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31Y1 -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 Google Patents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31Y1
KR200237831Y1 KR2020010009156U KR20010009156U KR200237831Y1 KR 200237831 Y1 KR200237831 Y1 KR 200237831Y1 KR 2020010009156 U KR2020010009156 U KR 2020010009156U KR 20010009156 U KR20010009156 U KR 20010009156U KR 200237831 Y1 KR200237831 Y1 KR 20023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nion
light
luminou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첸 첸
춘-유 첸
쉥-차이 후앙
Original Assignee
충-첸 첸
쉥-차이 후앙
춘-유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첸 첸, 쉥-차이 후앙, 춘-유 첸 filed Critical 충-첸 첸
Priority to KR2020010009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31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우산축 위에 발광조가 설치되며, 이 발광조는 중공 우산축 상단의 투명 유니언, 유니언 내의 신틸레이션 발광체, 발광체와 유니언 사이에 설치되는 야광칩으로 구성되며, 그중 유니언 내벽에는 톱니무늬가 형성되며, 이밖에, 중공 우산축 하단에는 전력 공급조가 설치되며, 이 전력 공급조는 손잡이 내에 전지홈이 설치되며, 전지홈 내에는 전지, 전지극과 연결되는 스프링, 전도칩, 스위치 및 중공 우산축 내의 두 전원선이 연결되고, 두 전원선은 각각 발광체의 두 극과 연결되며, 스위치는 손잡이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UMBRELLA WITH NIGHT WARNING EFFECT}
비오는 날이나 야간에 보행을 하는 경우에는 시각 범위가 현저히 낮아지며, 빛의 부족으로 인해 보행이 매우 위험할 수 있다. 하지만, 야간 보행자가 발광원(發光源)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면 운전자가 목표물을 정확히 보고 위험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에 착안해 이미 경고와 발광 효과를 지닌 우산이 이미 개발된 것은 사실이지만 기존의 개발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1) 기존 우산의 정상 전구는 집광 기능을 가지기는 했지만 조명으로 사용하기에는 전력소모가 너무 빨라 사용시간이 제약을 받는다.
2) 일반적으로 우산은 모두 위를 향하고 집광 전구의 빛도 위를 향하게 되는 데, 빛이 앞이나 뒤로 향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야간 보행자를 볼 수 없어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3) 집광 전구가 조명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우산을 가로로 들고 다녀야 되는 데 우산 길이가 약 75∼90센티미터나 되기 때문에 가로로 들고 다니는 것도불편하다.
4) 우산 정상에 설치된 조명 및 경고용 구성부품이 너무 많아 중량이 늘어나게 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안정되게 꼭 쥐지 않을 경우 우산의 중심이 기울게 되어 우산을 드는 것이 힘들게 된다.
5) 기존 경고용 전구의 빛 부족으로 인해 여러 개의 전구를 사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용전(用電) 부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6) 기존 우산 위에는 전구, 발광 캡(cap), 경고 전구를 포함하기 위해 부피가 큰 고정좌(base)와 덮개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품화에도 적절치 않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또는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의 입체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의 입체 조합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의 전체 해부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의 회로도,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의 발광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 우산축 2 : 발광조
3 : 손잡이 4 : 전력공급조
10 : 우산 11 : 우산살
12 :우산포 13 : 공동(空洞)
14 : 우산살받침 15 : 나사받침
16 : 나사캡 21 : 투명 유니언
22 : 발광체 23 :야광칩
24 : 덮개 31 : 나사관
32 : 전지홈 33 : 스위치 구멍
34 : 방수 와셔 41 :전지
42 : 스프링 43, 44 , 45 : 전도칩
46, 47 : 전원선 151 : 나사기둥
152 : 전도구멍 161, 211 : 나사구멍
162 : 전도구멍 212 : 톱니무늬
231 : 각뿔체
본 고안은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으로서, 한 개의 중공(中空) 우산축, 중공 우산축 위의 여러 개의 방사형 우산살, 우산 살 위의 방수포, 중공 우산축 정상의 발광조, 우산축 하부의 손잡이 및 손잡이 내부의 전력공급조로 구성이 된다. 그중, 발광조는 중공 우산축 상단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투명(透光性) 유니언, 유니언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체, 발광체와 유니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야광칩 및 유니언 위에 봉합되어 있는 덮개조로 구성이 되며, 발광체를 빌어 전력을 얻은 후 빛을 발하고 이 빛은 야광칩을 통과한 후 야광칩 내의 야광체가 레이저 반응을받아 빛의 강도를 증가하게 되고 야광은 다시 투명 유니언 내벽의 굴절무늬를 통해 굴절된 후 밝은 굴절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원거리 경고 효과를 나타나게 되어 야간 보행시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의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우산(10)은 한 개의 중공 우산축(1), 여러 개의 방사형 우산살(11), 방수포(12), 발광조(2), 손잡이(3) 및 전력공급조(4)로 조합되어 있으며, 조합 후의 외관은 도 2와 같다.
