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027B1 -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027B1 KR101692027B1 KR1020140062615A KR20140062615A KR101692027B1 KR 101692027 B1 KR101692027 B1 KR 101692027B1 KR 1020140062615 A KR1020140062615 A KR 1020140062615A KR 20140062615 A KR20140062615 A KR 20140062615A KR 101692027 B1 KR101692027 B1 KR 101692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eiling
- lighting
- power
- illum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조명부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부를 구비시켜, 평상시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실내의 전체조명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축전부가 축전되도록 하고, 전체조명 이외의 다른 용도의 조명장치기가 필요할 경우 조명부를 분리시켜 축전부에 축전된 전력으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 배치하여 독서등 또는 무드등의 부분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독립적인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조명, 부분조명 및 휴대조명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고, 이동성이 뛰어나며, 활용도를 향상시킨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천장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가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으로 사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탁상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 또는 탁상형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타단부에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천장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가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으로 사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탁상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 또는 탁상형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타단부에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조명부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부를 구비시켜, 평상시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실내의 전체조명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축전부가 축전되도록 하고, 전체조명 이외의 다른 용도의 조명장치기가 필요할 경우 조명부를 분리시켜 축전부에 축전된 전력으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 배치하여 독서등 또는 무드등의 부분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독립적인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조명, 부분조명 및 휴대조명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고, 이동성이 뛰어나며, 활용도를 향상시킨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照明, lighting)은 빛을 인간생활에 유효하게 사용하는 기술로서, 태양광에 의한 채광인 주광조명(晝光照明)과 전등 등의 인공광원에 의한 인공조명이 있다.
한편, 인공조명은 전력의 공급에 따라 지속적으로 광도를 유지하여 밤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도 밝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어 산업 현장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 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인공조명을 조명이라 칭한다.
이러한 조명(인공조명)은 주로 조명장치가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의 조명장치는 램프소켓 및 램프가 결합되는 금속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 외측으로 조립되는 전등커버 및 상기 본체를 천장 또는 벽면 등에 조립하기 위해 와이어나 고정수단 등으로 연결한 고정부와 상기 본체 또는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의 조명장치는 실내를 밝게 조명하기 위한 실내의 주조명에서부터 무드조명과 같이 비교적 낮은 조도의 부조명이 설치되기도 하며, 주방, 현관, 베란다조명과 같이 한정적인 공간만을 조명하기 위한 소형의 조명으로서도 역할을 한다.
한편, 조명장치는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의 조명장치와는 다르게 독립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지정된 장소에 배치되어 사용되거나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이동형 조명장치의 형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조명장치의 일예로는 책상이나 탁자 등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독서등 및 무드등과 같은 탁상용 조명장치가 있고, 야외 활동이나 정전시에 사용되는 손전등 및 랜턴과 같은 휴대용 조명장치가 있다.
종래의 다양한 형태 및 용도의 조명장치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의 조명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2747호(등록일자 : 2006. 11. 30.) "천장 조명등의 위치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천장 조명등의 위치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건축물의 천장(6)에 설치되는 지지체(1); 상기 지지체(1)의 하부면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판(2); 상기 회전판(2)의 하부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래킷(3); 및 상기 연결 브래킷(3)과 일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조명등(5)의 상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다관절 링크(4)로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매우 용이하게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주방이나 음식점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적용할 경우 공간 활용에 따른 식탁 이동이 매우 용이해지며, 식당이나 음식점 등의 내부 인테리어의 변화를 쉬게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상기 다관절 링크(4)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조명등(5)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명등(5)의 위치이동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조명장치가 천장(6)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를 밝혀주는 실내조명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명장치는 설치 및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기능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즉, 조명장치가 설치 및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 목적에 맞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진다.
