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067B1 -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067B1
KR102501067B1 KR1020160171909A KR20160171909A KR102501067B1 KR 102501067 B1 KR102501067 B1 KR 102501067B1 KR 1020160171909 A KR1020160171909 A KR 1020160171909A KR 20160171909 A KR20160171909 A KR 20160171909A KR 102501067 B1 KR102501067 B1 KR 10250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etic
touch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591A (ko
Inventor
김유진
강태규
김대호
김현석
박성희
성정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067B1/ko
Priority to US15/603,533 priority patent/US10045426B2/en
Publication of KR2018006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magnetic movable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센싱 모듈;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싱 모듈; 및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WITCH FOR CONTROLLING LIGHT USING MAGNETIC SENSING AND TOUCH SENS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모드를 활용하여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스위치 장치는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slide switch)와 터치 센서 방식의 스위치(touch sensor switch)가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슬라이드 스위치를 미는 느낌과 터치센서 스위치의 터치 느낌 사이에 감각이 단절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를 OFF구간이나 ON구간으로 이동했을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와 함께 터치 센서에 터치 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또는 터치 센서로만 입력되는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조명 기구를 제어할 때 통합적(Integrated)이고 연속적(seamless)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별개의 구성을 단순히 통합적으로 구성할 때에는 그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의 동작모드를 세분화하여 제어하기가 어려우며, 사용자는 별개의 구성을 통한 별개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단절된 사용자 경험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경험은, 특히 통신을 통한 조명 장치들의 디밍제어 시 부드러운 디밍(smooth dimming)이 가능하도록 해야 조명 환경에서의 사용자들이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데, 단순 별개 구성의 제어는 이러한 부드러운 디밍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 특허 US2010-0149127호, 2010년 6월 17일 공개(명칭: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슬라이드를 밀고있는 느낌이 끝났을 때와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사이에 단절된 감각이나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하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틱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과 터치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 사이에 조명의 밝기를 자연스럽게 조절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직접 제어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조명의 환경내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보다 자연스러운 조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휴대용 이동기기(portable or mobile device)에 적용되는 입력 스위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스위치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조명 제어뿐만이 아닌 다양한 기기를 통해서도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센싱 모듈;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싱 모듈; 및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상기 중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하는 통합 신호 처리부; 및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에게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상기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상기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센싱 모듈은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에 포함된 마그네틱이 발생시키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 신호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싱 모듈은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상기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간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상기 중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하여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하는 단계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상기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상기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에 포함된 마그네틱이 발생시키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 신호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상기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슬라이드를 밀고있는 느낌이 끝났을 때와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사이에 단절된 감각이나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하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틱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과 터치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 사이에 조명의 밝기를 자연스럽게 조절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직접 제어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조명의 환경내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보다 자연스러운 조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휴대용 이동기기(portable or mobile device)에 적용되는 입력 스위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한 스위치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조명 제어뿐만이 아닌 다양한 기기를 통해서도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신호 처리부에서의 논리적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통해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단계별로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가 작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단계별로 센싱되는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에서의 동신센싱 기술을 휴대용 이용기기에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100)는 마그네틱(112)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버튼(110),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 터치 센싱 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 스위치(100)의 동작 순서를 기반으로 조명 제어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마그네틱(112)이 포함된 슬라이드 버튼(110)은 사용자(101)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111)을 따라 지지되며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버튼(110)의 내부에 위치한 마그네틱(112)은 일정한 범위에 상응하게 자기선속, 즉 자기력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버튼(110)이 ON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에 포함된 마그네틱 센서(121)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112)은 슬라이드 버튼(110)이 슬라이드 레일(111)을 통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마그네틱 센서(121)가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마그네틱 신호, 즉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은 마그네틱 센서(121)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110)에 포함된 마그네틱(112)이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마그네틱 