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204Y1 -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 Google Patents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204Y1
KR200461204Y1 KR2020090012511U KR20090012511U KR200461204Y1 KR 200461204 Y1 KR200461204 Y1 KR 200461204Y1 KR 2020090012511 U KR2020090012511 U KR 2020090012511U KR 20090012511 U KR20090012511 U KR 20090012511U KR 200461204 Y1 KR200461204 Y1 KR 200461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ybug
observation
aphid
container
ladyb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3193U (en
Inventor
김학남
Original Assignee
김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남 filed Critical 김학남
Priority to KR2020090012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204Y1/en
Publication of KR20110003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2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Abstract

본 고안은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배양토(40)를 담아 기주식물(50)을 기를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공간을 덮고 있는 투명한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단을 막아주는 통기공(80)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10)와 상부커버(20) 및 뚜껑(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무당벌레(60)가 방사되며, 상기 기주식물(50)에 진딧물(70)이 접종되어 자생적으로 증식됨으로써, 증식되는 진딧물(70)을 먹이로 하는 무당벌레(60)의 먹이 습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60)를 기르면서 무당벌레(60)의 먹이 사슬 관계를 관찰 및 학습할 수 있도록 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for observation of ladybug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10 that can grow host plants 50 containing the culture soil 40, and a transparent top cover covering the upper space of the container (10) (20) and a lid (30) formed with a ventilation hole (80) blocking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20); The ladybug 60 is radi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10,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and the aphid 70 is inoculated into the host plant 50 so as to grow spontaneously. By using the feeding habits of the ladybug 60 to feed the aphid 70 to be propagated so that the ladybug 60 can be grown without a separate feeding,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ladybug 60 can be observed and learned. To provide potted plants for observation of ladybugs.

무당벌레, 화분, 관찰, 곤충, 기주식물, 보리 진딧물 Ladybug, pollen, observation, insect, host plant, barley aphid

Description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본 고안은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주식물인 보리에 진딧물을 증식하여 무당벌레의 먹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무당벌레의 먹이가 자생적으로 생겨나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를 키우면서 실내에서 무당벌레 먹이사슬 관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ybug observation pollen,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ladybug observation potted plant that allows the aphid to grow on the host plant barley to feed the ladybug, the food of the ladybug spontaneously It is related to the ladybug observation pollen that can easily observe the ladybug food chain relationship indoors while growing ladybugs without additional feeding.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화된 주거환경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정서의 순화를 목적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화분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there are a lot of flower pots that can be used to grow plants indoors in order to make people feel nature in urbanized living environments or to purify their emotions.

특히, 최근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찰학습 내지는 애완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곤충이나 동식물들을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여 관심을 갖고 이를 관리함으로써 대상 곤충의 성장 내지는 번식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insects and plants for observation learning or pets can be purchased directly by consumers, so that they can observe and manage the growth or reproduction of target insects. It is marketed.

이러한 곤충 관찰용 제품들은 대상 곤충이 지속적인 성장이나 번식을 할 수 있도록 그에 적합한 생태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고, 지속적인 먹이 공급을 통해 서 성장 내지는 번식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곤충의 성장에 따르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안정이나 생태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These insect observation products can achieve a sense of accomplishment according to the growth of insects by artificially creating an ecological environment suitable for sustained growth or reproduction of the target insect, and by observing the growth or reproduction process through continuous feeding.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lp emotional stability or understanding the ecosystem.

이러한 곤충 관찰용 제품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나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곤충 관찰용 화분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of such insect observation products are insect observation pots that allow butterflies to be observed.

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7800호(2000.10.11. 등록, 명칭: 곤충 관찰용 화분) 및 등록실용신안 제281205호(2002.6.26. 등록, 명칭: 나비 관찰용 화분)에는 식물과 함께 나비가 서식할 수 있도록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한 화분 형태의 곤충 관찰용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In other word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7800 (registered on October 11, 2000, name: pollen for insect observation) and Utility Model No. 281205 (registered for name of butterfly on February 26, 2002.6. There is disclosed a product for observing insects in the form of pollen that has created an artificial environment for habitation.

그런데, 나비류 곤충의 실내사육에 있어서 도시환경이나 일반 주거지역에서는 먹이식물의 입수가 곤란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먹이조달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관리하는데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indoor breeding of butterfly insects, it is troublesome to continuously feed and manage the food becaus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feed the food in the urban environment or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이나 번식을 위해 그에 적합한 생태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육환경의 조성을 위한 요소로 온도, 습도, 조명, 통풍 등의 조절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appropriate ecological environment must be supported for continuous growth or breeding, it was necessary to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lighting, ventilation, etc. as a factor for the creation of a suitable breeding environment.

