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834B1 -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834B1
KR101324834B1 KR1020130054929A KR20130054929A KR101324834B1 KR 101324834 B1 KR101324834 B1 KR 101324834B1 KR 1020130054929 A KR1020130054929 A KR 1020130054929A KR 20130054929 A KR20130054929 A KR 20130054929A KR 101324834 B1 KR101324834 B1 KR 10132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odule
lighting
power supply
lower substr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영남
Original Assignee
설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영남 filed Critical 설영남
Priority to KR102013005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선을 제거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to be able to providing power wireless}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선을 제거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이나 책상 등에 올려 사용하는 조명 장치는 케이스 내에 램프가 결합된 상태의 소켓이 내장되며, 상기 소켓은 전원선과 연결되고, 그 전원선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소켓으로 단절되거나 접속되게 하는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조명 장치는 통상적으로 탁상이나 책상 등에 올려져 부분적인 국부 조명 형태로 점등되면서 독서를 하거나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침대 옆의 협탁 등에 올려져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조명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출된 상태의 스위치를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눌러 내부의 소켓에 전원이 인가되게 함에 따라 작동시키고 또한 이를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스위치를 터치하거나 눌러 작동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된 구성을 구비하는 조명등은 스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구조임에 따라, 스위치가 필연적으로 외부에 노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외관이 간결하거나 깔끔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 케이스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스위치에 의한 공간적 또는 위치상의 설계 제약으로 인해 다양성을 꾀하는데 어려움을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조명등은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스위치 역시 반드시 노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점등된 상태의 조명등은 조명등의 주변이 지나치게 밝아 스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어두운 실내에서 상기와 같은 조명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스위치를 더듬어가며 찾아 이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스위치를 더듬어가며 찾아 작동시켜야 하므로 조명등의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과정에서 조명등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던 각종 물품들을 떨어트려 파손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10-1022062호(발명의 명칭 :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등록특허 제10-1022063호(발명의 명칭 :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조명 장치)를 발명하여 특허등록 받기에 이르렀다. 즉,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조명등이 근접됨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게 구성된 조명 장치를 발명하여 특허 등록받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록특허는 한 쌍의 투광성 커버체 내에 램프를 내장하고, 이들 각각의 커버체 내부에는 마그네틱 센서와 마그네트를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 커버체가 이격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게 하고, 상기 커버체가 근접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게 한 분리형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된 조명장치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한 쌍의 커버체에 컨트롤러와 전원공급선이 연결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ⅰ) 상술된 조명 장치는 반드시 외부 전원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ⅱ) 한 쌍의 커버체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2개의 커버체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ⅲ) 전선이 불필요하게 존재하게 됨에 따라 전선에 의해 사용자가 걸려넘어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으며, 그리고 (ⅳ) 2개의 커버체 각각에 전원이 연결되게 됨으로써 디자인적으로도 심미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술된 조명 장치는 단순히 (ⅴ) 마그네틱과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조명의 온/오프만을 제어할뿐 조명의 세기라든지 조명의 색깔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던 중,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선을 제거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력선 없이 무선으로 조명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체를 포함하는 상부 기판이 하부 기판 상에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조명 모듈의 밝기가 조절되거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조명 장치가 서로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됨에 따라 조명 모듈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 상기 하부 기판 상부측에 제공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하측에는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용 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전원 공급용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 라인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기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혹은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은 플러스 라인 및 마이너스 라인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기판에는 N극과 S극의 한 쌍의 마그네틱이 제공되며, 상기 조명 모듈은, 마그네틱 센서 및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기판에는 N극과 S극의 한 쌍의 마그네틱이 제공되며, 상기 조명 모듈은, 빨강(R), 초록(G) 및 파랑(B) LED 광원; 마그네틱 센서; 및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상기 LED 광원들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의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기판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기판은 서로 분리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제1 상부 기판은 제1 조명 모듈 및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상부 기판은 제2 조명 모듈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 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명 모듈의 내부 저항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조명 