예를 들면,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이 조명장치가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설치된 위치에서 실내 전체로 빛을 조사하는 실내조명의 용도로 사용되게 되고, 상기의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자유롭도록 독립적으로 분리구성된 이동형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지정된 장소에 배치되어 독서용 스탠드나 탁상용 무드등과 같이 특정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건전지와 축전지와 같은 전력장치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야외 활동이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의 조명장치는 용도 및 설치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명장치를 각각 설치하거나 구비해야하므로 설치 및 구입비용이 증대되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사용을 대비하여 비치되거나, 설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함으로써 많은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조명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하므로 관리에 따른 비용도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에서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조명부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부를 구비시켜, 평상시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실내의 전체조명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축전부가 축전되도록 하고, 전체조명 이외의 다른 용도의 조명장치기가 필요할 경우 조명부를 분리시켜 축전부에 축전된 전력으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 배치하여 독서등 또는 무드등의 부분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독립적인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조명, 부분조명 및 휴대조명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고, 이동성이 뛰어나며, 활용도를 향상시킨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에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조명장치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한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천장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가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으로 사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탁상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 또는 탁상형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타단부에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천장 또는 상기 현수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에 상용전력을 공급하는 AC전원부와, 상기 조명부에 구비되어 상기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에 결합 지지된 경우, 상기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축전부가 축전되는 동시에 상기 LED램프가 발광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AC전원부가 정전된 경우, 전력이 축전된 상기 축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LED램프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현수고정부의 착탈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속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착탈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에 일측면에 상기 다수개의 접속단자와 맞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가 더 구비되되,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조명부의 결합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상기 착탈부재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이 긴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내부에 상기 착탈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부에 상기 착탈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부재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홀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착탈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내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사용자가 설정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주위가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명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현수고정부로부터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조명부의 내부에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축전부를 구비시켜, 평상시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실내의 전체조명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축전부가 축전되도록 하고, 전체조명 이외의 다른 용도의 조명장치기가 필요할 경우 조명부를 분리시켜 축전부에 축전된 전력으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 배치하여 독서등 또는 무드등의 부분조명으로 사용하거나,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독립적인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조명, 부분조명 및 휴대조명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고,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조명부의 내부에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사용자단말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조명부가 현수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조명으로 사용될 경우 특히, 독서등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조명부에 구비된 조도감지센서가 조명부가 배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고, 그 조도 데이터가 제어부에 전달되어 LED램프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실내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책읽기에 적합한 조도가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조명부의 외형이 사용자에게 심미성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조명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동시에 인테리어 소품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천장 조명등의 위치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에서 현수고정부와 조명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에서 현수고정부와 조명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에서 현수고정부와 조명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이하 "조명장치"라 한다.)는 천장(C)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조명장치를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로 구성되게 한 것으로, 전원공급부(10), 조명부(20), 현수고정부(30), 조도감지센서(40), 통신모듈(50), 사용자단말기(6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상기 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70)에 연결되며, AC전원부(11)와 축전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C전원부(11)는 상용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으로 상기 천장(C) 또는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20)의 LED램프(21), 상기 축전부(12) 및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들(40, 50, 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AC전원부(11)는 상기 천장(C) 또는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상기 AC전원부(11)를 상기 현수고정부(30)의 내측에 구비되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상기 축전부(12)는 상기 AC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축전하여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으로 상기 조명부(20)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20)의 LED램프(21) 및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들(40, 50, 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결합 지지되는 경우, 상기 AC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축전부(12)가 축전되는 동시에 상기 LED램프(21)가 발광되고,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AC전원부(11)가 정정된 경우, 전력이 축전된 상기 축전부(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LED램프(21)가 발광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부(10)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평상시에 상기 AC전원부(1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천장에 매달린 형태의 실내조명등으로 사용되다가, 사용자의 필요시에 상기 조명부(20)를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축전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독립된 조명, 예를 들어, 탁상(T)에 배치되는 독서등 또는 무드등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부(20)는 상기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고,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LED램프(21)와, 받침부재(22), 케이스(23), 결합부재(24), 접속단자(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램프(21)는 상기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상기 조명부(20)의 내부 즉, 상기 케이스(23)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LED램프(21)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AC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축전부(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램프(21)가 전구 형태로 이루어져 전구소켓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조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LED램프(21)가 다수개의 LDE발광소자로 이루어져 통상의 PCB 기판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2)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바닥면이 탁상(T)에 세워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3)의 일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받침부재(22)는 상기 조명부(20)를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시킨 후 뒤집어서 탁상(T)에 놓고 독서등 또는 무드등과 같은 독립된 조명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탁상(T)에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후술할 상기 현수고정부(30)의 착탈부재(3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21)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부에 상기 착탈부재(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부재(33)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22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재(24)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22)는 상기 LED램프(21)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방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22)를 찻잔을 받치는 찻잔받침 형상으로 형성되게 구성하였다.
