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83Y1 -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 Google Patents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83Y1
KR200460483Y1 KR2020110011129U KR20110011129U KR200460483Y1 KR 200460483 Y1 KR200460483 Y1 KR 200460483Y1 KR 2020110011129 U KR2020110011129 U KR 2020110011129U KR 20110011129 U KR20110011129 U KR 20110011129U KR 200460483 Y1 KR200460483 Y1 KR 200460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pipe
supporter frame
suppor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안
Original Assignee
김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안 filed Critical 김지안
Priority to KR2020110011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한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관(P) 외부에 서포터프레임(1,1')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 외측에 커버부재(3)를 배관(P)에서 이격되게 결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내경부(2,2')에는 배관(P) 외면에 접관되는 접관부(21)를 형성하고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양 끝단의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연결부(4,4')로 서로 연결하고, 마주보는 양 끝단의 연결부(4,4')를 서로 포개어 연결함으로써 배관(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씌워 결합하되, 상기 커버부재(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51)를 서로 이음시켜 결합하며, 상기 커버부재(5)의 이음부(51)에는 보호부재(52)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PERSONAL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보다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한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분야에서 고온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는 단열을 목적으로 배관 외부에 단열커버 또는 보호커버를 설치한다. 이러한 단열커버 및 보호커버는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단열과 아울러 고온의 배관에 접촉되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보호커버는 참고문헌1에서와 같이 배관을 감싸는 한 쌍의 반 원통체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 외부에 설치하는 배관보호 커버가 공지되어 있다.
또, 상기와 더불어 고온의 배관에 인체가 접촉되어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함석판이나 단열재로 파이프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보호커버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902호, 제20-044604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5701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커버는 고온의 배관 외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반원통형으로 분할 형성된 커버부재를 플랜지로 이음하여 조립하거나 돌출 슬릿을 형성하여 서로 조립하는 것으로 커버부재에 플랜지와 슬릿을 성형하고 이들을 체결볼트 등 별도의 수단으로 서로 조립하여 설치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배관 외부에 설치하는 조립작업 역시 용이하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보호커버는 배관 외경에 삽입되는 조립공이 배관으로부터 단열되도록 조립공측에 단열부재를 끼워 결합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외경)에 따라 조립공의 크기와 함께 조립공의 크기에 따른 단열부재 역시 직경 역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제작해야 하고 배관의 직경에 따라 보호커버의 조립공과 단열부재의 직경을 변경하여 제작하므로 이들의 제작 및 설치비가 고가로 소요되었고 단열부재를 조립공에 끼워서 결합하게 되어 설치작업 역시 쉽지 않아 제작상의 문제는 물론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697호, 2005.07.22.
본 고안에서는 배관 외부에 설치하여 고온의 배관에 인체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를 반원통형의 분할 구조를 취하지 않고 더욱 간편한 구성으로 배관 외부에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상된 작업성과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외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포터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 외측에는 커버부재를 감아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배관 직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작비 절감과 함께 설치작업의 효율성과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은; 배관 외부에 서포터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 외측에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프레임은 내경부와 외경부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의 내경부에는 배관 외면에 접관되는 접관부를 형성하고 외경부에는 커버부재를 감아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은 양 끝단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연결부로 서로 연결하고, 마주보는 양 끝단의 연결부를 서로 포개어 연결함으로써 배관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의 외경부에는 커버부재를 감아 씌워 결합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를 서로 이음시켜 결합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이음부에는 보호부재를 결합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과 같이 반원통형의 커버부재를 서로 맞대어 조립하는 조립수단이 전혀 필요없어 배관 외부에 프로텍션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배관의 직경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설치작업의 효율성과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익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6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고온의 배관 외부를 커버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관 외측에 결합되어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서포터프레임과; 상기 서포터프레임에 의해 배관에서 이격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다.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서포터프레임은 요철 형상으로 되어 배관 외면에 둘러 감아서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을 배관의 직경(외경)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규격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배관의 직경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서포터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역시 배관의 직경이나 서포터프레임의 규격(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서포터프레임은 내경부와 외경부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경부에는 배관 외면에 접관될 수 있도록 접관부를 형성하고, 외경부에는 커버부재를 감아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형성한다.
상기 서포터프레임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길이(높이)는 배관과 커버부재 사이의 간격(거리)를 결정한다.
또 상기 서포터프레임은 마주보는 양 끝단의 연결부를 서로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을 연결하여 배관 외면에 결합한다.
