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37Y1 -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 Google Patents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37Y1
KR200457237Y1 KR2020080011419U KR20080011419U KR200457237Y1 KR 200457237 Y1 KR200457237 Y1 KR 200457237Y1 KR 2020080011419 U KR2020080011419 U KR 2020080011419U KR 20080011419 U KR20080011419 U KR 20080011419U KR 200457237 Y1 KR200457237 Y1 KR 200457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p
photocoupler
le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902U (ko
Inventor
김유신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박준성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성, 김유신 filed Critical 박준성
Priority to KR202008001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3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18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g. electrical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꼭지용발광체구조로 우천시 우산꼭지에 나사조립해 사용하는 것으로, 우산의 외측 포지전체에 걸쳐 조명이 고루 미치도록 하는 미러부를 갖춘 발광체와, 포토커플러와 우산의 기울기에 따라 발광체가 점등되게 하여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RA(Rendering average)지수를 높여 우천사용자에게 식별력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며, 휴대용랜턴으로도 이용되는 우산꼭지용 발광체의 새로운 구성체로서, 발광캡의 상부에 장치된 포토커플러에 의하여,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였고, 우산에 적용해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는 발광캡의 포토커플러가 아래로 향하게 보관해 기울기센서의 동작범위에 의해 야간에도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용 비상랜턴으로도 사용하도록 한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산,발광체,기울기센서,LED,포터커플러