상기 케이스(23)는 상기 받침부재(22)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3)는 상기 LED램프(21)를 커버하는 형태로 빛이 투과되는 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LED램프(2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3)를 상기 받침부재(22)와 결합되는 하우징(231)과, 상기 하우징(231)의 개방부측 배치되어 결합되는 발광벌브(232)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하우징(231)은 일측이 상기 받침부재(22)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LED램프(21)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손잡이(233)가 구비된 찻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31)은 상기 LED램프(21)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방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벌브(232)는 상기 하우징(231)의 개방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LED램프(2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빛이 투과되는 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벌브(232)는 빛이 투과되는 통상적인 재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31), 상기 발광벌브(232) 및 상기 받침부재(22)는 각각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31), 상기 발광벌부 및 상기 받침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22)와 상기 케이스(23)를 찻잔세트의 형상으로 구성되게 하여 현수형의 실내조명등 및 탁상형의 독립된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높은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케이스(23)는 그 외형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찻잔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려한 디자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24)는 상기 받침부재(22)의 타측 즉, 상기 케이스(23)가 결합되지 않은 반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현수고정부(30)의 착탈부재(33)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4)의 일측면 즉, 상기 접속단자(25)가 구비되는 일측면은 후술할 상기 현수고정부(30)의 착탈부재(33)의 일측면 즉, 전원단자(34)가 구비되는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24)는 상기 받침부재(22)의 관통홀(222)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221)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홀(222)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2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C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24)의 일측면 즉, 상부를 향하는 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20)는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부재(22)가 상방을 향하도록 즉, 찻잔세트가 뒤집어진 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조명부(20)를 뒤집어 상기 받침부재(22)가 바닥이 되도록 즉, 찻잔받침 위에 찻잔이 놓인 정상적인 형상으로 탁상(T)에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에 결합되어 현수형의 실내조명등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건물 벽체에 구비되는 조명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조명부(20)의 온/오프 및 밝기가 조절되고,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어 탁상등 형태의 독립된 조명등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접촉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20)의 온/오프 및 밝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부(20)의 일측에 접촉스위치(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위치(26)는 상기 조명부(20)의 받침부재(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전부(12)와 상기 LED램프(21)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접촉 조작에 의해 상기 LED램프(21)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온/오프 및 밝기가 조절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현수고정부(30)는 상기 조명부(20)가 현수형으로 사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천장(C)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20)와 결합되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2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정부재(31), 연결부재(32), 착탈부재(33), 전원단자(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천장(C)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10)의 AC전원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천장(C)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는 상기 고정부재(31)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착탈부재(33)와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천장에 매달린 파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내의 천장(C) 높이 따라 상기 조명부(20)가 설치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미도시)은 상기 연결부재(32)에 적용가능한 통상의 길이조절수단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착탈부재(33)는 상기 조명부(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부(20)가 현수형 또는 탁상형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착탈부재(33)는 상기 조명부(20)의 결합부재(24)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24)와 반대 극성으로 갖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33)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이 긴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단자(34)는 상기 조명부(20)의 다수개의 접속단자(25)와 맞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착탈부재(33)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33)가 '바'형상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상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부재(32)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전원단자(34)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착탈부재(33)가 상기 받침부재(22)에 형성된 관통홀(222)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221)에 내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조명부(20)의 결합부재(24)와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현수고정부(30)와 상기 조명부(20)가 