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376Y1 -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 Google Patents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376Y1
KR200418376Y1 KR2020060006051U KR20060006051U KR200418376Y1 KR 200418376 Y1 KR200418376 Y1 KR 200418376Y1 KR 2020060006051 U KR2020060006051 U KR 2020060006051U KR 20060006051 U KR20060006051 U KR 20060006051U KR 200418376 Y1 KR200418376 Y1 KR 200418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ighting
switch
battery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혜선
Original Assignee
한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혜선 filed Critical 한혜선
Priority to KR2020060006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18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1Illuminated cane or umbrell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막의 중심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지지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기둥의 상단측에 조명부를 더 구비하여, 조명부를 통해 발산되는 조명빛이 우산 전체를 통해 발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쉽게 보행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우산막을 지지하는 우산살의 끝단측에 LED 발광체와 같은 조명수단을 더 구비하여 특히 야간에 어린아이의 보행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아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조명빛과 우산막에 형성된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이 어우러진 패션적인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을 제공하고 또한, 조명부의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스위치를 우산손잡이에 구성하지 않고 우산지지살이 슬라이딩되는 기둥의 상단에 구성하여 우산을 펼치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조명부의 빛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의 보행시에 항상 조명부의 빛이 발산되도록 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우산막(11)과, 상기 우산막(11)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들과, 상기 우산살(12)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12)들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13)들과, 상기 지지살(13)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우산막(11)을 펼치었을 때 우산막(11)의 중심이 되는 우산기둥(15)과, 상기 우산기둥(15)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다니기에 용 이하도록 한 손잡이(16)로 구성된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기둥(15) 상단에 체결되는 제1조명체(20)와; 상기 제1조명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일측에 체결되는 스위치(30)와; 상기 스위치(30)와 제1조명체(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내측에 내삽되는 밧데리(40)와; 상기 밧데리(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산손잡이(16)의 하단면에 끼워지는 막음체(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조명체(20)는, 상기 우산기둥(15)의 2분할된 양측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투명부(21)와; 상기 투명부(21)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램프(22)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의 끝단에는 상기 스위치 (30)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발광램프(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우산막(11)의 상단에는 내부에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71)가 내삽된 제2조명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살(13)들의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우산기둥(15)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딩구(14)가 접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조명체(20)와 제2조명체(70) 중 어느 하나의 조명체가 발산되도록 하는 자동스위치(80)가 상기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산, 조명장치, 우산조명

Description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UMBRELLA WITH LIGHT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기된 부로 A를 확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표기된 부호 B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우산막 12 : 우산살
13 : 지지살 14 : 슬라이딩구
15 : 우산기둥 16 : 우산손잡이
20 : 제1조명체 21 : 투명부
22 : 조명램프 23 : 형광램프
30 : 스위치 40 : 밧데리
50 : 막음체 60 : LED 발광램프
70 : 제2조명체 71 : 램프
80 : 자동스위치
본 고안은 우산에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여 비가내리는 야간에 주위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차량으로 하여금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를 우천시의 야간에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추돌사고 등과 같은 교통하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골목길 등을 보행할 때 범죄자들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조명빛과 우산막의 색상에 의해 미려한 패션적인 우산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내리는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막을 넓게 펼치어 들고 다니는 우산은, 넓게 펼쳐지는 우산막과, 상기 우산막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들과, 상기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들과, 상기 지지살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우산막을 펼치었을 때 우산막의 중심이 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종류에 따라 우산막이 자동적으로 펼쳐지는 자동우산과 사용자가 지지살들을 슬라이딩시켜 우산살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우산막이 수동적으로 펼쳐지는 수동우산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우산은, 통상적으로 비가오는 우천시에 쓰고 다니는 것이 보편적인 바, 비가내리는 우천시에는 날이 흐리게 되고 또한 해가 진 저녁일 경우에는 그 어두움이 더해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를 