또 상기 서포터프레임은 마주보는 양 끝단을 연결프레임 등으로 연결하여 배관 외면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배관 외면에는 커버부재의 길이에 따라 적정 개수의 서포터프레임를 설치하고 상기 배관 외면에 설치한 서포터프레임 외측에는 얇은 박판의 비철금속재질로 된 커버부재를 결합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서포터프레임(1,1')은 배관(P)으로부터 이격시켜 커버부재(5)를 배관(P) 외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경부(2,2')에는 배관(P) 외면에 접관될 수 있도록 접관부(21)를 형성하고,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4')의 길이(높이)는 배관(P)과 커버부재(5) 사이의 간격(거리)를 결정한다.
또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양 끝단의 마주하는 연결부(4,4')를 서로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1')을 연결하여 배관(P) 외면에 결합한다.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도시한 예와 같이 마주보는 외경부(3,3')의 양 끝단중 일측 끝단(32)의 연결부(4,4')가 다른 끝단의 연결부(4,4')에 걸어 포개어 결합되게 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1')을 서로 연결시켜 배관(P) 외면에 감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포개어 연결한 연결부(4,4')는 서포터프레임(1,1')의 탄성에 의해 그 상태로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나 여기에 용접이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서포터프레임(1,1')을 배관(P) 외면에 결합하기 위해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달리한 여러 예를 보인 것이다.
도 7, 도 8과 같이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을 연결프레임(7)으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프레임(7)은 양단에 걸이부(71,71')를 형성하여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연결부(4,4')와 외경부(3,3')에 걸어서 결합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1')을 연결시켜 배관(P) 외면에 감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서포터프레임(1,1')의 외경부(3,3') 외측에서 연결부(4,4')에 걸고 외경부(3,3') 외측으로 결합하는 걸이부(71,71')가 형성된 연결프레임(7)으로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연결부(4,4')와 외경부(3,3')에 걸어서 연결한다.
상기 연결프레임(7)은 그 규격(길이)를 다양한 것으로 준비하여 배관(P)의 직경에 따라 달라지는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정 길이의 연결프레임(7)을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배관(P)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서포터프레임(7)을 설치하고 커버부재(5)를 감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9, 도 10과 같이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연결부(4,4')에 결합공(9,9')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프링연결핀(8)을 결합하여 서포터프레임(1,1') 양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연결핀(8)은 압축스프링 양측에 걸이(81,81')를 형성하고 이를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연결부(4,4')에 형성된 결합공(9,9')에 끼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연결핀(8)은 신축성으로 서포터프레임(1,1')의 가변적인 연결 간격(거리)에 대응함으로써 배관(P)의 직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서포터프레임(7)을 설치하고 커버부재(5)를 감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P) 외면에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는 서포터프레임(1,1') 외측에는 커버부재(5)를 원형으로 감아 씌워 결합한다.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커버부재(5)의 길이에 따라(배관(P)의 길이에 따라) 수개를 배관(P) 외면에 결합하여 그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5)를 안정적으로 지지,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배관(P) 외면에 결합된 서포터프레임(1,1')에는 커버부재(5)를 결합한다.
상기 커버부재(5)는 서포터프레임(1,1')의 외경부(3,3')에 둘러 감아서 결합할 수 있도록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되, 일반적인 배관(P)의 단열보호커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여러 비철금속재질 등으로 된 얇은 박판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이나 망체 등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서포터프레임(1,1')을 이용하여 배관(P) 외부를 감싸 결합되는 커버부재(5)는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51)에 리벳, 용접 등으로 이음시켜 결합한다.
또 상기 커버부재(5)의 이음부(51) 일측에는 날카로운 이음부(51)가 노출되어 상해를 입는 경우 등을 방지하고 외관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이음부(51)의 노출 부위에 비철금속 등의 보호부재(52)를 결합한다.