모듈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그로 인해 상기 제1 조명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하고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력선 없이 무선으로 조명 장치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더욱이, 하부 기판 내에 2차 배터리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휴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조명 장치가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전원선이 배제됨에 따라 조명 장치가 디자인적으로도 심미감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체를 포함하는 상부 기판이 하부 기판 상에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조명 모듈의 밝기가 조절되거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조명 장치가 서로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됨에 따라 조명 모듈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조명 장치를 하부 기판의 특정한 위치에 놓거나 또는 자신이 원하는 이격 거리를 설정하여 위치시켜 놓음으로써, 사용 의도에 따라 원하는 조명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조명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상부 기판(20)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조명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상부 기판(2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조명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상부 기판(20)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조명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상부 기판(2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는 하부 기판(10), 상부 기판(20) 및 조명 모듈(30)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기판(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러그(40) 혹은 2차 배터리(40') 및 상부 기판(20)과 조명 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판(10)은 커버체(80)가 놓여질 수 있도록 일정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11a, 11b)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조명 모듈(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11a, 11b)은 플러스(+) 라인 및 마이너스(-) 라인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제공되며, 직류 전원이 라인을 통하여 흐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 라인(11a, 11b)은 하나 이상 존재하고 전력 공급 라인의 간격은 후술되는 상부 기판(20)의 전원 공급용 단자(21a, 21b)의 간격 및 개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전력 공급 라인(11a, 11b)은 그 재질이나 두께가 직류 전원이 통전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력 공급 라인(11a, 11b)이 시인 가능한 두께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적으로는 두께가 매우 얇음을 유의한다.
상부 기판(20)은 하부 기판(10)의 상부측에 제공되며 자유롭게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20)의 하측에는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용 단자(21a, 21b)가 제공되게 된다(도 3(b) 참조). 이러한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는 상술된 하부 기판(10)의 전력 공급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후술되는 조명 모듈(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 공급용 단자(21a, 21b)는 그 개수나 간격이 상술된 전력 공급 라인(11a, 11b)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조명 모듈(30)은 상부 기판(20)과 연결되며, 빛을 발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모듈(30)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조명(31a, 31b, 31c) 및 이러한 조명이 부착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조명 모듈(30)은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인가시켰을 때 광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도시하였으나,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광을 발산하는 백열전구나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이 조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한편, 상부 기판(20)과 조명 모듈(30)의 전기적인 연결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부 기판(10)에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11a, 11b)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40)(도 1 참조) 혹은 2차 배터리(40')(도 2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40)가 하부 기판(10)에 제공되는 경우, 플러그(40)가 외부 전원(도시 안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하부 기판(10)의 전력 공급 라인(11a, 11b), 상부 기판(20)의 전원 공급용 단자(21a, 21b) 및 조명 모듈(30)로 전력 공급이되어 조명이 작동할 수 있게 한다.
2차 배터리(40')가 하부 기판(10)에 제공되는 경우, 2차 배터리(40') 자체의 전력이 하부 기판(10)의 전력 공급 라인(11a, 11b), 상부 기판(20)의 전원 공급용 단자(21a, 21b) 및 조명 모듈(30)로 전력이 공급되어 조명이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2차 배터리(40')로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이러한 2차 배터리(40')는 USB 포트/커넥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로부터 충전되거나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커버체(50)는 상부 기판(20)과 조명 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0)에서 조명의 외관을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커버체(50)는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으로서 반투명의 투광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커버체(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기판(20)과 조명 모듈(3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한 그 재질이나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체(5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선을 배제할 수 있으며, 하부 기판(10)과 커버체(50)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20)의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수행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조명 모듈(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커버체(50)가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원선이 배제됨에 따라 조명 장치(100)가 디자인적으로도 심미감이 향상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는 하부 기판(10)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마그네틱(61, 62) 및 조명 모듈(30)에 제공되는 마그네틱 센서(70) 및 제어부(도시 안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마그네틱(61, 62)은 각각 N극(61) 및 S극(62)으로 구성되며, 하부 기판(10)에 양 측면에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N극(61) 및 S극(62)이 제공됨으로 인하여 하부 기판(10)에는 보이지 않는 자기장이 형성되게 된다.