운전자가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잦은 사고 발생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어두운 골목길을 보행하거나 또는 인적이 드문 외곽 등에서 야간에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우산을 쓴 보행자를 차량으로 받게 되는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일반 성인에 비해 키가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들로 하여금 우산을 쓰고 다니는 어린아이의 식별이 더욱 어려워 우천시에 발생되는 어린아이의 교통사고율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보행자의 경우에도 비가 내리는 우천시에 우산을 쓴 상태에서 야간에 보행할 경우, 어두운 주변환경에 의해 주위의 식별이 용이하지 못함으로써 보행 도중에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기타의 설치물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에 항상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주변의 가로등과 같은 조명시설이 적은 외곽지역 예컨대, 농촌 등에서 더욱 발생되기 쉬우며 따라서, 비가내릴 경우에 야간에 외출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산과 함께 별도의 후레쉬 등과 같은 조명장치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비가 내리는 우천시에는 주변의 어두움이 더욱 심하게 되기 때 문에, 어두운 골목길을 보행하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성범죄나 또는 강도 상해 등과 같은 범죄에 더욱 노출될 수 밖에는 없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20985호인 '우산의 조명장치' 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우산손잡이에 일정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 및 램프하우징, 그리고 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램프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우산손잡이의 중심선과 램프하우징의 광축에 대해 소정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을 우산손잡이와 램프하우징의 단부에 각각 형성하고, 그 중심에 회전안내구멍과 그에 삽입되는 걸림보스를 각각 형성하여 우산손잡이의 중심선과 램프하우징의 광축이 일직선 또는 꺾어진 형태로 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슬립링 및 통전브러쉬를 우산손잡이의 경사면과 램프하우징의 경사면에 각각 설치하여 램프하우징의 회전시에 통전브러쉬가 슬립링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우산손잡이의 내부 전지수납실에 수용되어 있는 전지로부터 램프스위치를 거쳐 램프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우산손잡이의 상단부에는 광확산투명링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방사하는 점멸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우산손잡이의 외주에 점멸등과 램프로 이어지는 회로를 개폐하는 점멸등스위치와 램프스위치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24722호인 '조명을 겸한 우산'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손잡이의 외주 일측에 설치된 조명스위치와, 상기 조명스위치 타측에 손잡이와 일체 형성되고 전구가 우산 상부를 향하게 내설 된 조명발생체와, 상기 손잡이 하부에 내재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게 손잡이 하부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것과, 조명발생체는 조명스위치 타측 손잡이에 형성된 수납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로 회동시 전극이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경우에는, 우산 손잡이에 조명발생체가 구비되어 있어 야간에 조명발생체를 통해 발산되는 조명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조명발생체가 우산의 손잡이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에서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극히 일부에 한정될 수 밖에는 없어 보행자를 제대로 식별하기에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비교적 키가 적은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우산의 가장 하단측인 우산손잡이에 조명발생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가 먼거리에서는 조명발생체를 통해 발산되는 조명을 식별할 수 있다하더라도 근거리 예를 들어 골목길에서 바로 나오는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식별이 용이하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추돌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조명이 발생되는 장치가 우산손잡이에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될 수 밖에는 없어 어두운 골목길에서 발생되는 범죄가 예방되는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 안출된 조명장치를 갖는 우산의 경우에는 우산손잡이에 구비된 조명발생체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어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 고서는 조명이 발생되지 못함으로써 특히, 어린아이와 같은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발생체의 존재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우천시에 쓰고 다니는 우산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산막의 중심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지지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기둥의 상단측에 조명부를 더 구비하여, 조명부를 통해 발산되는 조명빛이 우산 전체를 통해 발산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쉽게 보행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우산막을 지지하는 우산살의 끝단측에 LED 발광체와 같은 조명수단을 더 구비하여 특히 야간에 어린아이의 보행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아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조명빛과 우산막에 형성된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이 어우러진 패션적인 연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부의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스위치를 우산손잡이에 구성하지 않고 우산지지살이 슬라이딩되는 기둥의 상단에 구성하여 우산을 펼치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조명부의 빛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의 보행시에 항상 조명부의 빛이 발산되도록 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우산막과, 상기 우산막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들과, 상기 우산살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들과, 상기 지지살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우산막을 펼치었을 때 우산막의 중심이 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의 기둥 상단에 체결되는 제1조명체와; 상기 제1조명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의 