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88Y1 -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 Google Patents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88Y1
KR200465188Y1 KR2020120009603U KR20120009603U KR200465188Y1 KR 200465188 Y1 KR200465188 Y1 KR 200465188Y1 KR 2020120009603 U KR2020120009603 U KR 2020120009603U KR 20120009603 U KR20120009603 U KR 20120009603U KR 200465188 Y1 KR200465188 Y1 KR 200465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support band
holder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인듀스트릴
Priority to KR2020120009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외주연에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금속밴드로 된 지지밴드부를 배관의 외주연에 감싸서 고정되게 하고, 그 지지밴드부의 외주에는 배관커버가 배관의 외주연과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구를 배관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게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스플라인형상으로 형성된 종래고안과 비교했을 때, 소직경(2인치)의 배관부터 대직경(30인치)의 배관까지 간격유지대를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지지밴드부가 배관의 외주연 전체면을 감쌈에 따라 배관커버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주연에 단열재(11)가 설치된 간격유지대(12)를 배관(10)의 외주연에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대(12) 외주연에 배관커버(13)를 설치하여 배관(10)과 배관커버(13)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대(12)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밴드형 철판으로 형성되어 배관(10)의 전둘레를 감싸는 지지밴드부(14)와, 지지밴드부(14)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지지밴드부(14)를 둥글게 감았을 때 서로 맞닿아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연결단부(17)와, 상기 지지밴드부(14)의 외주연에 용접으로 외향 설치되어 지지밴드부(14)와 배관커버(13)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수개의 간격유지구(18)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단부(17)는 서로 맞닿는 수직연결부(15)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5)의 단부에 배관커버(13)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16)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구(18)는 수직지지부(18b)의 상부에 배관커버(13)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18c)가 절곡 형성되며, 수직지지부(18b)의 하부에 지지밴드부(14)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결합부(18a)가 커버결합부(18c)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Spacer for pipe cover}
본 고안은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외주연에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금속밴드로 된 지지밴드부를 배관의 외주연에 감싸서 고정되게 하고, 그 지지밴드부의 외주에는 배관커버가 배관의 외주연과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구를 배관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게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스플라인형상으로 형성된 종래고안과 비교했을 때, 소직경(2인치)의 배관부터 대직경(30인치)의 배관까지 간격유지대를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지지밴드부가 배관의 외주연 전체면을 감쌈에 따라 배관커버를 유동없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유체가 배관 내부를 흐르는 경우에는 그 유체의 고열이 배관에 전도되어 배관의 외부면이 매우 뜨거운 상태가 되고, 그 뜨거운 배관의 외부면에 신체가 접촉하게 되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경우와,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배관으로 낙하물이 떨어져서 배관이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주연에 배관커버를 설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배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배관커버는 실용신안등록 제20-460483호(고안의 명칭 :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의 고안이 등록되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청구항 1항은 다음과 같다.
즉, 종래고안의 청구항 1항은, 배관(P) 외부에 서포터프레임(1)을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 외측으로 커버부재(3)를 배관(P)에서 이격되게 결합하는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프레임(1)은 내경부(2)와 외경부(3)를 서로 교대로 형성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의 내경부(2)에는 배관(P) 외면에 접관되는 접관부(21)를 형성하고 외경부(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서포터프레임(1)의 양 끝단은, 걸이부(71)가 형성된 연결프레임(7)으로 서포터프레임(1) 양끝단의 연결부(4)와 외경부(3)에 걸어 연결함으로써 서포터프레임(1)을 배관(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서포터프레임(1)의 외경부(3)에는 커버부재(5)를 감아 씌워 결합하되, 상기 커버부재(5)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얇은 박판으로 구성하고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지는 이음부(51)를 서로 이음 시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밴드형 철판을 외경부(3)와 내경부(2)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형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되어 이를 배관(P)의 외측에 감싸 설치하였을 때, 서포터프레임(1)은 스플라인(spline) 형태로 형성되어진다.