상기한 서포터프레임(1,1')은 커버부재(5)를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P)의 길이에 따라(커버부재(5)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임의의 적정 개수로 배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연결대(6,6')로 서포터프레임(1,1')을 연결하여 커버부재(5)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서포터프레임(1,1')의 내경부(2,2')와 외경부(3,3')는 호형(弧形)으로 형성하여 배관(P) 외면에 안정적으로 접관되어 결합될 수 있게 하고 커버부재(5) 역시 호형의 외경부(3,3')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감아져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관(P) 외면에 접관되는 서포터프레임(1,1')의 내경부(2,2)에는 도 11과 같이 배관(P)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등으로 보호재(6)를 결합하여 상기 보호재(6)에 의해 서포터프레임(1,1')으로부터 배관(P)과 커버부재(5)를 보호하고 슬립을 방지하는 등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1,1': 서포터프레임
2,2': 내경부 21:접관부
3,3': 외경부 31:결합부
4,4': 연결부 5: 커버부재
6: 보호재 7:연결프레임
8: 스프링연결핀 9,9':결합공

Claims (3)

  1. 배관(P) 외부에 서포터프레임(1,1')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 외측으로 커버부재(3)를 배관(P)에서 이격되게 결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내경부(2,2')에는 배관(P) 외면에 접관되는 접관부(21)를 형성하고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은; 걸이부(71,71')가 형성된 연결프레임(7)으로 서포터프레임(1,1') 양 끝단의 연결부(4,4')와 외경부(3,3')에 걸어 연결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1')을 배관(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씌워 결합하되, 상기 커버부재(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51)를 서로 이음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2. 배관(P) 외부에 서포터프레임(1,1')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 외측으로 커버부재(3)를 배관(P)에서 이격되게 결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은 내경부(2,2')와 외경부(3,3')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내경부(2,2')에는 배관(P) 외면에 접관되는 접관부(21)를 형성하고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은; 서포터프레임(1,1')의 양 끝단 연결부(4,4')에 결합공(9,9')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프링연결핀(8) 양측의 걸이(81,81')를 끼워 연결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1')을 배관(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1')의 외경부(3,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씌워 결합하되, 상기 커버부재(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51)를 서로 이음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3. 삭제
KR2020110011129U 2011-12-15 2011-12-15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KR200460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29U KR200460483Y1 (ko) 2011-12-15 2011-12-15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29U KR200460483Y1 (ko) 2011-12-15 2011-12-15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483Y1 true KR200460483Y1 (ko) 2012-05-25

Family

ID=466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29U KR200460483Y1 (ko) 2011-12-15 2011-12-15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88Y1 (ko) 2012-10-23 2013-02-06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81965Y1 (ko) * 2016-01-04 2016-12-06 강미숙 배관용 간격유지구
KR102444710B1 (ko) * 2022-03-16 2022-09-19 (주)케이씨엠엔지니어링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609754B1 (ko) * 2022-07-26 2023-12-07 김미경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739B2 (ja) 1995-06-15 2008-01-30 東レペフ加工品株式会社 断熱パイプカバー、それを用いてなる断熱パイプ被覆構造体、及び該被覆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446042Y1 (ko) 2009-07-08 2009-09-21 삼건중공업주식회사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739B2 (ja) 1995-06-15 2008-01-30 東レペフ加工品株式会社 断熱パイプカバー、それを用いてなる断熱パイプ被覆構造体、及び該被覆構造体の製造方法
KR200446042Y1 (ko) 2009-07-08 2009-09-21 삼건중공업주식회사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88Y1 (ko) 2012-10-23 2013-02-06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81965Y1 (ko) * 2016-01-04 2016-12-06 강미숙 배관용 간격유지구
KR102444710B1 (ko) * 2022-03-16 2022-09-19 (주)케이씨엠엔지니어링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2609754B1 (ko) * 2022-07-26 2023-12-07 김미경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483Y1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BRPI1106542A2 (pt) membro para conexão de exaustor com tampa trançada pré-formada
JP6150668B2 (ja) ホットメルトホースを配設するための吊下具および方法
US8733762B2 (en) Thermal seal and methods therefor
JP2007167679A5 (ko)
EP2719986A2 (en) Pipe member equipped with heat insulation core pipeline, auxiliary heat conduction structure and u-shaped annularly-distributed pipeline
RU2623135C2 (ru) Секция радиатора отопления с изогнутым теплоотдающим элементом и масляный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состоящий из таких секций
KR200465188Y1 (ko)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67939Y1 (ko)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101712772B1 (ko)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BRPI1106750A2 (pt) Membro de conexão de exaustão compressível melhorado
JP6828658B2 (ja) 排気マニホールド
KR10137644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20130005882U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의 분할형 서포터프레임
KR101339856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EP3123005B1 (en) Flexible conduit tube and a connecting device for use in exhaust systems
WO2015155327A1 (en) Heat shield
US9989189B1 (en) Straps for pipe insulation
US8168927B2 (en)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helical wire coil heating element
KR200453555Y1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US20150176857A1 (en) Hybrid heater core system
US11306853B2 (en) Floating load ring for flexible joint
KR102582081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KR102581440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CN110578847B (zh) 一种供暖保温管弯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