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66B1 - 기울기 감지 스위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감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66B1
KR101542566B1 KR1020130154648A KR20130154648A KR101542566B1 KR 101542566 B1 KR101542566 B1 KR 101542566B1 KR 1020130154648 A KR1020130154648 A KR 1020130154648A KR 20130154648 A KR20130154648 A KR 20130154648A KR 101542566 B1 KR101542566 B1 KR 10154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terminal
power supply
contact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691A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102013015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02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position, inclination or orientation of the switch itself in relation to gravitational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자(6)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단자(6)에서 자유롭게 회전 유동하는 전도구(7)와, 단자(6) 하부에 접촉되어 설치하는 전원부(2)와, 전원부(2)의 전원을 밝히도록 전원부(2)의 플러스 마이너스 단자를 통전하게 하여주는 전도체(30)와, 전원부(2) 하부에 설치하는 접촉단자(31)를 갖춘 회로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울기 감지 스위치{cline sensing switch}
본 발명은 물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접점 등의 스위치 작동하는 기울기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공개번호 : 10-1996-0024254 (공개일자 : 1996.07.20)
[문헌2] 특허공개번호 : 10-2007-0100943(공개일자 : 2007.10.15)
[문헌3] 특허공개번호 : 10-2003-0092494(공개일자 : 2003.12.06)
상기 문헌에서 보듯이, 기울기에 따라 그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 장치는 여러 형태의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헌들과는 다른 구조의 톡특한 형상과 구조로 소정의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시 매우 편리하게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기울기 감지센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자(6)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단자(6)에서 자유롭게 회전 유동하는 전도구(7)와, 단자(6) 하부에 접촉되어 설치하는 전원부(2)와, 전원부(2)의 전원을 밝히도록 전원부(2)의 플러스 마이너스 단자를 통전하게 하여주는 전도체(30)와, 전원부(2) 하부에 설치하는 접촉단자(31)를 갖춘 회로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 상부에는 축(35)이 형성되고, 축(35) 외주에 전도구(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도체(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 내경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도부(34)와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전도부(3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싱(1) 하부에는 회로부(4)를 보호하고 발광을 돕는 커버(16)를 갖춘 캡(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캡(11) 하부에는 홈(18)이 형성된 수용체(12)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싱(1)은 상단부에서 천정부(36)를 형성하되, 천정부(36)와 단자(6) 사이 거리는 전도구(7)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 외의 다른 추가적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장치나 기구에 설치하여, 기울기에 따른 접점 등이 이루어져 작동되는 모든 기기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한 예를 들어, 특히 우산 등에 적용하여 우산을 뒤집어 놓으면 발광이 되지 않는 등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든 물품이나 기기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분해 조립이 편리하고 고장이 거의 없는 견고한 구조이며, 수용체(12)의 변형으로 어떠한 물품에 대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감지센서의 장착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전에 의한 발광 및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도이다.
도 4 는 전도구(7)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기울기에 따른 온 오프 접점을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케이싱(1) 내에 전원부(2)가 들어가고 그 상부에 단자(6)가 구성되며, 단자(6)에는 도전성의 구슬인 전도구(7)가 설치되어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며, 그 상부에는 하우징(3)이 덮으며 하부에는 회로부(4)가 구성되되, 회로부(4)에는 조명구가 장착되어 접점에 따라 발광되게 구성된다.
회로부(4)는 기판으로 이루어진 곳에 회로가 구성되는 바, 이 회로는 전도구(7)의 기울기에 접점을 감지하여 온/오프 작동되게 하는 회로부이다.
도 2 는 도 1 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 상단에는 하우징(3)이 조립될 수 있게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케이싱(1) 하부에는 캡(11)이 결합되는데, 케이싱(1)과 캡(11)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고 결합을 확실하게 하며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이나 고무 재질의 링(10)이 케이싱(1) 외주에 끼워진다.
캡(11)은 내부에 도 1 에 도시한 조명구를 갖춘 회로부(4)가 삽입되며, 이 회로부(4)를 보호하고 빛의 발광을 확산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갓 형상의 커버(16)가 설치된다.
수용체(12)는 캡(11)의 하부에서 삽입되며 결합부(17)가 형성되어 끼워 넣거나 나사 조립으로 결합 가능하다. 수용체(12) 하단부는 오목한 홈(18)이 형성되어 장착대(20) 등에 끼워진다. 장착대(20)는 예를 들어 우산대(20)이거나 기타 조명을 밝히고자 하는 어떠한 부재이든 상관 없이 설치 가능하다.
도 3 은 도전에 의한 발광 및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2)는 플러스 마이너스가 접점되어야 발광이 되는바, 이 플러스 마이너스 접점을 위한 전도 수단으로 전도체(30)가 수직으로 길게 설치된다.
전도체(30)는 예를 들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전도체(30) 하단은 회로부(4)가 장착되는 접촉단자(31)와 접하고 상부는 단자(6)와 접하는 것 여부에 따라 발광이 되게 구성한다.
도 1 에서 보듯이, 전도체(30)는 케이싱(1) 상부 내경에까지 올라가도록 설치되되, 단자(6)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는다. 단자(6)와의 접촉은 전도구(7)를 매개로하여 접촉이 이루어진다.
도 4 는 전도구(7)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구(7)가 측면도에서 보듯이 좌측에 있으면 전기가 통하는 상태가 되어 회로부(4)의 조명에서 불이 들어온다. 이 경우, 전도체(30)의 상단부 내경에는 통전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도부(34)가 이루어지고 우측 일부에는 통전 불가능하게 불전도물질로 도포하여 두거나 부도체 재질의 것을 결합시켜 둔다.
따라서 전도구(7)가 비전도부(33)에 접하게 되면, 단자(6)와 전도구(7)와 전도체(30) 사이가 통전되지 못하므로 결국 회로부(4)의 조명에 불이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비전도부(33)는 약 90도 각도 범위 전후로 그 폭을 주어서 이 위치에 도전구(7)가 위치하면 통전되지 못하게 되어 블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도면에서는 비록 전도구(7)가 케이싱(1)의 상부에 구성되는 축(35) 외주에서 자유롭게 그 주변을 돌도록 구성되되, 축(35)의 외주와 전도부(34) 및 비전도부(33)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구(7)와의 유격은 거의 없는 접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접점이 이격되어 회로부(4)의 조명에서 발광되지 못하는 부작동이 일어나지 않토록 한다. 전도구(7)는 마치 베어링이 설치된 구조라고 보면 된다. 즉, 베어링은 기울기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되, 항상 접점을 이룬 상태로 구름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베어링의 구슬과 같은 상태로 전도구(7)가 설치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도 5 는 기울기에 따른 온 오프 접점을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참고도이다.
그리고 전도구(7)가 케이싱(1) 상단부 내경의 천정부(36)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기적 접점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명이 밝혀지지 못한다. 즉, 이렇게 작동되기 위하여는 단자(6)와 천정부(36)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있어 전도구(7)가 단자(6)에서 이격되어 멀어 질 수 있도록 틈새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작동 상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를 도 1 의 장착대(20)가 우산의 최상단부의 꼭지 부분이라면, 우산을 뒤집을 경우, 조명이 발하여지지 못하게 되어 자동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예는 우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원리로 뒤집거나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전원이 자동 온/오프되게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회로부(4)에 의한 작동이 조명의 온/오프 작동이지만 전동 휠체어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휠체어의 기울기 등에 따른 동작 정지의 작동제어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활용하여 소정의 기구에 장착하면, 그 기구가 위치적 변화에 따라 전원이나 조명 또는 움직임의 작동이 자동으로 온/오프 작동되게 할 수 있어, 본 장치의 원리적 기구를 이용하여, 산업적 여러 기술 분야에서 널리 편리하게 활용 가능하다.
1 케이싱 2 전원부
4 회로부 6 단자
7 전도구 10 링
11 캡 12 수용체
16 커버 18 홈
20 장착대 30 전도체
31 접촉단자 33 비전도부
34 전도부 35 축
36 천정부