이렇게 스플라인 형태로 형성되어진 서포터프레임(1)을 배관(P)의 외측에 감싸 설치하게 되면, 도 5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관(P)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 즉 접관부(21)와 외경부(3)에 의해 빈 공간으로 남아 배관(P)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면이 간격을 두고 수개의 접관부(21)만 배관(P)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개의 접관부(21)가 배관(P)의 외주면에 점선형태로 간격을 두고 접촉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부재(5)의 외측에 외부 물체가 부딪치거나 낙하물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접관부(21) 사이의 빈 공간부가 되는 외경부(3) 내측은 벌어진 공간이므로 그 공간이 벌어지게 되며, 그 벌어진 틈새에 의해 서포터프레임(1)을 포함한 커버부재(5)가 배관(P)의 외측에서 흔들리는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배관커버를 설치하는 배관(P)은 그 직경이 2인치부터 30인치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밴드형 철판을 외경부(3)와 내경부(2)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형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되는 스플라인 형태로 절곡 형성된 종래의 서포터프레임(1)은 직경이 2~5인치와 같이 작은 배관에는 적용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는 직경이 작은 배관에 스플라인 형태의 종래고안을 설치할 때, 외경부(3) 내측의 벌어진 공간으로 배관이 들어가려고 하기 때문이며, 이렇게 외경부(3)의 내측이 벌어져 있음에 따라 배관커버의 외측에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경부(3)의 내측이 더욱더 벌어져서 충격을 제대로 지지하게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배관커버는 철판원판을 5센티미터 정도의 폭으로 절단하여 밴드형으로 1차가공한 뒤에, 그 밴드형으로 절단된 금속밴드를 스플라인 형태로 절곡하게 되는데, 상기 철판원판의 길이가 2,438㎜로서 이 철판원판을 밴드형으로 절단한 것으로는 8인치 배관에 설치할 수 있는 종래고안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9인치 이상의 배관에 설치될 종래고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밴드형으로 절단된 금속밴드를 용접으로 연결하여 절곡 제작해야 하는 작업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고안을 외경부(3)와 내경부(2)가 직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제품을 제작하고 난 뒤에는 부피가 커서 보관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물류비가 많이 드는 등의 비현실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460483호(고안의 명칭 :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부러짐이 가능한 금속밴드로 된 지지밴드부를 배관의 외주연에 감싸서 고정되게 하고, 그 지지밴드부의 외주에는 배관커버가 배관의 외주연과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구를 배관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게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스플라인형상으로 형성된 종래고안에서 발생하던 모든 문제를 일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주연에 단열재가 설치된 간격유지대를 배관의 외주연에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대 외주연에 배관커버를 설치하여 배관과 배관커버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대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밴드형 철판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전둘레를 감싸는 지지밴드부와, 지지밴드부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지지밴드부를 둥글게 감았을 때 서로 맞닿아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연결단부와, 상기 지지밴드부의 외주연에 용접으로 외향 설치되어 지지밴드부와 배관커버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수개의 간격유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단부는 서로 맞닿는 수직연결부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연결부의 단부에 배관커버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구는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배관커버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가 절곡 형성되며, 수직지지부의 하부에 지지밴드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결합부가 커버결합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는, 지지밴드부로서 배관의 외주 전체면을 모두 감싸게 고정되면서 그 지지밴드부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구를 방사방향으로 외향 설치함으로서, 종래고안에서 발생하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철판원판을 밴드형으로 절단한 1줄의 지지밴드부로서 소직경(2인치)의 배관부터 대직경(28인치)의 배관까지 외부전체면을 감싸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간격유지대를 배관에 견고하게 설치하게 되어 배관에 설치된 본 고안이 유동하지 않음과 더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작업성이 용이하여 생산성과 더불어 경제성 또한 증대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6인치 이상의 배관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대는 펼쳐진 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부피를 적게 차지하여 공간활용에 우수한 효과와 물류비를 절감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설치하게 되는 배관과 그 주변환경에 따라 간격유지구의 두께를 두껍거나 얇은 것을 설치할 수 있어 안정되게 배관을 커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가 을(乙)자 형태로 수직지지부의 상하부에 커버결합부와 용접결합부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간격유지구의 하측 용접결합부를 지지밴드부의 상에 스폿용접으로 용접 결합할 때, 여유 있는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지지밴드부에 다수개의 간격유지구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이 펼쳐진 상태로 제작하고, 설치시에는 구부려서 설치함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의 (가)(나)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설치상태의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주연에 단열재(11)가 설치되는 간격유지대(12)가 배관(10)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이 간격유지대(12) 외주연에 배관커버(13)가 감겨지게 설치되어 배관(10)과 배관커버(13)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대(12)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짐이 가능한 밴드형 철판으로 형성되어 배관(10)의 전둘레를 감싸는 지지밴드부(14)와, 지지밴드부(14)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지지밴드부(14)를 둥글게 감았을 때 서로 맞닿아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연결단부(17)와, 상기 지지밴드부(14)의 외주연에 용접으로 외향 설치되어 지지밴드부(14)와 배관커버(13)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수개의 간격유지구(18)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부(17)는 지지밴드부(14)를 둥글게 감았을 때 서로 맞닿는 수직연결부(15)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5)의 단부에 배관커버(13)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16)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18)는 수직지지부(18b)의 상부에 배관커버(13)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18c)가 절곡 형성되며, 이 수직지지부(18b)의 하부에는 지지밴드부(14)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결합부(18a)가 커버결합부(18c)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간격유지대(12)는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에 맞는 크기로 각각 제작하여 직경이 2인치인 배관(10)부터 직경이 30인치인 배관(10)에 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단, 30인치의 배관은 원주길이가 2,392㎜이고, 간격유지대(12)를 제작하기 위하여 철판원판을 절단한 밴드의 길이는 2,438㎜이므로, 양측에 연결단부(17)를 형성하기 위한 길이가 모자라게 되어 29인치와 30인치의 배관에 설치하는 간격유지대(12)는 양측 연결단부(17)가 추가되는 길이만큼 별도의 밴드형으로 절단된 철판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제작해야 함은 밝혀둔다.