일측에 체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제1조명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의 내측에 내삽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하단면에 끼워지는 막음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명체는, 상기 기둥의 2분할된 양측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스위치 및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우산막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의 끝단에는 상기 스위치 및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발광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산막의 상단에는 내부에 상기 스위치 및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가 내삽된 제2조명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살의 타측에 연결된 슬라이딩구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딩구가 접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조명체와 제2조명체 중 어느 하나의 조명체가 발산되도록 하는 자동스위치가 상기 밧데리와 전기 적으로 연결되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우산막의 중심측에 위치되는 우산기둥의 상단에 제1조명체가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제1조명체로부터 발산되는 조명빛이 우산 전체에 고르게 발산됨으로써 우천시에 야간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추돌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막의 상단에 제2조명체와 우산막의 둘레부에 LED발광램프가 더 구비되어 있어 특히 어린아이들의 야간 보행시에 운전자들이 근거리에서도 어린아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명체들의 조명발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가 우산 기둥의 상단에 더 장착되어 있어 우산을 펼치는 것과 동시에 조명체로부터 조명빛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우산막(11)과, 상기 우산막(11)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들과, 상기 우산살(12)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12)들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13)들과, 상기 지지살(13)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우산막(11)을 펼치었을 때 우산막(11)의 중심이 되는 우산기둥(15)과, 상기 우산기둥(15)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16)로 구성된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기둥(15) 상단에 체결되는 제1조명체(20)와, 상기 제1조명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일측에 체결되는 스위치(30)와, 상기 스위치(30)와 제1조명체(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내측에 내삽되는 밧데리(40)와, 상기 밧데리(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산손잡이(16)의 하단면에 끼워지는 막음체(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조명체(20)는, 상기 우산기둥(15)의 2분할된 양측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투명부(21)와, 상기 투명부(21)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램프(22)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의 끝단에는 상기 스위치 (30)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발광램프(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사용자가 우천시에 우산을 펼치어 보행할 경우, 상기 우산손잡이(16)의 일측에 돌출된 스위치(30)를 눌러 상기 우산기둥(15)의 상단에 체결되어 있는 제1조명체(20)의 조명램프(22)를 발산시켜 야간에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명체(20)의 조명램프(22)로부터 발산되는 조명빛이 상기 우산막(11)의 내부에서 확개되어 사용자의 전체에 고르게 발산됨으로써, 마치 커다란 가로등을 들고 다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어두운 야간에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를 먼거리에서 빠르게 식별할 수 있음에 따라 추돌사고 등과 같은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들의 끝단에 상기 스위치(30)의 조작에 의해 점멸되는 LED 발광램프(60)가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어린아이들의 야간 보행시에 신호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근거리에서 차량의 운전자가 어린아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조명체(20)의 조명램프(22)로부터 발산되는 조명빛이 상기 우산막(11)에 의해 보행자의 하부측으로 넓게 펼치어 발산됨으로써 보행자들로 하여금 비가오는 야간 보행시에 주변을 식별할 수 있는 조명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돌부리나 또는 기타의 장치물에 보행자가 넘어져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명체(20)의 조명램프를 LED 램프가 아닌 형광램프(23)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2분할된 우산기둥(15)의 양측에 나사체결된 상기 투명부(21)를 2분할된 우산기둥(15)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형광램프(23)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우산을 새로이 구입하지 않고도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밧데리(40)의 수명이 다 될 경우에는, 상기 우산손잡이(16)의 하단면을 막고 있는 상기 막음체(50)를 돌려 우산손잡이(16)로부터 분리한 후, 수명이 다 된 밧데리(40)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상기 우산손잡이(16)의 내부에 내삽한 다음, 다시 막음체(50)를 이용하여 우산손잡이(16)의 하단면을 막음으로써, 재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표기된 부로 A를 확대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에 표기된 부호 B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산막(11)의 상단에는 내부에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71)가 내삽된 제2조명체(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먼거리에서 쉽게 우산을 쓰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이 경우에는, 특히 키가 적은 어린아이들의 우산을 쓰고 다닐 때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린아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지지살(13)들의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우산기둥(15)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딩구(14)가 접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조명체(20)와 제2조명체(70) 중 어느 하나의 조명체가 발산되도록 하는 자동스위치(80)가 상기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우산을 펼치는 