신호는 슬라이드 버튼(110)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마그네틱 센서(121)에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121)에서 마그네틱 신호가 감지되면,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 내부에서 가공 및 처리 과정을 거쳐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센서(121)가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고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면, 마그네틱 센싱 모듈(120)에 포함된 마그네틱 센싱 신호처리부에서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처리 및 가공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1)가 슬라이드 버튼(110)을 ON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마그네틱(112)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터치 센싱 모듈(130)에 포함된 터치 센서(131)의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센싱 모듈(130)은 사용자(101)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110)이 ON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센싱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101)가 슬라이드 버튼(110)과 터치 센서(131)가 맞닿은 부분으로 위치하여 사용자(101)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 즉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131)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싱 모듈(130)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터치 센싱 모듈(130)은 터치 센서(131)를 통해 사용자(101)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마그네틱(112)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131)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센싱 모듈(130) 내부에서 가공 및 처리 과정을 거쳐 터치 센싱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31)가 마그네틱(112)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뒤에 사용자(101)에 의한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면, 터치 센싱 모듈(130)에 포함된 터치 센싱 신호처리부에서 터치 센싱 신호를 처리 및 가공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 버튼(110)과 맞닿는 곳에 위치한 것 이외에도 터치 센서(132, 133, 134)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센서(131)를 통해서 슬라이드 버튼(110)을 이동시킨 사용자(101)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40)에 포함된 통합 신호 처리부(141)는 제어 모듈(142)로부터 입력받은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통합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하고,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신호 처리부(141)가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간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신호 처리부(141)가 제어 모듈(142)로 중간 모드임을 전달하면, 제어 모듈(142)이 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을 중간 모드에 상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은 슬라이드 버튼(110)에 의해 ON에 상응하는 밝기에서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센싱에 의해 조절되는 밝기까지 서서히 밝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버튼(110)에 의해 ON에 상응하는 조명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45%이고, 터치 센싱에 의해 최대 밝기의 50%에서 100%까지 조절된다고 가정한다면,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조명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45%에서 50%까지 서서히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중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를 신호 강도가 제일 낮은 1단계에서 신호 강도가 제일 높은 5단계로 분류해두고, 중간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단계의 개수를 3개로 설정한 경우에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1단계에서 4단계까지 3개 상승한 경우에 터치 신호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터치 신호의 강도도 중간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세기에 상응하게 수신되었다면 해당 지점을 중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에 포함된 통합 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신호 처리부(141)는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제어 모듈(142)의 논리적 제어에 따라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에 포함된 통신부(144)를 통해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조명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제어 네트워크는 조명으로부터 조명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및 해석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게 제대로 조절되었는지 또는 조명에 문제가 발생하여 조명이 제어 신호에 상응하게 조절되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등을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 신호는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에 포함된 전원부(14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100) 및 조명 제어 스위치(100)의 페리페럴(peripherals)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 제어 스위치를 통해,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슬라이드를 밀고있는 느낌이 끝났을 때와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사이에 단절된 감각이나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하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과 터치 센싱에 의한 조명 제어 시점 사이에 조명의 밝기를 자연스럽게 조절함으로써 조명 기구를 직접 제어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조명의 환경내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보다 자연스러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신호 처리부에서의 논리적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통합 신호 처리부(141)는 마그네틱 센서(121)를 통해 발생된 마그네틱 센싱 신호와 터치 센싱 모듈(131)을 통해 발생된 터치 센싱 신호를 각각의 신호 수신선을 기반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선 상에는 제1 스위치(220)가 존재하고,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선 상에는 제2 스위치(230)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신호 처리부(141)는 제어 신호선(240)을 통해 제어 모듈로부터 논리적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스위치(220)와 제2 스위치(230)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이 제어 신호선(240)을 통해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논리적 제어를 하는 경우, 제1 스위치(220)를 연결시켜 마그네틱 센싱 모듈로부터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된 마그네틱 신호는 통합 신호 처리부(141)에서 처리 및 가공을 거친 후에 신호 출력선(250)을 통해 제어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이 상태에서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 모듈이 제어 신호선(240)을 통해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논리적 제어를 하는 경우, 연결되어 있던 제1 스위치(220)의 연결을 끊고 제2 스위치(230)를 연결시켜 터치 센싱 모듈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싱 모듈은 전원모델(211), 저항모델(212), 캐패시턴스 모델(213) 및 접지모델(21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통해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는 크게 5단계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1단계의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상응하는 것으로, 마그네틱을 포함한 슬라이드 버튼이 OFF에 위치하고 있어서 마그네틱 신호(610)가 마그네틱 센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2단계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 상응하는 것으로, 마그네틱을 포함한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곳으로 이동하고 있어서 마그네틱 신호(610)가 마그네틱 센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마그네틱 신호(610)가 