특히, 사육을 위하여 야생 상태의 나비를 실내 환경으로 옮기는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고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단점이 노출되고 있고, 나비 애벌레와 먹이를 갖추어도 사육에 성공하려면 고도의 전문기술과 번잡한 노력이 소요되며, 전문지식이 없으면 과습 환경에 의한 병원미생물 감염증이나 생리 이상 등의 질환 때문에 애벌레가 치사하기 쉬우므로 나비로 변태하 는 단계까지 애벌레가 생존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transfer of wild butterfly to indoor environment for breeding is exposed to the disadvantage of not acclimatizing drastically changes in the limited space and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life. It is difficult to survive the larvae until the metamorphosis of the butterfly because the larvae are prone to death due to diseases such as pathogenic microbial infections or menstrual disorders caused by a humid environment, without the expertise. There was this.

또한, 나비와 같은 곤충의 자연 생태계의 먹이사슬 관계를 관찰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먹이사슬 관계를 이해하는 관찰학습용으로 부적절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bserve and grasp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natural ecosystem of insects such as butterflies,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appropriate for observation learning to understand the food chain relationship.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생태 관찰용 곤충으로 주로 나비를 이용한 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먹이 공급이 필요 없고, 생태계의 먹이사슬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관찰 학습용으로 적절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s of products using mainly butterflies as a conventional ecological observation insect, and does not require continuous food supply, and provides a pot for observation of ladybugs suitable for observation learning in understanding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ecosystem. do.

즉, 본 고안의 목적은 무당벌레의 먹이가 자생적으로 생겨나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를 키울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실내에서 무당벌레 먹이사슬 관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adybug food is spontaneously generated, so that ladybugs can be grown without a separate food supply, so that the management is easy, and the ladybug observation flower pot can easily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dybug food chain indoor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양토를 담아 기주식물을 기를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 공간을 덮고 있는 투명한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을 막아주는 통기공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와 상부커버 및 뚜껑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무당벌레가 방사되며, 상기 기주식물에 진딧물이 접종되어 자생적으로 증식됨으로써, 증식되는 진딧물을 먹이로 하는 무당벌레의 먹이 습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를 기르면서 무당벌레의 먹이 사슬 관계를 관찰 및 학습할 수 있도록 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ainer containing a culture soil to grow host plants, a transparent top cover covering the upper space of the container, and a lid formed with a vent to block the top of the upper cover Including; Ladybugs are radia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the upper cover and the lid, and aphids are inoculated into the host plant, thereby spontaneously growing, and using the feeding habits of the ladybugs to feed the aphids to be fed separatel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ladybug observation pollen that allows the growth of ladybugs without feeding and to observe and learn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ladybug.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와 뚜껑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top cover and the lid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기주식물인 보리에 진딧물을 증식하여 무당벌레의 먹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무당벌레의 먹이가 자생적으로 생겨나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를 키울 수 있어 종래 다른 곤충을 관찰 학습용이나 애완용으로 기를 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먹이 공급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ot for observation of ladybugs so that aphids can be multiplied on the host plant barley and fed as ladybug food, the ladybug food is spontaneously developed, so that ladybugs can be raised without additional fee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agement can be relatively easy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ood supply compared to when observing other insects for learning or pets.

또한, 본 고안은 무당벌레를 기르는 과정에서 기주식물(보리)→진딧물→무당벌레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을 관찰할 수 있어 생태계의 먹이사슬 관계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erve the food chain leading to host plants (barley) → aphid → ladybug in the process of growing a ladybug has the advantage that can help to understand and learn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ecosystem.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의 상부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of the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은, 배양토(40)를 담아 기주식물(50)을 기를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공간을 덮고 있는 투명한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단을 막아주 는 통기공(80)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10, which can grow host plant 50 containing the culture soil 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Transparent top cover 20 covering the space,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id 30 is formed with a vent hole 80 to block the top of the top cover (20).

여기서, 상기 용기(10)에 담긴 배양토(40)를 기반으로 기주식물(50)이 자라게 되고, 상기 용기(10)와 상부커버(20) 및 뚜껑(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방사되는 무당벌레(60)의 활동 공간 및 기주식물(50)이 자라는 공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기주식물(50)에는 진딧물(70)이 접종되어 자생적으로 증식하게 된다.Here, the host plant 50 grows based on the culture soil 40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an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10,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is radiated sugarless. The activity space of the worm 60 and the host plant 50 is provided as a growing space, the host plant 50 is inoculated with the aphid 70 is to grow spontaneously.