상기의 중공 우산축(1)의 내부에는 공동(空洞)(13)이 있고, 중공 우산축(1) 상단에는 우산살받침이 설치되어 있다. 우산산받침(14)에는 여러 개의 방사형으로 배열된 우산살(11)이 연결되어 있고, 우산살(11)의 표면은 방수포(12)로 덮여 있다.
우산살받침(14) 위에는 나사받침(15)이, 이 나사받침(15)위에는 나사기둥(151)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며 전원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152)이 있다. 이밖에, 중공 우산축(1) 하단에는 나사캡(16)이 연결되는 데, 나사캡(16) 내부에는 나사구멍(161)과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며 전원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162)이 설치된다.
상기의 발광조(2)는 투명 유니언(21), 발광체(22), 야광칩(23) 및 덮개(24)로 구성된다. 그중 투명 유니언(21)은 투관 구조로, 그 하단에는 나사구멍(211)이 설치되고 투관 내벽에는 세로 방향 톱니무늬(212)를 형성한다. 투관(21)내에는 야광칩(23)이 삽입되며, 투관 위의 입구에는 덮개(24)로 밀폐되어 빗물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핸들(3)은 J자로 굽은 모양으로 그 정상에는 나사관(31)이 설치되어 중공 우산축(1) 아래의 나사캡(16) 안으로 나사 연결되고, 나사구멍(161)과 나사 고정된다. 또 물과 공기가 손잡이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 연결부위에 방수 와셔(34)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핸들(3)의 내부는 위에서 아래로 중공 전지홈(32)이 있으며, 손잡이 중간에 구멍(33)을 뚫어 우산 스위치(48)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전력공급조(4)는 여러 개의 전지(41), 한 개의 스프링(42), 전도칩(43, 44, 45), 전원선(46, 47), 스위치(48)로 구성이 된다. 그중, 스프링(42)은 전지홈(161)의 아래부위에 설치가 되고 위에서 아래로 전도칩(43), 스위치(48), 전도칩(44) 및 전원선(46)과 연결된다. 전도칩(45)은 나사캡(16) 내에 위치하여 전원선(47)과 연결된다.
도 3의 전체 해부도를 보면, 중공 우산축(1)의 정상은 나사받침(15)의 나사기둥(151)과 투명 유니언(21)의 나사구멍(211)으로 나사 연결되어 있다. 발광체(22)는 유니언(21) 중앙부에 설치되어 나사받침(15)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니언(21)과 발광체(22) 사이에는 한 개의 야광칩(23)이 놓여진다. 이밖에, 중공 우산축(1) 하단의 나사캡(16)은 손잡이(3)와 나사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손잡이의 전지홈(32) 안에는 전지(41)가 놓이게 된다. 스프링(42) 위에는 전지(4) 하부의 음극이 놓이게 되고, 스위치(48)의 버튼(481)이 스위치 구멍(33) 밖으로 튀어나오게 되며, 전지(41) 상단의 양극은 전도칩(45)과 접촉을 하게 된다. 전선(46, 47)은 유니언(16)의 전도구멍(162)을 위로 통과하여 다시 중공 우산축(1)의 공동(13)을 통과한 후 마지막으로 다시 나사받침(15)의 전도구멍(152)을 통과하여 발광체(22)의 두 극과 연결되게 되는 데, 이렇게 하여 도 4와 같은 전원 회로를 완성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481)을 밀게 되면 스위치(48)가 두 전도칩(43, 44)과 연결이 되고, 이렇게 되면 발광체(22)(크리스마스등)는 전력을 얻어 반짝이며 빛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보면, 야광칩(23)의 한 표면은 반들반들한 평면이고 또 다른 한 면은 여러 각뿔체(231)를 이룬다. 광선이 야광칩(23)을 통과한 후 레이저 반응을 받아 광원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강한 야광은 다시 투명 유니언(21)의 톱니무늬(212)를 통해 굴절된 후 밝은 굴절 효과를 발생하게 되는 데, 야광칩(23)이 노란색일 경우 노란빛을 발하게 되고, 야광칩이 붉은색일 경우에는 붉은색을 발하게 된다. 본 고안 발광조(2)가 발생하는 빛의 강도는 기존의 단일 발광체의 빛보다 강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야간 보행자를 발견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본 고안 발광조(2)는 부피가 작고 가볍고 미관과 내구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손에 들고 사용할 때 부담이나 무게 중심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예를 볼 때 최소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 우산 상단에 자발적인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광원을 설치함으로써운전자가 야간 보행자의 위치를 정확히 볼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2) 발광조를 통해 발생하는 광원의 강도가 기존의 강도보다 강하고 또 전력 소모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간(20시간 이상)을 늘이고 전원 낭비를 방지한다.
