 (ko) 2010-04-06 2010-04-06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80U KR20110009680U (ko) 2011-10-12
KR200461912Y1 true KR200461912Y1 (ko) 2012-08-13

Family

ID=4559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68U KR200461912Y1 (ko) 2010-04-06 2010-04-06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03A (ko) 2015-03-06 2016-09-19 윔코리아 주식회사 안전 발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20B1 (ko) * 2022-07-25 2023-03-27 송현승 안전사고 방지용 우산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30Y1 (ko) 2000-01-10 2000-08-01 이승우 안전우산
KR200328525Y1 (ko) 2003-06-20 2003-09-29 민병용 멜로디와 발광겸용 우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30Y1 (ko) 2000-01-10 2000-08-01 이승우 안전우산
KR200328525Y1 (ko) 2003-06-20 2003-09-29 민병용 멜로디와 발광겸용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03A (ko) 2015-03-06 2016-09-19 윔코리아 주식회사 안전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80U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023B1 (en) Grave marker illumination assembly
US20070053203A1 (en) Illumination device
JP3186190U (ja) 発光傘
TWM340301U (en) Lighting triangular cone
KR200461912Y1 (ko)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KR101467831B1 (ko) 다기능 지팡이
KR20080083247A (ko) 다용도발광체구조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KR200435700Y1 (ko) 안전 우산
KR101137293B1 (ko) 가로등 장치
KR101026162B1 (ko) 휴대용 조명장치
KR200457237Y1 (ko)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KR200418376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JPH11299517A (ja) 発光安全傘
JP2000023720A (ja)
KR101126317B1 (ko) 엘이디조명을 이용한 우산꼭지 발광체구조
JP3068382U (ja) 警告灯付きの傘
KR200237831Y1 (ko)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JP3163571U (ja) 雨傘の改善構造
JP3008952U (ja) 警告及び照明機能付き傘
KR101783843B1 (ko) 기능성 우산
JP2007136148A (ja)
JP3072471U (ja) 工事現場等で用いられる危険地域標識のカバー
JP2006102456A (ja) 交通安全用発光点滅ステッキ
JP2000106925A (ja) 簡易発光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