이때, 상기 기주식물(50)로는 진딧물(70) 증식이 용이한 보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st plant 50 is a barley easy to grow aphid 70 is used.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배양토를 담아 기주식물(50)을 기를 수 있는 기반으로써, 통상의 화분 형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And, the container 10 is a base that can grow host plants 50 containing the culture soil, as shown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pot, can be produc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the figure is made in a cylindrical Is common.

또한, 상기 상부커버(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투명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나 유리 재질로 용기(10) 형태에 맞춰 원통형으로 제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be able to look inside, it is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transparent acrylic or glass.

이렇게 상부커버(20)를 단순한 원통형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상단에 통기공(80)을 형성하거나 성형이 쉬워지고, 내부를 관찰하기 용이하며 외관이 깔끔하다는 보편적인 장점을 갖는다.When the upper cover 20 is manufactured in a simple cylindrical shape, the vent hole 80 is formed on the top or is easily formed, and has a general advantage that the inside is easily observed and the appearance is clean.

이처럼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상부커버(20)가 용기(10)의 형태에 맞춰 원통형으로 그 모양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uch, the upper cover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기 용기(10)를 하트 모양으로 제작하고, 이 용기(10) 형상에 맞춰 상부커버(20)도 하트 모양으로 제작함으로써, 종래 단순한 화분 형태에서 전체적으로 화분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처럼 소비자의 미적 취향에 맞춰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by making the container 10 in the shape of a heart, and also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 the top cover 20 is also produced in the shape of a heart,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pot as a whole in a conventional simple flower pot form. As can be seen, i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to suit the aesthetic taste of consumers.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경우, 상부커버(20)와 뚜껑(30)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였으나, 상부커버(20)와 뚜껑(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is manufactured in a detachable structure, but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may be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상부커버(20)가 화분의 상부 전체를 덮는 덮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pper cover 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over covering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pot.

이처럼, 상부커버(20)와 뚜껑(30)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도 그 상단에는 통기공(8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even when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are integrally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ventilation hole 80 at the upper end thereof.

상기 통기공(80)은 화분 내부의 원활한 공기 순환과 함께 필요에 따라 기주식물(50)에 물을 공급해야 할 경우에 물을 공급하는 통로 이용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hole 80 may be used to supply water in the case where water needs to be supplied to the host plant 50 with a smooth air circulation inside the pot.

이때, 상기 통기공(80)의 구멍은 매우 미세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화분 내부의 기주식물(50)에 진딧물(70)이 접종되어 자생적으로 증식되기 때문에 진딧물(70)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le of the air hole 80 very fine, which is inoculated in the host plant 50 in the potted plant aphid 70 is spontaneously propagated so that the aphid 70 falls outside This is because it is desirable not to come out.

상기 배양토(40)는 기주식물(50)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비료분이 풍부하고 다공성이며 보수력이 있고 병해충이 없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lture soil 40 is preferably used to fertilizer rich, porous, water-retaining and pest-free so as to supply sufficient nutrients necessary for the host plant 50 to grow.

한편, 본 고안에 따라 관찰학습이나 애완용으로 제공되는 무당벌레(60)는 들이나 산의 진딧물(70)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서식하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으로써, 전 세계에 약 5,000 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남생이 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 무당벌레 등 91종만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dybug (60) provided for observation learning or p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abits anywhere where there are fields or mountain aphids (70) and is an insect belonging to the coleoptera ladybug family commonly seen around us, About 5,000 species are known all over the world, and there are only 91 species of tortoise in Korea, including ladybugs, seven-star ladybugs and ladybugs.

이러한 무당벌레(60)는 성충으로 몸길이가 약 1㎝ 정도까지 자라며, 반구형의 몸을 가지고 있고, 곁눈을 제외한 머리의 등면이 노란색에서 검은색까지 매우 다양하며 광택이 나고, 배면은 검은색을 띄고 있어 세련되고 화려함이 돋보일 뿐만 아니라 색상이 선명하여 눈에 잘 띄는 곤충으로써, 곤충의 관찰 학습이나 애완용으로 적합하다 할 수 있다.The ladybug (60) is an adult, grows up to about 1 cm in length, has a hemispherical body, and the back side of the head except for the side eyes is very diverse and glossy from yellow to black, and the back is black. In addition, it is not only stylish and colorful, but also a vivid color, making it an outstanding insect, which is suitable for learning and observing insects.

특히, 무당벌레(60)는 진딧물(70)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농작물에 발생한 해충을 잡아먹는 천적곤충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무당벌레(60)는 하루에 200여 마리의 진딧물(70)을 잡아먹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the ladybug 60 is used as a natural insect to eat pests caused by crops because the prey aphid 70, the ladybug 60 to eat about 200 aphids 70 per day. It is known that it can.