동작에 의해 조명체의 조명램프를 발산시킬 수 있어 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우산막(11)을 펼치기 위해서 상기 우산기둥(15)에 끼워진 슬라이딩구(14)를 들어올릴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구(14)에 연결된 다수개의 지지살(13)이 펼쳐 짐으로써, 지지살(13)의 타측이 연결된 상기 우산살(12)들이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우산막(11)이 펼쳐지는 바, 이 때 상기 슬라이딩구(14)의 가장 최상단에 위치되는 우산기둥(15)의 외주면에 자동스위치(80)를 더 구성함으로써, 우산막이 펼쳐지는 동작과 함께 자동적으로 조명체의 조명램프가 발산되도록 하여 특히 어린 아이들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에 의하면, 우산막의 중심측에 위치되는 우산기둥의 상단에 제1조명체가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제1조명체로부터 발산되는 조명빛이 우산 전체에 고르게 발산됨으로써 우천시에 야간보행을 하는 보행자의 식별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추돌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막의 상단에 제2조명체와 우산막의 둘레부에 LED발광램프가 더 구비되어 있어 특히 어린아이들의 야간 보행시에 운전자들이 근거리에서도 어린아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명체들의 조명발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가 우산 기둥의 상단에 더 장착되어 있어 우산을 펼치는 것과 동시에 조명체로부터 조명빛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조명체가 우산막의 저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체의 빛과 우산막에 형성된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이 어우러져 미려하고 심미감을 갖는 패션 우산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Claims (5)

  1. 우산막(11)과, 상기 우산막(11)의 저면에 봉착되어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들과, 상기 우산살(12)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산살(12)들에 각각 일측이 연결된 지지살(13)들과, 상기 지지살(13)들이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우산막(11)을 펼치었을 때 우산막(11)의 중심이 되는 우산기둥(15)과, 상기 우산기둥(15)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한 손잡이(16)로 구성된 통상의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기둥(15) 상단에 체결되는 제1조명체(20)와;
    상기 제1조명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일측에 체결되는 스위치(30)와;
    상기 스위치(30)와 제1조명체(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산손잡이(16)의 내측에 내삽되는 밧데리(40)와;
    상기 밧데리(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산손잡이(16)의 하단면에 끼워지는 막음체(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체(20)는, 상기 우산기둥(15)의 2분할된 양측에 각각 나사체결 되는 투명부(21)와;
    상기 투명부(21)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램프(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막(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우산살(12)의 끝단에는 상기 스위치(30)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발광램프(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막(11)의 상단에는 내부에 상기 스위치(30) 및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71)가 내삽된 제2조명체(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살(13)들의 타측이 연결된 슬라이딩구(14)가 슬라이딩 되는 상기 우산기둥(15)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딩구(14)가 접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1조명체(20)와 제2조명체(70) 중 어느 하나의 조명체가 발산되도록 하는 자동스위치(80)가 상기 밧데리(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KR2020060006051U 2006-03-07 2006-03-07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KR200418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1U KR200418376Y1 (ko) 2006-03-07 2006-03-07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51U KR200418376Y1 (ko) 2006-03-07 2006-03-07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376Y1 true KR200418376Y1 (ko) 2006-06-12

Family

ID=4176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51U KR200418376Y1 (ko) 2006-03-07 2006-03-07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3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33B1 (ko) 2011-11-04 2013-07-01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CN110074526A (zh) * 2019-06-04 2019-08-02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带有安抚功能的幼儿用多功能折叠伞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433B1 (ko) 2011-11-04 2013-07-01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발광우산
CN110074526A (zh) * 2019-06-04 2019-08-02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带有安抚功能的幼儿用多功能折叠伞
CN110074526B (zh) * 2019-06-04 2024-02-27 福建集成伞业有限公司 一种带有安抚功能的幼儿用多功能折叠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3758B1 (en) Novelty umbrella for a child
KR101074712B1 (ko) 우산용 발광장치
KR200418376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US20060096625A1 (en) Illuminated umbrella
US20090260663A1 (en) Safety umbrella
JP2006255219A (ja) 安全傘
KR200343663Y1 (ko) 다기능 우산
KR200439253Y1 (ko) 기능성 안전우산
KR101547866B1 (ko) 조명부가 구비된 우산 캡 장치
KR200425717Y1 (ko) 발광우산.
KR2021005549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안전우산
KR101279159B1 (ko) Led가 장착된 안전용 발광우산
KR200172847Y1 (ko) 천 고정부에 발광소자를 가지는 우산
KR200423811Y1 (ko) 빛이 나는 우산
KR200370991Y1 (ko) 안전사고 방지용 우산
KR200175491Y1 (ko) 안전우산
KR200356503Y1 (ko) 발광장치가 설치된 우산
KR20100009340U (ko) 야간안전 및 어린이보호용 우산
JP3211994U (ja) Led照明機能付きの傘
JP3121349U (ja) 安全傘
KR101783843B1 (ko) 기능성 우산
JP3152912U (ja) 照明器具付傘
JP2000023720A (ja)
JP2006102456A (ja) 交通安全用発光点滅ステッキ
JP3049254U (ja) 照明装置を備えた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