이와 같이 직경이 2인치인 배관(10)부터 직경이 30인치인 배관(10)에 설치하기 위한 간격유지대(12)를 제작할 때, 소형인 2~5인치용 간격유지대(12)의 지지밴드부(14)는 그 만큼 길이가 짧고, 6인치 이상으로 중,대형의 간격유지대(12)를 제작하는 간격유지대(12)의 지지밴드부(14)는 그 만큼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간격유지구(18)의 설치숫자가 소형인 경우에는 적고, 중대형인 경우에는 많은 개수를 설치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대(12)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밴드부(14)의 내주면에 단열재(11)를 부착한 상태에서 배관(10)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설치되고, 이 간격유지대(12)의 커버결합부(18c) 외부에는 배관커버(1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관커버(13)는 설치장소나 주변환경에 따라 다수개의 통공(13a)을 형성한 타공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통공이 없는 철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배관커버는 양철판과 같은 박판의 금속판재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대(12)는 소형(2~5인치용)인 경우에 제작할 때부터 도 1과 같이 지지밴드부(14)를 둥글게 만곡하고 양단부에 연결단부(17)를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제작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형(6인치용) 이상의 간격유지대(12)는 지지밴드부(14)가 평탄한 상태에서 양측의 연결단부(17)를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제작한다.
먼저, 소형의 간격유지대(12)를 도 2, 3과 같이 소형의 배관(10) 외측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둥글게 만곡된 지지밴드부(14)를 배관(10)의 외측에 감싸게 끼운 상태에서 양측 연결단부(17)의 수직연결부(15)를 마주대고, 그들 수직연결부(15)에 형성된 통공으로 볼트를 관통하고 너트를 체결하여 간격유지대(12)를 배관(10)의 외측에 견고하게 설치한다.
그 뒤에 간격유지대(12)의 외측에 배관커버(13)를 설치하는데, 이때는 수개의 간격유지구(18)의 외측에 절곡 형성된 커버결합부(18c)의 외주연에 철판으로 된 배관커버(13)를 감싸면서 나사로서 배관커버(13)와 커버결합부(18c)를 결합한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중형(6인치) 이상의 배관(10)에 그에 맞는 간격유지대(12)를 설치할 때는, 지지밴드부(14)가 평형하게 펼쳐진 간격유지대(12)의 지지밴드부(14)를 배관(10)의 외부에 감싸면서 구부리면, 구부려짐이 자유로운 철판으로 형성된 지지밴드부(14)가 배관(10)의 외주면을 따라 둥글게 만곡되면서 양단 연결단부(17)가 만나게 된다.