결합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현수형의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33)가 상기 조명부(20)의 결합부재(24)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착탈부재(33)가 상기 받침부재(22)의 수용공간(221) 안에서 상기 관통홀(222)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상태가 되므로 외부의 유동이나 충격에 상기 결합부재(24)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현수고정부(30)와 상기 조명부(20)가 분리되는 과정은 상기의 결합 과정과 반대되는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상기 조명부(20)를 분리할 경우 상기 현수고정부(30)의 파손을 막고, 분리 작업을 보다 손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2)의 타단부에 파지편(321)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수고정부(30)와 상기 조명부(2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현수고정부(30)에 상기 조명부(20)의 결합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조명부(2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현수고정부(30)의 착탈부재(33)가 상기 받침부재(22)의 수용공간(221)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홀(222)에 끼워넣는다. 이렇게 하면 상기 착탈부재(33)가 상기 조명부(20)의 결합부재(24)와 수직하게 엇갈린 모양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20)를 일측방향으로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가 강한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현수고정부(30)의 전원단자(34)와 상기 조명부(20)의 접속단자(25)가 맞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조명부(20)가 뒤집어져 상기 현수고정부(30)의 말단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20)를 현수형의 실내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상기 조명부(20)를 분리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한 손은 상기 조명부(20)를 파지하고, 다른 손은 상기 연결부재(32)의 파지편(321)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명부(20)를 상기 결합과정과 반대되는 방향을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의 접촉면이 수직으로 엇갈린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전원단자(34)와 상기 접속단자(25) 또한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착탈부재(33)가 상기 관통홀(222)과 일치된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의 접촉면이 수직으로 엇갈린 상태가 되면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의 접촉면에 형성되었던 강한 자력에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를 작은 힘으로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33)와 상기 결합부재(24)가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부재(33)를 상기 관통홀(222)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22)의 외부로 빼내게 되면 상기 현수고정부(30)와 상기 조명부(20)는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조명부(20)를 독립된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도감지센서(40)는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고,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20)가 배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케이스(23)의 일측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도감지센서(40)에서 감지된 조도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70)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조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LED램프(21)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조도감지센서(40)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조명으로 사용될 경우 특히, 독서등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상기 조명부(20)가 배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7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전달받은 상기 조도 데이터에 따라 주위가 책읽기에 가장 적합한 조도가 될 수 있도록 상기 LED램프(21)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도감지센서(40)를 상기 손잡이(233)에 구비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통신모듈(50)은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상기 LED램프(21)의 온/오프 및 밝기를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60)로부터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부(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수신받은 조명제어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7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LED램프(21)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통신모듈(50)은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은 저전력이며 설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조명부(20)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60)를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을 하는 경우와 같이 100m 이내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50)은 블루투스 이외에도 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방식,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Equipment)밴드방식, 와이파이(WiFi)방식, 적외선(Infrared Ray)방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 지그비(Zigbee, USN)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6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50)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60)는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전원공급부(10)에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21)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부(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20)가 배치되는 주위가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감지센서(40)에서 감지된 조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21)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수신된 조명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21)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천장에 매달린 형태의 천장용 실내조명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조명부(20)가 상기 현수고정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탁상(T) 위에 배치되도록 하여 탁상용 독서등 또는 무드등으로 사용하거나, 정전 등의 비상시에 휴대용 랜턴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조명부(20)와 상기 현수고정부(30)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한 개의 조명장치로 전체조명, 부분조명 및 휴대조명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20)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원공급부