Description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the luminous element structure for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우천시 우산꼭지에 나사조립해 사용하는 것으로, 겉포지 전체에 조사시켜 야간보행자가 안전하도록 하는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이 우산에 조명이나 발광수단이나 설치된 선행기술로는
[문헌 1] KR 5442 U 1995. 3.20 11-12쪽, 도 3
[문헌 2] KR 39713 U 1999.11.15 도 1, 청구항1
[문헌 3] KR 202560 Y1 2000.11.15 도 2, 도 4,도 5, 청구항1
[문헌 4] KR 337580 Y1 2003.12.22 도 2, 청구항1
등의 문헌에 따르면, 우산의 손잡이내에 전지를 수납하고 우산자루에 배선을 내장후,우산꼭지에 소전구와 같은 발광체를 부설해 보행자의 위치를 알리는 것이나,간이랜턴으로 사용하는 문헌 1, 역시 손잡이내에 전지와 스위치를 형성하고, 우우산대와 우산살에 전선을 배치시켜,우산살 끝에는 소전구를 우산대 끝 꼭지에는 대전구를 발광시키고, 우산의 포지에는 야광도료층을 형성하여 구성된 우산으로 차량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존재를 확인케 하거나, 후레쉬나 차량고장시 안전표시판의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기술의 문헌 2와, 우산꼭지에 설치하는 고정지지체상에 스프링과 탄성고무커버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싱에 마련한 PCB상에 충격동작식 스위칭소자와 배터리를 내장하고, 그 상부에 투명한 캡을 형성하여, 점멸식으로 경광되는 신변품 부설용 경광체인 문헌 3과, 그리고 역시 전지와 스위치에 형성하고 광투과성 로드가 우산포 밖으로 노출되게 하고, 전선은 우산대와 우산살내부에 배치시킨 것으로 안전주의, 조명용도의 발광우산으로 문헌 4와 같이 기술들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전기술들에 따르면, 발광체나 전구의 전지나 스위치는 는 모두 우산의 손잡이에 배치함에 따라, 전지로부터 우산꼭지 또는 우산살에 이르는 발광체에 이르는 배선으로 불편이 따르며, 또한 우산대나 우산살이 접어지는 경우에는 배선처리를 위한 문제가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작과 사용이 간편한 우산꼭지용 발광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운전자들로 하여금 상기와 같은 우산살의 각 단부에 설치된 발광체나 우산꼭지에 설치된 전구에 의해서는 우산 아래쪽으로는 조명이 미치지 못해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인식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우산의 외측 포지전체에 걸쳐 조명이 고루 미치도록 하는 미러부를 갖춘 발광체와, 포토커플러와 우산의 기울기에 따라 발광체가 점등되게 하여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RA(Rendering average)지수를 높여 우천사용자에게 식별력 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며, 휴대용랜턴으로도 이용되는 우산꼭지용발광체에 대한 새로운 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광캡은 전체적으로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으로 중간이 나사조립되어 O링(13)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반부는 불투명 내상층부 캡에 저항(50)과 기울기센서(60)와 포토커플러(11)를 직렬조립해 캡내부에서 외부로 포토커플러(11)를 표출하고, 저항과 기울기센서,포토커플러는 패키징수지(60)로 고정하고, 포토커플러의 일 단자는 패키징수지의 중앙부로; 저항의 일단자는 상단부 캡내벽부에 요홈 형성한 나사부에 표출시키며,
하반부는 투명캡의 중앙상층부를 요홈 형성해 LED(12)를 내재, LED의 아노드단자는 투명캡의 저부중앙표면으로 노출되고; 캐소드단자는 상기 상단부 캡내벽부의 저항단자에 접속되게 엘이디고정수지(12a)로 고정시키고,
하반부의 중앙저부에 원뿔미러(21)의 원추부가 LED를 지향하며, 원뿔미러 중앙에 우산체결너트부(22)를 형성시켜, 밧데리전지(40)를 내장해 밧데리의 일단자는 상기 포토커플러(11)의 일단자와; 이단자는 저항(50)의 일 단자와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로서, 우천시 우산(200) 포지에 가시광선급인 파장 400nm급의 백색이 구현되도록 하여, 식별력이 우수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울기센서와 포토커플러에 의하여 LED가 점등되게 하여, 구조를 간소화 시켰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꼭지용 발광체는 고휘도 청색LED의 조명이 원뿔미러상방향에서 조사되는 구조로 인하여, 우산꼭지부에서 외방전체에 두루 조명이 조사되는 효과로 식별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산(200)의 겉포지에는 황색형광체를 도포시켜, 가시광선급인 파장 400nm급으로 자외선LED로 백색이 구현되어, RA(Rendering average)지수가 높아 우천시 우산의 식별력이 더욱 돋보이는 효과를 자아냈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캡은 내장된 기울기센서에 의하여, 우산자루를 수직으로 세운상태인 -90°부터, 우산자루를 수평에서 아래로 5°까지는 스위치온(SWITCH ON)되어 바람이 심하게 불어 우산을 비스듬히 쓴 경우에도 LED가 발광되게 한 것이며, 사용후 우산꼭지가 지면쪽인 90°부터 완전수평상태에서 손잡이쪽이 지면으로부터 5°로 상향 상태에서는 스위치오프(SWITCH OFF)되게 한 것으로 사용시 별도의 스위칭조작이 필요 없도록 하였다.
참고로, 본 고안은 포토커플러(11)에 의하여,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였고, 평시에는 분리해 발광캡의 포토커플러가 아래로 향하게 보관하면 기울기센서의 동각범위에 의해 야간에도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용랜턴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 및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
전체적으로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으로 중간이 나사조립되어 O링(13)으로 조립되는 발광캡(100)에 있어서,
상반부는 불투명 내상층부 캡에 저항(50)과 기울기센서(60)와 포토커플러(11)를 직렬조립해 캡내부에서 외부로 포토커플러(11)를 표출하고, 저항과 기울기센서,포토커플러는 패키징수지(60)로 고정하고, 포토커플러의 일 단자는 패키징수지의 중앙부로; 저항의 일단자는 상단부 캡내벽부에 요홈 형성한 나사부에 표출시키며,
하반부는 투명캡의 중앙상층부를 요홈 형성해 LED(12)를 내재, LED의 아노드단자는 투명캡의 저부중앙표면으로 노출되고; 캐소드단자는 상기 상단부 캡내벽부의 저항단자에 접속되게 엘이디고정수지(12a)로 고정시키고,
하반부의 중앙저부에 원뿔미러(21)의 원추부가 LED를 지향하며, 원뿔미러 중앙에 우산체결너트부(22)를 형성시켜, 밧데리전지(40)를 내장해 밧데리의 일단자는 상기 포토셀(11)의 일단자와; 이단자는 저항(50)의 일 단자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엘이디고정수지(12a)와 패키징수지는 에폭시,또는 실리콘중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은 후술하는 본 고안의 도 4는 본 고안의 참고회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전지(40)는 정격전압 DC 5V로 ,기울기센서(10)는 바람직하게 원기둥형 하우징내 내장된 볼이 -90°∼ -5°에서는 스위치온(SWITCH ON), 5°∼90°에서는 스위치오프(SWITCH OFF)되게 하우징이 발광캡(100) 상방향쪽으로 지향되 게 설치하며, 각 LED는 전류량 20㎃인 고휘도 LED를, 저항(20;R)은 80∼100Ω로 LED의 아노드측에 연결시켰다.
본 고안에 따른 고휘도 LED는 청색LED로 우산(200)의 겉포지에 황색형광체를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휘도의 청색 LED로부터 일부의 빛이 황색형광체에 흡수되어 노란색으로 변환되고 일부의 빛은 형광체를 통과하여 나오도록 하여, 가시광선급인 파장 400nm급으로 자외선LED로 백색이 구현되어, RA(Rendering average)지수를 높여 우천시 우산의 식별력이 더욱 돋보이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발광캡(100)의 사용상태참고도인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먼저 우산(200)의 외측 나사꼭지에 본 고안에 따른 우산체결너트부를 상호 결합해 설치하는데, 발광캡의 상반부 캡에 내장된 기울기센서에 의하여, 우산자루를 수직으로 세운상태인 -90°부터, 우산자루를 수평에서 아래로 5°까지는 스위치온(SWITCH ON)되어 바람이 심하게 불어 우산을 비스듬히 쓴 경우에도 LED에 발광되게 한 것이며, 사용후, 우산꼭지가 지면쪽인 90°부터 완전수평상태에서 손잡이쪽이 지면으로부터 5°로 상향된 상태에서는 스위치오프(SWITCH OFF)됨으로 사용에 편리하다.
참고로, 발광캡의 상부에 장치된 포토커플러(11)에 의하여,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였고, 우산에 적용해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는 발광캡(100)의 포토커플러(11)가 아래로 향하게 보관하면 기울기센서에 의해 야간에도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용 비상랜턴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발광캡의 원뿔미러(21)에 의하여, 원뿔의 원추부 상편에 마련된 고휘도 LED에 의하여, 조사된 빛은 우산의 포지에 도포된 황색형광물질을 투과하거나, 반사되어 파장 400nm급 백색가시광선이 우산포지에 투영되는 것으로 야간 우천시라도 운전자의 주의를 끌게 하는 안전한 우산용발광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발광캡은 밧데리전지(40)는 상반부의 캡을 분리하여, 전지를 재충전해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하반부가 투명체(20)로 LED직하방에 마련된 원뿔미러(21)에 의하여, 우산의 외방 전체에 두루 조사되는 것으로 식별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참고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발광캡 10:회로내장캡
11:포토커플러 12:LED
12a:LED고정수지 13:O링
20:투명체 21:원뿔미러
22:우산체결너트부
30:기울기센서 40:밧데리전지
50:저항 60:패키징수지(packaging resin)
200:우산