3) 우산 정상에 설치된 발광 구조물이 지극히 가볍고 부피가 작고 미관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휴대시 부담을 주지 않는다.
4) 단순한 부품과 구조로 생산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낮아 상품화 개발 가치가 있다.

Claims (4)

  1. 한 개의 중공(中空) 우산축, 중공 우산축 위의 여러 개의 방사형 우산살, 우산 살 위의 방수포, 중공 우산축 정상의 발광조, 우산축 아래의 손잡이 및 손잡이 내부의 전력공급조로 구성이 되며,
    중공 우산축 상단에 나사 조립되어 있는 투명 유니언, 유니언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체, 발광체와 유니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야광칩 및 유니언 위에 봉합되어 있는 덮개조로 조합되며,
    발광체를 빌어 전력을 얻은 후 빛을 발하게 되며 빛이 야광칩을 통과한 후 그 야광칩 내의 야광체가 레이져 반응을 받아 빛의 강도를 증가하게 되고 야광은 다시 투명 유니언을 통해 사방으로 굴절되어 나아가 원거리 경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유니언 내벽에 톱니무늬를 형성하여 야광이 굴절무늬를 통과한 후 밝은 굴절 효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니언 하단에 나사형 홈을 설치하고 중공 우산축 상단에는 나사받침을 설치하며, 나사받침 위에 나사기둥을 두어 상기의 유니언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하고나아가 유니언이 나사받침 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야광칩의 한 표면은 반들반들한 평면이고 또 다른 한 면은 여러 개의 각뿔체로써 집광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KR2020010009156U 2001-04-02 2001-04-02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KR20023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56U KR200237831Y1 (ko) 2001-04-02 2001-04-02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56U KR200237831Y1 (ko) 2001-04-02 2001-04-02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31Y1 true KR200237831Y1 (ko) 2001-10-10

Family

ID=7309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156U KR200237831Y1 (ko) 2001-04-02 2001-04-02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17B1 (ko) * 2009-05-22 2012-03-23 최동연 엘이디조명을 이용한 우산꼭지 발광체구조
CN115273696A (zh) * 2022-08-30 2022-11-01 王如意 一种电力电缆聚光式警示桩
CN115273696B (zh) * 2022-08-30 2024-05-24 河北天能电力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力电缆聚光式警示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17B1 (ko) * 2009-05-22 2012-03-23 최동연 엘이디조명을 이용한 우산꼭지 발광체구조
CN115273696A (zh) * 2022-08-30 2022-11-01 王如意 一种电力电缆聚光式警示桩
CN115273696B (zh) * 2022-08-30 2024-05-24 河北天能电力器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力电缆聚光式警示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3203A1 (en) Illumination device
US6152491A (en) Ski pole incorporating successive intermittent flashing and high-intensity lighting assemblies
US10859254B2 (en) Luminous protective fence
KR200435700Y1 (ko) 안전 우산
KR200237831Y1 (ko) 야간 경고 효과를 지닌 우산
JP2002138426A (ja)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US20020121295A1 (en) Umbrella structure with lighting device
KR200457237Y1 (ko)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JPS57178949A (en) Monitoring device of car head lamp
US20060096625A1 (en) Illuminated umbrella
KR101654046B1 (ko) 차단봉
KR200423811Y1 (ko) 빛이 나는 우산
US20040156195A1 (en) Illuminated acrylic flashlight and tool chest light utility light
KR200243419Y1 (ko) 발광신발
JP2007136148A (ja)
CN211268926U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安全雨伞
KR101126317B1 (ko) 엘이디조명을 이용한 우산꼭지 발광체구조
KR20110009680U (ko) 절전형 안전 발광 우산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JP3342419B2 (ja) 雨傘用発光装置
CN208519678U (zh) 多功能感应式车灯
CN206555895U (zh) 一种智能夜间专用山地自行车灯装置
KR200254571Y1 (ko) 발광신발
JP3073930U (ja) 警告灯機能を有する傘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