Claims (6)

  1.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자(6)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단자(6)에서 자유롭게 회전 유동하는 전도구(7)와,
    케이싱(1) 내부에서 단자(6) 하부에 접촉되어 설치하는 전원부(2)와,
    전원부(2)의 플러스 마이너스 단자를 통전하게 하여주는 전도체(30)와,
    전원부(2) 하부에 설치되는 접촉단자(31)를 갖춘 회로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 상부에는 축(35)이 형성되고 축(35) 외주에 전도구(7)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1)은 상단부에서 천정부(36)를 형성하되, 천정부(36)와 단자(6) 사이 거리는 전도구(7)가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도체(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싱(1)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단부 내경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도부(34)와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전도부(3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 하부에는 회로부(4)를 보호하고 발광을 돕는 커버(16)를 갖춘 캡(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11) 하부에는 홈(18)이 형성된 수용체(12)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 스위치.
  6. 삭제
KR1020130154648A 2013-12-12 2013-12-12 기울기 감지 스위치 KR10154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48A KR101542566B1 (ko) 2013-12-12 2013-12-12 기울기 감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48A KR101542566B1 (ko) 2013-12-12 2013-12-12 기울기 감지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1A KR20150068691A (ko) 2015-06-22
KR101542566B1 true KR101542566B1 (ko) 2015-08-06

Family

ID=5351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48A KR101542566B1 (ko) 2013-12-12 2013-12-12 기울기 감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053U (ja) 1995-03-22 1995-09-26 峰利 寺田 非常灯
JP2004229950A (ja) * 2003-01-31 2004-08-19 Sadao Tsukuda 石突
JP2006258695A (ja) * 2005-03-18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傾斜角センサ
KR200457237Y1 (ko) 2008-08-27 2011-12-09 박준성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053U (ja) 1995-03-22 1995-09-26 峰利 寺田 非常灯
JP2004229950A (ja) * 2003-01-31 2004-08-19 Sadao Tsukuda 石突
JP2006258695A (ja) * 2005-03-18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傾斜角センサ
KR200457237Y1 (ko) 2008-08-27 2011-12-09 박준성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1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5515A1 (en) Keypad Having Illuminated Buttons
US9848479B2 (en) Faceplate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in a load control system
KR200482830Y1 (ko) 캔들워머
US8303333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light-emitting power connector
JP5753515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7374309B2 (en) Waterproof, miniature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
KR200476735Y1 (ko) 기울기에 따른 조명구
US7330115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KR101542566B1 (ko) 기울기 감지 스위치
KR101757284B1 (ko) 문고리 거치형 조명 장치
ES2666004T3 (es) Toma de corriente eléctrica con toma de tierra
KR101279298B1 (ko)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1233A (ko) 스마트 조명 장치
JP6128480B2 (ja) Ledランプ
KR101591495B1 (ko)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KR20160085596A (ko) 센서가 구비된 실리콘 무드등
JP2017168209A (ja) 照明器具および報知方法
KR20120073556A (ko) 엘이디 경광등
US9285106B2 (en) Rotary optically controlled LED night lamp
JP2009181834A (ja) センサーライト
KR101324834B1 (ko)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JP2013055024A (ja) 発光装置
JP3179912U (ja) 照明装置
KR101424633B1 (ko) 엘이디 전구
JP2012178313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