Claims (1)

  1. 전체적으로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으로 중간이 나사조립되어 O링(13)으로 조립되는 발광캡(100)에 있어서,
    상반부는 불투명 내상층부 캡에 저항(50)과 기울기센서(60)와 포토커플러(11)를 직렬조립해 캡내부에서 외부로 포토커플러(11)를 표출하고, 저항과 기울기센서,포토커플러는 패키징수지(60)로 고정하고, 포토커플러의 일 단자는 패키징수지의 중앙부로; 저항의 일단자는 상단부 캡내벽부에 요홈 형성한 나사부에 표출시키며,
    하반부는 투명캡의 중앙상층부를 요홈형성해 LED(12)를 내재, LED의 아노드단자는 투명캡의 저부중앙표면으로 노출하고; 캐소드단자는 상기 상단부 캡내벽부의 저항단자에 접속되게 엘이디고정수지(12a)로 고정시키고,
    하반부의 중앙저부에 원뿔미러(21)의 원추부가 LED를 지향하며, 원뿔미러 중앙에 우산체결너트부(22)를 형성시켜, 밧데리전지(40)를 내장해 밧데리의 일단자는 상기 포토커플러(11)의 일단자와; 이단자는 저항(50)의 일 단자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KR2020080011419U 2008-08-27 2008-08-27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KR200457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19U KR200457237Y1 (ko) 2008-08-27 2008-08-27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19U KR200457237Y1 (ko) 2008-08-27 2008-08-27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02U KR20080003902U (ko) 2008-09-17
KR200457237Y1 true KR200457237Y1 (ko) 2011-12-09

Family

ID=4149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419U KR200457237Y1 (ko) 2008-08-27 2008-08-27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66B1 (ko) 2013-12-12 2015-08-06 김유신 기울기 감지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59B1 (ko) * 2011-11-29 2013-06-05 이종범 형광물질을 이용한 우산꼭지 발광체
KR101701242B1 (ko) * 2014-12-08 2017-02-01 김소현 다단 자동 접힘 우산
KR101719235B1 (ko) * 2015-10-08 2017-03-23 고광준 자동 우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66Y1 (ko) 2000-01-31 2000-08-01 협성전자주식회사 우산의 야간 점멸장치
JP2001258622A (ja) 2000-03-13 2001-09-25 Seitai Yosan Yugenkoshi 傘具の発光石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66Y1 (ko) 2000-01-31 2000-08-01 협성전자주식회사 우산의 야간 점멸장치
JP2001258622A (ja) 2000-03-13 2001-09-25 Seitai Yosan Yugenkoshi 傘具の発光石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66B1 (ko) 2013-12-12 2015-08-06 김유신 기울기 감지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02U (ko)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540B1 (ko) 안전표시용 발광구
US7396146B2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CN1267677C (zh) 室外照明装置
KR100804880B1 (ko) Led 교체 전구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U2007100196A4 (en) Heat dissipating LED signal lamp source structure
KR100729910B1 (ko)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KR200457237Y1 (ko)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US20050135107A1 (en) L.E.D. lamp ring
KR20080083247A (ko) 다용도발광체구조
GB2480004A (en) An illuminated umbrella
JP2006218259A (ja) 照明杖
US20020121295A1 (en) Umbrella structure with lighting device
KR200435700Y1 (ko) 안전 우산
JP3213864U (ja) 携帯型多機能発光装置
JP2013187188A (ja) 遅延消灯効果を具えた照明装置
KR101654046B1 (ko) 차단봉
KR101212550B1 (ko) 엘이디 경광등
KR200461912Y1 (ko)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EP3734138B1 (en) Lighting apparatus
KR200469279Y1 (ko) 엘이디 램프
KR200315451Y1 (ko) 호환성을 갖는 엘이디 신호등
KR200237831Y1 (ko)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KR200386168Y1 (ko) 안전표시용 발광구 및 그를 채용한 안전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