마그네틱 센서(70)는 상술된 한 쌍의 마그네틱(61, 6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감지된 자력의 세기를 후술되는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마그네틱 센서(70)는 조명 모듈(30)의 고정판에 부착 및 고정되게 된다.
제어부는 마그네틱 센서(7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조명 모듈(30)의 밝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각 광원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조명 모듈(30)의 색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명 장치(100)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커버체(80)를 하부 기판(10) 상에 일정한 위치에 놓거나 이를 다양한 위치로 움직이는 경우, 마그네틱 센서(70)는 하부 기판(10)에서 위치에 따라 상이한 자력의 세기를 감지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한 쌍의 마그네틱(61, 62)은 하부 기판(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틱(61, 62)으로 멀리 떨어질수록 자력의 세기 및 크기가 약해지므로, 커버체(80)가 하부 기판(10)에 놓이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자력이 감지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제어부에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자력의 크기 및 세기가 전달되고, 제어부는 이러한 자력의 크기 및 세기에 따라 조명 모듈(30)의 조명(31a, 31b, 31c)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조명모듈(30)의 밝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조명 모듈(30)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예를 들어, 조명(31a, 31b, 31c)이 모두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경우에는 조명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조명 모듈(3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조명(31a, 31b, 31c)이 각각 빨랑(R), 초록(G) 및 파랑(B) LED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광원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고 그로 인해 조명 모듈(30)의 색상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체(50)가 하부 기판(10) 상에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조명 모듈(30)의 밝기가 조절되거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조명 장치(100)를 하부 기판(10)의 특정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사용 의도에 따라 원하는 조명의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는 터치 스위치(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위치(80)는 하부 기판(10)에 제공되며 전력 공급 라인(11a, 11b)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80)를 오프하는 경우에는 전력 공급 라인(11a, 11b)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하부 기판(10) 상에 커버체(80)가 놓여지더라도 조명 모듈(30)에 조명이 들어오지 않게 되며,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80)를 온하는 경우에만 전력 공급 라인(11a, 11b)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수행되기 때문에 다시 조명이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커버체(80)가 하부 기판(10) 상에 있는 경우에도 필요에 의해 조명을 온/오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100)와 비교했을 때, 서로 분리된 2개의 조명 장치로 구성된다는 점 및 분리된 2개의 조명 장치의 이격 거리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변동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함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상부 기판이 서로 분리 형성된 제1 상부 기판(20) 및 제2 상부 기판(20')으로 구성된다.
제1 상부 기판(20)은 제1 조명 모듈(30)을 포함하고, 제1 상부 기판(20) 하측에는 전원 공급용 단자(21)가 제공되며, 제1 조명 모듈(30)에는 LED 조명(31a, 31b)이 제공된다. 또한 제1 조명 모듈(30)에는 마그네틱 센서(70)가 부착 및 고정된다.
제2 상부 기판(20')은 제2 조명 모듈(30')을 포함하고, 제2 상부 기판(20') 하측에는 전원 공급용 단자(21')가 제공되며, 제2 조명 모듈(30')에는 LED 조명(31a', 31b')이 제공된다. 또한 제2 조명 모듈(30')에는 마그네틱(71)가 부착 및 고정된다.