이처럼 양측 연결단부(17)가 배관(10)의 외측에서 맞닿게 접촉하게 되면, 위의 소형 배관에 설치하였던 것과 동일하게 양측 수직연결부(15)를 볼트와 너트로 연결 결합하고, 다수개의 커버결합부(18c) 외부에는 배관커버(13)를 나사로서 결합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간격유지대(1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구(18)의 수직지지부(18b)가 방사방향으로 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됨에 따라 배관(10)의 외측에 배관커버(13)를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커버결합부(18c)가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철판으로 된 배관커버(13)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간격유지대(12)의 지지밴드부(14)가 배관(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다수개의 간격유지구(18)가 외측의 배관커버(13)를 지지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지지밴드부(14)는 배관(10)의 외주면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배관(10)의 외측에서 간격유지대(12)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수개의 지지밴드부(14)가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었음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 배관의 중심을 기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간격유지구(18)가 그 충격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관(10)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배관(10)의 외측에 배관커버(13)가 간격유지대(12)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지지밴드부(14)와 배관(10)의 사이에 단열재(11)가 설치되어서 배관(10) 내에 고열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에도 배관커버(13)는 뜨겁지 않아 인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간격유지대(12)는 지지밴드부(14)는 얇은 철판으로 제작형성하고, 간격유지구(18)는 지지밴드부(14)을 제작하는 철판 보다 두꺼운 철판으로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장소나 낙하물에 의한 충격이 빈번한 경우와 같은 환경에 따라 달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18)는 수직지지부(18b)의 상하부에 커버결합부(18c)와 용접결합부(18a)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간격유지구(18)의 하측 용접결합부(18a)를 지지밴드부(14)의 상면(외주면)에 스폿용접으로 용접 결합할 때, 여유 있는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지지밴드부(14)에 다수개의 간격유지구(18)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10 : 배관 11 : 단열재 12 : 간격유지대
13 : 배관커버 14 : 지지밴드부 15 : 수직연결부
16 : 커버결합부 17 : 연결단부 18 : 간격유지구
18a : 용접결합부 18b : 수직지지부 18c : 커버결합부

Claims (1)

  1. 내주연에 단열재가 설치된 간격유지대를 배관의 외주연에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대 외주연에 배관커버를 설치하여 배관과 배관커버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대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밴드형 철판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전둘레를 감싸는 지지밴드부와, 지지밴드부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지지밴드부를 둥글게 감았을 때 서로 맞닿아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연결단부와, 상기 지지밴드부의 외주연에 용접으로 외향 설치되어 지지밴드부와 배관커버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수개의 간격유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단부는 서로 맞닿는 수직연결부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수직연결부의 단부에 배관커버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한 커버결합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구는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배관커버와 나사로 결합되는 통공을구비한 커버결합부가 절곡 형성되며, 수직지지부의 하부에 지지밴드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용접결합부가 커버결합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20120009603U 2012-10-23 2012-10-23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65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03U KR200465188Y1 (ko) 2012-10-23 2012-10-23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03U KR200465188Y1 (ko) 2012-10-23 2012-10-23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188Y1 true KR200465188Y1 (ko) 2013-02-06

Family

ID=5073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603U KR200465188Y1 (ko) 2012-10-23 2012-10-23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ko) 2013-01-23 2013-07-12 양성연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78598Y1 (ko) * 2015-04-14 2015-10-23 (주)엠아이코리아 배관용 간격유지구
KR200481965Y1 (ko) 2016-01-04 2016-12-06 강미숙 배관용 간격유지구
CN106723213A (zh) * 2016-11-25 2017-05-31 平坝县鸿黔养殖场 一种带螺旋加热片的保温管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72A (ja) 1997-06-28 1999-03-05 T & N Technol Ltd 可撓性保護スリーブ
KR20040073894A (ko) * 2003-02-15 2004-08-21 주식회사성호철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0915630B1 (ko) 2008-09-30 2009-09-04 김국수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KR200460483Y1 (ko) 2011-12-15 2012-05-25 김지안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72A (ja) 1997-06-28 1999-03-05 T & N Technol Ltd 可撓性保護スリーブ
KR20040073894A (ko) * 2003-02-15 2004-08-21 주식회사성호철관 충전재 채움식 이중벽관용 간격유지장치
KR100915630B1 (ko) 2008-09-30 2009-09-04 김국수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KR200460483Y1 (ko) 2011-12-15 2012-05-25 김지안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ko) 2013-01-23 2013-07-12 양성연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200478598Y1 (ko) * 2015-04-14 2015-10-23 (주)엠아이코리아 배관용 간격유지구
KR200481965Y1 (ko) 2016-01-04 2016-12-06 강미숙 배관용 간격유지구
CN106723213A (zh) * 2016-11-25 2017-05-31 平坝县鸿黔养殖场 一种带螺旋加热片的保温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188Y1 (ko)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US10962164B2 (en) Pipe anchor
KR101192736B1 (ko) 배관용 보온 케이싱 및 그 시공방법과 제조방법
KR101422505B1 (ko)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200467939Y1 (ko)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KR101712772B1 (ko)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200460483Y1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KR100925701B1 (ko)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JP2013007427A (ja) バンド式スペーサーおよび配管保温構造
CN210344672U (zh) 一种通用轴向型金属波纹膨胀节
KR200446042Y1 (ko)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KR200478598Y1 (ko) 배관용 간격유지구
CN207261898U (zh) 一种弯头
CN202868186U (zh) 燃气管道波纹补偿器
KR20200107475A (ko) 배관 보호용 지지대 일체형 배관 커버
KR102582081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CN208749990U (zh) 一种防集箱膨胀密封装置
KR102581440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KR102609754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KR20130025633A (ko) 가스공급관용 익스팬션 루프
KR101549841B1 (ko) 선박용 배관부재의 가설 보호커버
KR20180076931A (ko) 베셀의 프로텍션 단열 지지장치
KR200453555Y1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KR20130005882U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의 분할형 서포터프레임
CN217056789U (zh) 一种蒸汽管网热补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