터치 센싱 모듈에 포함된 캐패시턴스 모델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서 마그네틱 신호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지는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3단계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상응하는 것으로, 마그네틱을 포함한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위치로 완전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마그네틱 신호(610)가 마그네틱 센서와 터치 센서에 동시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는 마그네틱 신호(610)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위치한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4단계의 동작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상응하는 것으로, 마그네틱 신호(610)가 마그네틱 센서와 터치 센서에 동시 영향을 주면서,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620)가 캐패시턴스 모델에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키는 중간 모드로 진입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은 사용자가 터치 센싱 모듈에 포함된 터치 센서가 아닌 별도의 터치 센서에 영향을 주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상태에 상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단계별로 센싱되는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들 중 1단계에서는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아 마그네틱 센싱 강도(1010)와 터치 센싱 강도(1020)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는 조명이 OFF에 상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들 중 2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네틱 센싱 강도(1010)가 서서히 증가하는 구간으로,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을 ON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에 상응할 수 있다. 즉, 2단계에 상응하는 구간은 사용자가 기계적인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일 수 있다. 이 때, 조명의 광출력은 0%에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센싱은 전혀 감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터치 센싱 수행의 저전력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의 제어부는 터치 센싱 모듈을 수면상태(sleep state)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들 중 3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네틱 센싱 강도(1010)가 최대치로 증가하고 터치 센싱 강도(1020) 또한 일정량 증가하는 구간으로,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을 ON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하였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에 의한 미세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터치 센싱 직전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3단계에 상응하는 구간은 사용자가 기계적인 움직임이 끝나감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터치에 의한 제어 느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의 광출력은 45%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조명 제어 스위치의 제어부는 터치 센싱 모듈을 깨어나기상태(wake-up state)로 제어함으로써 이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터치 센싱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들 중 4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이 동시에 수행되는 구간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을 ON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터치 센서쪽으로 터치를 수행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터치 센서를 통해 조명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 스스로가 연속적인 조명 제어를 하고 있다는 피드백을 느낄 수 있다. 이 때, 조명의 광출력은 50% 정도로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조명 제어 스위치의 제어부는 정상적인 터치 센싱을 위해 터치 센싱 모듈을 동작상태(cap-sensing operation)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5단계의 동작들 중 5단계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 센싱만 수행되는 구간으로, 사용자에게 터치 센서로만 조명을 제어하고 있다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의 광출력은 50%에서 100%에 상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제어를 위한 5단계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슬라이드 버튼을 밀고있는 느낌에 연속적으로 터치감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드 버튼에 의한 제어와 터치에 의한 제어 사이에 단절된 느낌이 없도록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S1110).
이 때,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에 포함된 마그네틱이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이 포함된 슬라이드 버튼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지지되며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버튼의 내부에 위치한 마그네틱은 일정한 범위에 상응하게 자기선속, 즉 자기력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마그네틱 센싱 모듈에 포함된 마그네틱 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은 슬라이드 버튼이 슬라이드 레일을 통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마그네틱 센서가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마그네틱 신호, 즉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신호는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마그네틱 센서에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에서 마그네틱 신호가 감지되면, 마그네틱 센싱 모듈 내부에서 가공 및 처리 과정을 거쳐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센서가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고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면, 마그네틱 센싱 모듈에 포함된 마그네틱 센싱 신호처리부에서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처리 및 가공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을 ON에 상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마그네틱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터치 센싱 모듈에 포함된 터치 센서의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센싱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센싱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S1120).
즉,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과 터치 센서가 맞닿은 부분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 즉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센싱 모듈 내부에서 가공 및 처리 과정을 거쳐 터치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뒤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면, 터치 센싱 모듈에 포함된 터치 센싱 신호 처리부에서 터치 센싱 신호를 처리 및 가공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는 슬라이드 버튼과 맞닿는 곳에 위치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버튼과 맞닿는 곳에 위치한 터치 센서를 통해서 슬라이드 버튼을 이동시킨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S1130).
이 때,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통합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하여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간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중간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를 신호 강도가 제일 낮은 1단계에서 신호 강도가 제일 높은 5단계로 분류해두고, 중간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단계의 개수를 3개로 설정한 경우에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1단계에서 4단계까지 3개 상승한 경우에 터치 신호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터치 신호의 강도도 중간 모드를 감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기준세기에 상응하게 수신되었다면 해당 지점을 중간 모드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을 제어한다(S1140).