11 AC전원부
12 축전부
20 조명부
21 LED램프
22 받침부재
221 수용공간
222 관통홀
23 케이스
231 하우징
232 발광벌브
233 손잡이
24 결합부재
25 접속단자
26 접촉스위치
30 현수고정부
31 고정부재
32 연결부재
321 파지편
33 착탈부재
34 전원단자
40 조도감지센서
50 통신모듈
60 사용자단말기
70 제어부
C 천장
T 탁상
11 AC전원부
12 축전부
20 조명부
21 LED램프
22 받침부재
221 수용공간
222 관통홀
23 케이스
231 하우징
232 발광벌브
233 손잡이
24 결합부재
25 접속단자
26 접촉스위치
30 현수고정부
31 고정부재
32 연결부재
321 파지편
33 착탈부재
34 전원단자
40 조도감지센서
50 통신모듈
60 사용자단말기
70 제어부
C 천장
T 탁상
Claims (5)
- 천장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램프가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으로 사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탁상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현수고정부의 착탈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조명부가 현수형 또는 탁상형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명부의 결합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도전성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개의 접속단자와 맞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착탈부재는,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이 긴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내부에 상기 착탈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부에 상기 착탈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부재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홀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착탈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내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천장 또는 상기 현수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에 상용전력을 공급하는 AC전원부와, 상기 조명부에 구비되어 상기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에 결합 지지된 경우, 상기 AC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축전부가 축전되는 동시에 상기 LED램프가 발광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AC전원부가 정전된 경우, 전력이 축전된 상기 축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LED램프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찻잔의 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이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램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타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면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찻잔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램프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측 배치되어 결합되는 발광벌브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현수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원격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사용자가 설정한 조명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주위가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명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LED램프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615A KR101692027B1 (ko) | 2014-05-23 | 2014-05-23 |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615A KR101692027B1 (ko) | 2014-05-23 | 2014-05-23 |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5009A KR20150135009A (ko) | 2015-12-02 |
KR101692027B1 true KR101692027B1 (ko) | 2017-01-04 |
Family
ID=5488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2615A KR101692027B1 (ko) | 2014-05-23 | 2014-05-23 |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0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9023B1 (ko) * | 2015-12-10 | 2018-07-17 | 주식회사 포스코 | 조명장치 및 그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5747A (ko) * | 2008-10-24 | 2010-05-04 | (주)더리즈 | 가로등 시스템 |
KR101265479B1 (ko) * | 2011-10-26 | 2013-05-24 | 백두산 | 다중 분리형 조명 장치 |
-
2014
- 2014-05-23 KR KR1020140062615A patent/KR10169202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5009A (ko) | 2015-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41443B2 (en) | Luminaire arrangement | |
US7703934B2 (en) | Power outage light socket device | |
CN101517818A (zh) | 自动照明的可再充电的灯具系统 | |
CN204268315U (zh) | 一种磁悬浮led灯 | |
KR20120052655A (ko) | 다용도 랜턴 | |
KR101692027B1 (ko) | 탁상등이 가능한 천장용 조명장치 | |
KR100990472B1 (ko) | 충전용 천장등 세트 | |
KR101283370B1 (ko) | 리모콘 타입 조명 스위치 모듈 | |
CN206159902U (zh) | 一种可遥控的台灯 | |
US8950887B2 (en) | LED light strip with detachable LED flashlights assembly | |
CN207999686U (zh) | 一种自动调节亮度的台灯 | |
JP2013004509A (ja) | Led灯具 | |
CN208535643U (zh) | 具有多种照明模式的露营灯 | |
KR20140103457A (ko) | 조명시스템 | |
KR101591495B1 (ko) | 새알 둥지 형 램프 구조체 | |
CN207831129U (zh) | 一种多功能led灯具 | |
WO2001084042A1 (en) | Rechargeable lamp assembly | |
JP3206375U (ja) | 携帯式灯具 | |
CN205664281U (zh) | 一种组合吊灯 | |
CN111288323A (zh) | 一种磁悬浮地球仪台灯 | |
CN201568914U (zh) | 一种盒式led灯具 | |
CN205938695U (zh) | 一种可旋转的led 台灯 | |
CN105333391B (zh) | 装饰夜灯 | |
KR101324834B1 (ko) |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 |
CN218295528U (zh) | 一种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