이때, 제1 조명 모듈(30)은 제어부(도시 안됨)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어부는 마그네틱 센서(70)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제1 조명 모듈(30)의 밝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는 마그네틱 센서(70)로부터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즉, 2개의 조명 장치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 자기장의 세기는 0이며 2개의 조명 장치가 접촉하는 경우 자기장의 세기는 일정한 값이므로 조명 장치의 이격 거리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선형적으로 변화하게 됨) 제1 조명 모듈의 저항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광원(31a, 31b)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1 조명 모듈(30)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커버체(50, 50')가 서로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이격됨에 따라 제1 조명 모듈(30)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2개의 커버체(50, 50')를 자신이 원하는 이격 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 의도에 따라 원하는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부 기판
11a, 11b : 전력 공급 라인
20, 20' : 상부 기판
21, 21a, 21b : 전원 공급용 단자
30, 30' : 조명 모듈
31a, 31b, 31c, 31a', 31b' : 조명
40 : 플러그
40' : 2차 배터리
50, 50' : 커버체
61, 62 : 마그네틱
70 : 마그네틱 센서
71 : 마그네틱

Claims (8)

  1.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
    상기 하부 기판 상측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측을 따라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연결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하측에는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용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전원 공급용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 라인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공급용 단자가 상기 전력 공급 라인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조명 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혹은 2차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라인은 플러스 라인 및 마이너스 라인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에는 N극과 S극의 한 쌍의 마그네틱이 제공되며,
    상기 조명 모듈은,
    마그네틱 센서 및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에는 N극과 S극의 한 쌍의 마그네틱이 제공되며,
    상기 조명 모듈은,
    빨강(R), 초록(G) 및 파랑(B) LED 광원;
    마그네틱 센서; 및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상기 LED 광원들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의 색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은 서로 분리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제1 상부 기판은 제1 조명 모듈 및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상부 기판은 제2 조명 모듈 및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 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자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명 모듈의 내부 저항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조명 모듈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고, 그로 인해 상기 제1 조명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20130054929A 2013-05-15 2013-05-15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KR10132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929A KR101324834B1 (ko) 2013-05-15 2013-05-15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929A KR101324834B1 (ko) 2013-05-15 2013-05-15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834B1 true KR101324834B1 (ko) 2013-11-01

Family

ID=498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929A KR101324834B1 (ko) 2013-05-15 2013-05-15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91A (ko) *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806U (ja) * 2003-06-25 2004-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照明具
KR20090124370A (ko) * 2008-05-30 2009-12-03 송재열 엘이디 조명유닛
KR20120076197A (ko) * 2010-12-29 2012-07-09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엘이디램프 조립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806U (ja) * 2003-06-25 2004-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照明具
KR20090124370A (ko) * 2008-05-30 2009-12-03 송재열 엘이디 조명유닛
KR20120076197A (ko) * 2010-12-29 2012-07-09 엘이디라이텍(주) 자동차용 엘이디램프 조립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91A (ko) * 2016-12-15 2018-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01067B1 (ko) * 2016-12-15 2023-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849B2 (en) Rechargeable lamp system with lamp unit and docking station
US9033569B2 (en) Lamp holder has built-in night light
US20080089075A1 (en) Illuminating ornament with multiple power supply mode switch
US8947043B2 (en) Light with integrated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CN204268315U (zh) 一种磁悬浮led灯
EP3061323B1 (en) Attachable lighting control apparatus
US9033539B2 (en) LED device has built-in removable LED-lights
US9271343B2 (en) Head lamp
CN104456366A (zh) 一种磁悬浮led灯
WO2019104530A1 (zh) 一种便携式磁吸感应灯
US20160061426A1 (en) Luminous Shoe
US20180302964A1 (en) Usb-powered utility tool
KR101324834B1 (ko)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US20190313511A1 (en) Lighting Device That Boosts Light Output When Motion Is Detected
KR101212550B1 (ko) 엘이디 경광등
CN205093022U (zh) 控制装置、以及照明装置
KR200473454Y1 (ko) 램프형 led스탠드
US20190242537A1 (en) Separable recharge nightlight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KR101692027B1 (ko)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CN204629323U (zh) 一种智能台灯
CN211902654U (zh) 一种应急无线充电台灯
KR20120129070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JP2012185987A (ja) センサ付き照明器具
KR20150063980A (ko) Led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