이 때, 제어 신호는 마그네틱 신호와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중간 모드임이 감지되면 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을 중간 모드에 상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명은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ON에 상응하는 밝기에서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센싱에 의해 조절되는 밝기까지 서서히 밝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벼튼에 의해 ON에 상응하는 조명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45%이고, 터치 센싱에 의해 최대 밝기의 50%에서 100%까지 조절된다고 가정한다면,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조명의 밝기가 최대 밝기의 45%에서 50%까지 서서히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조명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조명제어 네트워크는 조명으로부터 조명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및 해석하여 조명 제어 스위치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의 밝기가 제어 신호에 상응하게 제대로 조절되었는지 또는 조명에 문제가 발생하여 조명이 제어 신호에 상응하게 조절되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의 페리페럴(peripherals)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먼저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틱 센싱을 수행한다(S1210).
이 후,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215),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조명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스위치가 OFF에 상응하고 있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220).
또한, 단계(S1215)의 판단결과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하면, 논리적 제어에 의해 제1 스위치를 연결하고(S1230), 조명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스위치가 ON에 상응하고 있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240).
또한, 단계(S1230)의 이후,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5).
단계(S1245)의 판단결과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조명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스위치가 ON에 상응하고 있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 때,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센싱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수행의 저전력 제어를 위해 제어부가 터치 센싱 모듈을 수면상태(sleep state)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45)의 판단결과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면,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55).
단계(S1255)의 판단결과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조명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의 스위치가 ON에 상응하고 있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 때,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므로, 앞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터치 센싱이 발생할 것으로 대비하여 제어부가 터치 센싱 모듈을 ?틴爭け脩纘?(wake-up state)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55)의 판단결과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하면, 논리적 제어에 의해 제2 스위치를 연결하고(S1260), 조명 네트워크를 통해 터치 센싱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270).
이 때, 제어부는 정상적인 터치 센싱을 위해 터치 센싱 모듈을 동작상태(cap-sensing operation)로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지속적으로 마그네틱 센싱 및 터치 센싱을 수행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에서의 동신센싱 기술을 휴대용 이용기기에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스위치에서의 동시센싱 기술을 적용한 휴대용 이용기기(1300)는 슬라이드 스위치(1310)와 함께 단계적 조절을 위한 터치 센서(1320~13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이용기기(1300)는 슬라이드 스위치(1310)를 미는 기계적인 움직임이 끝났을 때에 터치 센싱을 가능하게 하여, 통합적(integrated)이고 연속적(seamless)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휴대용 이용기기(1300)의 슬라이드 스위치(1310)를 움직이면 휴대용 이용기기(1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밝기 또는 소리 등을 조절하기 위한 메뉴를 실행 또는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1320~1350)에 의한 터치 센싱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디밍 조절, 어플리케이션의 볼륨 조절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강약변화 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조명 제어 스위치 101: 사용자
110: 슬라이드 버튼 111: 슬라이드 레일
112: 마그네틱 120: 마그네틱 센싱 모듈
121: 마그네틱 센서 130: 터치 센싱 모듈
131~134: 터치 센서 140: 제어부
141: 통합 신호 처리부 142: 제어 모듈
143: 전원 모듈 144: 통신부
211: 전원모델 212: 저항모델
213: 캐패시턴스 모델 214: 접지모델
220: 제1 스위치 230: 제2 스위치
240: 제어신호선 250: 신호 출력선
610: 마그네틱 신호 620: 터치 신호
1010: 마그네틱 센싱 강도 1020: 터치 센싱 강도
1300: 휴대용 이용기기 1310: 슬라이드 스위치
1320~1350: 터치 센서

Claims (19)

  1.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센싱 모듈;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싱 모듈; 및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가 끝나고 상기 터치 센싱 신호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가 시작되는 사이에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상기 중간 모드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하는 통합 신호 처리부; 및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에게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신호 처리부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상기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상기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센싱 모듈은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에 포함된 마그네틱이 발생시키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 신호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모듈은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상기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