본 고안의 경우, 상기한 무당벌레(60)의 먹이 습성을 이용하여 진딧물(70)을 기주식물(50)에 접종하여 증식하는 방식으로 무당벌레(60)의 먹이가 자생적으로 생겨나 별도의 먹이 공급 없이 무당벌레(60)를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eeding the aphid 70 to the host plant 50 by using the feeding habits of the ladybug 60, the food of the ladybug 60 is spontaneously generated and is supplied separately. Ladybug (60) is to be raised without.

물론, 진딧물(70)의 증식 속도에 비해서 무당벌레(60)가 진딧물(70)을 잡아먹는 속도가 빨라 진딧물(70)이 전부 소멸되어 먹이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진딧물(70)을 기주식물(50)에 다시 접종하여 증식할 필요성은 가지고 있다.Of course, when the ladybug 60 eats the aphid 70 faster than the growth rate of the aphid 70, the aphid 70 is completely extinguished so that the feeding of the aphid 70 to the host plant 50 ) Need to multiply by reinoculation.

그러나, 실질적으로 제한된 화분의 내부 공간에서의 진딧물(70)의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충분히 무당벌레(60)의 먹이인 진딧물(70)이 자생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growth rate of the aphid 70 is very fast in a substantially limited inner space of the pollen, it is understood that the aphid 70 sufficiently fed by the ladybug 60 is spontaneously supplied.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의 경우, 무당벌레(60)의 일생이 약 60일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무당벌레(60)의 일생을 관찰할 수 있고, 일생동안 600~3000개의 노란색 알을 낳기 때문에 애벌레도 직접 키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dybug observation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life of the ladybug 60 is only about 60 days, the life of the ladybug 60 can be observed in a short time, 600 ~ during the lifetime Laying 3,000 yellow eggs, the larvae can grow directly.

물론, 무당벌레(60)의 애벌레도 진딧물(70)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화분 내에서 진딧물(70)이 지속적으로 자생적으로 증식할 경우에 먹이 공급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Of course, because the larvae of the ladybug 60 also feeds on the aphid 70, when the aphid 70 continuously grows spontaneously in the pot,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feeding.

다만, 상기 무당벌레(60)는 추운 겨울철과, 무더운 여름날에는 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무당벌레(60)는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20~25℃에서 변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화분 내부의 온도를 20~25℃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ladybug (60) is known to sleep on cold winters and hot summer days, the ladybug (60) is an insect that undergoes complete metamorphosis through eggs, larvae, pupa, adult stages at 20 ~ 25 ℃ Since the transformation process,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pot to 20 ~ 25 ℃.

예를 들어, 무당벌레 애벌레는 20~25℃에서 3일 정도 지나면 노란색의 알이 검게 변하면서 애벌레로 변태(통상, 무당벌레의 경우 알에서 부화한 것은 1령, 한번 탈피한 것은 2령, 두번 탈피한 것은 3령, 세 번 탈피한 것은 4령이라 한다.)되고, 1㎜ 정도의 작은 1령 애벌레는 회색 또는 검은색 바탕에 노란색, 주황색의 줄무늬 또는 점들이 있고, 13일 정도의 기간에 하루 20~200마리의 진딧물을 잡아먹으면서 3번의 탈피로 1㎝ 정도까지 성장하게 되며, 1령 애벌레는 조금씩만 먹기 시작하다가 3령이나 4령의 애벌레가 되면, 1령, 2령 때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진딧물(60)을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 example, the ladybug larvae turn yellow after 3 days at 20-25 ° C, and then transform into larvae. 1 larvae of 3 mm in length and 3 plunges are called age 4). Small 1-mm larvae of about 1 mm in length have a yellow or orange stripe or spots on a gray or black background. It eats 20 to 200 aphids a day and grows up to 1cm by 3 molting, and the first-large larvae start to eat little by little, but when they become three- or four-larvae, they are also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arvae. It is known to eat so many aphids (60).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무당벌레(60)의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관찰일기 등을 쓴다면, 곤충의 성장에서 번식까지의 관찰 학습용 교구재로써의 활용은 물론, 애완용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you use the observation diary while observing the process from the eggs of the ladybug 60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aching aid for observation from the growth of insects to breeding Of course, you can take full advantage of your pet.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진딧물(70)이 자생적으로 증식될 수 있는 기주식물(50)과, 이 진딧물(70)을 먹이로 하는 무당벌레(60)를 하나의 공간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무당벌레(60)를 기르는 과정에서 먹이 공급의 번거로움 없이 기주식물(보리)→진딧물→무당벌레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을 관찰할 수 있어 생태계의 먹이사슬 관계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serve the host plant 50, the aphid 70 can be spontaneously propagated, and the ladybug 60 that feeds the aphid 70 in one space. By providing a potted plant,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food chain leading to host plants (barley) → aphids → ladybugs without the hassle of feeding in the process of growing the ladybug (60) to understand and learn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ecosystem You can get help.