  10.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싱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고려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가 끝나고 상기 터치 센싱 신호의 발생에 의한 논리적 제어가 시작되는 사이에 연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가 동시에 전이 상태(transition state)에 해당하는 중간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모드에 상응하는 동안에 상기 조명을 기설정된 수준까지 점차 밝아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단계이상 상승하되, 상기 터치 신호의 신호 강도도 기설정된 기준세기까지 상승하는 지점을 상기 중간 모드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논리적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스위치의 연결과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치의 연결을 조절하여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조명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2 스위치의 연결을 끊고, 상기 중간 모드가 감지된 이후 상기 터치 센싱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치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슬라이드 버튼에 포함된 마그네틱이 발생시키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틱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 신호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마그네틱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 이후에 감지되는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해서만 상기 터치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마그네틱 신호와 상기 터치 신호를 해석한 것으로 상기 조명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ON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만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강도로 상기 마그네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20160171909A 2016-12-15 2016-12-15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01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09A KR102501067B1 (ko) 2016-12-15 2016-12-15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5/603,533 US10045426B2 (en) 2016-12-15 2017-05-24 Switch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magnetic sensing and touch sens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09A KR102501067B1 (ko) 2016-12-15 2016-12-15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91A KR20180069591A (ko) 2018-06-25
KR102501067B1 true KR102501067B1 (ko) 2023-02-21

Family

ID=6256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09A KR102501067B1 (ko) 2016-12-15 2016-12-15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5426B2 (ko)
KR (1) KR102501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5798B2 (en) * 2003-01-23 2008-09-16 Lumination Llc Intelligent light degradation sensing LED traffic sig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34B1 (ko) * 2013-05-15 2013-11-01 설영남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JP2014123470A (ja) * 2012-12-20 2014-07-03 Sharp Corp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318B1 (ko) * 1995-09-29 1999-04-15 배순훈 스탠드의 조도제어장치
US9655217B2 (en) * 2006-03-28 2017-05-16 Michael V. Recker Cloud connected motion sensor lighting grid
WO2008153556A2 (en) * 2006-05-19 2008-12-1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witch arrangement for a lighting device
US8395590B2 (en) *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9203394B2 (en) 2011-10-06 2015-12-0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ed magnetic field sensor-controlled switch devices
EP2934068B1 (en) 2012-12-14 2020-04-01 Sang Min Chung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996505B1 (ko) 2013-06-27 2019-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드아웃 회로부
US9317984B2 (en) * 2013-10-28 2016-04-19 Smartlabs, Inc.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ocking and unlocking of doors using powerline an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KR101694729B1 (ko) * 2014-01-20 2017-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스위치 장치 및 조명 스위칭 방법
KR102189271B1 (ko) 2014-02-26 2020-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927907B2 (en) * 2014-10-10 2018-03-2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ouch input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 circu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70A (ja) * 2012-12-20 2014-07-03 Sharp Corp 照明装置
KR101324834B1 (ko) * 2013-05-15 2013-11-01 설영남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91A (ko) 2018-06-25
US10045426B2 (en) 2018-08-07
US20180177027A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7866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终端
CN106131345B (zh) 一种接近传感器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671235B2 (en) KVM switch with embedded bluetooth module
EP2922309B1 (en) Method of using light sensor earphone to control electronic device and light sensor earphone
KR100653074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380681B2 (en) Lighting switch apparatus and lighting switching method
CN104919887B (zh) 使用耳机发送和接收数据的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18324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459696B2 (en) Gesture-sensitive display
CN106020447B (zh) 触摸式电子设备的接近传感器参数调整方法和系统
CN104572512A (zh) 一种实现自定义鼠标按键多击功能的方法及系统
KR102501067B1 (ko) 마그네틱 센싱과 터치 센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1314551A (zh) 一种震动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636903B1 (ko) 움직임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움직임 감지에 따른 전자기기 동작 방법
CN104240676A (zh) 一种调整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CN110930964A (zh) 一种显示屏亮度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5138173B (zh) 一种触控显示屏的控制方法
US201301691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ouped devices
CN105912146B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3869965B (zh) 一种控制方法、装置及一种电子设备
TW200632753A (en) Control unit for contact screen
CN106060274B (zh) 一种环境光传感器数据的上报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3012733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ynamically vary backlighting for a physical keyboard
JP2023518892A (ja) 検証方法、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1950958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