이상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t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의 상부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parating the top cover of the ladybug observation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용기 20 : 상부커버10 container 20 upper cover

30 : 뚜껑 40 : 배양토30: lid 40: cultured soil

50 : 기주식물 60 : 무당벌레50: host plant 60: ladybug

70 : 진딧물 80 : 통기공70: aphid 80: aeration

Claims (2)

배양토(40)를 담아 기주식물(50)을 기를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공간을 덮고 있는 투명한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단을 막아주는 통기공(80)이 형성된 뚜껑(30)을 포함하고;A container 10 capable of growing host plants 50 containing the culture soil 40, a transparent upper cover 20 covering the upper space of the container 10, and blocking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20. The main includes a lid 30 in which a vent 80 is formed; 상기 용기(10)와 상부커버(20) 및 뚜껑(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무당벌레(60)가 방사되며, 상기 기주식물(50)에 진딧물(70)이 접종되어 자생적으로 증식됨으로써, The ladybug 60 is radi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tainer 10,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and the aphid 70 is inoculated into the host plant 50 so as to grow spontaneously. 증식되는 진딧물(70)을 먹이로 하는 무당벌레(60)의 먹이 습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먹이 공급없이 무당벌레(60)를 기르면서 무당벌레(60)의 먹이 사슬 관계를 관찰 및 학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By using the feeding habits of the ladybug 60, which feeds the aphid 70, which is propagated, the ladybug 60 is grown without a separate feeding while the food chain relationship of the ladybug 60 can be observed and learned. Ladybug observation po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커버(20)와 뚜껑(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당벌레 관찰용 화분.Ladybug observation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ver 20 and the lid 30 is formed integrally.
KR2020090012511U 2009-09-23 2009-09-23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KR2004612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11U KR200461204Y1 (en) 2009-09-23 2009-09-23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11U KR200461204Y1 (en) 2009-09-23 2009-09-23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93U KR20110003193U (en) 2011-03-30
KR200461204Y1 true KR200461204Y1 (en) 2012-07-03

Family

ID=4420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11U KR200461204Y1 (en) 2009-09-23 2009-09-23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20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55B1 (en) * 2019-12-10 2021-09-29 대한민국 3d stage of stereoscopic micr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93U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1659B (en) Method for breeding Odontobutis obscura through fish-rice symbiosis in pool
CN101677576B (en) Mite composition
CN102301982B (en) Method for propagating Aphidius gifuensis by pea aphids
CN105309207A (en) Colorful rose and Chinese rose bonsai cultivation method
CN102067787B (en) Die and method for directionally culturing glossy ganoderma potted landscapes of various forms
CN103960203A (en) Method for breeding encarsia sophia drones by means of eretmocerus hayati
CN105918200A (en) Crab-rice symbiotic planting-breeding pool and comprehensive temperature-adjusting method thereof
CN108243832A (en) The artificial method for planting of paint face mushroom
CN105766741A (en) Method for regulating water body dissolved oxygen of larval crab culture pond
KR100966939B1 (en) case device having an animal and plant growing function
CN102113470B (en) Method for fast cultivation of centipedes through greenhouse
KR200461204Y1 (en) A Flowerpot for Observing ladybugs
KR20160054947A (en) Combination mushroom cultivation Insect breeding kit
CN107736283A (en) The energy-saving and emission-reduction method for culturing seedlings of blue full dress sea urchin
KR200390125Y1 (en) a pot of growing vegetation and a cover having a pot thereof
CN207911524U (en) Mobile peony garden cultivation system
CN203262063U (en) Multifunctional silkworm breeding box
De Vosjoli The art of keeping snakes
CN101331846A (en) Ornamental flower soilless culture method
CN206274998U (en) A kind of predator large-scale breeding device
CN107333720A (en) A kind of method using temperature transition fast-propagation Hai Shi eretmocerus SPs
JP3129796U (en) Plant float cultivation equipment with biotop equipment
CN105707011B (en) A kind of cladocera intensive manufacture breeding method
CN105706969B (en) A kind of pure white imitates the selection of stichopus japonicus
CN215912996U (en) Piperiplocae overwin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